KR20040101078A -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078A
KR20040101078A KR1020040036470A KR20040036470A KR20040101078A KR 20040101078 A KR20040101078 A KR 20040101078A KR 1020040036470 A KR1020040036470 A KR 1020040036470A KR 20040036470 A KR20040036470 A KR 20040036470A KR 20040101078 A KR20040101078 A KR 2004010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holder
coaxial cabl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라시마토시히로
나카시마테루미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3)는 콘택트(28)를 유지하는 하우징 (27)과, 하우징(27)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29)과, 하우징(27)과의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24)의 단부(24a)를 유지하는 홀더(3b)를 구비한다. 콘택트 (28)는 동축 케이블(25)의 중심 도체(25a)가 압접되는 제 1 압접날(37)을 포함한다. 셸(29)은 동축 케이블(25)의 외부 도체(25c)가 압접된 제 2 압접날(42)을 포함한다. 홀더(3b)는 하우징(27)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7)와, 동축 케이블(25)의 내부 절연체(25b) 및 외부 절연체(25d)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압접날(37,42)측으로 각각 압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압압부(50,51;5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MULTI-PO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예컨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의 내부 배선에 이용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에서는 액정 패널이 대형화하고, 이것에 따라 액정 패널과 기판을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하는 커넥터가 다극화되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의 대형화에 따른 고해상도의 요청에 의해 액정 패널이나 주변부품의 동작 주파수가 높게 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로의 전자 장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동축 케이블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에 플러그형 커넥터를 설치하고, 액정 패널 등에 고정된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청 발행의 하기의 공보가 있다.
출원국: 일본
공개번호: 특허 공개 평10-335013호 공보
공개일: 1998년 12월 18일
상기 커넥터에서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가로 배열로 배치된 다극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접속하여 이들을 일괄해서 유지하는 도전성의 가로판으로 이루어지는 글랜드 판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글랜드 판을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커넥터의 하우징과 회동 커버 사이에 끼워지지할 때에, 글랜드 판을 하우징에 유지된 도전성의 셸에 접촉시킴으로써 외부 도체가 글랜드 판을 통해서 셸에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글랜드 판으로서 서로간에 다극의 동축 케이블의 단부를 끼워지지할 수 있는 1쌍의 분할판을 이용하고 있고, 부품 점수가 많게 된다.
또한, 다극의 동축 케이블의 일부의 외피를 박리시킨 후, 이 박리된 부분을 1쌍의 분할판으로 끼워지지하여 글랜드 판을 조립한다라는 작업이 필요하여 조립 공정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품 비용 및 조립 비용이 합쳐져 제조 비용이 높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글랜드 판이 있으면 커넥터의 소형화의 점에서도 불리하다.
또한, 글랜드 판과 셸 사이의 접촉상태가 불안정하면 전자 실드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값싸며 실드 성능의 신뢰성이 높은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플러그형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플러그형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축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형 커넥터 및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제 2 커넥터의 일부 파단 분해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제 1 유닛의 평면도 및 일부 파단 후면도이다.
도 7은 제 1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제 2 유닛을 구성하는 홀더의 후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일부 파단 분해 후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유닛의 훅과 제 2 유닛으로서의 홀더의 훅 결합구멍의 결합을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압접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압접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플러그형 커넥터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리셉터클형 커넥터(receptacle type connector)
3 … 플러그형 커넥터 4 … 기판
5 … 삽입공간 6 … 하우징
7 … 콘택트(contact) 8 … 글랜드 셸(gland shell)
9 … 상판부 10 … 하판부
11 … 상판부 12 … 하판부
13 … 접힘부 14 … 개구
15 … 벽 16 … 고정 구멍
17 … 유지홈 18 … 주체부
19 … 탄성 편부 20 … 리드부
21 … 걸림돌기 22 … 산형상 돌기
23 … 접촉부 24 … 케이블 어셈블리
25 … 동축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 도체, 이 중심 도체의 외측을덮는 내부 절연체, 이 내부 절연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도체, 이 외부 도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절연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가로 배열로 유지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가로 배열로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각 콘택트는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각각 압접된 제 1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셸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압접된 복수의 제 2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과,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절연체를 제 1 압접날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제 1 압압부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절연체를 제 2 압접날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제 2 압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홀더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끼워서 하우징에 대해서 홀더를 연결할 때에 중심 도체가 콘택트의 제 1 압접부에 압접됨과 아울러 외부 도체가 셸의 제 2 압접부에 압접된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장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압접에 의해 외부 도체와 셸을 직접,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실드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종래로부터 이용하고 있던 글랜드 판을 폐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 도체, 이 중심 도체의 외측을 덮는 내부 절연체, 이 내부 절연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도체, 이 외부 도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절연체를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가로 배열로 유지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형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가 연결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가로 배열로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각 콘택트는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각각 압접된 제 1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셸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압접된 복수의 제 2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절연체 및 외부 절연체를 제 1 및 제 2 압접날측으로 각각 압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압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는 삽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여 내부에 가로 배열의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삽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전자 실드용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볼록부를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양 커넥터를 끼워맞출 때에, 대응하는 콘택트 사이의 전기적 도통, 및 대응하는 셸 간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를 구성하는, 베이스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2)와, 플러그형 커넥터(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리셉터클형 커넥터(2)는 기판(4)의 표면(4a)에 실장되는 것이다. 리셉터클형 커넥터(2)는 삽입공간(5)을 구획하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과, 이 하우징(6)의 대략 삽입공간(5) 내에 유지되는 다수의 가로 배열의 콘택트(7)와, 하우징(6)의 외면의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글랜드 셸(8)을 구비하고 있다. 글랜드 셸(8)은 판금 성형된, 예컨대, 구리합금 등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진다.
하우징(6)은 서로간에 삽입공간(5)을 구획하는 상판부(9) 및 하판부(10)를 구비하고, 하판부(10)의 전방 가장자리(10a)는 상판부(9)의 전방 가장자리(9a)보다 소정 길이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글랜드 셸(8)은 하우징(6)의 상판부(9) 및 하판부(10)의 외면을 각각 덮는 상판부(11) 및 하판부(12)를 구비한다. 글랜드 셸(8)의 하판부(12)의 전방부는 내측으로 대략 밀착상태로 접혀진 접힘부 (13)를 포함하는 중합판으로 되어 있다. 글랜드 셸(8)의 접힘부(13)는 삽입공간(5)의 일부를 구획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글랜드 셸(8)의 상판부(11)의 좌우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단면 L자형상을 이루는 보강 태브(71)가 각각 연장되어 있고, 각 보강 태브 (71)는 하우징(7)의 측부를 따르는 상태로 기판(4)의 표면(4a)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삽입공간(5)은 개구(14)를 통해서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전방(X)으로 개방되어 있다. 삽입공간(5)은 하우징(6)의 전후방향 중간부까지 안길이가 있고, 그 안쪽의 벽(15)에는 각 콘택트(7)를 후방으로부터 관통시켜 고정하는 고정 구멍(16)이 가로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의 상판부(9)의 하면에는 각 콘택트(7)의 전반부를 유지하는 유지홈(17)이 대응하는 고정 구멍(16)에 연이어지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7)는 하우징(6)의 고정 구멍(16)에 고정되는 주체부(18)와, 이 주체부(1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주체부(18)에 의해서 외팔보 지지되는 외팔보 형상의 탄성 편부(19)와, 주체부(1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コ자형상을 이루는 리드부(20)를 갖고 있다.
주체부(18)에는 걸림 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구멍(16)의 벽면에 걸려 고정된다. 탄성 편부(19)는 하향의 산형상 돌기(22)를 갖고 있고, 이 산형상 돌기(22)의 최상부가 접촉부(23)를 구성하고 있다. 리드부(20)는 기판(4)의 표면(4a)의 도전성 부재(도시안함)에 납땜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3)는 서브 어셈블리로서의 제 1 유닛(3a), 및 이것에 조합되는 제 2 유닛을 구성하는 홀더(3b)에 의한 2 피스 구조로 구성되고, 제 1 유닛(3a) 및 제 2 유닛(3b)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 (24)의 단부(24a)를 끼워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케이블 어셈블리(24)는 미소 피치(예컨대, 0.5mm)로 가로 배열로 정렬시킨 다극(예컨대, 20극)의 동축 케이블(25)과, 이들 동축 케이블(25)을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서로 접합되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유지부재(26)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평면 케이블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각 동축 케이블(25)은 중심 도체(25a)와, 중심 도체(25a)의 외주를 덮는 내측 절연체(25b)와, 이 내측 절연체(25b)의 외측을 덮는, 예컨대, 망형상의 외부 도체(25c)와, 이 외부 도체(25c)의 외측을 덮는 외측 절연체(25d)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어셈블리(24)의 각 동축 케이블(25)은 유지부재(26)로부터 소정 길이(예컨대, 15mm)만큼 노출되고, 그 단부는, 외부 도체(25c) 및 외부 절연체(25d)를 벗겨내어 내부 절연체(25b)가 소정 길이(예컨대, 1~2mm)만큼 노출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제 1 유닛(3a)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체로서의 하우징(27)과, 이 하우징(27)에 가로 배열로 유지되는 다수의 콘택트(28)와, 하우징(27)의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금속제 셸(29)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27)은 주체부(30)와, 주체부(30)로부터 연장되어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삽입공간(5) 내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31)를 갖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콘택트(28)는 하우징(27)의 수지성형시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홈형상을 이루는 고정부(32)와, 고정부(32)의 일단으로부터 삽입 볼록부 (31)의 제 1 면(31a)의 유지홈(33)을 따라 삽입 볼록부(31)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접촉부(34)와, 고정부(3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주체부(30)의 제 1 면(30a)으로부터 노출되는 U자형상부(35)를 갖는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형상부(35)의 내측 가장자리는 슬롯(36)을 구획하는 제 1 압접날(37)로 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25)의 내측 절연체(25b)를 찢은 제 1 압접날(37)에 동축 케이블(25)의 중심 도체(25a)가 압접되어 전기적 도통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셸(29)은 하우징(27)의 주체부(30)의 제 2 면(30b)에 노출되는 직사각형상의 주체부(38)와, 주체부(38)의 좌우의 측부로부터 각각 플러그형 커넥터(3)의 전방(Y)으로 연장되고 하우징(27)의 삽입 볼록부(31)의 제 1 면(31a)에 대략 노출하며 선단부(39a)가 매설되는 1쌍의 접촉부(39)와, 주체부(38)의 후방 가장자리부로부터 직교 상태로 구부려져 빗살 형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굽힘부(40)를 구비한다. 각 굽힘부(40)는 절연체로서의 하우징(27)에 이 하우징(27)의 수지성형시에 성형되는 매설부(40a)와, 하우징(27)의 주체부(30)의 제 1 면(30a)에 노출되는 돌출부(40b)를 포함한다.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40b)의 대향측 가장자리에 슬롯(41)을 구획하는 제 2 압접날(42)이 형성되고, 동축 케이블(25)의 외측 절연체(25d)를 찢은 제 2 압접날 (42)에 동축 케이블(25)의 외부 도체(25c)가 압접되어 전기적 도통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셸(29)의 주체부(38)의 좌우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앵글 형상의 연장부(43)가 하우징(27)의 주체부(30)에 매설되어 있다. 각 연장부(43)는 하우징(27)의 주체부(30)의 측벽(44)에 설치되는 대응하는 훅 결합구멍(45)의 중앙을 가로지르고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유닛(3b)의 셸(46)에 일체로 설치되는 1쌍의 연결부으로서의 훅(47)이, 훅 결합구멍(45) 내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확개하여 연장부(43)에 걸려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연장부(43)는 훅 결합구멍(45) 내에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매설부(43a)로 되어 있고, 이 매설부(43a)는 하우징(27)의 수지성형시에 하우징(27)에 성형된다.
도 5 및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홀더로서의 제 2 유닛(3b)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48)과, 홀더 본체(48)의 외면(48a)을 덮는 전자 실드용 금속제 상기 셸(46)을 구비하고 있다. 셸(46)은 홀더 본체(48)의 외면(48a)을 덮는 주체부(55)와, 주체부(55)의 좌우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교 상태로 구부려져 두갈래로 나누어진 상기 훅(47)과, 주체부(55)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직교상태로 구부려진 굽힘부(56)를 구비한다.
각 굽힘부(56)는 절연체로서의 홀더 본체(48)에 이 홀더 본체(48)의 수지성형시에 성형되는 매설부(56a)와, 홀더 본체(48)의 내면(48b)에 노출되는 돌출부 (56b)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돌출부(56b) 간의 간격이 근원측에서 좁게 되도록, 인접하는 돌출부(56b)의 근원부는 서로 V자형상을 이루는 제 3 압접날(57)로 되어 있다.
홀더 본체(48)의 내면(48b)에는 케이블 어셈블리(24)의 각 동축 케이블(25)을 각각 수용 유지가능한 케이블 유지홈(53)이 가로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면(48b)에는 제 1 유닛(3a)의 각 콘택트(28)의 U자형상부(35)를 수납하여 U자형상부(35)의 넓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49)가 가로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면(48b)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동축 케이블(25)의 중심 도체(25a)의 압압시에 U자형상부(35)를 끼운 전후에서 각 동축 케이블(25)의 내부 절연체 (25b)를 압압함으로써 중심 도체(25a)를 제 1 유닛(3a)측(압접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1쌍의 제 1 압압부(50,51)가 케이블 유지홈(53)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홀더 본체(48)의 내면(48b)에는 제 1 유닛(3a)의 셸(29)의 빗살 형상의 돌출부(40b)를 각각 수납하여 슬롯(41)의 넓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 (52)가 가로 배열로 형성된다. 또한, 내면(48b)에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동축 케이블(25)의 외부 도체(25c)의 압접시에 슬롯(41)을 끼운 전후에서 각 동축 케이블(25)의 외부 절연체(25d)를 압압함으로써 외부 도체(25c)를 제 1 유닛(3a)측 (압접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제 2 압압부(54)가 케이블 유지홈(53)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형 커넥터(3)를 조립할 때에,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어셈블리(24)의 단부(24a)를 홀더로서의 제 2 유닛(3b)에 유지한다. 이 때,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유닛(3b)의 셸(46)에 일체로 형성된 압접날(57)에 동축 케이블(25)의 외부 도체(25c)가 압접된다.
제 2 유닛(3b)에 의해서 케이블 어셈블리(24)의 단부(24a)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2 유닛(3b)을 제 1 유닛(3a)에 끼워맞춘다. 이 때,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25a)가 콘택트(28)의 제 1 압접날(37)에 압접됨과 아울러,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5c)가 셸(29)의 제 2 압접날(42)에 압접된다. 또한, 압접과 동시에 제 2 유닛(3b)의 훅(47)이 제 1 유닛(3a)의 훅 결합구멍(45)의 연장부(43)에 결합함으로써 양 유닛(3a,3b)이 서로 연결되어 걸려진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24)에 대한 플러그형 커넥터(3)의 장착이 아주 용이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압접에 의해 외부 도체(25c)와 각 셸(29,46)을 직접,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실드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종래로부터 이용하고 있던 글랜드 판을 폐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형 커넥터(3)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 (25c)를 양 셸(29,46)의 압접날(42,57)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압접하여 끼워지지하므로 동축 케이블(25)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빠짐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러그형 커넥터(3)의 하우징(27)의 수지성형시에 동시에 셸(29)을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홀더 본체(48)의 수지성형시에 동시에 셸(46)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수지성형후에 셸을 맞붙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 공정수의 삭감에 의해 제조 비용을 보다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7)에 대한 셸(29)의 고정이나 홀더 본체(48)에 대한 셸(46)의 고정이 확실하다.
특히, 케이블 어셈블리(24)의 단부(24a)를 끼워지지하기 위한 서브 어셈블리로서, 제 1 유닛(3a)과 제 2 유닛을 구성하는 홀더(3b)의 2 피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케이블 어셈블리(24)의 장착시에 작업성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플러그형 커넥터(3)의 삽입 볼록부(31)의 제 2 면 (31b)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삽입공간(5)의 하면을 구획하는 접힘부(13) 및 하판부(10)의 상면을 따르도록 하여 삽입 볼록부(31)가 삽입공간(5) 내에 도입된다. 이 때, 플러그형 커넥터(3)의 삽입 볼록부(31)의 제 2 면(31b)에 노출되는 접촉부(39)가 접촉하여 양 커넥터(2,3)의 셸(8,29) 사이의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다.
또한, 리셉터클형 커넥터(2)의 콘택트(7)의 접촉부(23)가 플러그형 커넥터 (3)의 삽입 볼록부(31)의 제 1 면(31a)의 콘택트(28)의 접촉부(34)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소정의 접촉압력으로써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선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홀더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끼워서 하우징에 대해서 홀더를 연결할 때에 중심 도체가 콘택트의 제 1 압접부에 압접됨과 아울러 외부 도체가 셸의 제 2 압접부에 압접된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한 장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압접에 의해 외부 도체와 셸을 직접,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실드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종래로부터 이용하고 있던 글랜드 판을 폐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볼록부를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양 커넥터를 끼워맞출 때에, 대응하는 콘택트 사이의 전기적 도통, 및 대응하는 셸 간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3)

  1. 중심 도체, 이 중심 도체의 외측을 덮는 내부 절연체, 이 내부 절연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도체, 이 외부 도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절연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가로 배열로 유지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가로 배열로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 및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각 콘택트는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각각 압접된 제 1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셸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압접된 복수의 제 2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절연체를 상기 제 1 압접날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제 1 압압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절연체를 상기 제 2 압접날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제 2 압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간에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끼워지지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기 복수의 콘택트 및 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콘택트의 일부 및 상기 셸의 일부를 성형한 성형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주체부와, 이 주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삽입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체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볼록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주체부의 제 1 면으로부터 노출되는 U자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U자형상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압접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각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주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삽입 볼록부의 제 1 면을 따라 상기 삽입 볼록부의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U자형상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볼록부의 제 1 면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유지홈을 포함하고,
    각 유지홈은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절연성의 홀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내면에, 대응하는 콘택트의 U자형상부를 수납하여 U자형상부의 넓어짐을 규제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가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상기 하우징의 주체부의 제 2 면에 노출되는 주체부와, 이 주체부로부터 구부려진 복수의 굽힘부를 포함하고,
    각 굽힘부는 상기 하우징의 주체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와, 상기 하우징의 주체부의 제 1 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인접하는 돌출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제 2 압접날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돌출부의 제 2 압접날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위한 슬롯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절연성의 홀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내면에, 상기 하우징의 셸의 각 돌출부를 각각 수납하여 슬롯의 넓어짐을 규제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가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절연성의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와, 이 홀더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셸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압접되는 복수의 제 3 압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셸은 주체부로부터 구부려진 복수의 굽힘부를 포함하고,
    각 굽힘부는 상기 홀더 본체에 매설되는 매설부와, 상기 홀더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굽힘부의 돌출부에 각각 상기 제 3 압접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셸은 상기 홀더 본체의 외면을 덮는 주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홀더의 셸의 주체부의 1쌍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구부려진 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훅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셸의 주체부의 각 측 가장자리에 각각 1쌍의 서로 마주보는 훅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의 주체부의 1쌍의 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가, 하우징의 대응하는 훅 결합구멍의 중앙을 가로지르고 있고,
    상기 1쌍의 훅은 대응하는 훅 결합구멍 내에서 상기 연장부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절연성의 홀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본체의 내면에, 각 동축 케이블을 각각 유지하는 케이블 유지홈이 가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부 및 제 2 압압부는 각 케이블 유지홈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부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제 1 압접날을 끼운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압부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제 2 압접날을 끼운 양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2. 중심 도체, 이 중심 도체의 외측을 덮는 내부 절연체, 이 내부 절연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도체, 이 외부 도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절연체를 각각 포함하는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가로 배열로 유지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에 설치되는 다극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형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가 연결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가로 배열로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전자 실드용 셸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각 콘택트는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각각 압접된 제 1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셸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압접된 복수의 제 2 압접날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절연체 및 외부 절연체를 제 1 및 제 2 압접날측으로 각각 압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압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는 삽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여 내부에 가로 배열의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삽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전자 실드용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볼록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볼록부의 제 1 면에 플러그형 커넥터의 콘택트의 접촉부가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 볼록부의 제 2 면에 플러그형 커넥터의 셸의 접촉부가 노출되고,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연결시에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서로 대향하는 콘택트끼리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 및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서로 대응하는 셸끼리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0036470A 2003-05-22 2004-05-21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KR20040101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5223A JP2004349127A (ja) 2003-05-22 2003-05-22 多極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JP-P-2003-00145223 2003-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078A true KR20040101078A (ko) 2004-12-02

Family

ID=3353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470A KR20040101078A (ko) 2003-05-22 2004-05-21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49127A (ko)
KR (1) KR20040101078A (ko)
CN (1) CN100401583C (ko)
TW (1) TWI2374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5B1 (ko) * 2007-03-14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4340B2 (ja) * 2005-04-14 2012-02-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WO2009031631A1 (ja) 2007-09-06 2009-03-12 Fujikura Ltd. コネクタ
JP6039487B2 (ja) * 2013-04-05 2016-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9838B2 (ja) * 2014-06-16 2016-07-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DE102019116140B3 (de) * 2019-06-13 2020-10-15 ept Holding GmbH & Co. KG Kabelstecker mit Rasthebel
JP7488242B2 (ja) * 2021-11-16 202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ンテナケーブルのノイズ抑制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7187A (ja) * 1998-04-17 1999-11-05 Molex Inc 同軸線用コネクタ
JP3859871B2 (ja) * 1998-06-25 2006-12-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69031B2 (ja) * 1999-03-03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細線同軸ケーブルの接続方法およびコネクタ
JP4270335B2 (ja) * 1999-03-10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細線の接続方法及びコネクタ
JP3517155B2 (ja) * 1999-05-07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接続構造及びシールド端子接続方法
JP4308395B2 (ja) * 2000-02-07 2009-08-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3017154A (ja) * 2001-06-28 2003-01-17 Alps Electric Co Ltd Gps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85B1 (ko) * 2007-03-14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4464A (zh) 2005-02-02
CN100401583C (zh) 2008-07-09
JP2004349127A (ja) 2004-12-09
TW200503361A (en) 2005-01-16
TWI237425B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045B2 (en) Connector socket,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6821158B2 (en) Connector
JP2897975B2 (ja) マルチポート型電気コネクタ
JP341588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5865646A (en)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l latching and ground structure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US20060172589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w profile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79427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JPH11224742A (ja) モジュラコネクタ
WO20030987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multiple ground planes
US6913482B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CN113497397B (zh) 一种连接器
WO1998013904A1 (en) Hybrid grounded and stacked connector assembly with audio jacks
US200800325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vers
US8870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TW202019028A (zh) 連接器及連接器總成
US4993971A (en) EMI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KR950007424B1 (ko) 복수 잭 커넥터 모듈
JPS58123683A (ja) プラグ接続装置
US675567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 structure
KR20040101078A (ko)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KR100585938B1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KR20040101079A (ko) 다극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US6074222A (en) Cable en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