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840A -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840A
KR20040093840A KR1020030027681A KR20030027681A KR20040093840A KR 20040093840 A KR20040093840 A KR 20040093840A KR 1020030027681 A KR1020030027681 A KR 1020030027681A KR 20030027681 A KR20030027681 A KR 20030027681A KR 20040093840 A KR20040093840 A KR 2004009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memory
digital audio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258B1 (ko
Inventor
최상철
Original Assignee
실리샌드 주식회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샌드 주식회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실리샌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2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MP3 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저장할 때 방송명과 저장되는 메모리 번지를 인덱스로 작성하고 데이터 서비스 신호와 오디오 서비스 신호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P3 음악 파일을 들으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저장할 수 있고, 한 채널의 방송을 들으면서 다른 채널의 방송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디오 서비스 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 신호도 재생 및 저장할 수 있고, 인덱스를 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서비스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쉽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ER AND OPERAT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고 함)은 AM(Amplitude Modulation)과 FM(Frequence Modulation)에 이은 3세대 라디오로서 콤팩트디스크(CD) 수준의 고음질 음성은 물론, 문자·그래픽·동화상 등 멀티미디어 시대에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우수한 이동 수신의 품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라디오 방송이다. 이러한 DAB는 종래의 단방향성의 듣는 라디오에서 고품질의 오디오, 디스플레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및 양방향성 등의 기능을 갖는다. 한편, DAB는 오디오 이외에 비디오,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는 ITU의 규정에 의거하여 국내에서는 DAB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고 함)으로 개칭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DMB의 수신기로는 피씨(PC)-카드형, 홈 오디오형, 자동차용 등이 있으며, 전송수단인 매체의 성격에 따라 지상 방송국에서 지상파를 이용한 서비스와 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 서비스로 구분된다. 위성을 이용한 방송은 방송국에서 제작된 영상 및 음성 신호 등을 송신 지구국을 통하여 발사하고 적도 상공에 떠있는 정지위성인 인공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먼 곳에 있는 수신 지구국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지상 디지털 방송 지구국에서 디지털 방송을 위해 위성으로 신호가 전송되고, 위성에서 수신된 신호는 L-밴드를 통해 다운 스트림(Down Stream) 된다. 또한, 지상파를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서는 방송 지구국에서 디지털 방송을 직접 출력한다. 이러한 두 가지 방식에 의해 출력된 방송 신호는 이동 및 고정 디지털 수신기에 의해서 수신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은 범 유럽에서 공동으로 제안한 아웃 오브 밴드(OUT-of-BAND) 방식의 유레카(EUREKA)-147 방식과 미국에서 제안한 인 밴드(IN-BAND)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중 EUREKA-147 방식은 아날로그 방송이 서비스되는 FM 대역 이외의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의 이용과 광대역 전송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UREKA-147 방식은 30MHz ~ 3GHz의 주파수 대역 즉, VHF(Very High Frequency), UHF(Ultra High Frequency) 및 엘밴드(L-band ; 1~2㎓)/에스밴드(S-band ; 2~4㎓) 대역(위성방송 대역)에서 운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FM 대역과 TV 대역을 통한 지상파 방송과 L/S 대역을 통한 위성 방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대역 전송으로 인한 이동체에서의 수신 성능 개선,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및 단일 주파수 망 구성을 통하여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개발된 디지털 오디오방송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밴드 방식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방식으로서, AM 또는 FM 채널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IBOC(In-Band On-Channel)방식과 FM 채널의 인접 채널을 이용하는 IBAC(In-Band Adjacent-Channel)방식이 제안되었다.
한편, DAB에서는 한 주파수 채널에 다수의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다. 즉, DAB는 변조파의 대역폭이 1.5㎒인데, 여기에 실리는 서비스 수나 전송률 및 오류 부호용에 사용되는 중첩 부호화율(R)은 최대용량(약 2.3Mbps) 이내에서 자유롭게 설정된다. 실제로 방송되고 있는 내용을 보면 음악방송 등의 고음질 서비스에서는 스테레오 192Kbps의 데이터율을 사용하며 R=0.5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6개의 서비스를 다중 방송할 수 있다. 또한, DAB로 서비스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MPEG-1 layer-2 (MUSICAM) 방식이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다중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주파수 채널에 여러 방송(서비스)을 실어서 보낼 수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의 다중화 전송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의 다중화 프레임은 동기화 채널, 고속채널정보(Fast Information Channel, FIC) 및 주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MSC)로 이루어진다. FIC는 다중화 배열 정보(MCI) 및 서비스 정보(SI)를 포함하며, MSC는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Radio 1, Radio 2, Radio 3, Radio 4)와 다수의 비(非)오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 정보(SI)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수신기는 이러한 다중화 프레임 중에서 한가지 방송(서비스)만을 선택하여 디코딩하며, 선택되지 않은 방송은 버리게 된다. 따라서, 메모리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수신기의 경우에도 메모리를 관리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선택된 음악 방송을 들으면서 그 방송을 녹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서비스되는 모든 방송을 녹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가 MP3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경우에도 MP3 음악을 들으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 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중 원하는 방송을 검색하여 들을 수 있는 기능도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이 서비스되는 경우 한 방송을 들으면서 다른 방송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MP3 플레이 기능을 가지고, 송신되는 방송을 저장하면서 MP3 음악을 들을 수 있는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된 다수의 방송 중 원하는 방송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다중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튜너 120 : 신호 처리부
121 : A/D 변환부 122 : DFT/복조부
123 :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
130 : 디코딩부 131 : 오디오 디코더
132 : 데이터 디코더 140 : 출력부
141 : 데이터 출력 처리부 142 : D/A 변환부
143 : 스피커 144 : 디스플레이
1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60 : 제어부
170 : 메모리 관리부 180 : 메모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 신호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와 방송 저장 모드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고 동기화시키는 제어부;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코딩부로 출력되는 방송 신호 이외의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에는 MP3 파일이 더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MP3 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MP3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3 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 신호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 방송 저장 모드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고, MP3 플레이 모드에 따라 MP3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 데이터 서비스 신호 및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MP3 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송 저장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메모리의 용량이 초과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이미 저장된 파일 위에 덮어쓰거나 저장을 중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MP3 음악 파일 및 오디오 방송을 청취, 저장하는 방법은, a)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가 선택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해당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중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수신되어 출력되는 방송 신호 이외의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c) MP3 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중 선택된 파일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단계; 및 d) 상기 MP3 음악 파일 재생 중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명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번지를 인덱스로 작성하여 상기 방송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의 방송명을 통하여 원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재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이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라 명명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튜너(110), 신호 처리부(120), 디코딩부(130), 출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제어부(160), 메모리 관리부(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120)는 A/D(Analog/Digital) 변환부(121),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복조부(122) 및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123)를 포함하며, 디코딩부(130)는오디오 디코더(132)와 데이터 디코더(131)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부(140)는 데이터 출력 처리부(141), D/A 변환부(142), 스피커(143) 및 디스플레이부(144)를 포함한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선국하여 A/D 변환부(121)로 출력한다. A/D 변환부(121)는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DFT/복조부(122)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주파수 특성을 검출하고 복조한다.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123)는 인터리빙된 신호를 원래대로 재배열하고 에러를 정정하며, 오디오 디코더(132)와 데이터 디코더(131)는 디지털화된 방송 신호 즉, 오디오 방송 신호와 데이터 방송 신호를 각각 해독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드(DAB 수신모드)와 MP3 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각 부의 동작을 제어 및 동기화시키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Graphic User Interface; GUI, 150)는 사용자와 제어부(160)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메모리(180)에는 방송 신호 및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고, 메모리 관리부(170)는 메모리(180)와 메모리(180)에 저장되는 방송 신호 및 MP3 음악 파일을 관리한다. 즉, 메모리 관리부(170)는 메모리(180)에 저장된 방송 신호와 MP3 음악 파일을 삭제하거나, 메모리(180) 내에 방송 신호가 저장되는 영역과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을 관리한다. 이때, 방송 신호가 저장되는 영역과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은 통합하여 관리하거나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관리부(170)는 메모리(180)의 저장용량이 초과되었을 때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방송 신호를 저장할 때 메모리(180)의 용량이 초과되어 더 이상 저장이 불가능하면, 이미 저장된 파일 위에 덮어쓰기를 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저장을 중지하도록 한다.
데이터 출력 처리부(141)는 데이터 디코더(131)에서 디코딩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 중 PAD(Program Associated Data; 프로그램에 관련된 부가정보 데이터)를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하여 출력하고, 이외의 데이터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D/A 변환부(142)는 오디오 디코더(132)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4)는 데이터 출력 처리부(141)에서 출력된 PAD를 표시하고, 스피커(143)는 D/A 변환부(142)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DAB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튜너(110)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다수 채널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분리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얻는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부(121)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DFT & 복조부(122)를 거치면서 이산퓨리에 변환 후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123)에서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해 디인터리빙 된다. 또한,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123)는 복조된 신호를 고속채널정보(Fast Information Channel, FIC)와 주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MSC)로 분리하고, FIC는다중화 배열 정보(MCI)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주 서비스 채널을 통해 오디오 방송 데이터(이하 오디오 서비스 신호라고 함), 문자 또는 영상 등의 비(非)오디오 방송 데이터(이하 데이터 서비스 신호라고 함)가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지는 서비스 신호가 데이터 서비스 신호이면 데이터 디코더(131)로 전송되고, 오디오 서비스 신호이면 오디오 디코더(132)로 보내진다.
한편, 제어부(160)가 방송 신호 저장 기능을 선택하면, T/F 디인터리빙 & 에러정정부(123)에서 출력되는 서비스 신호 중 현재 선택되어 청취중인 방송의 오디오 서비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132)로 보내지고, 다른 방송 서비스 신호들은 메모리(180)에 저장된다. 이때, 오디오 디코더(131)로 전송된 오디오 서비스 신호는 디코딩된 후 D/A(14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최종적으로 스피커(143)를 통하여 출력된다.
한편, 메모리 관리부(170)는 서비스 신호를 메모리(180)에 저장하기에 앞서, 각 방송 서비스 신호가 저장될 번지를 지정하고, 각 방송 서비스 신호의 방송 서비스명과 방송 서비스 신호가 저장될 번지만을 선별하여 인덱스(Index)를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인덱스는 방송 서비스 신호와는 별도로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관리부(170)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메모리(180)에 저장할 때, 수신된 방송 서비스 신호가 오디오 서비스 신호인지 데이터 서비스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각각 따로 저장한다.
도 3은 이러한 방법으로 메모리(18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80)는 인덱스부(210)와 방송 신호 저장부(220)로 구분된다. 인덱스부(210)에는 각 서비스 신호의 인덱스(Index) 즉, 서비스 신호의 방송명과 저장위치가 기록되어 있으며, 방송 신호 저장부(220)에는 오디오 서비스 신호(Audio 1, Audio 2, Audio 3)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Data 1, Data2)가 저장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는 메모리(180)를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부(17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분리하여 메모리(18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비스명과 저장번지로 인덱스를 작성하여 서비스 신호와는 별도로 메모리(180)에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검색하여 청취할 수 있다.
한편, MP3 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60)가 메모리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하여 보여준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원하는 MP3 음악 파일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MP3 음악 파일을 메모리 관리부(170)로 요청한다. 그러면 메모리 관리부(170)는 해당 MP3 음악 파일을 메모리(180)에서 찾아서 오디오 디코더(132)로 보내고, 오디오 디코더(132)는 해당 MP3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고, D/A(142)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스피커(143)를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DAB의 오디오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경우, DAB의 오디오 서비스 신호는 MPEG-1 layer-2(MUSICAM) 방식를 사용하므로 MP3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132)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관리부(1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180)를 DAB 저장 영역과 MP3 파일 저장 영역을 통합하여 관리하거나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MP3 플레이어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방송 저장 기능을 선택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신호는 먼저 메모리 관리부(170)로 전송되고, 메모리 관리부(170)에서 인덱스를 작성하고 서비스 신호의 종류를 구분하여 각각을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한편, DAB 수신 모드 또는 MP3 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면서 방송 신호를 저장할 때 메모리(180)의 용량이 초과되어 더 이상 저장이 불가능하면, 메모리 관리부(170)는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이미 저장된 파일 위에 덮어쓰기를 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저장을 중지하도록 한다.
한편, 메모리(180)에 저장된 방송 서비스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메모리 관리부(170)는 메모리(180)에 저장된 인덱스(특히, 방송명)를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나의 서비스 신호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인덱스에 기록된 해당 신호의 저장번지에 저장된 서비스 신호를 서비스 신호의 종류에 맞게 데이터 디코더(131) 또는 오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 서비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132)에서 MPEG-1 layer-2(MUSICAM) 디코딩되고 D/A(142)를 거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143)를 통해 출력되며, 데이터 서비스 신호는 데이터 디코더(131)에서 디코딩되어 데이터 출력 처리부(141)로 출력된다. 데이터 출력 처리부(141)는 디코딩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 중 PAD(Program Associated Data; 프로그램에 관련된 부가정보 데이터)를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하여 출력하고, 이외의 데이터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동영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외부의 피씨(PC) 등으로 전송하여 PC를 통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EUREKA-147 방식인 DAB를 위주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인밴드(IN-BAND)방식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모리(180)는 착탈식과 고정식 메모리를 모두 포함하며,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지 않고 씨디롬 디스크(CD-ROM DISC)를 저장 및 재생 매체로 사용하는 CD-MP3 플레이어에도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버퍼로 이용할 버퍼 메모리를 별도로 두고, 기록 및 재생 매체로 CD-R 또는 CD-RW를 사용하며, CD-R/RW에 저장할 때에는 우선 버퍼 메모리에 일정량을 기록한 뒤에 CD-R/RW에 기록한다. 이 버퍼는 MP3 파일을 재생할 때에 디스크에서 파일을 읽어들여서 임시 저장하는 장소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P3 음악 파일을 들으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를 저장할 수 있고, 한 채널의 방송을 들으면서 다른 채널의 방송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디오 방송 서비스 신호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신호도 재생 및 저장할 수 있고, 인덱스를 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서비스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쉽게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 신호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와 방송 저장 모드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코딩부로 출력되는 방송 신호 이외의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MP3 파일이 더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MP3 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MP3 파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P3 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4.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 신호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 방송 저장 모드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고, MP3 플레이 모드에 따라 MP3 파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 데이터 서비스 신호 및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MP3 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받아서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메모리 관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상기 데이터 디코더를 통하여 출력된 각 데이터 서비스 신호 중 PAD(Program Associated Data; 프로그램에 관련된 부가정보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 출력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는 D/A(Digital to Analog) 변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오디오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서비스 신호에 해당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데이터 출력 처리부에서 출력된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6.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인덱스부와 방송 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와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방송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서비스 신호 또는 데이터 서비스 신호가 저장될 메모리의 저장위치와 방송명을 포함하는 인덱스를 작성하여 상기 인덱스부에 저장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저장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관리부는,
    상기 메모리의 용량이 초과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이미 저장된 파일 위에 덮어쓰거나 저장을 중지하도록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8.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MP3 음악 파일 및 오디오 방송을 청취,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모드가 선택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해당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중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수신되어 출력되는 방송 신호 이외의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c) MP3 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중 선택된 파일을 검색하여 재생하는 단계; 및
    d) 상기 MP3 음악 파일 재생 중 방송 저장 모드가 선택되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송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명 및 상기 방송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번지를 인덱스로 작성하여 상기 방송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의 방송명을 통하여 원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동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상기 방송 신호를 저장할 때 메모리의 용량이 초과되어 더 이상 저장이 불가능하면, 이미 저장된 파일 위에 덮어쓰거나 저장을 중지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동작방법.
KR10-2003-0027681A 2003-04-30 2003-04-30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10049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81A KR100490258B1 (ko) 2003-04-30 2003-04-30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81A KR100490258B1 (ko) 2003-04-30 2003-04-30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40A true KR20040093840A (ko) 2004-11-09
KR100490258B1 KR100490258B1 (ko) 2005-05-17

Family

ID=3737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681A KR100490258B1 (ko) 2003-04-30 2003-04-30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2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308B1 (ko) * 2005-01-25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이동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유료이동형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0710382B1 (ko) * 2005-05-0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오디오 기록 방법과 그를 위한장치
KR100725180B1 (ko) * 2005-07-29 2007-06-04 주식회사 아이웨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100808235B1 (ko) * 2005-04-28 2008-03-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cdm 채널 운용방법
EP1662785A3 (en) * 2004-11-30 2008-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857520B1 (ko) * 2006-12-05 2008-09-08 김종부 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0884806B1 (ko) * 2007-05-16 2009-02-20 그린테크놀러지주식회사 Dab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05B1 (ko) 2006-03-07 2007-01-16 주식회사 텔레칩스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관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2785A3 (en) * 2004-11-30 2008-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US7603079B2 (en) 2004-11-30 2009-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nd method for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data
KR100710308B1 (ko) * 2005-01-25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료 이동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유료이동형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0808235B1 (ko) * 2005-04-28 2008-03-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cdm 채널 운용방법
KR100710382B1 (ko) * 2005-05-0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오디오 기록 방법과 그를 위한장치
KR100725180B1 (ko) * 2005-07-29 2007-06-04 주식회사 아이웨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100857520B1 (ko) * 2006-12-05 2008-09-08 김종부 복합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0884806B1 (ko) * 2007-05-16 2009-02-20 그린테크놀러지주식회사 Dab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258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653B1 (ko)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수신 및 처리 방법, 수신기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신호의 수신 및 처리 시스템
US85208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e and replay functions in a digital radio broadcasting receiver
US200700891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the same
JP2006340342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チャネルの管理方法、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を受信可能な端末機
US20040116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music or data while tuned to satellite radio and karaoke system employing the same
US7822418B2 (en) Device playback using radio transmission
KR100490258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EP0905931A2 (en) Receiver for Digital Audio Broadcast comprising a plurality of decoding means for independently decoding a plurality of programmes
KR10051155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JPH10209983A (ja) Dab受信機の自動録音/再生装置
JPWO2005117275A1 (ja) 受信装置
JP3135514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の受信装置
KR100478413B1 (ko) 오디오신호의기록및재생장치
JP2002141820A (ja) デジタル音声放送の放送方法およびその受信機
JPH11234154A (ja) 多重放送受信機
JP3633379B2 (ja) Dab用ラジオ受信機の受信方法
JP366312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20090258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Audio Recorder
KR20020069754A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복합 수신기
KR20030062747A (ko) 변복조장치 및 외부장치와 연동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한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90090737A (ko) 디지털 라디오 시스템
JPH11331004A (ja) ディジタル放送記録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ラジオ放送記録システム
JPH11330997A (ja) 放送用受信機及びディジタル放送用受信機
JP2007267276A (ja) 放送受信装置
KR2008003674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의 방송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