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158B1 -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 Google Patents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158B1
KR100467158B1 KR10-2002-0061980A KR20020061980A KR100467158B1 KR 100467158 B1 KR100467158 B1 KR 100467158B1 KR 20020061980 A KR20020061980 A KR 20020061980A KR 100467158 B1 KR100467158 B1 KR 10046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pulley
backward
showcase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090A (ko
Inventor
유상재
박정수
유문정
정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2-006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글씨, 회화, 그림 등의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진열장의 전면 유리문을 고정유리문과 개폐유리문으로 분리하여 형성한 다음 상기 고정유리문은 항시 고정된 상태로 놓아두고 개폐유리문만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진열장 내부에 문화재를 설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진열장 내부가 공기중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문화재를 위험인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글씨, 회화, 그림 등의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문화재는 박물관 등에서 보관하고 있으며, 박물관에서는내부가 투명하게 잘보이는 진열장에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므로서 관람객들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개의 문화재는 온도와 습도의 변동이 없는 환경에서 보존되어야 하며, 또 공기중에는 문화재를 부식시키는 성분의 위험인자가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인자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시설에서 보존하여야 하며, 또한 문화재가 보관되고 있는 진열장의 내부는 공기가 극히 완만하게 유동하는 여건을 만들어주어 진열장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야만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문화재를 보관하는 박물관에서는 상기와 같이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각종 시설물과 함께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을 구비하고 있는데,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에 있어 글씨나 그림 또는 회화와 같은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의 경우는 그 내부에 글씨, 그림, 회화를 걸어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스크린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문화재를 전시 및 보관하는 진열장은 전면의 유리문 전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진열장 내부의 스크린패널에 문화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전면의 유리문 전체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진열장의 내부가 유리문 전체가 열린 만큼 공기중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어 문화재를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위험인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진열장에 보관된 문화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진열장에 전시된 문화재를 보관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전면 유리문 전체를 열지 않고 일측 유리문만을 열고 문화재를 설치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문화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문화재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박물관의 벽면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상,하,좌,우면 및 배면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작되고,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는 전면은 내부가 투시되는 유리문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진열된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의 전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리문과;
상기 진열장의 전면 타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유리문과;
상기 진열장의 하부틀체 내부의 하측에 전,후방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설치된 전,후측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전단에는 수동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피회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풀리구동축과;
상기 풀리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밍 구동풀리와;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직상방에 고정설치된 풀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구동타이밍벨트에 의하여 타이밍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하부틀체의 일측 모서리부분 상단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2 타이밍 더블풀리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부틀체 일측 모서리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상부틀체의 중간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각 더블풀리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와;
상기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양단이 돌출된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상기한 각 더블풀리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과;
상기 개폐유리문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틀과 제3, 제4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사각봉과;
상기 개폐유리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틀과 제1, 제2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과;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축들 각각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개폐유리문의 상,하부지지틀의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개폐유리문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용 바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들 각각의 후단에는 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와,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는 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내부구조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
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점검도어를 열고 형광등을 점검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열장 11 : 상부틀체
12 : 하부틀체 13 : 고정유리문
14 : 개폐유리문 141,142 : 상,하부 지지틀
143,144 : 안내레일 2 : 스크린패널
2a,2b : 한쌍의 상,하부 가동브라켓 21 : 슬라이딩레일
22 : 이동행거 23 : 롤러
24 : 부착부재 25,31 : 수직장공
3a,3b : 한쌍의 상,하부 고정브라켓
4 : 중앙힌지축 4a :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
4b :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 5 : 작동지지대
6 : 수직회전축 6a,6b : 상,하부 베어링하우징
61 : 수나사부 62 : 연동베벨기어
7 : 구동축 7a,7b : 전,후방 베어링하우징
71 : 구동베벨기어 72,81 : 피회전단부
8 : 풀리구동축 8a,8b : 전,후측 베어링하우징
82 : 타이밍 구동풀리 83 : 구동타이밍벨트
9a,9b,9c,9d :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9 : 풀리하우징 91a,91b : 전후진 작동나사축
92a,92b : 상,하부 사각봉 93,94 : 전,후방스토퍼
95 : 지지용 바퀴 H : 수동핸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내부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점검도어를 열고 형광등을 점검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진열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진열장(1)의 상,하,좌,우 및 배면은 불투명한 패널로 제작되어 있으며, 전면은 상,하부틀체(11)(12)와 내부가 투시되는 유리문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유리문은 고정유리문(13)과 개폐유리문(14)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유리문(13)은 도면상으로 볼 때 진열장(1)의 우측에 고정상태로 설치되는데 반해, 개폐유리문(14)은 진열장(1)의 좌측에 개폐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열장(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틀체(11)는 개폐가 가능한 상부 점검도어(111)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등박스(112)와, 조명등박스에 설치되는 수개의 형광등(113)과, 그리고 상부틀체(11)의 내부와 진열장(1) 내부를 차단하면서 수개의 형광등(113)의 불빛이 진열장(1) 내부로 투시될 수 있게 하는 조명판(1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틀체(11)에 설치된 수개의 형광등(113)들을 교체 및 점검하고자 할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점검도어(11)를 열고 조명등박스(11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교체및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상부틀체(11)는 도면(도 3 및 도 8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열장(1) 상부의 전면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한 하부틀체(12)는 도면(도 3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열장(1)의 하부 전,후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진열장(1)을 받쳐줄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프레임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틀체(12)에는 진열장(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구(부호 생략)가 다수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진열장(1)의 내부에는 글씨, 그림, 회화 등의 문화재 전시효과를 높여주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설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스크린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2)을 전,후방으로 이동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도 3 및 도 7의 도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열장(1)의 내상부로서 상부틀체(11)의 후방측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 상부 슬라이딩레일(21)에는 이동행거(22)가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이동행거(22)에는 상부 슬라이딩레일(21)을 타고 구름이동하는 롤러(23)와 스크린패널(2)의 상단이 부착되는 부착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롤러(23)는 이동행거(22)가 상부 슬라이딩레일(21)에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린패널(2)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양측의 이동행거 각각에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열장(1) 내측의 배면 상,하부에는 좌,우 양측에 대칭상으로 한쌍의 상부 고정브라켓(3a)과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에는 수직상으로 길게 뚫어진 수직장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패널(2)의 이면 상,하부에도 좌,우 양측에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상부 가동브라켓(2a)과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2b)이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2b)에도 수직상으로 길게 뚫어진 수직장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크린패널(2)은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과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과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들은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교차되는 부분이 하나의 중앙힌지축(4)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의 상단은 스크린패널(2)의 이면 상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가동브라켓(2a)에 힌지핀(부호 생략)으로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진열장(1)의 배면 하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에 힌지핀(부호 생략)으로 부착되어 수직장공(31)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의 상단은 진열장(1)의 배면 상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고정브라켓(3a)에 힌지핀으로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스크린패널(2)의 이면 하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4b)에 힌지핀으로 부착되어 수직장공(25)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 사이에는 수평상으로 작동지지대(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작동지지대(5)의 양단은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 각각의 하단과 함께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의 수직장공(31)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하여 부착되므로서 상기한 작동지지대(5)도 수직장공(3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지지대(5)의 하측으로서 진열장(1)의 배면 하부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상,하부 베어링하우징(6a)(6b)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회전축(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회전축(6) 상단의 수나사부(61)는 작동지지대(5)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암나사공(도시 생략)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수직회전축(6)의 하단에는 연동베벨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열장(1)의 하부틀체(12) 중간부분에 전,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되는 구동축(7)의 양측은 하부틀체(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방 베어링 하우징(7a)(7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7)의 후단에는 상기한 연동베벨기어(62)와 직각상으로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71)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7)의 전단에는 수동핸들(H)의 결착봉 끝단에 끼움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4각형이나 6각형 등으로 된 피회전단부(7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틀체(12)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하부 점검도어(121)이 경첩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하부 점검도어(121)에는 열쇠(Key)로 괘,해정할 수 있는 자물쇠뭉치(부호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진열장(1)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분할 형성된 개폐유리문(14)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상기 개폐유리문(14)을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주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틀체(12) 중간부분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전,후측 베어링 하우징(8a)(8b)에는 풀리구동축(8)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구동축(8)의 전단에는 전측 베어링하우징(8a)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수동핸들(H)의 결착봉 끝단에 착탈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각형의 피회전단부(8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풀리구동축(8)의 중간부분에는 타이밍 구동풀리(82)가 축착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82)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하부틀체(12)의 중간부분 상단에는 풀리하우징(9)이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풀리하우징(9)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틀체(12)의 좌측 상단 모서리부분과, 상부틀체(11)의 좌측 하단 모서리부분 그리고 상부틀체(11)의 하단 중간부분 각각에 하나씩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하부틀체(11)(12) 각각에 2개씩 설치된 풀리하우징(9)들의 설치갯수는 총 4개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틀체(12)와 상부틀체(11) 각각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들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b,9c,9d)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는 그 축중심을 관통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암나사공에는 전후진 작동나사봉이 나사조립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구성을 도 3의 도시예로 설명한다. 도 3의 도시는 상,하부틀체(11)(12)의 중간부분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부틀체(12)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가 베어링(부호 생략)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이 나사조립되어 있는데,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양단은 풀리하우징(9)의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 전단은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에서부터 제2 타이밍 더블풀리(9b)까지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92a)의 일단(도 2를 기준하여 좌측)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하부 사각봉(92a)의 일단에는 풀리하우징(9)을 향해 전방스토퍼(9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후단에는 풀리하우징(9)을 향해 후방스토퍼(94)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전,후방스토퍼(93)(94)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전,후진 작동거리를 제어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틀체(1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 설치되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9b)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도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의 전단에는 상기한 하부 사각봉(92a)의 타단(도 2를 기준하여 우측)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또 하부 사각봉(92a)의 타단에도 전방스토퍼가 풀리하우징(9)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의 후단에도 풀리하우징(9)을 향해 돌출된 후방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부틀체(11)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도 제4 타이밍 더블풀리(9d)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제4 타이밍 더블풀리(9d)의 축중심에도 전후진 작동나사축(91d)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d)의 전단에도 상부 사각봉(92b)이 고정설치되는데, 상기한 상부 사각봉(92b)은 그 일단이 전후진 작동나사축(91d)의 전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틀체(11)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3 타이밍 더블풀리(9c)의 축중심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c)의 전단에 고정부착되는 구조로서 수평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 사각봉(92b)의 양단에도 풀리하우징(9)을 향해 전방스토퍼(93)가 돌출되어 있으며, 또 전후진 작동나사축(91c)(91d)의 후단에도 풀리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9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하부 사각봉(92b)(92a) 각각에는 개폐유리문(14)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지지용 바퀴(95)들은 그들의 고정축(951)들이 상,하부 사각봉(92b)(92a)에 고정상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부지지틀(141)(142) 각각에 형성된 안내레일(143)(144)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지지용 바퀴(95)들은 각 안내레일(143)(144)에 수평상으로 일정간격(150mm 정도)을 유지한 채 다수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개폐유리문(14)의 상,하부 지지틀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은 캠프로와 베어링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틀체(12)에 설치된 타이밍 구동풀리(82)의 회전력을 하부틀체(12)와 상부틀체(11) 각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d)에 전달하기 위하여 타이밍벨트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타이밍 구동풀리(82)와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는 구동타이밍벨트(83)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타이밍 더블풀리(9a)(9b)는 제1 연동타이밍벨트(96a)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및 제3 타이밍 더블풀리(9b)(9c)는 제2 연동타이밍벨트(96b)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및 제4 타이밍 더블풀리(9c)(9d)는 제3 연동타이밍벨트(96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열장(1)의 하부틀체(14)의 내부 좌,우측에는 진열장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조습제를 수납하는 조습제 박스(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크린패널(2)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7)과, 개폐유리문(14)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구동축(8)을 수동핸들(H)로 회전작동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부틀체(12) 내부에 별도로 모터(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그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축(7) 및 풀리구동축(8)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스크린패널(2) 및 개폐유리문(14)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의 모터를 원격조정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스크린패널(2) 및 개폐유리문(14)의 전,후 이동작동이 매우 쉽고 간편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진열장(1) 내부에 글씨, 그림, 회화 등의 문화재를 설치 및 전시하기 위해서는 진열장(1)의 전면 유리문을 열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진열장(1)의 전면 전체를 노출시키지 않고 일부에 해당하는 개폐유리문(14)만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유리문(14)을 열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4의 도시에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하부틀체(14)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는 하부 점검도어(121)에 장착된 자물쇠뭉치를 열쇠(Key)로 해정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부 점검도어(121)를 열고 수동핸들(H)의 결착봉을 풀리구동축(8) 전단에 형성된 피회전단부(81)에 결합시킨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핸들(H)을 좌 또는 우로 수동회전시켜서 풀리구동축(8)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타이밍 구동풀리(8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풀리(8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타이밍벨트(83)에 의하여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 타이밍더블풀리(9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96a,96b,96c)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제3,제4 타이밍 더블풀리(9b,9c,9d)에 순차적으로 동일한 회전비로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b,9c,9d)들이 동일한 회전비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 그들의 각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된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들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동핸들(H)의 회전방향은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기 때문에 상기의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들 각각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각 전후진 작동나사축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들의 이동거리는 후방스토퍼(94)가 풀리하우징(9)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하부측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 각각의 전단에 수평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하부 사각봉(92a)(92b)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이 개폐유리문(14)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된 개폐유리문(14)은 고정유리문(13) 및 진열장(1)의 일측(도 1을 참조할 때 좌측) 측벽의 전단면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벗어나게 되므로서 측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개폐유리문(14)은 다수의 지지용 바퀴(95)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개방되는 개폐유리문(14)에는지지용 바퀴(95)에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폭만큼만 열릴 수 있게 하는 개방제어장치(도시 없음)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개폐유리문(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분이 수개의 지지용 바퀴(95)에 지지된 상태로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유리문(14)을 개방작동시킨 상태에서 문화재를 진열장(1)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패널(2)의 전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스크린패널(2)은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문화재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스크린패널(2)을 전면에 멀어진 위치로 이동시켜서 설치해야만 관람객으로 하여금 한눈에 문화재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반면에, 문화재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전면에서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서 설치해야 문화재를 뚜렷하게 관람할 수 있다.
따라서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패널(2)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틀체(12)의 하부 점검도어(121)를 열고 수동핸들(H)의 결착봉을 구동축(7)의 전단에 형성된 피회전단부(7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동핸들(H)을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린패널(2)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스크린패널(2)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글씨, 그림, 회화 등을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의 전면 유리문을 고정유리문과 개폐유리문으로 분리 구성하여 일측 개폐유리문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문화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패널의 설치위치를전면 유리문에 가까운 위치 또는 먼 위치에 설치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관람객으로 하여금 전시된 문화재를 편하고 정확하게 관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박물관의 벽면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상,하,좌,우면 및 배면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작되고,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는 전면은 내부가 투시되는 고정 및 개폐 유리문으로 구성하되, 상기한 개폐유리문을 미딛이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유리문을 전,후로 이동시켜주는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을 상,하부틀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된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진열장의 하부틀체 내부의 하측에 전,후방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설치된 전,후측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전단에는 수동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피회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풀리구동축과;
    상기 풀리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밍 구동풀리와;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직상방에 고정설치된 풀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구동타이밍벨트에 의하여 타이밍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하부틀체의 일측 모서리부분 상단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2 타이밍 더블풀리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부틀체 일측 모서리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상부틀체의 중간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4 타이밍 더블풀리와;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각 더블풀리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와;
    상기 개폐유리문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틀과 제3, 제4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사각봉과;
    상기 개폐유리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틀과 제1, 제2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과;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축들 각각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개폐유리문의 상,하부지지틀의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개폐유리문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용 바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들 각각의 후단에는 전진이동을 제어하도록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와,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는 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리문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구동축을 모터로 회전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2002-0061980A 2002-10-11 2002-10-11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46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ko) 2002-10-11 2002-10-11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ko) 2002-10-11 2002-10-11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90A KR20040033090A (ko) 2004-04-21
KR100467158B1 true KR100467158B1 (ko) 2005-01-29

Family

ID=3733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ko) 2002-10-11 2002-10-11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63Y1 (ko) 2013-09-12 2013-11-11 홍석준 벽부형 진열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59B1 (ko) * 2002-10-11 2005-01-24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408A (ja) * 1989-05-24 1990-12-20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JPH09121991A (ja) * 1995-10-30 1997-05-13 Infunitsukusu:Kk 陳列ケース
JP2000102456A (ja) * 1998-09-29 2000-04-11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20010033091A (ko) * 1997-12-13 2001-04-25 베른트 칼로스 예커, 코르둘라 브란트_ 케라틴 섬유 처리제
KR100290573B1 (ko) *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JP2001157623A (ja) * 1999-12-03 2001-06-12 Okamura Corp 展示ケース
KR200259580Y1 (ko) * 2001-10-16 2002-01-09 유재홍 진열장의 복수 유리문 자동개폐장치
KR100395339B1 (ko) * 2001-09-28 2003-08-27 주식회사 해성 진열장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408A (ja) * 1989-05-24 1990-12-20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JPH09121991A (ja) * 1995-10-30 1997-05-13 Infunitsukusu:Kk 陳列ケース
KR20010033091A (ko) * 1997-12-13 2001-04-25 베른트 칼로스 예커, 코르둘라 브란트_ 케라틴 섬유 처리제
JP2000102456A (ja) * 1998-09-29 2000-04-11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100290573B1 (ko) *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JP2001157623A (ja) * 1999-12-03 2001-06-12 Okamura Corp 展示ケース
KR100395339B1 (ko) * 2001-09-28 2003-08-27 주식회사 해성 진열장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KR200259580Y1 (ko) * 2001-10-16 2002-01-09 유재홍 진열장의 복수 유리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63Y1 (ko) 2013-09-12 2013-11-11 홍석준 벽부형 진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90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159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467158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
KR100187643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KR20050030247A (ko) 문화재 전시용 5면 독립형 진열장
KR100616763B1 (ko) 4면 힌지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진열장
KR100395339B1 (ko) 진열장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KR100615012B1 (ko) 전시용 진열장의 도어 개폐장치
JP2004024405A (ja) 展示装置
KR100566716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100485694B1 (ko) 문화재 전시용 조감형 밀폐 진열장
KR100469992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KR100485693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100475195B1 (ko) 문화재 전시용 독립형 진열장
CN215738137U (zh) 一种全方位可透视多层样品展示柜
US11253084B2 (en) Museum showcase with a rack and pinion drive system for a sliding door
KR100616764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KR100463137B1 (ko) 문화재 전시용 경사벽부매입형 밀폐 진열장
CN219887248U (zh) 一种展览展示隔断
KR100317838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명장치
KR200308436Y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의 전면스크린장치
KR200197983Y1 (ko) 회전 진열장
CN217233171U (zh) 一种用于独立柜的门铰机构
KR200258193Y1 (ko) 진열장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KR100347152B1 (ko) 책상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 진열장
KR2008000445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명수단이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