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6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4360A KR20040094360A KR1020040030393A KR20040030393A KR20040094360A KR 20040094360 A KR20040094360 A KR 20040094360A KR 1020040030393 A KR1020040030393 A KR 1020040030393A KR 20040030393 A KR20040030393 A KR 20040030393A KR 20040094360 A KR20040094360 A KR 200400943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contact
- housing
- wall
- partition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4)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제2 컨택트(15)는 Non-ZIF 타입이며, 주체부(41)와, 이 주체부(41)로부터 접속 부재(2)의 삽입 방향(X)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빔(43)과, 주체부(41)로부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44) 내로 연장되는 탄성빔(45)을 구비한다. 탄성빔(45)은 고정빔(4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편부(47)와, 제1 편부(47)로부터 절첩된 제2 편부(48)를 포함하여, 양편부(47, 48) 사이에 접속 부재(2)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S)을 구획한다. 제1 편부(47)가 미소한 간극량(d)만큼 탄력적으로 가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平形)의 접속 부재를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서 전방으로부터 삽입한 FPC 등의 접속 부재를 컨택트의 슬롯 사이에 소정의 삽입력으로 삽입하여, 슬롯의 확대 개방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접촉부(접점부)의 접촉 압력을 얻는, 소위 Non-ZIF(Non-Zero InsertForce) 타입의 전기 커넥터가 있다.
한편, 접속 부재를 무삽입력으로 하우징 내에 삽입한 후, 커버를 폐쇄함으로써, 접속 부재를 각 컨택트의 접촉부에 가압하여 접압(접촉 압력)을 확보하는 ZIF(Zero Insert Force) 타입의 전기 커넥터가 있다. 그 중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1 및 제2 컨택트의 접촉부를 서로 전후로 움직이는, 소위 W-ZIF(Double Zero Insert Force) 타입의 전기 커넥터도 있다(예컨대, 특허 공개 제2002-252049호).
상기한 특허 공개 제2002-252049호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트를 하우징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여, 이 제2 컨택트의 접촉부를 상기 ZIF 타입의 제1 컨택트의 접촉부보다도 후방(접속 부재의 삽입 방향측)에 배치하여, Non-ZIF 타입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제2 컨택트에서는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주체부로부터 하우징의 유지 구멍의 저벽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편부(片部)와, 제1 편부의 선단으로부터 U자형을 이루어 전방으로 경사형으로 절첩되는 제2 편부가 설치된다.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접속 부재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로, 제2 컨택트의 제1 편부가 하우징의 유지 구멍의 저벽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지만, 제1 편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의 높이가 변동하여, 복수의 접촉부의, 소위 공평면성(共平面性;Coplanarity)이 달성되지 않는다.
한편, 접속 부재로서의 FPC는 그 명칭으로부터도 기본적으로는 유연하지만,하우징 내로의 삽입시에 좌굴 등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소의 경도(강성)가 있는 편이 삽입하기 쉽고, 작업성이 좋다. 이 때문에, 다소의 강성이 있는 FPC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부의 높이가 변동하는 경우나 강성이 있는 FPC 등이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일부의 제2 컨택트의 접촉부와 접속 부재를 양호하게 접촉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컨택트의 접촉부의 높이가 변동되는 경우나 비교적 강성이 있는 FPC가 이용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확실한 접속을 얻을 수 있는 소형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보강판에 관해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1 컨택트에 관해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2 컨택트에 관해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접속 부재를 삽입하고자 하는 한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접속 부재를 삽입한 후에 커버를 폐쇄하여 접속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하우징의 주요부의 일부 파단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 커넥터
2: 접속 부재
2a: 선단부
3: 삽입 공간
4: 하우징
5: 상측판부
6: 개구부
7: 커버
10: 회전 지지축
C: 회전 축선
12: 보강판
14: 제1 컨택트
15: 제2 컨택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평형의 접속 부재를 도입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확대 개방 가능한 슬롯을 갖는 복수의 컨택트와, 각 컨택트의 적어도 슬롯을 형성하는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구멍을 가로로 나란히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주체부와, 이 주체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하우징의 고정 구멍에 압입되는 고정빔과, 주체부로부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 내로 연장되는 탄성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빔은 상기 고정빔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편부와, 이 제1 편부의 선단부에서 절첩되어 제1 편부와의 사이에 상기 슬롯을 구획하는 제2 편부를 포함하며, 이 제2 편부의 선단부에는 슬롯에 삽입된 접속 부재를제2 편부의 탄성 반발력으로 제1 편부의 접촉부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설치되고, 접속 부재가 슬롯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편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대향벽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편부가 미소한 간극만큼 탄력적으로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컨택트의 접촉부의 높이에 변동이 생긴 경우나, 접속 부재로서, 예컨대 비교적 강성이 있는 FPC가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편부에 의해서 이것을 흡수하여 접속 부재를 모든 접촉부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미소한 간극이면 전기 커넥터의 높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소형화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미소한 간극이 0.02∼0.1 mm이면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와 접촉부로의 접속을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탄성빔의 굽힘 지점(支點)이 되는 제1 편부의 기단부를 상기 대향벽이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이격시켜 두면, 제1 편부를 상기 미소한 간극만큼 확실하게 가동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의 상기 대향벽과 반대측의 벽으로부터 상기 대향벽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구멍의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 이 구획벽은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경우에는,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제1 편부의 접촉부로의 접속 부재의 압박력을 높여, 접촉부에 대한 확실한 접압(접촉 압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2는 전기 커넥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는 전방으로부터, 예컨대 FPC 등의 접속 부재(2)(도 6 참조)가 삽입 인출되는 삽입 공간(3)을 구획하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 하우징으로서의 하우징(4)을 갖추고 있다.
이 하우징(4)의 전방 절반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의 상측판부(5)의 개구부(6)를 통해 상측을 향해서 개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4)에는 회전 축선(C)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가동 하우징으로서의 커버(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7)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부(6)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7)는 보강 부재로서의, 예컨대 단면 원형의 보강 와이어(8, 9)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보강 와이어(8, 9)의 일부는 커버(7)의 수지 성형시에 인서트되어 매설되어 있다.
한쪽의 보강 와이어(8)는 커버(7)의 한 쌍의 측부(7a)에서 각각 크랭크형으로 굴곡하고, 보강 와이어(8)의 한 쌍의 단부는 커버(7)의 한 쌍의 측부(7a)에서 돌출함으로써 회전 지지축(10)을 구성하고 있다. 각 회전 지지축(10)은 커버(7)의 회전 축선(C)을 따라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각 회전 지지축(10)은 하우징(4)의 대응하는 측판(11)에 각각 고정되는 금속제의 보강판(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쪽의 보강 와이어(9)의 한 쌍의 단부는 커버(7)의 한 쌍의 측부(7a)로부터 노출하고, 해당 노출 부분에 의해서 한 쌍의 로크(lock)용 결합부(13)를 구성하고 있다. 각 로크용 결합부(13)는 보강판(12)에 결합함으로써 커버(7)를 폐쇄 상태로 로크한다.
하우징(4)이 대향하는 측판(11)에 의해서 상기 삽입 공간(3)의 양측부가 구획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에는 각 복수의 제1 및 제2 컨택트(14, 15)가 서로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어 유지되어 있다.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보강판(12)은 주체부(16)와, 주체부(16)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3)의 고정 구멍(17) 내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걸림 돌기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편부(18)와, 주체부(1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제1 연장 설치편(19)과, 주체부(16)의 전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제2 연장 설치편(20)과, 주체부(1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갈고랑이 형상을 이루는 제3 연장 설치편(21)을 포함한다.
제1 연장 설치편(19)은 회전 지지축(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부(22)를 갖는다. 하우징(4)의, 예컨대 돌기로 이루어지는 이탈 규제부(23)가 회전 지지부(22)로부터의 회전 지지축(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제2 연장 설치편(20)은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로크부(24)를 포함한다. 커버(7)의 폐쇄 상태에서 로크용 결합부(13)가 로크부(24)에 결합함으로써,커버(7)를 폐쇄 상태로 로크할 수 있다. 제3 연장 설치편(21)은 회로 기판(25)의 표면(25a)에 납땜되는 고정부(26)를 갖고 있다.
계속해서,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컨택트(14)는 판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우징(4)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제1 컨택트(14)는 주체부(27)와, 주체부(27)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하우징(4)의 고정 구멍(28)에 걸림 돌기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 편부(29)와, 주체부(27)의 하부로부터 전방의 삽입 공간(3) 내로 연장하여 설치되는 탄성 편부(30)와, 주체부(27)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하우징(4)의 후방부에 있는 회로 기판(25)의 표면(25a)에 납땜되는 리드부(31)를 포함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편부(30)는 하우징(4)의 하측판부(32)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 홈(33)에 후방으로부터 수용된다. 탄성 편부(30)의 후단부가 주체부(27)에 의해서 외팔보형으로 지지되어 있다. 탄성 편부(30)의 전단(34)에는 접속 부재(2)에 대한 접촉 압력을 확보하기 위한 상향의 산모양 돌기로 이루어지는 접촉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편부(30)의 접촉부(35)는 수용 홈(33)으로부터 삽입 공간(3) 내로 진출하고 있다.
고정 편부(29)의 전단(36)은 하우징(4)의 상측판부(5)의 전방으로 노출하고, 폐쇄 자세의 커버(7)의 후방 가장자리(7b)에 설치되는 캠부(37) 위에 연장되어 있다. 캠부(37)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캠부(37)에 인접하여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릴리프부(38)는 커버(7)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되었을 때에, 고정 편부(29)의 전단(36)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접속 부재(2)가 무삽입력으로 삽입 공간(3)에 삽입된 후에 커버(7)를 폐쇄함으로써, 접속 부재(2)가 제1 컨택트(14)의 접촉부(35)에 대하여 가압되어 접촉 압력을 확보한다. 즉, 제1 컨택트(14)는 ZIF(제로·인서트·포스) 타입용이다.
구체적으로는, 캠부(37)의 일면은 커버(7)의 폐쇄 상태에서 고정 편부(29)의 전단(36)에 의해 수용되는 수압부(受壓部)(39)로 되어 있고, 이 수압부(39)의 대향면(배면)이 가압부(40)로 되어 있다. 가압부(40)는 커버(7)가 폐쇄되었을 때에 제1 컨택트(14)의 접촉부(35) 위에 위치하고, 수압부(39)가 고정 편부(29)의 전단(36)에 의해 수용된 상태에서, 접속 부재(2)를 제1 컨택트(20)의 접촉부(35)에 가압한다.
캠부(37)는 가압부(40)에 인접하는 면으로서, 도 6에 도시하는 커버(7)의 개방 상태에서 제1 컨택트(14)의 접촉부(35)에 대향하는 개방시 대향면(70)을 갖고 있다. 커버(7)의 개방 상태에서 개방시 대향면(70)과 접촉부(35) 사이에는 접속 부재(2)를 무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 부재(2)의 자유 상태의 두께와 동등 이상의 충분한 간극이 설치된다. 한편, 커버(7)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40)와 접촉부(35) 사이는 접속 부재(2)의 자유 상태의 두께 미만으로, 접속 부재(2)를 접촉부(35)에 가압할 수 있는 간극이 된다.
계속해서, 도 2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컨택트(15)는 판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우징(4)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제2 컨택트(15)는 주체부(41)와, 이 주체부(41)로부터 접속 부재(2)의 삽입 방향(X)에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4)의 고정 구멍(42)에 걸림 돌기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빔(43)과, 주체부(41)로부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44) 내로 연장되는 탄성빔(45)과, 주체부(41)의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하우징(4)의 전방부에 있는 회로 기판(25)의 표면(25a)에 납땜되는 리드부(46)를 포함한다.
제2 컨택트(15)는 커버(7)의 개방 상태에서 삽입 공간(3) 내에 삽입된 접속 부재(2)를 슬롯(S) 사이에 소정의 삽입력으로 삽입하여, 슬롯(S)의 확대 개방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후술하는 접촉부(49)(접점부)의 접촉 압력을 얻는, 소위, Non-ZIF(논·제로·인서트·포스)용이다.
탄성빔(45)은 고정빔(4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편부(47)와, 이 제1 편부(47)의 선단부(47a)로부터 절첩되어 제1 편부(47)와의 사이에 접속 부재(2)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S)을 구획하는 제2 편부(48)를 포함한다.
제2 편부(48)의 선단부(48a)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S)에 삽입된 접속 부재(2)를 제1 편부(47)의 접촉부(49)에 제2 편부(48)의 탄성 반발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산모양 돌기로 이루어지는 가압부(50)가 설치된다.
제2 편부(48)는 제1 편부(47)의 선단부(47a)로부터 절곡되고 제1 편부(47)에 대략 직교하여 하우징(4)의 상측판부(5)를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직교 부분(51)과, 이 대략 직교 부분(51)으로부터 상기 접촉부(49)를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형으로 절곡된 경사형 부분(52)을 포함하고, 이 경사형 부분(52)의 선단부에 상기가압부(50)가 설치된다.
접속 부재(2)가 슬롯(S)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부(47)와 이것에 대향하는 대향벽으로서의 하측판부(32)의 수용면(32a)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53)이 설치된다. 그 간극량(d)으로서는, 예컨대 0.02∼0.1 mm로 설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06 mm로 설정된다.
즉, 탄성빔(45)은 상기한 간극량(d)에 상당하는 가동 범위에서, 주체부(41)에 연속해 있는 제1 편부(47)의 기단부(47b)를 지점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휨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빔(45)의 굽힘 지점이 되는 제1 편부(47)의 기단부(47b)를 하측판부(32)의 수용면(32a)이 대응하는 가장자리(32b)로부터 소정량(L)만큼 이격시켜, 이 사이에 비어 있는 곳(54)을 설치해 두고, 이에 따라, 탄성빔(45)이 휨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하우징(4)의 수용 구멍(44)은 탄성빔(45)의 적어도 슬롯(S)을 형성하는 부분(55)을 수용한다. 도 4∼도 6,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4)의 상측판부(5)로부터 하측판부(32)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수용 구멍(44)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56)이 설치된다.
구획벽(56)은 삽입되는 접속 부재(2)의 선단부(2a)를 탄성빔(45)의 제1 편부(47)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57)을 갖는다. 경사면(57)은 후방[접속 부재(2)의 삽입 방향(X)]으로 감에 따라서 높이가 낮아지는, 즉 제1 편부(47)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획벽(56)에는 제1 컨택트(14)의 고정 편부(29)를 위한고정 구멍(28)이 설치된다. 또한, 구획벽(56)은 경사면(57)의 단부에 교차하는 스토퍼부(58)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스토퍼부(58)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접속 부재(2)의 선단부(2a)에 접촉함으로써, 접속 부재(2)의 삽입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전기 커넥터(1)에 접속 부재(2)를 접속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를 개방한 상태에서, 접속 부재(2)를 하우징(4)의 삽입 공간(3) 내로 삽입한다. 이 때, 접속 부재(2)의 선단부(2a)가 ZIF용 제1 컨택트(14)의 접촉부(35)를 원활하게 통과하고, 또한 내측의 Non-ZIF용 제2 컨택트(15)의 슬롯(S)을 탄력적으로 확대 개방시켜 접촉부(49)를 통과하며,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벽(56)의 경사면(57)에 의해서 제2 컨택트(15)의 제1 편부(47)측으로 유도하도록 하면서 스토퍼부(58)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접속 부재(2)가 정규의 삽입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커버(7)를 폐쇄하면 상기한 가압부(40)의 기능으로 접속 부재(2)와 제1 컨택트(14)의 접촉부(35)의 접속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대신에 FFC(Flexible Flat Cable)나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접속 부재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접속 부재를 가로 방향에서가 아니라 상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한 종형의 전기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Non-ZIF용 제2 컨택트(15)의 탄성빔(45)의 제1편부(47)를 미소한 간극량(d)만큼 탄력적으로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2 컨택트(15)의 접촉부(49)의 높이에 변동이 생긴 경우나, 접속 부재(2)로서, 예컨대 비교적 강성이 있는 FPC가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을 제1 및 제2 편부(47, 48)에 의해서 흡수하여, 접속 부재(2)를 복수의 제2 컨택트(15)의 모든 접촉부(49)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미소한 간극량(d)이면 전기 커넥터(1)의 높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소형화를 손상하는 일이 없으며, 특히, 간극량(d)을 0.02∼0.1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0.06 mm로 설정함으로써 전기 커넥터(1)의 소형화와 상기 접촉부(49)로의 접속을 확실하게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비어 있는 곳(54)을 설치함으로써, 제2 컨택트(15)의 탄성빔(45)이 휨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제1 편부(47)를 간극량(d)만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2)의 예컨대 선단부(2a)를 구획벽(56)의 경사면(57)에 의해서 제2 컨택트(15)의 탄성빔(45)의 제1 편부(49)측으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접속 부재(2)를 제1 편부(49)의 접촉부(49)로 압박하는 압박력을 높여, 접촉부(49)에 대한 확실한 접압(접촉 압력)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구획벽(56)의 경사면(57)이 제2 컨택트(15)의 접촉부(49)보다 후방[접속 부재(2)의 삽입 방향(X)의 내측]의 위치에서 접속 부재(2)를 유도하도록 했지만, 이 대신에, 제2 컨택트(15)의 접촉부(49)보다 전방의 위치에서 접속 부재(2)를 제1 편부(47)측으로 유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Claims (8)
-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평형의 접속 부재를 도입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확대 개방 가능한 슬롯을 갖는 복수의 컨택트와,각 컨택트의 적어도 슬롯을 형성하는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구멍을 가로로 나란히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구비하고,상기 컨택트는 주체부와, 이 주체부에서 상기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하우징의 고정 구멍에 압입되는 고정빔과, 주체부에서 하우징의 수용 구멍 내로 연장되는 탄성빔을 포함하고,상기 탄성빔은 상기 고정빔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편부와, 이 제1 편부의 선단부에서 절첩되어 제1 편부와의 사이에 상기 슬롯을 구획하는 제2 편부를 포함하며,이 제2 편부의 선단부에는 슬롯에 삽입된 접속 부재를 제2 편부의 탄성 반발력으로 제1 편부의 접촉부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설치되고,접속 부재가 슬롯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편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대향벽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설치되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한 간극은 0.02∼0.1 mm인 것인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빔의 굽힘 지점이 되는 제1 편부의 기단부를 상기대향벽이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이격시켜 두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빔의 굽힘 지점이 되는 제1 편부의 기단부를 상기 대향벽이 대응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이격시켜 두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대향벽과 반대측의 벽으로부터 상기 대향벽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구멍의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이 구획벽은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대향벽과 반대측의 벽으로부터 상기 대향벽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구멍의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이 구획벽은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대향벽과 반대측의 벽으로부터 상기 대향벽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구멍의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이 구획벽은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것인 전기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기 대향벽과 반대측의 벽으로부터 상기 대향벽측으로 연장되어 수용 구멍의 측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이 구획벽은 슬롯 사이에 삽입되는 접속 부재의 선단부를 제1 편부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것인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27267A JP4275453B2 (ja) | 2003-05-02 | 2003-05-02 | 電気コネクタ |
JPJP-P-2003-00127267 | 2003-05-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4360A true KR20040094360A (ko) | 2004-11-09 |
KR100591583B1 KR100591583B1 (ko) | 2006-06-20 |
Family
ID=3350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0393A KR100591583B1 (ko) | 2003-05-02 | 2004-04-30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275453B2 (ko) |
KR (1) | KR100591583B1 (ko) |
CN (1) | CN1277336C (ko) |
TW (1) | TWI24623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86616B1 (fr) | 2012-02-06 | 2014-11-21 | Arkema France | Procede de modelisation de permeation aux essences d'une structure polymere multicouches |
EP3281502B1 (en) * | 2015-04-09 | 2021-03-17 |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 Electronics module extraction feedback system |
CN105792506B (zh) * | 2016-03-25 | 2018-11-27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Fpc、fpc连接器和fpc连接装置 |
-
2003
- 2003-05-02 JP JP2003127267A patent/JP42754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4-22 TW TW093111281A patent/TWI24623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30 KR KR1020040030393A patent/KR1005915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08 CN CNB200410042169XA patent/CN127733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46232B (en) | 2005-12-21 |
TW200428706A (en) | 2004-12-16 |
JP2004335200A (ja) | 2004-11-25 |
CN1543015A (zh) | 2004-11-03 |
JP4275453B2 (ja) | 2009-06-10 |
CN1277336C (zh) | 2006-09-27 |
KR100591583B1 (ko) | 200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7304B1 (ko) | 전기 커넥터 | |
US9954300B2 (en) | Connector | |
JP3925919B2 (ja) |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 |
KR100625068B1 (ko) |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 |
KR100572885B1 (ko)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 |
US6733325B2 (en) | Connector assembly for a flat wire member | |
US72171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939700B1 (ko) | 단자 위치 보장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
KR101692210B1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JP4028316B2 (ja) | コネクタ | |
JP2007299554A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 |
JP2001307805A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US6558187B2 (en) |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 |
KR20080008250A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CN112652902B (zh) |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 |
KR100885863B1 (ko) | 전기 커넥터 | |
KR20120084690A (ko) | 커넥터 | |
JP2001126793A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
KR20020068956A (ko) | 전기 커넥터 | |
KR101434924B1 (ko) | 커넥터 | |
KR100742599B1 (ko) |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 |
KR20050008428A (ko) | 전기 커넥터 | |
KR100591583B1 (ko) | 전기 커넥터 | |
CN210607776U (zh) | 柔性软板电连接器 | |
KR100591116B1 (ko) | 전기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