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134A -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134A
KR20040097134A KR10-2004-7013153A KR20047013153A KR20040097134A KR 20040097134 A KR20040097134 A KR 20040097134A KR 20047013153 A KR20047013153 A KR 20047013153A KR 20040097134 A KR20040097134 A KR 2004009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trip
sublime
sheet bund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384B1 (ko
Inventor
야마다기쿠오
Original Assignee
야마다 지요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지요에 filed Critical 야마다 지요에
Publication of KR2004009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26Dusting brus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전기제품, 실내의 벽 등을 청소하는 때에 이용되는 청소용구이다. 본 발명은 먼지에 대한 포착능력이 높고, 오물쓸어모음효과가 우수한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소용구는 청소부(20)와 자루부(5)로 이루어지며, 청소부(2)는 자루부(5)에 착탈가능하다. 청소부(2)는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숭고부(40)와, 이 숭고부(40)의 내부에 형성된 자루삽입부(3)와, 숭고부(40)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4)로 구성된다. 숭고부(40)의 자루삽입부(3)에, 자루부(5)의 지지부(10)가 삽입되어 청소부(2)를 자루부(5)의 선단에 지지한다.

Description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Cleaning too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portion constituting the cleaning tool}
장롱 등의 가구, 개인용 컴퓨터나 조명기구 등의 전기제품, 건물내부의 벽, 문지방, 상인방 등에 달라붙은 먼지를 취하기 위한 청소용구로서는, 종래부터 총채(먼지떨이)가 이용되었다.
총채는 자루부(손잡이부)의 선단에 복수의 노끈형 띠들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노끈형 띠들로 먼지가 달라붙은 대상물의 표면을 떨어내는 것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총채에는 쓸어모으는 기능이 없으므로, 먼지를 대기 중에 흩어버리는 일 없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이러한 총채의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해, 쓸어모음부와 먼지떨이부를 구비한 청소포(淸掃布)를 자루부 선단의 머리에 마련하여 된 청소구가 제안되었다(일본특개평10-43115호). 그러나 이 청소구는 쓸어모음부에 의한 오물쓸어모음능력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에 불편하였다.
또, 자루부와 머리부와 청소포로 이루어지며 머리부의 중앙에 본체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주변에 얇은 두께의 가요성부를 형성하여 된 핸드와이퍼가 제안되었다(일본특개 제2000-83883호). 그러나, 이 핸드와이퍼도 오물쓸어모음능력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좁은 틈에서의 청소를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오물쓸어모음능력이 높고, 좁은 틈에서의 청소에도 충분한 청소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청소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쓸어모음용 청소용구 및 이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양태의 청소용구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양태의 청소용구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양태의 청소용구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양태의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의 일 예의 설명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양태의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의 일 예의 설명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양태의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의 일 예의 설명도,
도 7(a)는 본 발명에서의 자루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
도 8은 접은 상태에서의 자루부의 정면도,
도 9(a)는 자루부에서의 접음기구부의 종단면도,
도 9(b)는 도 7(a)의 D-D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10(a)는 자루부의 다른 양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자루부의 손잡이(grip)부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a)는 도 10(a)의 E-E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돌기가 눌러 넣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는 도 10(a)의 자루부의 손잡이부와 지지부의 접합부분을 보여주는 요부측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손잡이부의 멈춤쇠(stopper)를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측면도,
도 13(a)는 도 12(a)의 멈춤쇠 부근의 요부종단면도,
도 14(a)는 도 12(a)의 결합부 부근의 요부종단면도,
도 14(b)는 도 12(b)의 결합부 부근의 요부종단면도.
본 발명은 청소부와 자루부로 이루어진 청소용구로서, 청소부는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숭고(崇高)부, 이 숭고부의 내부에 형성된 자루삽입부, 숭고부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이다.
본 발명은 숭고부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을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이 숭고부 상부에 일어선 털 모양의 털날개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숭고부의 아래쪽에 스트립부를 가지지만, 숭고부 자체에 스트립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숭고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단눈에 의해 스트립부가 구성된다.
청소부의 제조방법은,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켜 된 시트다발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는 공정, 일측면의 스트립부가 타측면의 스트립부에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2개로 꺽어구부리는 공정(제1절곡공정), 이 2개로 꺽은 시트다발의 스트립부의 근방에 봉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립부와 구획된 숭고부를 형성하는 공정,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다시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공정(제2절곡공정), 및 절곡끝부들 끼리를 연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숭고부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이 숭고부 상부에 일어선 털 모양의 털날개부를 형성하는 데에는, 시트다발의 제1절곡공정에서의 절곡선을 따라 절단선을 내면 좋다.
또 숭고부 자체에 스트립부를 형성하는 데는, 시트다발의 제1절곡공정에서의 절곡선을 따라 절단선을 내는 동시에, 이 절단선의 절단끝면에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면 좋다.
본 발명은 청소면에 스트립부를 형성하므로, 스트립부가 요철면이나 가느다란 틈에 넣어지며 확실하게 먼지를 포착하여 쓸어모으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좁은 틈에서의 청소도 용이하게 행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킨 시트다발에 절단눈을 내어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며,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구부림(제1절곡)과 아울러, 이 제1절곡 후, 다시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제2절곡을 행하여 숭고부를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하므로, 스트립부는 단위면적당의 개수가 많아, 전체로서 볼륨있는 스트립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쓸어모음능력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숭고부를 가지므로, 이 숭고부에 자루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자루부 삽입부의 형성을 위해 별개의 시트를 당겨서 맞추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또 숭고부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을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털날개면을 형성한 경우나, 숭고부 자체에 스트립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숭고부를 청소면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숭고부 아래쪽의 스트립부와 숭고부 상면의 2개의 면이 청소면으로 기능하는 것이 되어, 청소효율을 높이고 또 사용 편이성이 좋게 된다.
본 발명의 청소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쓸어모음능력이 높은 청소부가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청소용구(1)는 청소부(2)와 자루부(5)로 이루어지며, 청소부(2)는 U자형으로 구부려진 숭고부(40), 이 숭고부(40)의 내부에 형성된 자루삽입부(3), 숭고부(40)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4)로 구성된다. 청소부(2)는 복수매의 시트들을 겹쳐서 된 시트다발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2번 접어(도 1에서, 7은 제1절곡부를 나타내고 9는 제2절곡부를 나타냄) 구성된 것으로, 절곡부(7)에서 접어진 시트다발에 선형의 봉지부(6)가 절곡부(7)에 평행하게 마련되며, 이 봉지부(6)는 예를 들면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참조문자 8a, 8b는 각각 자루삽입부(3)에서의 삽입구이다.
또, 제1봉지부(6)를 절곡부(7)에 평행하게 마련하는 것은, 제1봉지부(6)가 절곡부(7)에 대해 약간 기울어진 모양이나 만곡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스트립부(4)는 직사각형종이(短冊)모양의 형상이고, 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다발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에 각각 다수의 꺾은 눈을 내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사각형종이모양의 폭에 제한은 없지만, 0.5 ~ 5㎜가 바람직하고, 1 ~ 3㎜가 더 바람직하다. 폭이 0.5㎜미만인 경우는 스트립부(4)가 조각조각 찢어지기 쉽게 될 우려가 있고, 5㎜를 초과하는 경우 폭이 지나치게 넓어 좁은 홈에 있는 먼지의 포착능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직사각형종이모양의 길이에도 제한은 없지만, 20 ~ 100㎜가 바람직하며, 30 ~90㎜가 더 바람직하고, 40 ~ 70㎜가 더욱 바람직하다. 길이가 20㎜미만인 경우, 너무 짧아서 먼지를 효율 좋게 쓸어모으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길어서 취급이 곤란하게 되고, 스트립부들(4)끼리 결합하여 경단(團子)모양으로 되기 쉬울 우려가 있다.
청소부(2)에서의 절곡부(9)의 상단(즉, 숭고부(40)의 선단부)에는, 도 1에 보인 것처럼, 절단부(1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구부러진 시트다발에 봉지부(6)를 형성한 후, 스트립부들(4) 끼리를 겹치도록 제2의 절곡(折曲)을 행하도록 하여, 그 구부림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절단부(11)를 마련함으로써 청소부(2)의 선단을 좁은 틈에 눌러 넣기 용이하므로, 좁은 틈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시트다발의 제2의 절곡을 행하여 숭고부(40)를 U자형으로 구부린 후, 절곡단부들 끼리를 연결하는 결합부(12)가 마련된다. 결합부(12)는 숭고부(40)의 임의의 장소에 마련되지만, 자루삽입부(3)의 삽입구들(8a, 8b)의 끝부 부근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으로서는, 열융착, 봉제 등의 방법이 권해진다.
숭고부(40)와 스트립부(4)는 일체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양자를 별개로 제작하고, 봉재 등에 의해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시트다발을 구성하는 시트는, 단섬유(短纖維)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섬유는 미세한 공극에 먼지를 포착하여 보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먼지를 쓸어모으는 재료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시트를 구성하는 단섬유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복수매의 시트들을 겹쳐 열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시트다발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성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이 합성섬유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융점이 높은 폴리에스테르를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으로 피폭한 복합섬유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섬유는강성이 풍부하고, 유연성도 우수하므로 먼지의 쓸어모음효과가 우수하다. 또, 가열융착시킬 때, 온도가 폴리에틸렌에 대해 높게 설정하여도, 섬유로서의 형성이 보지되므로 열융착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섬유로 이루어진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를 권할 수 있지만, 흡진성이 우수하며 내마모성도 우수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부직포로서는, 스판레스부직포, 스판본드부직포, 석션본드부직포, 석션히트본드부직포, 멜트블로운부직포 등이 권해진다.
본 발명의 시트다발을 구성하는 시트들의 매수에 제한은 없지만, 2~10매가 바람직하고, 3~6매가 더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숭고부(40)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15)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숭고부(40)의 상부에 일어선 털 모양의 털날개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숭고부 상부에 일어선 털 모양의 털날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트다발의 제1절곡공정에서의 절곡선을 따라 절단선을 내면 좋다. 이 시트절단을 행할 때, 털날개면이 형성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봉지부로서 제1봉지부(6)와 제2봉지부(17)의 2개의 봉지부들이 마련되고, 2개의 봉지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자루삽입부(3)로서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은 숭고부(40) 자체에도 스트립부(16)가 마련된다. 스트립부(16)는 숭고부(40)의 상단부에 미련되며, 숭고부(40)의 아래쪽에 스트립부(4)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종이모양의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숭고부(40)의 상단부에 스트립부(16)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트다발의 제1절곡공정에서의 절곡선을 따라 절단선을 내는 것과 동시에, 이 절단선의 절단끝면을 따라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면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봉지부로서 제1봉지부(6)와 제2봉지부(17)의 2개의 봉지부들이 구성되고, 2개의 봉지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자루삽입부(3)로서 구성한다.
다음에, 청소부(2)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도 4 ~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섬유를 중첩하여 가열압착하는 것에 의해 시트상 물체를 제조한다.
다음에, 이 시트상 물체를 복수매 겹져 쌓아 시트다발(21)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4(a), 도 5(a), 도 6(a)에 보인 것처럼, 시트다발(21)의 길이방향 양 끝부들에 봉지부들(22, 23)을 마련한다. 봉지부들(22, 23)은 가열가압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시트다발(21)의 일측면(24)과 타측면(2)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26, 27)을 내는 것에 의해 2열의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4)를 형성한다. 시트다발의 강도에 방향성이 있는 경우, 절단눈들(26, 27)은 시트다발의 강도가 우수한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스트립부(4)가 ??어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절단눈들(26, 27)을 내는 공정 시에 동시에 시트다발(21)의 중앙부에, 구멍(28)을 형성한다. 구멍(28)의 형성에 제한은 없지만, 도 4(a), 도 5(a), 도 6(a)에보인 것처럼, 시트다발(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1절곡선(A-A선)방향으로 2개의 작은 산 모양의 돌기들(34)을 가지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구멍(28)이 이와 같이 형성되면, 도 1(a), 도 2(a), 도 3(a)에 보인 것처럼, 절단부(11)가 선모양으로 되어, 청수보(2)를 절곡부(9)에서 구부리기 쉽게됨과 동시에, 청소부(2)의 선단이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청소 시에 좁은 틈에 눌러 넣게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에서의 청소부(2)를 제조하는 경우,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하기 전에, 도 5(a)에 보인 것처럼 제1절곡선(A-A선)을 따라 절단선(30)을 낸다. 이와 같이 절단선(30)을 내는 것에 의해, 그 절단면에 일어선 털 모양의 털날개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형태에서의 청소부(2)를 제조하는 경우,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하기 전에, 도 6(a)에 보인 것처럼 제1절곡선(A-A선)을 따라 절단선(30)을 내는 동시에, 이 절단선(30)의 절단끝면을 따라 다수의 절단눈들(31, 32)을 낸다. 이와 같이 절단눈들(31, 32)을 내는 것에 의해, 숭고부(40) 자체에도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16)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일측면(24)의 스트립부(4)가 타측면(24)의 스트립부(4)에 겹치도록 제1절곡선(A-A선)을 따라 시트다발(21)을 2개로 꺽어 구부린다(제1절곡공정).
다음으로, 도 4(b)에 보인 것처럼 스트립부(4) 근방에 봉지부(6)를 형성한다. 봉지부(6)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열융착이 바람직하다. 제2 및 제3실시형태에서는 봉지부(6) 외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제2봉지부(17)를 마련한다(도 5(b), 도 6(b)).
이와 같이 봉지부(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스트립부(4)와 구획되는 숭고부(40)가 형성되며, 또 이 숭고부(40)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는 자루삽입부(3)로서 구성된다. 제2 및 제3실시형태들에서 공간부(자루삽입부(3))는 2개의 봉지부(6, 17)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에, 제1, 제2 및 제3실시형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각 도 4(b), 도 5(b), 도 6(b)에 보인 것처럼, 제1절곡선(A-A선)의 중앙부를 직각으로 통과하는 제2절곡선(B-B선)을 따라, 스트립부들(4)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21)을 2개로 꺽어 구부린다(제2절곡공정). 절곡되면 청소부(2)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절곡선(A-A선)은 절곡부(7)에 상당하고 또 제2절곡선(B-B선)은 절곡부(7)에 상당한다.
상기 제2절곡공정에 의해 숭고부(40)는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다. 다음으로, 숭고부(40)의 자루삽입부(3)에서의 삽입구들(8a, 8b) 부근을 열융착 등에 의해 연결하여 U자 형상을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숭고부(40)와 이 숭고부(40)를 따라 그 아래쪽으로 형성된 스트립부(4)로 이루어진 청소부(2)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청소부(2)의 자루삽입부(3)의 삽입구들(8a, 8b)에서부터, 자루(5)의 지지부재들(10a, 10b)을 각각 자루삽입부(3)에 삽입하여 자루부(5)의 선단에 청소부(2)를지지 고정한다. 청소부(2)는 자루부(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의 자루는 쥠(grip)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형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루부의 재료로서, 플라스틱, 금속, 목재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경량, 저가인 점에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을 제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폴리에틸렌계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수지가 성형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자루부의 바람직한 양태들을 도 7, 도 8,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자루부(5)는 쥠부(42)와 지지부(10)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0)는 지지부재(10a)와 지지부재(10b)로 구성된다.
자루부(5)에 마련되는 지지부재(10a)와 지지부재(10b)의 간격은, 자루삽입부(3)의 삽입구(8a)와 삽입구(8b)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지지부재들(10a, 10b)을 자루삽입부(3)에 삽입할 때, 지지부재들(10a, 10b)의 간격은 좁게 되어, 자루삽입부(3)로의 삽입 후에는, 지지부재들(10a, 10b)의 복원력에 의한 외부로의 힘이 작용하여, 지지부재들(10a, 10b)은 자루삽입부(3) 내에 확실히 보지되고, 청소 시에 지지부재들(10a, 10b)이 자루삽입부(3)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지지부재들(10a, 10b)의 외측에는, 도 7에 보인 것처럼, 산모양의 절단부(41)가 마련된다. 이 절단부(41)의 지지부(10) 선단측의 절단각도(α)는 큰 각도가 바람직하고, 또 절단부(41)의 쥠부 측의 절단각도(β)도 큰 각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단부(41)가 마련되면, 2개의 지지부재들(10a, 10b)을 자루삽입부(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재들(10a, 10b)이 자루삽입부(3)로부터 이탈하기 어렵게 되어, 청소 시의 자루삽입부(3)로부터의 지지부재들(10a, 1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와 쥠부(42)는 구부릴 수 있는 동시에, 지지부(10)와 쥠부(42)를 신장한 상태에서 둘 다가 고정 가능하다.
지지부(10)의 근원에 받이부(44)를 마련하며, 쥠부(42)의 선단에 삽입부(45)를 마련하며, 받이부(44)의 내부에 삽입부(45)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46)를 마련하며, 받이부(44)에 형성되는 오목부(46) 내의 측벽(47)과 측벽(48)에 축받이홀(49)을 마련하고, 삽입부(45)의 측벽(51)과 측벽(52)에 마련된 축(50)을 축받이홀(49)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받이부(44)의 천장(53)에는 걸림돌기(54)를 마련하고, 삽입부(45)의 상면(56)에는 걸림돌기(54)와 끼워맞춤 가능한 걸림오목부(55)를 마련한다. 쥠부(42)를 축(5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삽입부(45)를 오목부(46) 내에 넣고, 또 삽입부(45)의 걸림오목부(55)에 오목부(46) 내의 걸림돌기(54)를 끼워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쥠부(42)와 지지부(10)가 신장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쥠부(42)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54)와 걸림오목부(55)의 끼워맞춤이 해제되어 쥠부(42)를 지지부(10) 아래쪽으로 꺽어서 포개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받이부(44)를 쥠부(42)에 마련하고 삽입부(45)를 지지부(10)에 마련하여도 좋고, 또 걸림돌기(54)를 삽입부(45)에 마련하고 걸림오목부(55)를 받이부(44)에 마련하여도 좋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청소용구에 이용되는 자루부의 다른 양태를 보여주는것이다. 도 10(a)에 보인 양태의 자루부는, 2개의 지지부재들(10a, 10b)로 이루어진 지지부(10)와, 쥠부(61)가 결합부(63)에서 구부려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쥠부(61)가 신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0(a)에 보인 양태의 자루부는, 쥠부(61)의 내부에 공극을 가지며, 이 공극에 심재(62)가 수용되고, 쥠부(61)는 심재(62)의 주위를 피복하고, 심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워맞춤된다. 도 10(b)에 보인 것처럼, 쥠부(61)를 심재(6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루부가 신장하여 길어진다.
심재(62)의 길이방향의 끝부 부근에는 도 10에 보인 것처럼 돌기(67)가 마련된다. 또 쥠부(61)의 길이방향의 양 끝부들 부근에, 상기 돌기(67)가 끼워맞춤되는 관통홀들(65, 66)이 마련된다. 도 10(a)에 보인 것처럼 쥠부(61)를 축소한 상태에서, 심재(62)의 돌기(67)는 쥠부(61)의 후단측의 관통홀(66)에 끼워맞춤된다. 또 도 10(b)에 보인 것처럼 쥠부(61)를 신장하도록 하면, 쥠부(61)의 선단측의 관통홀(65)에 심재(62)의 돌기(67)가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돌기(67)와 관톨홀들(65, 66)의 끼워맞춤에 의해, 쥠부(61)는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 돌기(67)에 의해, 쥠부(61)를 신장한 때에, 이 쥠부(61)를 지나치게 인출하여 쥠부(61)가 심재(6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에 보인 것처럼, 심재(62)의 돌기(67)가 쥠부(61)의 관통홀(66 혹은 65)에 끼워맞춤되는 상태에서는, 심재(62)에 대해 쥠부(61)가 간단히 움직이지 않도록 걸린다. 도 11(b)에 보인 것처럼, 심재(62)의 끝부의 돌기(67)를 마련한 부분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쥠부(61)를 미끄러지게 하는 경우, 이 도면에 보인 것처럼 돌기(67)를 손가락으로 눌러, 쥠부(61) 내부의 공간에 당해 돌기(67)가 눌러 넣어지도록 하면, 돌기(67)와 관통홀(66)의 걸림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고, 쥠부(61)는 심재(62)에 대해 임의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 도 10(a)에 보인 양태의 자루부는, 쥠부와 지지부의 결합부에서 구부러져 2개로 꺽어진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고, 이것들 둘 다가 신장한 상태에서 사용시 등에 그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간단히 구부려지지 않도록 꺽임방지기구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a), (b)에 보인 것처럼, 심재(6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스토퍼(64)와, 지지부(10)의 결합부(63)의 측벽을 연장하여 된 걸림용 발톱(68)으로 된 꺽임방지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a)에 보인 것처럼, 쥠부를 지지부에 대해 직선형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이 쥠부가 회전하지 않는 채로 고정되기 위해서는, 스토퍼(64)를 심재(62)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결합부(63)에 눌러 붙여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64)의 결합부(63)측 상단이 걸림용 발톱편(68)에 접하여 위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 도 12(b)에 보인 것처럼 스토퍼(64)를 심재(62)의 길이방향의 쥠부측에 심재를 따라 미끄러지게 하면, 스토퍼(64)는 걸림용 발톱편(68)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64)를 미끄러지게 한 상태에서, 심재(62)를 지지부재들(10a, 10b)의 결합부(63)에 축 지지한 회전축(69)을 중심으로 거의 180° 회전시켜, 2번 꺽은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스토퍼(64)는 심재(62)를 걸림용 발톱편(68)으로부터 빠지도록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때에, 필요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3의 (a), (b)에 보인 것처럼, 심재(62)의 상면에 원통형 돌기(71)를 마련하며, 스토퍼(64)의 상기 원통형 돌기(71)측에 홈(溝)형 오목부가 마련된다. 또, 이 홈형 오목부(72)는 스토퍼(64)의 쥠부 측이 개구되고 결합부(63)측이 닫힌 벽으로서 형성된다. 도 13(b)에 보인 것처럼, 심재(62)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스토퍼(64)가 결합부(63)의 걸림용 발톱편(68)에서부터 빠지도록 미끄러진 경우, 스토퍼(64)의 홈형 오목부(72)의 결합부측의 벽에 원통형 돌기(71)가 맞닿아, 스토퍼(64)는 그 이상 쥠부방향으로는 미끄러질 수 없다.
또 도 10의 양태의 자루부는, 지지부와 쥠부를 직선형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이것들 둘 다가 구부려지지 않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도 14의 (a), (b)에 보인 것처럼, 결합부(63)에서의 측벽들 사이의 저면에 마련된 반구형 돌기(73)와, 이 반구형 돌기(73)가 끼워맞춤가능하게 형성된 반구형 오목부(74)로 구성된 고정기구가 마련된다. 쥠부와 지지부를 직선형으로 신장한 상태에서는 도 14(a)에 보인 것처럼, 지지부(10)의 반구형 돌기(73)가 심재(62)의 반구형 오목부(74)에 끼워 넣은 상태로 되어 고정된다. 이것에 대해 자루부를 꺽어 중첩한 때에는, 도 14(b)에 보인 것처럼, 쥠부에 약간 큰 힘을 기하여 회전시키면, 심재(62)의 반구형 오목부(74)와 지지부(10)의 반구형 돌기(73)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심재(62)와 쥠부(61)를 회동시켜, 지지부와 쥠부를 2번 꺽은 상태로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용구는 스트립부(4)를 가지므로 먼지를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또 숭고부(40)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15)을 형성한 경우나숭고부(40)의 자체에 스트립부(16)를 형성한 경우, 청소용구의 하면(스트립면(4))만 아니라 청소용구의 상면(시트다발절단면(15)에 의한 털날개면 혹은 스트립부(16))도 이용하여 쓸어모음청소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소부(2)는 사용하고 버리는 유형의 것이고, 사용 후에는 청소부(2)를 자루부(5)에서 뽑아 내어 새로운 청소부와 교환한다.
본 발명은 장롱 등의 가구, 개인용 컴퓨터나 조명기구 등의 전기제품, 건물내부의 벽, 문지방, 상인방 등에 달라붙은 먼지를 취하기 위한 청소용구로서 가정 등에서 이용하기에 유익하다.

Claims (10)

  1. 청소부와 자루부로 이루어진 청소용구로서, 청소부는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숭고부, 이 숭고부의 내부에 형성된 자루삽입부, 숭고부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스트립부는 직사각형종이모양으로 형성되는 청소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숭고부의 상부에 시트다발절단면이 형성되는 청소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숭고부는 그 상부에 스트립부를 가지는 청소용구.
  5.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켜 된 시트다발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며, 일측면의 스트립부가 타측면의 스트립부에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2개로 꺽어 구부리며, 스트립부 근방에 봉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립부와 구획된 숭고부를 형성하며, 스트립부들이 상호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다시 2개로 꺽어 구부려,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숭고부와 이 숭고부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로 이루어진 청소부를 형성하고, 숭고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자루삽입부로서 구성하고, 이 자루삽입부에 자루부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자루부에 청소부를 지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시트다발의 중심에 절단선을 마련하고, 이 절단선을 따라 시트다발을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것인 청소용구.
  7.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켜 된 시트다발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는 동시에, 시트다발의 중심에 절단선을 마련하며, 이 절단선에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단선을 따라 시트다발을 2개로 꺽어 구부리며, 스트립부 근방에 봉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립부와 구획된 숭고부를 형성하며,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다시 2개로 꺽어 구부려 U자 형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또 시트부를 가지는 숭고부와 이 숭고부를 따라 그 아래쪽에 형성된 스트립부로 이루어진 청소부를 형성하고, 숭고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자루삽입부로서 구성하고, 이 자루삽입부에 자루부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자루부에 청소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8.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켜 된 시트다발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는 동시에, 일측면의 스트립부가 타측면의 스트립부에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공정(제1절곡공정);
    이 2개로 꺽은 시트다발의 스트립부의 근방에 봉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립부와 구획된 숭고부를 형성하는 공정;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다시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공정(제2절곡공정); 및
    절곡끝부들 끼리를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시트다발의 제1절곡공정에서의 절곡선을 따라 절단선을 내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10. 복수매의 시트들을 중첩시켜 된 시트다발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들을 형성하는 공정,
    시트다발의 중심에 절단선을 마련하고 이 절단선에 다수의 절단눈들을 내어 직사각형종이모양의 스트립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절단선을 따라 시트다발의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공정(제1절곡공정);
    이 2개로 꺽은 시트다블의 스트립부의 근방에 봉지부를 형성하여 스트립부와 구획된 숭고부를 형성하는 공정;
    스트립부들이 서로 겹치도록 시트다발을 다시 2개로 꺽어 구부리는 공정(제2절곡공정); 및
    절곡끝부들 끼리를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KR1020047013153A 2002-02-22 2003-02-24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KR100601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6864 2002-02-22
JP2002046864 2002-02-22
JPJP-P-2002-00297845 2002-10-10
JP2002297845 2002-10-10
PCT/JP2003/001985 WO2003070080A1 (fr) 2002-02-22 2003-02-24 Outil nettoy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artie nettoyante constituant l'outil nettoy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134A true KR20040097134A (ko) 2004-11-17
KR100601384B1 KR100601384B1 (ko) 2006-07-13

Family

ID=2775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53A KR100601384B1 (ko) 2002-02-22 2003-02-24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44749A1 (ko)
EP (1) EP1486157A4 (ko)
JP (1) JP4050705B2 (ko)
KR (1) KR100601384B1 (ko)
CA (1) CA2477210A1 (ko)
TW (1) TW200303183A (ko)
WO (1) WO20030700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0035B2 (ja) *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JP4132730B2 (ja) * 2001-06-14 2008-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製品
WO2005092171A1 (ja) * 2004-03-29 2005-10-06 Yamada, Chiyoe 清掃具及びそれに用いる保持部材
US7891898B2 (en)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7976235B2 (en)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US7740412B2 (en)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JP4845525B2 (ja) * 2006-02-08 2011-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597880B2 (ja) * 2006-02-08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US7836540B2 (en) * 2007-08-02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oom with particle capture sheet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DE102013008003B4 (de) 2013-05-08 2015-03-19 Freshdetect Gmbh Messgerät zum Messen eines Oberflächenbelags auf einem Messobjekt, insbesondere auf einem Lebensmittel, und dessen Verwendung
US11458515B2 (en) * 2017-01-26 2022-10-04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Cleaning devices for cleaning of difficult to reach locations
US11006738B2 (en) 2017-01-26 2021-05-18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Cleaning devices having selectively flexible or rigid handle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25A (en) * 1905-09-09 1906-06-19 Henry A Hayden Duster.
US1437145A (en) * 1921-07-21 1922-11-28 Theodore G Johnson Duster
US1542108A (en) * 1923-05-23 1925-06-16 George E Taylor Bottle cleaner
US1585006A (en) * 1926-01-23 1926-05-18 Zell Rhoda Thomas Chamois brush
US1978748A (en) * 1934-08-18 1934-10-30 Ella L Gregory Two-way mop
US2185873A (en) * 1938-04-27 1940-01-02 Joseph A Underhill Dust mop
US2255872A (en) * 1939-12-08 1941-09-16 Cedar Corp N Chicago O Mop
US3221356A (en) * 1963-02-05 1965-12-0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cleaning swab
US3505155A (en) * 1963-11-21 1970-04-07 Celanese Corp Nonwoven continuous filament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US3525113A (en) * 1968-08-16 1970-08-25 Ragnvald G Leland Mop with removable holder
US3760450A (en) * 1972-01-10 1973-09-25 D Griffin Dust mop with throw away mopping element
GB1453447A (en) *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3822435A (en) * 1972-12-22 1974-07-09 T Moss Disposable dust mop and method of making same
GB1363370A (en) * 1973-01-01 1974-08-14 Webster P R Handling records
US4018646A (en) * 1973-05-09 1977-04-19 Johnson & Johnson Nonwoven fabric
US4010511A (en) * 1976-02-06 1977-03-08 Duskin Franchise Co., Ltd. Mop having sleeve type detachable mop head
US4114224A (en) * 1976-04-13 1978-09-19 Firma Carl Freudenberg Mop comprising bonded nonwoven fabric absorptive elements
JPS5755803Y2 (ko) * 1979-02-21 1982-12-02
JPS6038Y2 (ja) * 1980-04-02 1985-01-05 ダスキンフランチヤイズ株式会社 ハンデイモツプ
US4313774A (en) * 1980-07-10 1982-02-02 Wm. E. Hooper & Sons Co. Mop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S5756562A (en) * 1980-09-20 1982-04-05 Uni Charm Corp Nonwoven fabric and production thereof
GB2112828B (en) * 1981-11-24 1985-04-17 Kimberly Clark Ltd Perforated thermally bonded microfibre web
US4436780A (en) * 1982-09-02 1984-03-1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laminate
US4426417A (en) * 1983-03-28 1984-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US4829622A (en) * 1988-02-12 1989-05-16 Sullivan Sandra L O Cleaning device
US4995133A (en) * 1988-05-02 1991-02-26 Newell Robert D Mop head comprising capacitive web elem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06513A (en) * 1988-10-03 1990-03-06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iper laminate
US5221124A (en) * 1991-07-11 1993-06-2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to manufacture a wet mop head
US5477582A (en) * 1994-05-10 1995-12-26 Azuma Industrial Co., Ltd. Mop sheet holder, and mop sheet therefor
CN1241520C (zh) * 1995-08-01 2006-02-15 花王株式会社 清洁布
JP3208306B2 (ja) *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GB9626181D0 (en) * 1996-12-17 1997-02-05 Daniels Helen Cleaning tool
US6143393A (en) * 1997-12-16 2000-11-07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DE19833553C1 (de) * 1998-07-24 1999-12-30 Freudenberg Carl Fa Mop
JP3558892B2 (ja) * 1998-09-24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3808652B2 (ja) * 1999-01-19 2006-08-16 宗 正雄 清掃用具
AU758344B2 (en) * 1999-03-05 2003-03-20 Uni-Charm Co. Ltd Composite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1099402B1 (de) * 1999-09-13 2006-11-15 Winfried Labuda Reinraumwischtuch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ATE521270T1 (de) * 2000-07-10 2011-09-15 Uni Charm Corp Gegenstand zum reinigen
JP4050035B2 (ja) *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0705B2 (ja) 2008-02-20
CA2477210A1 (en) 2003-08-28
TW200303183A (en) 2003-09-01
EP1486157A4 (en) 2007-04-18
JPWO2003070080A1 (ja) 2005-06-09
WO2003070080A1 (fr) 2003-08-28
US20050144749A1 (en) 2005-07-07
EP1486157A1 (en) 2004-12-15
KR100601384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384B1 (ko) 청소용구 및 청소용구를 구성하는 청소부의 제조방법
EP1974648B1 (e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tool
EP2532294B1 (en) Cleaning utensil
JP4709105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CA2627876A1 (e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tool
US20070028409A1 (en) Clean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eaning part thereof
US8156603B2 (en) Cleaning tool
US8438690B2 (en) Cleaning tool and cleaning element holder
JP5171347B2 (ja) 清掃用具
JP2011041828A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WO2011096473A1 (ja) 清掃用具
US8857006B2 (en) Cleaning implement and cleaning body
CN211559969U (zh) 清扫工具
MXPA06007665A (en) Clean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eaning part thereof
JP2010284547A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