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017A -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 Google Patents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017A
KR20040099017A KR1020030031389A KR20030031389A KR20040099017A KR 20040099017 A KR20040099017 A KR 20040099017A KR 1020030031389 A KR1020030031389 A KR 1020030031389A KR 20030031389 A KR20030031389 A KR 20030031389A KR 20040099017 A KR20040099017 A KR 2004009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upper glass
showcase
door
exhibition h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694B1 (ko
Inventor
김철규
신영호
유문정
정찬웅
김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694B1/ko
Priority to CNB200410031137XA priority patent/CN1275562C/zh
Publication of KR2004009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2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the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03Auxiliary devices for installing or removing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06Auxiliary devices for installing or removing discharge tubes or lamps for fluorescen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재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형의 장신구, 회화류, 도구, 책자 등을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구조물로 형성된 하부장과, 하부장 위에 고정설치되는 전시장 및 전시장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유리도어로 구성된 조감형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의 상판부 하측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 양측에 장착되어 상부유리도어의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의 보수 내지 고장수리를 위하여 상판부의 저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점검도어와; 상기 하부장의 후벽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습제박스에 조습제를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후벽부의 내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장점검도어와; 상기 전시장의 좌,우측벽 각각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는 좌,우측벽 각각의 내측에 설치된 하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유리도어의 좌,우측 양단에 부착된 가스켓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된 양측 가스쇼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Airtight Showcase}
본 발명은 문화재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형의 장신구, 회화류, 도구, 책자 등을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으로서, 소형의 장신구, 회화류, 책자 등과 같은 문화재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전시된 문화재를 가까이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상부가 투명한 유리로 된 조감형 진열장에 진열하여 전시하고 있다.
종래의 조감형 진열장은 진열장에 진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유리를 고정식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과, 잠금장치가 장착된 도어식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 있다.
전자의 것은 상부유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진열장에 진열되고 있는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진열장 내부에 진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작업과 교체하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불편이 있었으며, 후자의 것은 상부유리를 도어식으로 개폐할 수 있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의 점검 및 교체작업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상부유리를 개폐하는 잠금장치가 고장났을 경우 이의 수리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으며, 또한 상부유리를 개폐작동시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문화재의 점검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조감형 진열장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프레임구조물로 형성된 하부장과, 하부장 위에 고정설치되는 전시장 및 전시장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유리도어로 구성된 조감형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의 상판부 하측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작업공간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 양측에 장착되어 상부유리도어의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의 보수 내지 고장수리를 위하여 상판부의 저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점검도어와;
상기 하부장의 후벽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습제박스에 조습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후벽부의 내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장점검도어와;
상기 전시장의 좌,우측벽 각각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는 좌,우측벽 각각의 내측에 설치된 하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유리도어의 좌,우측 양단에 부착된 가스켓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된 양측 가스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후벽부에 장착되는 조습제박스는 양측 하부장점검도어 중 선택된 일측의 도어를 열었을 때 작업공간부를 통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후벽부의 내부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시장의 내부를 조명하는 복수의 형광등이 설치된 조명등틀체는 상부유리도어의 후단부 내측에 부착되어 상부유리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조명등틀체도 상부유리도어와 같이 상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상부유리도어의 개폐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장 2 : 전시장
3 : 상부유리도어 4 : 잠금장치
5 : 잠금장치점검도어 6 : 하부장점검도어
7 : 조습제박스 11 : : 프레임구조물
12 : 상판부 13,14 : 좌,우측벽부
15 : 후벽부 16 : 작업공간부
17 : 높낮이 조절구 21 : 진열대
22 : 수직대 23 : 받침구
24 : 틈새 25 : 후로스트유리
26 : 조명등 설치공간 31 : 가스켓 프레임
32 : 피아노경첩 33 : 가스쇼바
34 : 하측 브라켓 35 : 상측 브라켓
36 : 후단부 37 : 지지구
38 : 조명등틀체 51,61 : 키뭉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상부유리도어의 개폐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하부장을, 2는 전시장을, 3은 상부유리도어를 나타낸다.
상기 하부장(1)은 각형파이프, 찬넬(ㄷ자 형강), 앵글(ㄴ자 형강)을 소재로 조립된 프레임구조물(11)로 형성되며, 또한 프레임구조물(11)의 내,외부는 판재로서 마감처리되는데, 상기 프레임구조물(11)은 상판부(12)와 좌,우측벽부(13)(14) 및 후벽부(15)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장(1)은 그 상판부(12)의 하측에 전면이 개구된 작업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벽부(13)(14)의 하단에는 전,후측 각각 높낮이조절구(1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판부(12)의 전면 양측에는 잠금장치(4)가 각기 하나씩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잠금장치(4)는 열쇠구멍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부유리도어(3)를 잠그어 주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잠금장치(4)에 열쇠를 삽입하여 잠금조작하면 랫치(41)가 상부유리도어(3)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있는 가스켓 프레임(31)의 하단에 형성된 잠금구멍에 걸림되므로서 상부유리도어를 열 수 없게 되며, 이와 반대로 열쇠를 풀림조작하면 랫치(41)가 가스켓 프레임(31)을 해제하는 상태가 상부유리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유리도어(3)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양측의 잠금장치(4)는 외부에서는 해체하지 못하도록 상판부(12)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판부(12)의 저부에는 잠금장치점검도어(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점검도어(5)는 작업공간부(16)를 향해 하향으로 회전개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정해진 열쇠에 의해서만 열고 닫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키뭉치(5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장(1)의 후벽부(15) 내측에는 좌,우측 방향을 향해 미닫이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두개로 구성된 하부장점검도어(6a)(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장점검도어(6a)(6b) 각각에도 정해진 열쇠로만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키뭉치(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장(1)의 후벽부(15) 내측에는 전시장(2)의 내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습제가 수납되는 조습제박스(7)가 내장되어 있는데, 상기 조습제박스(7)는 후벽부(15)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편중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후벽부(15)의 양측 하부장점검도어(6) 중 일측 도어를 열었을 때 조습제박스(7)가 작업공간부(16)를 향해 완전히 노출되므로서 조습제의 수납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조습제박스(7)에도 조습제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문(71)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조습제박스(7)의 상부는 전시장(2)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전시장 내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습제박스(7)에 수납된 조습제가 전시장(2)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전시장(2) 내부의 바닥에는 진열대(21)가 설치되어 있고, 진열대의 후측에는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수직대(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진열대(21)는 전시장(2)의 바닥에 고여놓은 복수개의 받침구(23)에 의하여 지지되어 틈새(24)를 형성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시장(2)의 바닥까지 연장된 조습제박스(7)는 상기한 틈새(24)에 의하여 전시장 내부와 연통하게 되므로서 전시장(2) 내부는 조습제박스에 수납되어 있는 조습제에 의하여 습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전시장(2)의 후측 상방에는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후로스트유리(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로스트유리(25)와 전시장(2)의 후면 사이에는 조명등설치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시장(2)의 좌,우측벽(27)(28)은 상부가 개구된 이중벽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상부유리도어(3)는 그 후단이 전시장(2)의 후측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피아노경첩(32)에 의하여 회전개폐가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유리도어(3)는 이중벽구조로 형성된 전시장(2)의 좌,우측벽(27)(28) 내부에 장착되는 양측의 가스쇼바(33)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즉, 양측 가스쇼바(33) 각각의 일단(도면상 하단)은 좌,우측벽(27)(28) 내부에 고정설치된 하측 브라켓(3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도면상 상단)은 상부유리도어(3)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가스켓 프레임(31)에 부착된 상측 브라켓(35)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가스쇼바(33)들은 차량의 리어도어에 장착되는 가스쇼바와 같이 일단 상부유리도어(3)를 닫은 상태에서는 실린더몸체에 피스톤로드가 몰입된 상태에서 좌,우측벽(27)(28) 내측으로 삽입 은폐되어 상부유리도어의 닫힌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며, 상부유리도어(3)를 인위적으로 조금만 열게 되면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몸체에서 출현하면서 상부유리도어(3)를 자동으로 열어주게 되는데, 이때에는 가스쇼바(33) 자체는 좌,우측벽(27)(28)의 상방으로 노출되면서 상부유리도어(3)를 개방시키게 되며, 또한 상부유리도어(3)가 정해진 개방각도로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닫힘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상부유리도어(3) 자체의 하중을 이기고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유리도어(3)의 후단부(36) 내측에 돌출된 지지구(37)에는 조명등틀체(38)가 볼트 또는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등틀체(38)에는 복수개의 형광등(도시 생략)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부유리도어(3)의 가스켓 프레임(31)에는 가스켓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유리도어(3)를 닫았을 때에는 가스켓 프레임(31)에 부착된 가스켓이 좌,우측벽(27)(28)에 밀착되어 전시장(2) 내부를 밀폐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유리도어(3)를 닫았을 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양측 가스쇼바(33)는 이중벽구조로 된 좌,우측벽(27)(28) 내측에 삽입, 은폐된 상태가 되며, 또한 조명등틀체(38)도 조명등설치공간(26)에 몰입된 상태가 되어 호로스트유리(25)를 통해 전시장 내부를 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유리도어(3)를 닫은 상태에서는 가스켓 프레임(31)과 그에 부착된 가스켓이 좌,우측벽(27)(28)의 전단과 상단에 밀착되어 전시장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장(1)의 상판부(12) 전면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장치(4)를 열쇠로 잠금조작하게 되면 상부유리도어(3)는 열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전시장(2)에 진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유리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시장(2) 내부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반면에, 하부장(1) 후벽부(15)의 조습제박스(7)는 전시장(2) 내부와 연통하는 상태이므로 조습제박스에 수납되어 있는 조습제가 전시장 내부의 습도 흡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부유리도어(3)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정해진 열쇠를 이용하여 양측의 잠금장치(4)를 해정한 다음 상부유리도어(3)의 인위적으로 상향을 향해 조금만 열어주게 되면 양측의 가스쇼바(33)가 작동하게 되므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부유리도어(3)는 정해진 개방각도로 개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상부유리도어(3)가 피아노힌지(32)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개방될 때에는 지지구(37)도 함께 회전이동하게 되므로서 그에 부착되어 있는 조명등틀체(38)도 상부유리도어(3)의 개방각도만큼 회전이동하면서 조명등설치공간(26)의 상방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부유리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가스쇼바(33)가 상부유리도어(3)의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진열대(21)에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의 점검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조명등틀체(38)에 설치된 조명등의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문화재의 점검 또는 교체작업 및 조명용 형광등의 교체작업를 완료한 후에는 개방된 상부유리도어(3)를 인위적으로 닫아준 다음 다시 열쇠를 사용하여 양측의 잠금장치(4)를 잠금조작하게 되면 상부유리도어(3)는 열리지 않게 되므로서 전시장(2)에 진열 전시된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유리도어(3)의 잠금장치(4)에 이상에 생겨 보수 내지 고장수리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장(1)의 상판부(12) 저면의 잠금장치점검도어(5)의 키뭉치(51)를 열쇠로 해정하게 되면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점검도어(5)를 열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공간부(16)에서 손을 상판부(12) 내부로 집어넣고 잠금장치(4)를 보수 및 고장수리하거나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있게 된다. 또한 조습제박스(7)에 조습제를 보충하고자 할 때에는 후벽부(15) 내측에 형성된 일측 하부장점검도어(6)를 열어주게 되면 조습제박스(7)가 완전히 노출되므로서 조습제의 보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조습제박스에 수납된 조습제가 조감형 진열장의 전시장 내부의 습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진열장에 진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습도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진열장의 상부유리도어는 문화재 관리자가 아닌 관람객 등은 열지 못하게 되므로서 문화재를 분실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진열장에 진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작업이나 교체하는 작업 또는 조명장치의 점검이나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부유리도어의 잠금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도 이의 보수작업 및 교체작업이 간편하며, 또 조습제의 보충 및 교체작업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진열장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문화재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프레임구조물로 형성된 하부장과, 하부장 위에 고정설치되는 전시장 및 전시장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유리도어로 구성된 조감형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의 상판부 하측에 전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작업공간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 양측에 장착되어 상부유리도어의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의 보수 내지 고장수리를 위하여 상판부의 저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점검도어와;
    상기 하부장의 후벽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습제박스에 조습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후벽부의 내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장점검도어와;
    상기 전시장의 좌,우측벽 각각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부는 좌,우측벽 각각의 내측에 설치된 하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유리도어의 좌,우측 양단에 부착된 가스켓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브라켓에 힌지결합된 양측 가스쇼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부에 장착되는 조습제박스는 양측 하부장점검도어 중 선택된 일측의 도어를 열었을 때 작업공간부를 통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후벽부의 내부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장의 내부를 조명하는 복수의 형광등이 설치된 조명등틀체는 상부유리도어의 후단부 내측에 부착되어 상부유리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조명등틀체도 상부유리도어와 같이 상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KR10-2003-0031389A 2003-05-17 2003-05-17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KR10048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389A KR100485694B1 (ko) 2003-05-17 2003-05-17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CNB200410031137XA CN1275562C (zh) 2003-05-17 2004-04-13 文化遗产陈列用俯视型密封陈列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389A KR100485694B1 (ko) 2003-05-17 2003-05-17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17A true KR20040099017A (ko) 2004-11-26
KR100485694B1 KR100485694B1 (ko) 2005-04-28

Family

ID=3437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389A KR100485694B1 (ko) 2003-05-17 2003-05-17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5694B1 (ko)
CN (1) CN127556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654A (ko) 2018-12-17 2020-06-25 대한민국(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장) 가사 전시 및 보관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가사의 전시 및 보관방법
CN113661394A (zh) * 2019-04-11 2021-11-16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自动分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76B1 (ko) 2006-04-14 2007-12-11 민경열 진열장 조명장치
CN108814050A (zh) * 2018-05-04 2018-11-16 李子轩 一种建筑工程用升降式图纸展示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457A (ja) * 1995-12-19 1997-06-30 Okamura Corp 展示ケースにおける照明カバーの保持具
JP3491525B2 (ja) * 1998-05-18 2004-01-26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展示ケースの照明装置
JP2901000B1 (ja) * 1998-06-15 1999-06-02 株式会社インフニックス 展示ケース
KR100312197B1 (ko) * 1999-11-15 2001-11-05 박기석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습제 박스 설치구조
KR100317839B1 (ko) * 2000-01-22 2001-12-22 박기석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명장치
KR100347152B1 (ko) * 2000-05-19 2002-08-03 주식회사 시공테크 책상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 진열장
KR200283628Y1 (ko) * 2002-04-11 2002-07-27 (주)인서울 진열장 커버의 반회전식 개. 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654A (ko) 2018-12-17 2020-06-25 대한민국(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장) 가사 전시 및 보관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가사의 전시 및 보관방법
CN113661394A (zh) * 2019-04-11 2021-11-16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自动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0182A (zh) 2004-12-01
KR100485694B1 (ko) 2005-04-28
CN1275562C (zh)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694B1 (ko)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CN103573105A (zh) 一种可替换窗扇万向窗及其构造方法
JP4524171B2 (ja) 間仕切り用吊戸装置
KR20060018450A (ko) 4면 힌지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진열장
KR100616764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KR100469992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ES2363902B1 (es) Puerta corredera para cierre de hoja de puerta con cerradura de pestillo y cerradero sobre batiente y sistema de montaje del cerradero.
KR100467159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JPH10311300A (ja) 給水装置
CA2380721C (en) Openable screen element such as a door
KR100475195B1 (ko) 문화재 전시용 독립형 진열장
KR200381566Y1 (ko) 납골안치단
KR100317839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명장치
US8235476B2 (en) Closet top access box
KR100467158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485693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JP7413015B2 (ja) 建具
KR100347152B1 (ko) 책상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 진열장
JP2006070645A (ja) 引き戸装置
KR20050007870A (ko) 책상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 진열장
CN218991328U (zh) 铝板幕墙开启结构
IT202100032291A1 (it) Vetrina museale con accesso nascosto al vano tecnico
KR100876755B1 (ko) 박물관 전시대용 개폐장치
KR20090121606A (ko) 방충겸용 방범문의 에스유에스안전망 고정 구조
AU2015303829B2 (en) A closur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