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036A - 푸시너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푸시너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036A
KR20040097036A KR1020040083614A KR20040083614A KR20040097036A KR 20040097036 A KR20040097036 A KR 20040097036A KR 1020040083614 A KR1020040083614 A KR 1020040083614A KR 20040083614 A KR20040083614 A KR 20040083614A KR 20040097036 A KR20040097036 A KR 2004009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nut
nut assembly
rin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철 filed Critical 신영철
Priority to KR102004008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036A/ko
Publication of KR2004009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42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fastened to the threaded bolt with snap-on-action, e.g. push-on nuts for stud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에 체결되어 주로 2 이상의 부품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임과 풀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푸시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너트 어셈블리는, 상측 중앙에 탄성 푸시홀(14)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11)와, 본체(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홀(14)을 확장시키도록 동작되는 확장수단(18)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부품(F1, F2) 간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너트 어셈블리(10)의 전진(조임)과 후진(풀림)은 중앙 푸시홀(14)에 볼트 축을 끼우고 너트 어셈블리(10)를 직선적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푸시너트 어셈블리{Push Nut Assembly}
본 발명은 볼트에 체결되어 주로 2 이상의 부품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임과 풀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푸시너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와 너트를 나타낸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볼트(1)는 환봉 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숫나사)(2)이 형성된 것이며, 너트(3)는 둥근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숫나사(2) 대응의 암나사(4)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너트(3)를 볼트(1) 축에 끼우고 어떤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너트(3)가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러한 너트(3)의 구조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구조로서, 부품(F1, F2) 간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너트(3)의 조임 및 풀림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너트(3)를 빨리 죄고 풀기 위하여, 너트 러너(nut runner) 또는 너트 스피너(nut spinner) 등의 공구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2a는 종래의 푸시너트(push nut)를 나타낸다. 이 푸시너트(5)는 평판(6) 상의 푸시홀(8)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 및 절곡되어 전체로서 원뿔 형태를이루는 다수의 탄성편(7)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도 2b를 참조하면, 이 푸시너트(5)를 볼트 축에 끼우고 직선적으로 푸시함으로써 너트(5)가 전진한다. 따라서 너트(5)의 조임이 상기한 너트(3)에 비하여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너트(5)의 후진은 처음부터 포기되거나 또는 회전 방식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너트(5)의 풀림은 상기한 너트(3)에 비하여 유리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푸시너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너트의 전진과 후진이 볼트 축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품 간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너트의 조임 또는 풀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푸시너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의 구성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너트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푸시너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너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푸시너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푸시너트 어셈블리의 '조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4의 푸시너트 어셈블리의 '풀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너트 어셈블리 11. 본체
12. 노치 13. 탄성편
14. 푸시홀 16. 개방창
17. 플랜지 18. 확장수단
19. 링부재 20. 작동레버
본 발명에 따른 푸시너트 어셈블리는, 상측 중앙에 탄성 푸시홀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본체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홀을 확장시키도록 동작되는 확장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너트의 전진과 후진은 중앙 푸시홀에 볼트 축을 끼우고 너트 어셈블리를 직선적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너트의 조임 및 풀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과 작용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너트 어셈블리는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푸시너트 어셈블리(10)는 상측 푸시홀(14)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푸시홀(14)을 확장시키도록 동작되는 확장수단(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는, 상측 원주를 따라 일정한 길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노치(notches)(12)에 의하여 분할되고 모두 내측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13)을 갖는다. 이들 내향의 탄성편(13)에 의하여 본체(11)의 상측 중앙에는 탄성의 푸시홀(14)이 형성되며, 당연하게 상기 푸시홀(14)은 본체(11)의 하측 개방구(15)에 비하여 그 직경이 작게 된다.
상기 본체(11)는 탄성편(13)의 하측 벽면에 형성된 개방창(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창(16)은 작동 레버(20)가 돌출되는 창으로, 개방창(16)의 크기는 링부재(19)의 폭과 작동 레버(20)의 상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진다. 작동 레버(20)는 개방창(16)의 세로 길이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가능한 작동 레버(20)의 좌우 유격은 없도록 한다.
도면에서, 상기 본체(11)의 상측단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각 탄성편(13)의 끝단이 볼트 축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5a 참조). 예를 들어, 볼트 축 외주면에 형성된 홈이 나선형이 아니고 원형인 것이 본 발명의 푸시너트 어셈블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본체(11)의 상측단은 나선형이 아닌 수평형이 될 것이다. 역으로 보면, 본 발명의 푸시너트 어셈블리(10)는 통상의 스크루 볼트에 한정 적용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한편, 본체(11)의 하측 개방구(15)측에는 와셔용 플랜지(17)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7)는 접촉 대상물(예를 들어, 도 5a의 F1)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된 곡형 플랜지이다.
상기 확장수단(18)은 일정 폭을 갖는 링부재(19)와, 링부재(19)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작동 레버(20)로 이루어진다. 작동 레버(20)는 링부재(19)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확장수단(18)의 조작 편의상 서로 대칭인 위치에 하나씩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링부재(19)의 상측단을, 본체(11)의 상측단과 동일한 나선형 또는 수평형으로 함으로써, 링부재(19) 상승시(도 5b 참조)에 모든 탄성편(13)이 압력을 고르게 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수단(18)의 링부재(19)는 본체(11)의 내벽에 접촉 배치되며, 이 때 상기 작동 레버(20)는 개방창(16)을 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확장수단(18)은 개방창(16)을 통하여 돌출된 작동 레버(20)를 조작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본체(11)와 확장수단(18)이 상호 조립되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너트 어셈블리(10)가 되는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시된 볼트(B)는 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의 홈이 형성된 통상의 스크루 볼트로서, 비교 규격면에서 스크루의 외경이 링부재(19)의 내경보다 작고, 골지름이 푸시홀(14)의 지름보다 큰 것이다. 그리하여, 푸시홀(14)은 푸시너트 어셈블리(10)를 관통하게 되는 볼트(B) 축에 의하여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너트 어셈블리(10)는 축 방향으로 미는 힘(P1)에 의하여 하향 전진하며, 탄성편(13)의 끝단이 나사골 중심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함으로써 부품(F1, F2) 간의 결합을 위한 너트 조임이 이루어진다. 탄성편(13)의 끝단과 나사골 중심부 간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는 탄성 플랜지(17)에 의한 미세 조정 또는 별도의 와셔 등에 의한 조정이 가능할 것이다. 보다 강한 압박이 필요한 경우에는 푸시 후에 푸시너트 어셈블리(10)를 약간 회전시키면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푸시홀(14)은, 상향 이동되어 탄성편(13)을 벌려주게 되는 링부재(19)에 의하여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19)의 상향 이동은 작동 레버(20)를 상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작동 레버(20)를 P1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P2)에 의하여 탄성편(13)이 벌어지면서 푸시홀(14)이 확장되고, 탄성편(13)과 볼트(B) 축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계속하여 푸시너트 어셈블리(10)는 상향 후진하며, 이로써 부품(F1, F2) 간의 분리를 위한 너트 풀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너트 어셈블리(10)의 전진과 후진은 중앙 푸시홀(14)에 볼트 축을 끼우고 푸시너트 어셈블리(10)를 직선적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나 도구가 없이도 너트의 조임 및 풀림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상측 원주를 따라 형성된 노치(12)에 의하여 분할 형성되고 모두 내측 방향으로 굽어 하측 개방구(15)에 비하여 내경이 작은 중앙 푸시홀(14)을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탄성편(13)과, 탄성편(13)의 하측 벽면에 형성된 개방창(16)을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내벽에 승강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승시 탄성편(13)을 밀어 내어 상기 푸시홀(14)을 확장시키게 되는 링부재(19)와, 링부재(19)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개방창(16)을 통하여 돌출되는 작동레버(16)를 포함하는 확장수단(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너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상측단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재(19)의 상측단은 본체(11)의 상측단과 동일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너트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하측 개방구(15)측에는 와셔용 플랜지(17)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7)는 접촉 대상물(F1)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된 곡형 플랜지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푸시너트 어셈블리.
KR1020040083614A 2004-10-19 2004-10-19 푸시너트 어셈블리 KR20040097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14A KR20040097036A (ko) 2004-10-19 2004-10-19 푸시너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14A KR20040097036A (ko) 2004-10-19 2004-10-19 푸시너트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27U Division KR200372252Y1 (ko) 2004-10-19 2004-10-19 푸시너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36A true KR20040097036A (ko) 2004-11-17

Family

ID=3737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614A KR20040097036A (ko) 2004-10-19 2004-10-19 푸시너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0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800B1 (ko) * 2007-01-17 2007-05-04 권영화 X형 링크
EP3734088A1 (en) * 2019-05-01 2020-11-04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pring nut with rele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800B1 (ko) * 2007-01-17 2007-05-04 권영화 X형 링크
EP3734088A1 (en) * 2019-05-01 2020-11-04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pring nut with release
US11773895B2 (en) 2019-05-01 2023-10-03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pring nut with rel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42625B2 (ja) 押込みファスナ
US6168597B1 (en) Bone screw
US7227434B2 (en) Tuning screw assembly
US5846039A (en) Positive lock rivet
US7207757B2 (en) Panel fastener
US5458427A (en) Telescopic tubular splined assembly
US20040172031A1 (en) Compression bone screw and screwdriver blade therefor
JPH02180384A (ja) 孔を密に閉鎖する方法並びに密に閉鎖された閉鎖孔設備
JP2004132550A (ja) リベット
JPH0814246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3358551A (en) Fasteners
EP0450820A1 (en) Fastener
US2770276A (en) Set screw with ball expander locking means
KR20040097036A (ko) 푸시너트 어셈블리
JP2007162790A (ja) ナット
JPH04244611A (ja) 締結具
KR200372252Y1 (ko) 푸시너트 어셈블리
CA2614128A1 (en) Coupling between two bodies compris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cutting ring with a screw thread forming cutting lips
KR20150010484A (ko) 풀림방지 너트
JP2010043728A (ja) スクリュグロメット
US20030059271A1 (en) Expansion bolt assembly
JPH07197923A (ja) 簡易締結装置
US3166972A (en) Expandable fastener
US20200191189A1 (en) Self-locking pin
US20040258466A1 (en)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