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919A -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 - Google Patents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919A
KR20040097919A KR1020040033039A KR20040033039A KR20040097919A KR 20040097919 A KR20040097919 A KR 20040097919A KR 1020040033039 A KR1020040033039 A KR 1020040033039A KR 20040033039 A KR20040033039 A KR 20040033039A KR 20040097919 A KR20040097919 A KR 2004009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engaging
sheet
sea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463B1 (ko
Inventor
무라이류키치
니시다야스타카
우에하라료이치로
후노야스아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152Each mating member having similarly shaped, sized, and operated interlocking or intermeshable face
    • Y10T24/45173Resilient element
    • Y10T24/45178Snap [e.g., identic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기구본체(11) 및 장착용 부재(12)로 이루어지는 시트 장착기구(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합구멍(50)에는 삽입부(51)와 계지부(52) 사이의 영역에 장착용 돌기(30)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58)를 설치하고, 삽입부(51)로부터 발지부(58)를 거쳐 계지부(52)에 이르는 양측 한쌍의 영역중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에는 중간부분이 탄성변형가능한 연결부(54)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SHEET ATTACHING INSTRUMENT AND SHEET ATTACHMENT MEMBER}
본 발명은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의복, 가방, 커버류 등의 시트 제품에 대해 버클, 마그네트 캣치(magnet catch), 벨트 조정기, 나스칸, 테이프 스토퍼, 코드 스토퍼 등을 거치거나 직접적으로 벨트나 테이프 등을 장착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복, 가방, 커버류 등은 직포나 합성수지 시트 등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시트제품에서는 덮개부 등의 개폐용에 버클, 마그네트 캣치 등이 장착되거나 반송시 파지부분으로 하여 벨트나 테이프 등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가방의 개구부를 막는 플랩을 폐쇄하기 위해 플랩의 선단에 버클의 플러그를 장착하고, 버클의 표면에 대응하는 소켓을 장착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장착을 실행하기 위해, 시트의 표면측에 소켓 본체 또는 플러그 본체를 배치하고, 시트의 이면측에 장착용 부재를 배치하고, 이러한 장착용 부재를 각각의 본체에 연결하여 시트를 협지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68089호(종래예1)에 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12에서, 시트 장착기구(101)는 시트의 표면에 장착되는 버클용 소켓(100)(기구본체)과, 시트의 이면에 배치되는 장착용 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100)은 시트를 이면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110)를 가지며, 각각의 선단에는 소정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부재(200)는 각각의 장착용 돌기(110)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구멍(210) 또는 절결(220)을 갖는다. 각각의 계합구멍 또는 절결은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폭이 넓은 개구부분)와,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폭이 좁은 개구부분)를 포함하며; 삽입부와 계지부 사이의 영역에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拔止部)(221)를 갖는다.
상기 계합구멍(210)에서는 대향하는 측연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211)에 의해 발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장착용 돌기(110)는 삽입부로부터 계합구멍(210)내에 삽입되고, 계지부에 이동되어 계지된다. 이때, 발지부의 돌기(211)는 계지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계지부를 향하는 장착용 돌기(110)에 대해서는 탄성변형되어 그 통과를 허용한다. 그러나, 계지부에 도달한 장착용 돌기(110)에 대해서는 삽입부로 복귀하려고 하는 이동을 규제하므로써, 이에 의해 발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절결(220)에 대해서는 그 양측에 각각 보조적인 절결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절결(220)은 한쌍의 돌기(221)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계지부는 한쌍의 돌기(221)의 내측 부분에 구성되고, 삽입부인 돌기의 선단부분 사이의 대향하는 단차형상부(223)에 의해 발지부(221)가 구성되어 있다.
장착용 돌기(110)는 한쌍의 돌기(221)의 선단측으로부터 절결(220)의 내부에 삽입되고, 계지부에 이동되어 계지된다. 이때, 한쌍의 돌기(221)는 계지부를 향하는 장착용 돌기(110)에 대해 탄성변형하여 그 통과를 허용한다. 그러나, 발지부(221)의 단차형상부(223)는 계지부측에 큰 단차를 갖고 있으며, 계지부에 도달한 장착용 돌기(110)에 대해서는 삽입부로 복귀하려고 하는 이동을 규제하므로써, 이에 의해 발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착용 돌기(110)와 계합구멍(210) 또는 절결(220)에 의해 소켓(100)과 장착용 부재(200)는 상술한 삽입부로부터 계지부를 향하는 소정방향으로 상대이동되어 계합되고, 소켓 장착기구(101)의 시트로의 장착이 실현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0110680호(종래예)에 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13에 있어서, 시트 장착기구(300)는 시트(301)의 표면에 장착되는 버클용 소켓(310)(기구본체)과, 시트(301)의 이면에 배치되는 장착용 부재(32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310)은 시트를 이면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311)를 가지며, 각각의 선단에는 소정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부재(320)는 각각의 장착용 돌기(311)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구멍(321) 또는 절결(324)을 갖는다. 각각의 계합구멍 또는 절결은 소정방향의 단부 내주에 밀어냄부분(323)을 가지며, 이러한 밀어냄부분이 있는 부분이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폭이 좁은 개구부분)로 되고, 밀어냄부분이 없는 부분이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폭이 넓은 개구부분)로 된다.
계합구멍(321)에서는 계지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부내로 연장되는 돌기(322)에 의해 발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장착용 돌기(311)는 돌기(322)를 밀어올리면서 계합구멍(321)의 삽입부내로 삽입되고, 계지부에 이동되어 밀어냄부분(323)에 계지된다. 장착용 돌기(311)가 계지부에 인입되면, 돌기(322)의 밀어올림이 벗겨지고, 돌기(322)는 본래의 삽입부내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장착용 돌기(311)는 돌기(322)에 의해 삽입부내로 복귀할 수 없게 되고, 이에 의해 발지가 이루어진다.
절결(324)에는 특히 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계지부에서의 장착용 돌기(311)의 계지가 실행될 뿐이다. 단, 상술한 계합구멍(321)에 대해 장착용 돌기(311)의 발지가 이루어지므로써, 절결(324)에서도 장착용 돌기(311)와의 계지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장착용 돌기(311)와 계합구멍(321) 또는 절결(324)에 의해, 소켓(310)과 장착용 부재(320)는 상술한 삽입부로부터 계지부를 향하는 소정방향으로 상대이동되어 계합되고, 시트 장착기구(300)의 시트로의 장착이 실현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예1의 시트 장착기구(101)에서는 발지로서 돌기(211) 및 돌기(221)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예2의 시트장착기구(300)에서도 발지로서 돌기(322)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돌기(211, 221, 322)는 모두 일방보유식 탄성 돌기이고, 분해상태에서의 취급시 다른 물품 등에 걸리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걸린 상태로 부주의하게 강한 외력을 받으면, 크게 변형되어 파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불필요한 걸림 들을 발생하기 어렵고 취급성이 우수한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장착기구는 시트에 장착되는 기구본체와, 상기 시트에 배치되고 기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되므로써 상기 기구본체와 계합되는 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본체 또는 장착용 부재의 어느 한쪽은 시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와, 상기 각각의 장착용 돌기로부터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본체 또는 장착용 부재의 나머지 다른쪽은 각각의 장착용 돌기와 계합되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갖고; 상기 각각의 계합구멍은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속하고 상기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삽입부와 계지부 사이의 영역에 상기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로부터 발지부를 거쳐 상기 계지부에 도달하는 양측 한쌍의 영역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장착용 부재는 시트에 기구본체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시트에 배치되고 상기 기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되므로써 상기 기구본체와 계합되는 시트 장착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기구본체에 형성되고 시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계합구멍은 장착용 돌기로부터 확장된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속하고 상기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구멍의 적어도 하나는 삽입부와 계지부 사이의 영역에 상기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로부터 발지부를 거쳐 계지부에 이르는 양측 한쌍의 영역중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기구본체 및 장착용 부재를 시트의 표리에 배치하고, 장착용 돌기를 계합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소정방향으로 미끄럼시키므로써 상호계합이 실행되고, 시트로의 장착이 실행된다.
이때, 장착용 돌기는 계합구멍내에서 삽입부로부터 계지부로 이동하여 계지되고, 이 상태에서 발지부에 의해 발지가 실행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발지부는 양단이 장착용 부재(또는 기구본체)에 고정된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는 예를 들어 중간부분 등이 탄성변형을 실행하기 위해 발지부로 하여 장착용 돌기의 통과허용 또는 계지를 실행한다. 한편, 연결부는 양단이 돌기형은 아니기 때문에, 즉 종래와 같이 일방보유식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물품에 대한 걸림 등을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와 비교하여 취급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합구멍의 외주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릿과 상기 계합구멍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계합구멍의 외주를 따라 슬릿을 형성하므로써, 계합구멍의 가장자리를 연결부로 하여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부로부터 계합구멍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구멍의 연결부에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상기 계합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부가 형성되어, 이러한 연장부 및 절입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가 계합구멍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계합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연결부로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의 중간부분에 대한 탄성변형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장착용 돌기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발지성에 관해서는 발지부의 형상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발지부로서의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조정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는 장착용 돌기가 상기 계지부로부터 삽입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단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의 변형성을 높인 경우에도 발지성을 높일 수 있고, 장착조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충분한 발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돌기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돌출부에 계합할 수 있는 손톱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손톱모양과 돌출부와의 계합에 의해, 발지성을 더 한층 높일 수 있고, 장착조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충분한 발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 장착기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예에서 시트 장착기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3은 상기 실시예에서 시트 장착기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구본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5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구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6은 상기 실시예에서 기구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7은 상기 실시예에서 장착용 부재를 도시한 배면도.
도8은 상기 실시예에서 장착용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9는 상기 실시예에서 장착용 부재를 도시한 저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용 부재를 도시한 배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본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12는 종래의 시트 장착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3은 종래의 시트 장착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4: 구멍
10: 시트 장착기구 11: 기구본체
12: 장착용 부재 22, 32: 확장부
30: 돌기 41, 51: 삽입부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시트 장착기구(10)는 버클의 소켓인 기구본체(11)와, 이를 시트(1)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부재(12)를 포함한다.
시트(1)는 예를 들어 가방의 겉감 등이며, 표면(2)에 기구본체(11)가 배치되고, 이면(3)에 장착용 부재(12)가 배치된다.
시트(1)에는 시트 장착기구(10)를 장착하는 부위에,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4)은 후술하는 기구본체(11)의 장착용 돌기(20, 30) 및 장착용 부재(12)의 계합구멍(40, 50)에 대응한 위치 및 갯수에 따라 배치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본체(11)는 버클의 소켓으로서 구성되고, 도시않은 버클의 플러그와 연결 및 해제가능하다.
기구본체(11)는 그 배면[시트(1)의 표면(2)을 따르는 면]측에 복수의 장착용 돌기(20, 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용 돌기(20, 30)는 상술한 시트(1)의 표면(2)으로부터 구멍(4)을 통하여 이면(3)에 노출되고, 장착용 부재(12)의 계합구멍(40, 50)에 결합된다.
장착용 돌기(20)는 기구본체(11)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측(도4 및 도5의 상부측, 이하 전방측 이라 칭한다)에 2개 배치된다.
장착용 돌기(20)는 기구본체(11)의 배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21)와, 그 선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확장된 확장부(22)를 구비한다.
장착용 돌기(30)는 기구본체(11)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측과는 반대측(도4 및 도5의 하방측, 이하 후방측 이라 칭한다)에 1개 배치된다.
장착용 돌기(30)는 기구본체(11)의 배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축부(31)와, 그 선단으로부터 양측 및 전방측으로 확장된 확장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축부(31)의 후방측 능선부분은 단면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하고, 이에 의해 축부(31)의 거의 전장에 걸친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용 부재(12)는 기구본체(11)의 이면측으로부터 시트(1)를 협지하므로써 고정하는 것이다.
장착용 부재(12)는 시트(1)에 필요 이상의 부피팽창을 발생하지 않기 위해, 기본적으로 박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부재(12)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복수의 계합구멍(40, 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합구멍(40, 50)에는 시트(1)를 거쳐 상술한 기구본체(11)의 장착용 돌기(20, 30)가 결합된다.
계합구멍(40)은 장착용 부재(12)의 전방측(도7 및 도8의 상부측)에 2개 배치된다.
상기 계합구멍(40)은 장착용 부재(12)의 후방측의 영역이 삽입부(41)로 되고, 전방측의 영역이 계지부(42)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41)에 있어서, 계합구멍(40)의 내주 형상은 장착용 돌기(20)의 확장부(22) 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근접시키면, 장착용 돌기(20)는 계합구멍(40)내에 축부(21) 까지 삽입가능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이격시키면, 장착용 돌기(20)는 계합구멍(40)으로부터 자유롭게 빠져나올 수 있다.
계지부(42)에는 계합구멍(40)의 내주 전방측에, 장착용 부재(12)의 표면으로부터 일단 낮게 형성된 단차형상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부(41)에 삽입된 장착용 돌기(20)를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확장부(22)가 단차형상부(43)에 올라타고, 이 상태에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이격시키려고 해도, 장착용 돌기(20)가 계합구멍(40)으로부터 빠져나와 곤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장착용 돌기(20)와 계합구멍(40)과의 계지가 실행되고,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가 결합상태로 유지된다.
계합구멍(50)은 장착용 부재(12)의 후방측(도7 및 도8의 하방측)에 1개 배치된다.
상기 계합구멍(50)은 장착용 부재(12)의 후방측의 영역이 삽입부(51)로 되고, 전방측의 영역이 계지부(52)로 되어 있다.
삽입부(51)에 있어서, 계합구멍(50)의 내주 형상은 장착용 돌기(30)의 확장부(32) 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근접시키면, 장착용 돌기(30)는 계합구멍(50)내에 축부(31)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이격시키면, 장착용 돌기(30)는 계합구멍(50)으로부터 자유롭게 인출가능하게 된다.
계지부(52)에는 계합구멍(50)의 내주 양측에, 장착용 부재(12)의 표면으로부터 일단 낮게 형성된 단차형상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단차형상부(53)의 간격 즉, 계지부(52)의 영역에 대한 개구폭은 장착용 돌기(30)의 확장부(32)의 양측 폭 칫수 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부(51)에 삽입된 장착용 돌기(30)를 전방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확장부(32)가 단차형상부(53)에 올라타고, 이 상태에서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를 이격시키려 해도, 장착용 돌기(30)는 계합구멍(50)으로부터 인출되기 곤란하다. 이에 의해, 장착용 돌기(30)와 계합구멍(50)과의 계지가 실행되고,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가 결합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는 장착용 돌기(20)와 계합구멍(40) 및 장착용 돌기(30)와 계합구멍(50)을 조합시키고, 소정방향(전방측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므로써 서로 결합된다. 한편, 역방향(후방측 방향)으로 상대이동한 경우, 이러한 결합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해제를 피하기 위해, 계합구멍(50)에는 발지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구멍(50)의 양측에는 계합구멍(50)의 외측을 따라 슬릿(55)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릿(55)을 따른 계합구멍(50)의 가장자리 부분은 가늘고 긴 봉형 연결부(54)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4)는 전방측이 상술한 단차형상부(53)에 포함되어 있고, 그 표면 높이 그대로 후방측 즉, 삽입부(51)측까지 연속되어 있다.
연결부(54)의 중간부분은 삽입부(51)와 계지부(52)의 개구폭의 편차에 따라 크랭크 형태로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부분의 모서리에는 발지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발지부(58)는 연결부(54)로부터 계합구멍(5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며, 그 선단측은 전방측 즉, 삽입부(51)로부터 계지부(52)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진 측 즉, 발지부(58)의 전방측에는 손톱모양의 계단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부(59)는 상술한 기구본체(11)의 장착용 돌기(30)의 축부(31)에 형성된 돌기(33)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손톱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용 돌기(30)가 계합구멍(50)의 계지부(52)내에 계지된 상태에서는 돌기(33)와 계단부(59)가 확실하게 계합되고, 이에 의해 확실한 발지가 실현된다.
발지부(58)의 돌기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장착용 돌기(30)를 계합구멍(50)의 삽입부(51)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계지부(52)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발지부(58)에 의한 저항이 완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착용 돌기(30)를 계지부(52)에 이동시킬 때의 발지부(58)의 저항은 연결부(54)에 의해서도 완화된다.
즉, 연결부(54)는 양단이 계합구멍(50)의 주변 부분에 고정되지만, 발지부(58)가 형성된 중간부분은 유동상태이고, 장착용 돌기(30)를 계지부(52)에 이동시킬 때는 연결부(54)가 탄성변형되므로써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구본체(11) 및 장착용 부재(12)를 시트(1)의 표리에 배치하고, 장착용 돌기(20, 30)를 계합구멍(40, 50)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소정방향[기구본체(11)가 장착용 부재(12)에 대해 전방측 즉, 도3의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시키므로써, 기구본체(11)와 장착용 부재(12)와의 상호 계합이 실행되고, 시트(1)로의 장착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장착용 돌기(20, 30)는 계합구멍(40, 50)내에서 삽입부(41, 51)로부터 계지부(42, 52)에 이동하는 것으로 계지되고, 이 상태에서 계합구멍(50)의 발지부(58)에 의해 발지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발지부(58)에서는 그 돌기형의 선단을 전방측으로 경사시키고, 손톱모양의 계단부(59)가 장착용 돌기(30)의 돌기(33)와 확실하게 계합하는 것으로 발지성을 확보하도록 했기 때문에, 장착용 돌기(20, 30)와 계합구멍(40, 50)과의 계합이 부주의하게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한편, 발지부(58)에서는 그 돌기형 선단을 전방측으로 경사시키므로써, 장착용 돌기(30)의 계지부(52)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발지부(58)를 탄성변형하는 연결부(54)에 형성하므로써 장착용 돌기(30)의 통과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부(54)는 양단이 돌기형은 아니기 때문에, 즉, 종래와 같은 일방보유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물품에 대한 걸림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종래에비해 취급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구멍(50)의 외주를 따라 슬릿(55)을 형성하고, 이러한 슬릿(55)과 계합구멍(50) 사이에 연결부(54)가 형성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계지구멍(50)의 가장자리에 연결부(54)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에 서술하는 바와 같은 변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54)를 형성하기 때문에, 계합구멍(50)의 외측에 그 주연을 따라 슬릿(55)을 형성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슬릿(55) 및 연결부(54)로 해도 좋다.
도10에 있어서, 장착용 부재(12A)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장착용 부재(12)와 동일한 것이지만, 계합구멍(50)의 내주 구성이 상이하다.
계합구멍(50)의 외측에는 그 주연을 따라 슬릿(55)이 형성되고, 계합구멍(50)의 개구와의 사이에 연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55)의 단부에는 각각 계합구멍(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구멍(50)의 연결부(54)에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각각 계합구멍(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부(切入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56) 및 절입부(57)에 의해 연결부(54)는 양단이 계합구멍(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즉, 계합구멍(50)을 따른 크랭크형 부분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 양단은 연장부(56) 및 절입부(57)에 협지된연장부분으로 되고, 상기 실시예 보다 연결부(54)가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부(54)가 계합구멍(50)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계합구멍(5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연결부(54)로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54)의 중간부분에 대한 탄성변형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장착용 돌기(30)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54)의 탄성변형 성능은 기본적인 슬릿(55)의 위치나 길이[연결부(54)의 폭]에 의한 조정과 함께, 연장부(56) 및 절입부(57)의 길이나 패턴 등을 적절히 변경하므로써 더욱 폭 넓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장착용 돌기(30)의 축부(31)는 일반적인 사각형 단면으로 되어 있지만, 발지부(58)에 의한 발지성을 높이면서 계지조작 즉, 계지부(52)로의 이동(전방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해도 좋다.
도11에 있어서, 기구본체(11A)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기구본체(11)와 동일하게 하였지만, 장착용 돌기(30)의 축부(31)의 형상이 상이하다.
즉, 축부(31)의 단면은 후방측(도면 중앙 하부측)이 폭이 넓고, 전방측(도면 중앙 상부측)이 폭이 좁게 이루어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지부(52)로부터의 탈락에 대해서는 폭넓은 측이 발지부(58)에 계지되기 쉽고, 한쪽 계지조작시에는 폭좁은 측이 발지부(58)를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계합구멍(40, 50) 및 슬릿(55)은 장착용 부재(12)의 표리를 통과하는 구멍이나 개구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즉, 계합구멍(40, 50)으로서는 장착용 돌기(20, 30)의 확장부(22, 32)가 삽입되었을 때에 이를 계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단, 상기 실시예와 같이 관통되도록 형성하는 편이, 합성수지 성형시 보다 유리하다.
장착용 돌기(20, 30)의 확장부(22, 32)의 돌출방향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방향의 이동에 의해 계합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장착용 돌기(30)의 확장부(32)는 측방향측으로 연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편측이어도 무방하다. 또는 장착용 돌기(20)의 확장부(22)를 양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대응하는 계합구멍(40, 50)의 형상은 이러한 확장부(22, 32)에 대응하여 적절한 계합이 실행되도록 적절히 선정되면 좋다.
연결부(54)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슬릿(55)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계합구멍(50)이 형성된 장착용 부재(12)의 외주로부터 절결을 형성하고, 계합구멍(50)의 주위 와의 사이에 연결부(54)를 형성해도 좋다. 단, 상기 실시예와 같이, 계합구멍(50)의 외주를 따른 슬릿(55)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르면, 연결부(54)의 형성이 용이하게 실행되고, 또한 탄성변형 성능의 조정 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지부(58) 및 연결부(54)를 갖는 계합구멍(50)을 장착용부재(12)의 후방측에 배치하고, 전방측에는 이를 갖지 않는 계합구멍(40)을 배치하였지만, 전후방을 역으로 해도 좋고, 또는 전체 계합구멍에 발지부(58) 및 연결부(54)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구본체(11) 및 장착용 부재(12)에, 전방측에 2개, 후방측에 1개의 장착용 돌기(20, 30) 및 계합구멍(40, 50)을 배치하였지만, 예를 들어 전방측에 2개, 후방측에 2개 등과 같이 그 갯수나 배치 등은 실시예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구본체(11)에 장착용 돌기(20, 30)를 설치하고, 장착용 부재(12)에 계합구멍(40, 50)을 배치하였지만, 이를 역으로 해도 좋다.

Claims (10)

  1. 시트에 장착되는 기구본체와, 상기 시트에 배치되고 기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되므로써 상기 기구본체와 계합되는 장착용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본체 또는 장착용 부재의 어느 한쪽은 시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와, 상기 각각의 장착용 돌기로부터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본체 또는 장착용 부재의 나머지 다른쪽은 각각의 장착용 돌기와 계합되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갖고; 상기 각각의 계합구멍은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속하고 상기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삽입부와 계지부 사이의 영역에 상기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로부터 발지부를 거쳐 상기 계지부에 도달하는 양측 한쌍의 영역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구멍의 외주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릿과 상기 계합구멍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부로부터 계합구멍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구멍의 연결부에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계합구멍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장부 및 절입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는 장착용 돌기가 계지부로부터 삽입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계단부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돌기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단부는 돌출부에 계합가능한 손톱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기구.
  6. 시트에 기구본체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시트에 배치되고 상기 기구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되므로써 상기 기구본체와 계합되는 시트 장착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기구본체에 형성되고 시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용 돌기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계합구멍은 장착용 돌기로부터 확장된 확장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속하고 상기 확장부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구멍의 적어도 하나는 삽입부와 계지부 사이의 영역에 상기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발지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로부터 발지부를 거쳐 계지부에 이르는 양측 한쌍의 영역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는 탄성변형가능한 연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용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구멍의 외주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릿과 계합구멍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용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단부로부터 계합구멍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합구멍의 연결부에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상기 계합구멍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입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장부 및 절입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용 부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는 장착용 돌기가 계지부로부터 삽입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장착용 돌기를 계지할 수 있는 계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용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는 장착용 돌기에 형성된 돌출부에 계합가능한 손톱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장착용 부재.
KR1020040033039A 2003-05-12 2004-05-11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 KR10054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2757 2003-05-12
JP2003132757A JP4177166B2 (ja) 2003-05-12 2003-05-12 シート装着器具およびシート装着用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19A true KR20040097919A (ko) 2004-11-18
KR100543463B1 KR100543463B1 (ko) 2006-01-20

Family

ID=3302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39A KR100543463B1 (ko) 2003-05-12 2004-05-11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4787B2 (ko)
EP (1) EP1477079A1 (ko)
JP (1) JP4177166B2 (ko)
KR (1) KR100543463B1 (ko)
CN (1) CN1259009C (ko)
HK (1) HK1067506A1 (ko)
TW (1) TWI2411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85B1 (ko) * 2006-11-17 2009-09-0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장착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1718B2 (en) * 2002-12-02 2006-04-04 Daht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load-bearing fabric
US7725994B2 (en) 2005-01-28 2010-06-01 Ykk Corporation Buckle,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JP4610521B2 (ja) * 2006-05-30 2011-01-12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
US8051542B2 (en) * 2008-08-13 2011-11-08 Alexander Buday Detachable lanyard buckle
CN201370182Y (zh) * 2009-01-09 2009-12-30 香港多耐福有限公司 扣合件
US20110056056A1 (en) * 2009-09-10 2011-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mponent adapted for hands-free assembly to a panel, a component and panel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mponent to a panel
KR101229936B1 (ko) 2011-08-10 2013-02-06 정선후 아일릿부재
US20180228271A1 (en) * 2015-08-04 2018-08-16 Australian Defence Apparel Pty Ltd Back frame
US10470529B2 (en) * 2017-06-21 2019-11-12 Duraflex Hong Kong Limited Magnet hook
ES2966117T3 (es) * 2017-09-27 2024-04-18 Globe Jiangsu Co Ltd Conjunto portador ajustable para un arnés
US10932547B2 (en) * 2017-09-27 2021-03-02 Globe (jiangsu) Co., Ltd. Carrier assembly for a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8351A7 (en) 1973-04-13 1974-11-29 Santoul Christian Fastening for garment strap - made of two pieces with teeth fitted into perforations
DE3013057A1 (de) 1980-04-03 1981-10-08 Klippan GmbH, Sicherheitsgeräte, 2000 Norderstedt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gurtbaendern als nahtersatz
US4844214A (en) 1988-02-29 1989-07-04 Samsonite Corporation Adjustable portfolio strap arrangement
KR200268089Y1 (ko) 2001-12-05 2002-03-15 주식회사 키프코 버클
US6622355B2 (en) 2002-01-03 2003-09-23 Illinois Tool Works Inc. Mounting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85B1 (ko) * 2006-11-17 2009-09-0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장착기구
US7954212B2 (en) 2006-11-17 2011-06-07 Ykk Corporation Sheet attach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7079A1 (en) 2004-11-17
CN1259009C (zh) 2006-06-14
JP2004329736A (ja) 2004-11-25
JP4177166B2 (ja) 2008-11-05
TW200423891A (en) 2004-11-16
US7194787B2 (en) 2007-03-27
TWI241170B (en) 2005-10-11
HK1067506A1 (en) 2005-04-15
CN1550167A (zh) 2004-12-01
US20040226149A1 (en) 2004-11-18
KR100543463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463B1 (ko) 시트 장착기구 및 시트 장착용 부재
US5419020A (en) Separable buckle
US5203058A (en) Twin buckle for fastening straps and the like
US5579563A (en) Adjustable belt fastener with spring biased male fastener member
EP0590206B1 (en) Fastener
EP0583713B1 (en) Lock fastener
GB2096689A (en) Buckles
KR19980087244A (ko) 유지 스트랩을 구비한 측방 해제식 버클
EP2091373A2 (en) Buckle
US6061883A (en) Buckle
JP4143927B2 (ja) バックル
JP2004160166A (ja) バックル
WO2014046973A1 (en) Releasable buckle
TW201635938A (zh) 帶扣
JP6764883B2 (ja) バックル
US11259604B2 (en) Anti-pinch buckle assembly
TWI461157B (zh) Buckle (2)
JP7186151B2 (ja) コードロック
JP2004065773A (ja) バックル
CN109219365B (zh) 绳扣
JPH04221502A (ja)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US20050186027A1 (en) Fastener with locking function
EP0590207B1 (en) Fastener
JP6922825B2 (ja) クリップ
JP4103103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