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347A -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347A
KR20040096347A KR1020030029328A KR20030029328A KR20040096347A KR 20040096347 A KR20040096347 A KR 20040096347A KR 1020030029328 A KR1020030029328 A KR 1020030029328A KR 20030029328 A KR20030029328 A KR 20030029328A KR 20040096347 A KR20040096347 A KR 20040096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afts
key
link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박경수
민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347A/ko
Publication of KR2004009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28Switch site location perpendicular to base of keyboa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전자장비의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 스위치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키 스위치 장치는 하면에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키 톱(Key Top); 상기 키 톱의 수용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 및 상기 상단 샤프트 반대편의 한 쌍의 하단 샤프트를 구비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부재로서,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하단 샤프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 하향 연장된 한 쌍의 보스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하단 샤프트를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두 쌍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스를 상기 하단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키 톱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며, 상기 키 톱에 의해 눌러지는 탄성 스위치가 접촉하는 접점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해당 링크의 회전축 변위 및 그에 따른 키 톱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한다.

Description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KEY SWITCH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ATERAL TILT OF KEY TOP}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비의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 톱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는 키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비는 입력작업을 위한 다수의 키스위칭 장치로 이루어진 키보드를 사용한다. 이때, 각각의 키 스위칭 장치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교차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로 이루어진 안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키 톱의 수직운동을 안내하고 이와 연동하여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키 스위칭 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일례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키 스위칭 장치(100)에서, 키 톱(101)의 밑면에서 2 개의 장착부(102, 103)가 수직으로 하향 돌출하며, 상기 키 톱(101)의 상하운동에 따라 스위칭 부재 또는 고무 스위치(112)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2 개의 힌지 또는 링크 부재(104, 105)를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키 톱(101)과 상기 고무 스위치(112)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링크 부재(104, 105)의 하단에는 각각 장착핀 또는 샤프트(107, 106)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 스위치(112)의 하부에는 가요성 회로기판(111)이 배치된다. 상면이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111)을 지지하는 지지판(108)에는 상기 장착부(102, 103)에 대응하는 장착편(110, 10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08)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편(110, 109)은 지지판(108)을 후크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가요성 회로기판(111)에는 (도시 생략된) 통공이 장착편(110, 109)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키 톱(101)을 누르면, 링크 부재(104, 105)의 하단 샤프트(107, 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간격(b, a) 만큼 외측으로 이동되어 키 톱(101)의 하강을 허용한다. 키 톱(101)의 눌림이 해제되면, 고무 스위치(112)의 탄성력에 의해키 톱(101)은 도 1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와 함께 하단 샤프트(107, 106)도 역시 도 1의 위치로 각각 b와 a의 간격만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중 제2 링크 부재(105)의 하단 샤프트(107)의 이동을 평면도로 나타내면 도 3과 같다. 즉 사용자가 키 톱(101)을 누르고 뗌에 따라, 한 쌍의 제2 링크 하단 샤프트(107)는 장착편(110)의 하측에서 활주하는데, 좌측의 제2 링크 하단 샤프트(107a)는 좌측의 장착편(110a) 하측에서 소정 거리(b1) 만큼 이동하고 우측의 제2 링크 하단 샤프트(107b)는 우측의 장착편(110b) 하측에서 소정 거리(b2) 만큼 이동한다. 즉 제2 링크 부재(105)는 입력이 없는 대기 위치(실선으로 표시)와 사용자가 키 톱(101)을 누르는 입력 위치(점선으로 표시) 사이에서 소정 거리(b1, b2) 만큼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때 키 스위치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b1=b2=b가 된다.
하지만, 다수의 조건하에서 b1≠b2인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거리(b1, b2)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되면, 해당 키 톱(101)은 도 4에서와 같이 기울어지게 된다. 도 4에서, 해당 키 톱(101b)은 인접한 키 톱(101a)으로부터 상단 사이의 거리가 c1이고, 하단 사이의 거리가 c2가 된다. 따라서, 거리(c1, c2) 사이의 차이에 의해 해당 키 톱(101b)이 인접한 키 톱(101a)으로부터 소정 각도(α) 만큼 기울어진다. 이렇게 되면 키 톱(101b)을 눌러도 접점의 연결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키 입력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키 톱(101)에 화살표(F)와 같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발생한다. 이러한 힘은 통상 사용자가 키 톱(101)의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누르거나 키보드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힘이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 정도 이상으로 가해지면 장착편(110), 링크 부재(105, 106) 또는 하단 샤프트(106, 107) 등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키 스위치 장치(100)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되지 않아 키 입력 불량을 만성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고무 스위치(112)를 불균형하게 압박하여 스트레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부재의 회전축 변위를 방지하여 키 톱이 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링크 부재의 회전축 변위 및 키 톱의 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는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링크 부재의 회전축 변위 및 키 톱의 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함으로써 구성요소의 변형 및 그에 따른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의 일부 절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입력 위치에서의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링크의 대기 및 입력 위치에서의 위치 이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키 톱의 기울어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링크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대기 위치에서 제2 링크 부재의 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된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입력 위치에서 제2 링크 부재의 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대기 위치에서 제2 링크 부재의 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입력 위치에서 제2 링크 부재의 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제2 링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제2 링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1: 키 톱 12, 16: 링크 부재
13, 14, 17, 18: 샤프트 19, 19-1, 19-2: 보스
24: 슬릿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키스위치 장치는 하면에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키 톱(Key Top); 상기 키 톱의 수용부 중의 일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 및 상기 상단 샤프트 반대편의 한 쌍의 하단 샤프트를 구비하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가위형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키 톱의 다른 수용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 상기 상단 샤프트 반대편의 한 쌍의 하단 샤프트, 및 상기 하단 샤프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 하향 연장된 한 쌍의 보스를 구비하는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하단 샤프트를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두 쌍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스를 상기 하단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키 톱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며, 상기 키 톱에 의해 눌러지는 탄성 스위치가 접촉하는 접점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키 스위치 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보스는 상기 제2 링크 하단 샤프트들이 이루는 축에서 하향 연장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상기 보스를 수용할 만큼의 폭과, 상기 키 톱의 눌러짐과 복귀에 따른 보스의 회동을 허용할 만큼의 길이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이라 함은 도면상의 좌측 또는 우측을 말하고, '상측' 또는 '하측'이라 함도 역시 도면상의 상측 또는 하측을 말하며, 이밖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들도 역시 도면상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키 스위치 장치(10)는 통상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비의 입력작업을 위한 키보드에 사용된다. 상기 키 스위치 장치(10)는 하면에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키 톱(11), 이 키 톱(11)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로 가위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링크 부재(12, 15), 상기 링크 부재(12, 15) 하측의 멤브레인 부재(25)와 지지판(19), 및 상기 링크 부재(12, 15)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 스위치(29)를 포함한다.
상기 키 톱(11)은 그 하면에 복수의 수용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 부재(12)는 상기 수용부 중의 일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14) 및 상기 상단 샤프트(14)의 반대편에 형성된 한 쌍의 하단 샤프트(1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링크 부재(16)는 상기 제1 링크 부재(12)와 가위형으로 결합된다. 제2 링크 부재(16)는 상기 키 톱(11)의 다른 수용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17), 상기 상단 샤프트(17)의 반대편의 형성된 한 쌍의 하단 샤프트(18), 및 상기 하단 샤프트(18) 사이의 소정 위치에 하향 연장된 한 쌍의 보스(19)를 구비한다. 보스(19)는 하단 샤프트(18)들이 이루는 축에서 제2 링크 부재(16)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링크(12)는 상기 한 쌍의 상단 샤프트(13) 사이에 평탄한 지지면(15)이 형성되어, 대기 위치에서 상기 키 톱(11)의 하면과 면접촉함으로써, 제1 링크(12)가 키 톱(11)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링크(16)도 역시 상기 한 쌍의 상단 샤프트(17)의 말단에 평탄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샤프트(17) 쪽의 제2 링크(16)의 단부를 바로 연결하고 이 바의 상부에 평탄한 지지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선택적인 구성도 역시 제1 링크(12)의 지지면(15)과 마찬가지로 키 톱(11)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제1 링크 부재(12)의 하단 샤프트(14)를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후크 형태의 한 쌍의 장착편(21a)과 상기 제2 링크 부재(16)의 하단 샤프트(18)를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후크 형태의 한 쌍의 장착편(21b)을 구비한다. 이들 장착편(21a, 21b) 둘레에는 개구(22, 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편(21a) 사이에는 한 쌍의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4)은 상기 보스(19)를 상기 한 쌍의 하단 샤프트(18)가 이루는 축의 방향(이하 “샤프트 축방향”이라 함)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각각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슬릿(24)의 폭은 상기 보스(19)의 샤프트 축방향의 두께에 해당하고, 길이는 상기 샤프트 축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 축방향을 중심으로 보스(19)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상기 멤브레인 부재(28)는 키 톱(11)의 하부에서 지지판(20)의 위층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지지판(20)의 개구(22) 및 슬릿(24)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개구(26)와 지지판(20)의 한 쌍의 개구(23)에 대응하는 하나의 개구(27)가 형성되어 있다.각각의 개구(26)는 해당 장착편(21a)을 통과시키면서 해당 슬릿(24)을 노출시키는 크기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개구(27)는 해당하는 한 쌍의 장착편(21b)을 통과시키는 크기를 갖는다.
한편, 멤브레인 부재(28)에는 접점(P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점(P1)은 인쇄회로패턴(도시 생략)에 의해 키보드 또는 휴대용 전자장비의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멤브레인 부재(28)의 예로는 대만에 소재한 순온전자(Shunon Electronics)에서 입수 가능한 Np 시리즈 키 스위치 멤브레인이 있다.
멤브레인 부재(28)의 위층에는 키 톱(11)에 의해 눌러지는 고무 스위치(29)가 배치되며, 이 고무 스위치(29)는 고무 시트(28)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무 시트(28)는 하층의 멤브레인 개구(26, 27)에 각각 상응하는 개구(30, 3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무 스위치(29)의 내측에는 하향 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상측의 키 톱(11)이 눌러지고 그에 따라 고무 스위치(29)가 찌부러지면, 하측의 멤브레인 부재(26)의 접점(P1)을 눌러 키 톱(11)의 눌러짐 즉 입력이 감지되게 한다.
도 7은 제2 링크 부재(16)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9)는 하단 샤프트(18)들이 이루는 축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하측으로 즉 샤프트 축방향에서 수직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보스(19)는 키 톱(11)이 눌러지지 않은 대기 위치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판(20)의 슬릿(24)에 위치하며, 키 톱(11)이 눌러진 상태인 입력 위치(도 2 참조)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 상태로 슬릿(24)안에 위치하게 된다. 도 8 및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스(19)는 키 톱(11)이 눌러지면 우측으로 회동하여 그 말단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보스(19)의 회동 및 그 말단의 이동은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10)의 저면도인 도 10 및 11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대기 위치에서 보스(19)의 말단은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11의 입력 위치에서 보스(19)의 말단은 우측으로 이동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24)은 이와 같은 보스(19)의 회동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 슬릿(24)의 폭은 도 10 및 11에서와 같이 보스(19)의 폭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므로 보스(19)와 그에 따른 전체 제2 링크(16)의 샤프트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즉 제2 링크(16)의 회전축 변위가 방지되고,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관찰되는 키 톱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제2 링크(16)의 회전축 변위 및 키 톱(11)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므로, 제2 링크(16) 및 장착편(21a)의 변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무 스위치(29)에 불균형한 힘을 가해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제2 링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2 링크(16-1)는 도 7의 제2 링크(16)와 그 구성이 유사하지만, 보스(19-1)가 샤프트 축방향의 우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다시 하측으로 연장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보스(19-1)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판의 대응하는 슬릿(도시 생략)도 역시 보스(19-1)의 위치만큼 전체 위치가 이동된다. 이들 보스(19-1) 및 대응 슬릿을 제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나머지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제2 링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제3 링키(16-2)는 도 6 및 12의 제2 링크(16, 16-1)와 그 구성이 유사하지만, 보스(19-1)가 샤프트 축방향 좌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이동한 위치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보스(19-2)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판의 대응하는 슬릿(도시 생략)도 역시 보스(19-2)의 위치만큼 전체 위치가 이동된다. 이들 보스(19-2) 및 대응 슬릿을 제외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의 나머지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스위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키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보스를 링크 부재에 설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슬릿을 지지판에 설치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관찰되는 해당 링크의 회전축 변위 및 그에 따른 키 톱의 기울어짐이 방지됨으로써 키 스위치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이 확보된다. 또한, 이와 같이 링크의 회전축 변위 및 키 톱의 기울어짐이 방지되므로, 링크 및 장해당 장착편의 변형이 방지된다. 아울러, 고무 스위치에 불균형한 힘을 가해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하면에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키 톱(Key Top);
    상기 키 톱의 수용부 중의 일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 및 상기 상단 샤프트 반대편의 한 쌍의 하단 샤프트를 구비하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가위형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키 톱의 다른 수용부에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샤프트, 상기 상단 샤프트 반대편의 한 쌍의 하단 샤프트, 및 상기 하단 샤프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 하향 연장된 한 쌍의 보스를 구비하는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링크 부재의 하단 샤프트를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두 쌍의 장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스를 상기 하단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키 톱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며, 상기 키 톱에 의해 눌러지는 탄성 스위치가 접촉하는 접점을 갖고 상기 지지판의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가 개방된 멤브레인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스는 상기 제2 링크 하단 샤프트들이 이루는 축에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스는 상기 제2 링크 하단 샤프트들이 이루는 축에서 횡방향 수직으로 동일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스는 상기 제2 링크 하단 샤프트들이 이루는 축의 상기 탄성 스위치 반대편에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스는 상기 제2 링크 하단 샤프트들이 이루는 축의 상기 탄성 스위치 쪽에서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보스를 수용할 만큼의 폭과, 상기 키 톱의 눌러짐과 복귀에 따른 보스의 회동을 허용할 만큼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 스위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상단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상단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키 톱의 하면과 면접촉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하단 샤프트를 수용하는 장착편은 후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장치.
KR1020030029328A 2003-05-09 2003-05-09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KR20040096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28A KR20040096347A (ko) 2003-05-09 2003-05-09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28A KR20040096347A (ko) 2003-05-09 2003-05-09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47A true KR20040096347A (ko) 2004-11-16

Family

ID=3737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328A KR20040096347A (ko) 2003-05-09 2003-05-09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3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97B1 (ko) * 2007-02-13 2008-08-19 럭시움라이팅(주) 키보드 스위치
KR100891480B1 (ko) * 2007-02-09 2009-04-01 럭시움라이팅(주) 키보드용 스위치 체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80B1 (ko) * 2007-02-09 2009-04-01 럭시움라이팅(주) 키보드용 스위치 체결구조
KR100852897B1 (ko) * 2007-02-13 2008-08-19 럭시움라이팅(주) 키보드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6227A (en) Keyswitch key apparatus
JP2694013B2 (ja) 電子機器
US8492669B2 (en) Key device
US6723935B1 (en) Keyswitch device and keyboard device
US8080755B2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having such key structure
JP2012243627A (ja) キースイッチ構造
US6118092A (en) Key switch for keyboard
US6815627B2 (en) Keyswitch structure for computer keyboard
JP4341733B2 (ja) キースイッチ構造
US7135647B2 (en) Keyboard
US10409316B1 (en) Key device
US6730868B1 (en) Keyswitch device and keyboard device
KR20040096347A (ko) 키 톱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키 스위치 장치
JP2005108802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34330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12940A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JP2007042431A (ja) 操作ボタンの取り付け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3628A (ja) キースイッチおよびキーボード
US7642477B2 (en) Button fixing mechanism
TWM613569U (zh) 觸控板機構
TWI607473B (zh) 按鍵及其鍵盤
JP2004319422A (ja) キー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これを具備する携帯用電子装備
US10832879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70619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JP4230795B2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