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806B1 - Dab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Dab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806B1
KR100884806B1 KR1020070047377A KR20070047377A KR100884806B1 KR 100884806 B1 KR100884806 B1 KR 100884806B1 KR 1020070047377 A KR1020070047377 A KR 1020070047377A KR 20070047377 A KR20070047377 A KR 20070047377A KR 100884806 B1 KR100884806 B1 KR 10088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b
unit
codec
signal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106A (ko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그린테크놀러지주식회사
김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크놀러지주식회사, 김경섭 filed Critical 그린테크놀러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80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DAB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DAB 수신 장치는 수신부, 튜너부, 연결부, 코덱부, 전원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DAB 신호를 수신하고, 튜너부는 수신된 DAB 신호에서 목적하는 채널을 선택하며, 연결부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외부 장치의 코덱으로 전송한다. 또한, 코덱부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재생하고, 전원부는 튜너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DAB 수신 장치가 자체 코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덱을 구비한 별도의 외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AB, 튜너, 코덱, 안테나

Description

DAB 수신 장치{DAB recei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AB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DAB 수신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DAB 수신 장치의 내부 회로의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도 1의 충전부의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1의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AB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종래의 AM 방송이나 FM 방송과 같은 단순한 오디오 서비스를 뛰어넘어 콤팩트디스크(CD) 수준의 고품질 음성은 물론, 문자 그래픽, 동화상까지 전송이 가능한 오디오 방송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지역적으로 무료 방송을 실시하는 지상파 방송을 가리키지만, 넓게는 위성과 지상망을 동시에 활용해 멀티미디어 유료 방송을 실시하는 위성 DAB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지상파 DAB 수신 장치는 튜너만을 구비하고,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DAB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같이 코덱을 구비한 외부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휴대가 간편한 DAB 수신 장치에 비해 컴퓨터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해, DAB 수신 장치의 광범위한 활용에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덱을 구비한 외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DAB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AB 수신 장치는 수신부, 튜너부, 연결부, 코덱부, 전원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DAB 신호를 수신하고, 튜너부는 수신된 DAB 신호에서 목적하는 채널을 선택하며, 연결부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외부 장치의 코덱으로 전송한다. 또한, 코덱부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재생하고, 전원부는 튜너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DAB 수신 장치가 자체 코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덱을 구비한 별도의 외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AB 수신 장치는 코덱부에서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송부는 방송 채널을 통해 재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전송함으로 써, 코덱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출력장치로도 DAB 방송을 청취할 수 있으며, 특히, 무선 전송을 위해 방송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카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AB 수신 장치는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AB 수신 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체 전원이 필요한데, USB 잭과 같은 연결부를 이용하여 DAB 수신 장치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메모리와 같은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메모리를 사용할 때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DAB 수신 장치는 수신부의 안테나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전원부와 튜너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의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만으로 DAB 장치의 끄고 켤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장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DAB 장치를 끄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AB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DAB 수신 장치(100)는 수신부(110), 튜너부(120), 연결부(130), 코덱부(140), 전원부(150), 무선 전송부(160), 충전부(170), 저장부(180), 및 스위치부(19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DAB 신호를 수신하고, 튜너부(120)는 수신된 DAB 신호에서 목적하는 채널을 선택하며, 연결부(130)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외부 장치의 코덱으로 전송한다.
코덱부(140)는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재생하고, 전원부(150)는 튜너부(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DAB 수신 장치(100)가 자체 코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덱을 구비한 별도의 외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DAB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전송부(160)는 코덱부에서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무선 전송한다. 이때, 무선 전송부(16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재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코덱을 구비하지 않은 외부 출력장치로도 DAB 방송을 청취할 수 있으며, 특히, 무선 전송을 위해 방송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카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DAB 수신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DAB 수신 장치의 내부 회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에서 전원선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지상파 DAB 수신기에는 튜너만 있고 오디오 코덱은 컴퓨터에 있어서, DAB 수신기로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지상파 DAB 수신기에 오디오 코덱을 넣어 컴퓨터가 없어도 직접 DAB를 청취할 수 있도록 DAB 수신기를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DAB 방송은 DAB 수신 장치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청취할 수도 있지만, 장치 내부에 FM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의 카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외부 시스템을 통해서도 청취할 수 있다.
충전부(170)는 연결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부(150)를 충전하고, 저장부(180)는 연결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DAB 수신 장치(100)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체 전원이 필요한데, USB 잭과 같은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DAB 수신 장치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메모리와 같은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메모리를 사용할 때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DAB 수신 장치 내부의 배터리는 DAB수신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계속적인 전력 소모를 막기 위하여 안테나와 연결된 전원 스위치를 사용한다. 내부 배터리는 USB에 연결되어 있어서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면 충전이 된다.
도 4는 도 1의 충전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에서, 배터리는 DAB 수신 장치를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충전한다. 이때, DAB 수신 장치에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설치하여, 적색의 LED에 불이 켜지는 경우 충전 중임을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 LED에 불이 켜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USB 저장 장치로 구현되며, 특징은 저장 장치 기능을 동작하면서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에 충전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치부(190)는 수신부(110)의 안테나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전원부(150)와 튜너부(12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안테나의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만으로 DAB 수신 장치(100)의 끄고 켤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장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DAB 수신 장치(100)를 끄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에는 전원 스위치 일체형 안테나가 도시되어 있으며, DAB 수신 장치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스위치 동작은 안테나를 접었을 경우 배터리와 연결 선이 단락되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안테나를 펴면 배터리와 전원선이 연결되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DAB를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징은 안테나에 전원 스위치 구조를 일체화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하면, 안테나가 스위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AB 수신 장치가 자체 코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덱을 구비한 외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DAB 방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코덱을 구비하지 않 은 외부 출력장치로도 DAB 방송을 청취할 수 있으며, 특히, 방송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잭과 같은 연결부를 이용하여 DAB 수신 장치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되며, USB 메모리와 같은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메모리를 사용할 때 DAB 수신 장치의 충전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안테나의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만으로 DAB 장치의 끄고 켤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장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DAB 장치를 끄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안테나를 통해 DA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DAB 신호에서 목적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부; 및
    상기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외부 장치의 코덱으로 전송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수신 장치로서,
    상기 선택된 채널의 신호를 재생하는 코덱부;
    상기 튜너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안테나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와 상기 튜너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DAB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부에서 재생된 신호를 외부의 출력 장치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수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재생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수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수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수신 장치.
  6. 삭제
KR1020070047377A 2007-05-16 2007-05-16 Dab 수신 장치 KR10088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377A KR100884806B1 (ko) 2007-05-16 2007-05-16 Dab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377A KR100884806B1 (ko) 2007-05-16 2007-05-16 Dab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06A KR20080101106A (ko) 2008-11-21
KR100884806B1 true KR100884806B1 (ko) 2009-02-20

Family

ID=4028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377A KR100884806B1 (ko) 2007-05-16 2007-05-16 Dab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8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54A (ko) * 2001-02-27 2002-09-05 (주)프리샛 코리아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복합 수신기
KR20030072075A (ko) * 2002-03-05 2003-09-13 (주)프리샛 코리아 Mp3 인코더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40093840A (ko) * 2003-04-30 2004-11-09 실리샌드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20040100170A (ko) * 2003-05-21 2004-12-02 김종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20070010365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70091750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아이투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무선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54A (ko) * 2001-02-27 2002-09-05 (주)프리샛 코리아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복합 수신기
KR20030072075A (ko) * 2002-03-05 2003-09-13 (주)프리샛 코리아 Mp3 인코더가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40093840A (ko) * 2003-04-30 2004-11-09 실리샌드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20040100170A (ko) * 2003-05-21 2004-12-02 김종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20070010365A (ko) * 2005-07-18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70091750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아이투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무선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06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0820B2 (e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032650A1 (en) Integrated Bluetooth-FM "xrBlue" Adapter
EP2129166A2 (e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US20100260349A1 (en) Solar wireless sound system
US7679322B1 (en) Auxiliary power adapter having device controls
US20100190438A1 (en) Universal mutilmedia bluetooth car handsfree device
CN202364391U (zh) 基于云平台的车载音乐平台
CN201430617Y (zh) 一种发射/接收调频信号的移动终端
US8655417B2 (e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KR100884806B1 (ko) Dab 수신 장치
TWI437827B (zh) 無線訊號發射器及相關多媒體系統
CN101950155B (zh) 一种多功能智能闹钟音响
KR200400196Y1 (ko) 디지털 데이터 통신용 메모리 확장 모듈을 구비하는 이어폰장치
KR10080474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외장형 스피커
CN201566564U (zh) 车载多媒体装置
KR200427246Y1 (ko) 디엠비 휴대폰용 휴대형 보조 모니터장치
CN209913803U (zh) 一种可充电usb音频发射器
CN105034962A (zh) 智能摄像导航后视镜
CN205131101U (zh) 智能摄像导航后视镜
CN215120768U (zh) 一种蓝牙发射模块
CN101997625B (zh) 无线信号发射器及相关多媒体系统
CN218940726U (zh) 一种用于无线麦克风的辅助供电装置以及无线麦克风系统
JP2007158437A (ja) データファイル再生装置
KR100841292B1 (ko) 휴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JP3133161U (ja) 車両用マルチメディアコードレス伝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