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142A - 홈 내 수신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내 수신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142A
KR20040093142A KR10-2004-7014422A KR20047014422A KR20040093142A KR 20040093142 A KR20040093142 A KR 20040093142A KR 20047014422 A KR20047014422 A KR 20047014422A KR 20040093142 A KR20040093142 A KR 2004009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signal
tuner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터 더블유. 후이즈맨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9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홈 내 시스템은 복잡한 메인 수신기(MR) 및 적어도 하나의 표준 수신기(AR)를 포함한다. 메인 수신기(MR)는 제공기로부터 방송 신호들(HFIS)을 수신하고 방송 신호들(HFIS)을 복조 및/또는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DEM)한다. 변조기(MOD)는 복조되고 및/또는 디코딩된 방송 신호들(MIS)을 고주파수 캐리어상에 재변조하고 이런 변조된 신호(HFOS)를 표준 수신기(AR)에 제공한다. 복조,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DEM)은 메인 수신기(MR)에 의해서만 수행될 필요가 있고, 고주파수 링크를 통하여 홈 환경 내의 표준 수신기에 분배된다. 메인 수신기(MR)는 고주파수 입력 신호(HFIS)를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입력(TUi)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TUi) 및 동조기 출력 신호(TOSi)를 공급하기 위한 동조기 출력(TOUi)를 포함한다. 메인 수신기(MR)의 검사 신호 생성기(TSG)는 검사 신호(TSi)를 변조기(MODi)에 공급하여 고주파수 출력 신호(HFOSi)를 얻는다. 직접 회로(DIR)는 고주파수 출력 신호(HFOSi)를 동조기 입력(TULi)에 보내고, 검사 평가기(TE)는 동조기 출력 신호(TOUi)가 검사 신호(TSi)에 일치하는지를 평가한다. 이런 방식으로, 시스템의 성능은 검사된다.

Description

홈 내 수신기 시스템 {AN IN-HOME RECEIVER SYSTEM}
현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수신기 셋업에 있어서, 다수의 상이한 방송 시스템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공기에 의해 전송되거나 케이블상에 공급되는 지상 또는 위성 아날로그 텔레비젼 신호들외에, 디지털 방송은 보다 일반적이 되어 간다. 또한, 제공자 및 수신기의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 교환은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들은 텔레비젼 수신기에 독립된 셋톱 박스를 부가함으로써 이들 새로운 방송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업그레이드된다. 또한, 셋톱 박스의 기능을 통합한 텔레비젼 수신기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이후에서, 수신기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셋톱 박스 수신기, 텔레비젼 수신기, 오디오 수신기 또는 임의의 다른 수신기이다.
수신기는 다수의 동조기들, 예를 들어 표준 아날로그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및 대역외(out of band) 또는 예를 들어 DOCSJS 시그널링에 대한 동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외 시그널링은 인터넷 케이블 모뎀들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할 수 있고, 제공자, 또는 인터넷 액세스에 업스트림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복조기 및/또는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대역 신호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CVBS 신호, 오디오 신호, 또는 MPEG 데이터 스트림, 또는 디코딩된 MPEG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다.
신호들의 추가적인 홈 내 재분배를 위하여, 수신기의 변조기는 고주파수 캐리어상에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는 홈내의 다른 텔레비젼 수신기 또는 비디오 레코더에 이용할 수 있는 표준 아날로그 동조기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기의 성능은 복잡성의 증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홈 내 수신기 시스템, 홈 내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메인 수신기 및 홈 내 수신기 시스템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시스템의 지향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시스템의 지향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시스템의 메인 수신기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수신기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기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수신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메인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가진 홈 내 수신기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메인 수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동조기 출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공급하도록 변조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에검사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사 신호 생성기, 동조기 입력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지향시키기 위한 지향 회로, 및 동조기 출력 신호가 검사 신호에 일치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평가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청구항 제 14 항에 청구된 홈 내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메인 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청구항 제 15 항에 청구된 홈 내 시스템의 메인 수신기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한정된다.
홈 내 시스템은 메인 수신기 및 보조 수신기로 또한 언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포함한다.
메인 수신기는 제공기로부터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고 방송 신호를 복조 및/또는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한다. 변조기는 복조된 방송 신호 및/또는 디코딩된 방송 신호 및/또는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고주파 캐리어상에 재변조하고 이 변조된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와 결합된 변조된 신호를 표준 보조 수신기에 제공한다. 복조,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은 메인 수신기에 의해서만 행해질 필요가 있고, 고주파 링크를 통하여 홈 환경 내의 다른 수신기들에 분배된다. 이들 다른 수신기들은 복조, 디코딩 및/또는 디스크램블링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메인 수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에 대한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동조기 출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입력 신호는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이지만, 고주파수 대역의주파수에서(문헌에서 예를 들어 무선 방송 대역(예를 들어, FM-대역) 또는 텔레비젼 대역(예를 들어, UHF-대역)인 RF 대역이라 불린다)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오디오 비쥬얼 장치에 의한 홈 내 생성 신호일 수 있다.
메인 수신기의 검사 신호 생성기는 고주파수 출력 신호를 얻기 위하여 검사 신호를 변조기에 공급한다. 지향 회로는 고주파 출력 신호를 동조기 입력에 지향시키고, 검사 평가기는 동조기 출력 신호가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 평가한다. 이 일치 검사 결과는 예를 들어 디지털 버스나, 패스(PASS) 또는 페일(FAIL)을 가리키는 시그널링 라인을 통해 셋트 제어기/마이크로 처리기 등에 통신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메인 수신기의 성능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조기 및 변조기가 여전히 기능하는지, 또는 의도된 캐리어 주파수를 변조기가 여전히 제공하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수신기는 몇몇 동조기들 및 변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잡한 시스템에서, 상기 청구항 제 6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 지는 바와 같이 검사 제공이 보다 관심있게 된다.
청구항 제 2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향 회로는 메인 수신기의 스위치 제어 회로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의 제어하에서 동조기 입력에 고주파수 입력 신호 또는 고주파수 캐리어(또한 변조기로부터 고주파수 출력 신호라 한다)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청구항 제 3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향 회로는 고주파 연결기의 직렬 배열을 포함하고, 스위치는 스위치 제어 회로에 생성된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직렬 배열은 스위치가 개방될때 고주파 입력 신호, 또는 스위치가 폐쇄될때 동조기 입력에 대한 고주파 출력 신호와 함께 고주파 입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변조기의 출력 및 동조기 입력 사이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패시브 고주파 연결기는 그 입력에서 고주파 신호를 다른 고주파 신호에 연결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검사 신호는 소정 주파수에서 사인파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이거나,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검사 신호는 변조기 및 검사하의 동조기를 검사하기에 적당하게 선택될 것이다.
청구항 제 5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검사 신호 발생기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고주파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를 제어하는 변조기 주파수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것은 동조기 또는 동조기들이 원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홈 내 시스템은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동조기 출력을 각각 가진 다수의 동조기들을 포함한다. 선택기는 다수의 동조기들중 하나를 선택한다. 검사 평가기는 만약 동조기들중 선택된 하나의 출력 신호가 검사 신호와 일치하면 일치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기는 동조기들중 선택된 하나의 출력 신호가 검사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일치 신호가 나타내면 다수의 동조기들중 다른 하나를 추가로 선택한다.
모든 동조기들은 출력 신호가 고주파 캐리어상에서 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검사될 수 있다. 만약 동조기들중 하나가 적절히 기능하지 않는 것이 검출되면, 이것은 사용자 또는 수리 기술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수신될 적어도 일부의 고주파 대역을 통하여 스캔하기 위하여 하나의 동조기(또는 만약 요구되면 하나 이상의 동조기들)를 제어하는 동조기 제어기를 포함한다. 스캔은 전체 대역 또는 대역의 일부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검출기는 고주파 대역의 어느 주파수들에서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주파수 설정 회로는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로 인터리빙하도록 변조기 또는 변조기들의 변조 주파수를 설정한다.
스캔은 방송 신호가 어느 채널상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변조기(들)는 방송 신호들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채널들의 고주파 신호를 변조하기 위하여 제어될 것이다. 이런 자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최적 주파수로 변조기들을 수동 조절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변조기들이 충분히 주의깊게 조정되지 않고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종, 이런 어려운 처리는 시스템의 비최적 동작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시스템은 변조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 안정성에 대한 추가 검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는 비변조된 캐리어만을 공급할 수 있고, 동조기 출력에서의 신호는 임의의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가리킨다.
청구항 제 8 항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이밍 회로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검사 신호가 공급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변화를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다. 대역에서 방송 신호들의 존재를 규칙적으로 검사함으로써, 변조기 주파수는 만약 채널이 새로운 방송 또는 단지 하루의 소정 기간 동안 채널을 차지하는 방송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면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예를들어 에이징으로 인해 변조기 주파수의 드리프트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9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수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동조기 입력들 및 동조기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각의 동조기 출력들을 가진 다수의 동조기들을 포함한다.
입력 단자는 방송 신호에 고주파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입력 동축 케이블에 접속하는데 이용한다. 제 1 고주파 분할기는 입력 동축 케이블상 신호를 동조기 입력들에 고주파 입력 신호들로서 공급되는 다수의 신호들로 분할한다.
고주파 복조기 회로는 고주파 캐리어 파상에 변조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CVBS 신호 또는 QPSK 또는 QAM 변조된 MPEG 데이터 스트림인 각각의 복조되거나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튜너 출력 신호들을 수신한다.
다수의 변조기들은 각각의 변조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다수의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에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고주파 결합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공급한다. 제 1 결합 고주파 출력 신호는 제 1 출력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제 1 보조 수신기에 공급된다. 제 2 결합 고주파 출력 신호는 제 2 출력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제 2 보조 수신기에 공급된다. 만약 많은 보조 수신기들이 제공되면, 결합기는 많은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 변조기 입력 신호들은 복조 또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들이다. 이것은 보조 복조기들 및 디코더들(및 만약 응용 가능하다면 디스크램블러들)을 요구하지 않기 대문에 때문에 보조 수신들이 간단하게 되게 한다. 복조기들에 동조기 출력 신호들(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예를들어, MPEG 스트림))을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보조 수신기들에서 특정 복조기들 또는 디코더들을 요구하지 않는 신호들에 특히 관련된다.
검사 신호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들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고, 지향 회로들은 고주파 입력 신호를 고주파 출력 신호와 결합하는 결합기의 입력에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를 지향시킨다. 검사 평가기는 동조기 출력 신호 또는 신호들이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 평가한다. 검사 평가기는 수신기의 마이크로제어기에 검사 출력을 통신한다. 마이크로제어기는 예를들어 수신기가 적당하게 동작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요구된 액션을 취한다.
청구항 제 10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기는 입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 고주파 연결기이다. 제 2 고주파 분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를 제 2 고주파 연결기 및 제 3 고주파 연결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술된 제 1 고주파 연결기에 연결되고, 제 2 고주파 연결기는 제 1 출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고 제 3 고주파 연결기는 제 2 출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입력 동축 케이블상 신호는 출력 동축 케이블쪽으로 루프되고 직접적으로 보조 수신기들에 이용 가능하다.
청구항 제 11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수신기는 임의의 고주파 출력에 임의의 고주파 입력을 접속할 수 있는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몇몇 출력들 도는 입력들에 각각 동일한 입력 또는 출력을 접속하는 것은 가능하다(소위 방송 모드).
스위칭 매트릭스는 고주파 분할기로부터의 고주파 입력 신호, 변조기들의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들을 가진다. 스위칭 매트릭스는 동조기 입력들에 고주파 입력 신호들을 공급하고 고주파 결합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들을 가진다.
동조기 출력 신호들은 복조기 및 검사 신호 발생기에 공급되고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를 통하여 지향될 필요가 없다. 검사 신호들은 변조기 신호들로서 변조기 입력들에 공급되고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를 통하여 지향될 필요가 없다.
이런 스위칭 매트릭스는 쉽고 효과적으로 보다 많이 통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집적 회로에서 보다 값이 싸고, 이것은 고주파 결합기들과 대조적이다. 다른 장점은 입력 동축 케이블들상 신호에서 출력 동축 케이블들로 루프 쓰로우가 스위칭 매트릭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이런 루프 쓰로우 기능이 올바르게 수행되는지가 검사될 수 있다.
청구항 제 12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는 고주파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추가로 가진다. 이것은 스위칭 매트릭스를 통하여 이중 경로를 검사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제 13 항에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수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상에 업스트립 시그널링 스트림을 부가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비디오 온 디맨드 또는 인터넷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요구될때 중요한 제공자에 대한 통신을 인에이블한다.
특히 만약 케이블 셋톱 박스 수신기가 디지털 홈 서버 박스에 합병되면, 다중 채널들은 하우스틀 통하여 수신되고 재분배되며, 추가로 동조기들의 수를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하우스 네트워크들이 오랜 시간 동안 동축 케이블들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전송기 측에서 고주파 변조기들 수의 증가는 필요할 것이다.
홈 내 시스템은 메인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포함한다. 메인 수신기는 제공자로부터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고 방송 신호들을 복조 및/도는 디코딩한다. 변조기는 고주파 캐리어상 복조 및/또는 디코딩된 방송 신호들을 다시 변조하고 표준 추가 수신기에 아날로그 방송 신호와 결합된 이런 변조된 신호 또는 디코딩된 신호를 제공한다. 표준 추가 수신기는 메인 수신기가 베이스 대역 신호들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들(예를들어, 디지털 텔레비젼, MPEG 스트림들, 인터넷 데이터)을 처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측면들은 상기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백하고 설명될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은 메인 수신기(MR) 및 보조 수신기(AR)를 포함한다.
메인 수신기(MR)는 동조기(TU), 제어기(CO), 변조기(MOD), 복조기(DEM) 및 지향 회로(DIR)를 포함한다.
동조기(TU)는 방송의 고주파 입력 신호(FHIS)가 수신되는 입력(TUI) 및 저주파 동조기 출력 신호(TOS)가 공급되는 동조기 출력(TUO)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입력 신호(HFIS)는 입력 동축 케이블(COI)(도 6에 도시됨)에 의해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동기 출력 신호(TOS)는 인코딩되거나 CVBS 신호 같은 합성 신호일 수 있는 베이스 대역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이다.
복조기(DEM)는 TOS의 동조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수신기(MR)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기에 적당한 복조 및/또는 디코딩된 신호 DMS를 공급한다.
복조기(MOD)는 변조기 입력 신호(MIS)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및 보조 수신기(AR)에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변조기 입력 신호(MIS)는 복조 및/도는 디코딩된 신호(DMS)이다. 고주파 출력 신호(HFOS)는 주파수 범위에서 표준 이용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 적당한 변조 타입으로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보조 수신기(AR)에 공급된다. 보조 수신기(AR)는 일반적으로 VHF 및 UHF 대역들로 전송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런 셋업은 메인 수신기(MR)의 동조기(TU) 및 복조기(DEM)에 의해 처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 및 복조 또는 디코딩하기 위하여 제공될 필요가 없는 표준 이용 가능한 보조 수신기들(AR)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동조기(TU) 및 복조기(DEM)는 예를들어 MPEG 코드화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수신기(MR)는 표준 아날로그 방송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추가의 동조기를 포함한다.
제어기(CO)는 지향 회로(DIR)에 공급된 스위칭 신호(SCS) 및 변조기(MOD)의 입력에 공급된 검사 신호(TS)를 생성한다. 제어기(CO)는 복조된 신호(DMS), 또는 동조기 출력 신호(TOS)를 수신한다. 스위칭 신호(SCS)는 제어기(CO)의 스위치 제어 회로(SCC)에 의해 공급된다.
지향 회로(DIR)는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및 동조기(TU)의 입력(TUI)에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을 가진다.
메인 수신기(MR)는 제 1 모드(고주파 입력 신호(HFIS)는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되고) 및 검사 모드(제어기(CO)는 변조기(MOD)에 검사 신호(TS)를 제공한다)를가진다. 변조기(MOD)는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얻기위하여 고주파 캐리어상 검사 신호를 변조한다. 지향 회로(DIR)는 스위칭 신호(SCS)의 제어하에서 동조기(TU)의 입력(TUI)에 고주파 출력 신호(FHOS)를 연결한다. 제어기(CO)는 복조된 검사 신호인 복조된 신호(DMS)를 수신하고, 메인 수신기(MR)가 올바르게 기능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생성된 검사 신호(TS)와 복조된 검사 신호를 비교한다. 제어기(CO)는 만약 올바르지 않은 성능이 검출되면 적당한 액션을 취하거나 마이크로제어기에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시스템의 지향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향 회로(DIR)는 제어기(CO)의 스위치 제어 회로(SCC)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SCS)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스위치(SW1)의 제 1 입력 단자는 고주파 입력 신호(FHIS)를 수신하고, 스위치(SW1)의 제 2 입력 단자는 변조기(MOD)로부터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수신하고, 스위치(SW1)의 공통 단자는 동조기 입력(TUI)에 접속된다. 정상 수신 모드에서 제어 신호(SCS)는 스위치가 동조기 입력(TUI)에 고주파 입력 신호(HFIS)를 공급하게 한다. 검사 모드에서, 제어 신호(SCS)는 스위치가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동조기 입력(TUI)에 공급하게 한다.
도 3은 시스템의 지향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향 회로(DIR)는 고주파 연결기(HFC1) 및 스위치(SW2)를 포함한다. 고주파 연결기(HFC1) 및 스위치(SW2)는 동조기(TU)의 입력(TUI) 및 변조기(MOD)의 출력 사이에 직렬로 배열된다.
고주파 연결기(HFC1)는 입력 신호(HFCS1)를 일반적으로 삽입 손실을 가진 고주파 입력 신호(HFIS)에 연결한다. 상기 연결기는 종래 기술에 잘 공지된다.
제어기(CO)의 스위치 제어 회로(SCC)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SCS)는 정상 수신 모드에서 개방되고 검사 모드에서 폐쇄되도록 스위치(SW2)를 제어한다.
도 4는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어기(CO)는 검사 신호 발생기(TSG), 타이밍 회로(TIM), 변조기 주파수 제어기(MFC), 검출기(DET) 및 스위치 제어 회로(SCC)를 포함한다.
검사 신호 발생기(TSG)는 검사 신호(TS)를 생성한다. 검사 신호(TS)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일 수 있다. 적당한 아날로그 검사 신호(TS)는 고정된 주파수 또는 가변 주파수를 가진 사인파 및 고정되거나 가변되는 크기를 가진 주파수일 수 있다. 디지털 검사 신호(TS)는 디지털적으로 변조될 수 있는 비트 시퀀스일 수 있다. 검사 신호(TS)는 변조기(MOD)에 의해 고주파 캐리어상에서 변조될 것이다.
변조기 주파수 제어기(MFC)는 변조기 주파수 제어 신호(MFI)를 변조기(MOD)에 공급하여 고주파 출력 신호(HFOS)의 채널 주파수를 제어한다. 변조기 주파수 제어기(MFC)는 목표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고주파 출력 신호(HFOS)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제어 회로(C0)는 동조기 출력 신호(TOS)를 수신하는 검출기(DET)를 더 포함하고, 검사 신호(TS)와 수신된 동조기 신호(TOS)를 비교하고 검사 출력을 가리키기 위하여 표시 신호(IS)를 출력한다. 이것은 동조기(TU)(또는 만약 메인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동조기를 포함하면 동조기들(TUi))가 목표된 주파수 대역내의 방송들을 수신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한다.
타이머(TIM)는 수신기가 매일 스위칭되는 제 1 시간 같은 규치적인 간격들 또는 임의의 경우들에서 검사 신호(TS)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사 신호 발생기(TSG)를 제어한다. 예를들어, 변조기(MOD)가 여전히 올바른 채널 주파수를 생성하는지 규치적으로 검사되고, 만약 검출되면 시프트를 수정한다. 이것은 예를들어 에이징으로 인한 변조기 주파수의 드리프트를 보상하도록 한다. 타이머(TIM)는 검사 모드 동안 동조기 입력(TUI)에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연결하기 위하여 스위치 제어 회로(SCC)를 추가로 제어하고, 목표된 주파수 또는 주파수 스위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파수 제어기(MFC)를 제어한다.
만약 모든 동조기들(TUi) 및 모든 변조기들(MODi)이 올바르게 기능하는지 검사되어야 하는 메인 수신기의 생성 동안 검사 신호 발생기(TSG)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시스템의 회로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어기(CO)는 동조기 제어기(TUC), 검출기(DET), 주파수 설정 회로(FSC) 및 제어기(CO1)를 포함한다.
제어기(CO1)는 메인 수신기(MR)에 의해 수신될 고주파 대역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스캔하기 위하여 동조기(TU)(또는 만약 요구되면 보다 많은 동조기들 TUi)를 제어하도록 동조기 주파수 제어 신호(TF1)를 제공하게 동조기 제어기(TUC)를 제어한다. 스캔은 전체 대역 또는 대역의 일부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검출기(DET)는 고주파 대역의 어떤 주파수들에서 방송 신호가 제공되는지를검출하고, 이 정보를 DBC에서 제어기(CO1)에 제공하기 위하여 동조기 출력 신호(TOS)를 수신한다.
제어기(CO1)는 방송 신호가 제공되는 고주파 대역의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들로 인터리빙하도록 변조기(MOD)(또는 변조기들 MODi)의 변조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변조기(MOD)에 변조기 주파수 설정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파수 설정 회로(FSC)를 제어한다.
스캔은 방송 신호가 어느 채널상에 존재하는지 정보를 제공한다. 변조기(MOD)는 방송 신호들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채널들에서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변조하기 위하여 제겅될 것이다. 이런 자동 시스템은 사용자가 최적 주파수로 변조기들을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진다. 종종, 이런 어려운 처리는 변조기들이 충분히 주의깊게 조절되지 않고 간섭들이 발생하는 시스템의 비최적 동작을 유발한다.
도 4에 도시된 타이머(TIM)는 도 5에 도시된 제어기(CO)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역내에 방송 신호들의 존재를 규칙적으로 검사함으로써, 만약 채널이 새로운 방송 또는 단지 하루의 소정 기간 동안 채널을 차지하는 방송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변조기 주파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들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수신기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메인 수신기(MR)는 입력 터미널(INT)에서 입력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제공자(PRO)로부터 고주파 입력 신호(HFIS)를 수신한다. 메인 수신기(MR)는 출력 동축 케이블(COO1)를 통해 출력 단자(OT1)에서의 고주파 출력 신호(HFOS1)를 보조 수신기(AR1)에 공급하고 출력 동축 케이블(COO2)를 통해 출력 단자(OT2)에서의 고주파 출력 신호(HFOS2)를 보조 수신기(AR2)에 공급한다.
메인 수신기(MR)는 다수의 동조기들(TU1 내지 TUn) 및 다수의 변조기들(MOD1 내지 MODm)을 포함한다. 특정 동조기는 TUi로 표시되고, 특정 변조기는 MODi로 표시된다. 각각의 동조기들(TUi)은 고주파 입력 신호(HFISi)를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 입력(TUi) 및 저자푸 동조기 출력 신호(TOSi)를 공급하기 위한 동조기 출력(TUOi)을 가진다.
고주파 분할기(HFS1)는 노드(N1)에 접속된 입력을 가지며 동조기들(TUi)에 동조기 입력 신호들(TUIi)을 공급한다.
복조기(DEM)는 동조기 출력 신호들(TOSi)를 복조기 출력 신호들(DESi)(일반적으로 베이스 대역 신호들)에 복조 또는 디코딩한다. 도 6에서, 몇몇의 복조기 출력 신호들(DESi)은 디지털 신호들이다.
비디오 스위칭 매트릭스(VSM)는 복조기 출력 신호들(DESi)을 수신하고 변조기 입력신호들(MOIi)를 변조기들(MODi)에 공급한다. 비디오 스위칭 매트릭스(VSM)는 메인 수신기상에 디스플레이될 신호를 선택하고, 어떤 출력 신호(DESi)가 어떤 복조기(MODi)에 지향되는지를 선택한다. 출력 신호들(DESi)은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들(DACi)에 의해 아날로그 변조기 입력 신호들(MOIi)로 전환된다.
고주파 결합기(HFC1)는 변조기들(MODi)의 고주파 출력 신호들(HFOSi)을 3개의 결합된 고주파 신호들(CHFOSi)에 결합한다.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1)는 고주파 연결기(HFC2)를 통하여 출력 단자(OT1)에 공급되고,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2)는 고주파 연결기(HFC3)를 통하여 출력 단자(OT2)에 공급되고,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3)는 스위치(SW2)에 공급된다.
고주파 연결기(HFC1), 고주파 연결기(HFC4) 및 고주파 연결기(HFC5)는 입력 단자(INT) 및 노드(N1) 사이에 이런 순서로 배열된다.
고주파 연결기(HFC1)는 입력 단자(INT)에서의 입력 신호를 분할기(HFS2)에 공급한다. 분할기(HFS2)는 입력 단자(INT)에서의 입력 신호를 결합기로서 작동하는 고주파 연결기(HFC2)를 통하여 출력 단자(OT1)에 공급한다. 분할기(HFS2)는 입력 단자(INT)에서의 입력 신호를 결합기로서 작동하는 고주파 연결기(HFC3)를 통하여 출력 단자(OT2)에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입력 신호(HFIS)는 보조 수신기들(AR1 및 AR2)에 링크 쓰로우된다. 이들 신호들은 변조기들(MODi)에 의해 캐리어상에 변조될 필요가 없다.
고주파 연결기(HFC4)는 고주파 입력 신호(HFiS)에 업스트림 신호(US)를 부가하기 위한 결합기로서 작동한다. 업스트림 신호(US)는 DOCSIS 업스트림 시그널링 회로(DOC)에 의해 생성된 DOCSIS 신호일 수 있다.
고주파 연결기(HFC5)는 검사 모드 동안 입력 신호에 고주파 출력 신호(HFOS)를 부가하는 결합기로서 작동한다.
지향 회로(DIR)는 스위치(SW2) 및 결합기(HFC5)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지향 회로(DIR)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수신기(MR)는 동조기 출력 신호들(TUOi)(또는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복조기 출력 신호들 DESi)을 수신하고 변조기들(MODi)에 검사 신호들(TSi)을 공급하는 제어기(CO)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CO)는 스위칭 신호(SCS)를 스위치(SW2)에 공급하여,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CHFOS3)는 검사 모드에서만 연결기(HFC5)에 공급된다.
제어기는 검사 신호들(TSi), 동조기 출력 신호들(TOSi)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SEL) 및 검사 신호(TSi)에 선택된 동조기 출력 신호(TOSi)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검사 평가기(TE)를 포함한다. 검사 평가기(TE)는 선택된 동조기 출력 신호(TOSi)가 검사 신호(TSi)에 일치하는지를 가리키기 위하여 선택기(SEL)에 일치 신호(CON)를 공급한다. 만약 일치가 검출되면, 변조기(MODi), 분할기(HFC1), 스위치(SW2), 연결기(HFC5), 분할기(HFS1) 및 동조기(TUi)를 통한 검사 신호(TSi)로부터의 회로 루프는 올바르게 동작한다. 만약 일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선택기는 동조기들(TUi)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고, 일치 검사는 반복된다. 일치 신호(CON)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검사 상태를 가리키기 위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일치 신호(CON)는 디지털 출력 버스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CO) 및 지향 회로(DIR)로 인해, 메인 수신기(MR)의 대부분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만약 제어기가 동조기 제어기(TUC), 검출기(DET), 및 도 5에 도시된 주파수 설정 회로(FSC)를 포함하면, 방송이 제공되는 채널들의 주파수에 일치하지 않도록 변조기들(MODi)의 변조기 주파수들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본 방송들 및 변조기 주파수들 사이의 간섭들을 상당히 피함으로써 메인 수신기(MR) 및 보조 수신기들(AR1 및 AR2)을 포함하는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메인 수신기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메인 수신기(MR)는 출력들(OUTi) 또는 동조기 입력들(TUi)의 임의의 것에 입력들(INi)중 임의의 것을 접속할 수 있는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RFSM)를 포함한다. 몇몇 출력들(OUTi) 또는 입력들(INi)에 동일한 입력(INi) 또는 출력(OUTi)을 접속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스위칭 매트릭스(RFSM)는 고주파 분할기(HFS1)로부터 고주파 입력 신호(HFIS)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들(INi) 및 변조기들(MODi)의 고주파 출력 신호들(HFOSi)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들을 가진다.
스위칭 매트릭스(RFSM)는 고주파 입력 신호들(HFS1)을 동조기 입력들(TUIi)에 공급하고, 고주파 출력 신호들(HFOSi)을 고주파 결합기(HFC1)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들(OUTi)을 가진다.
제어기(CO)로부터의 검사 신호들(TSi)은 각각의 변조기들(MODi)에 공급된다. 동조기 출력 신호들(TOSi)은 복조기(DEM) 및 제어기(CO)에 공급된다. 동조기 출력 신호들(TOSi) 대신, 제어기(CO)에 복조기 출력 신호들(DESi)을 공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확장기(HFS1)의 입력은 업스트림 시그널링 회로(DOC)로부터 업스트림 신호(US)를 부가하는 결합기(HFC4)를 통하여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것은 비디오 온디맨드 또는 인터넷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요구될때 중요한 제공자에 대한 통신을 인에이블한다.
결합기(HFC1)는 결합된 구조파 신호들(CHFOSi)을 생성한다.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1)는 출력 단자(OT1)에 공급되고,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2)는 출력 단자(OT2)에 공급된다.
결합된 고주파 신호(CHFOS3)는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RFSM)의 입력에 공급된다. 이것은 스위칭 매트릭스를 통하여 이중 경로를 검사하게 한다. 예를들어, 변조기(MODn)로부터, 매트릭스 입력(INi), 매트릭스 출력(OUTj)를 통하여 매트릭스(INk) 및 매트릭스 출력(OUT1)를 거쳐 동조기(TU1)(인다이스들은 예시적이다) 경로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지금, 매트릭스(RFSM)를 통한 두개의 경로들은 포함되고 정보는 매트릭스(RFSM)의 성능에 관하여 얻어진다.
이런 스위칭 매트릭스(RFSM)은 집적 회로에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절감적으로 통합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것은 대부분 부품들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고주파 결합기들과는 대조적이다. 다른 장점은 입력 단자(INT)상 신호로부터 출력 단자들(OT1 및 OT2)로 루프 쓰로우가 스위칭 매트릭스(RFSM)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이런 루프 쓰로우 기능이 올바르게 동작할 수 있는지가 검사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보다 도시하는 것이고,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실시예들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된다. 예를들어, 고주파 연결기들은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괄호 사이에 배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언어 "포함하다"는 청구항에 나열된 여러 성분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몇몇 특정 성분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몇몇 수단들을 열거한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의 몇몇은 하나의 동일 하드웨어 아이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메인 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를 갖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동조기 출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공급하도록 변조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 신호 발생기;
    상기 동조기 입력에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를 지향시키는 지향 회로(directing circuit); 및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가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 평가기를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지향 회로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향 회로는 상기 스위칭 신호의 제어하에서 상기 동조기 입력에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 또는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지향 회로에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향 회로는 고주파 연결기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의 직렬 배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렬 배열은 상기 스위치가 개방될때의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 또는 상기 스위치가 폐쇄될때의 상기 동조기에 대한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와 함께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동조기 입력 및 상기 변조기 출력 사이에 배열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신호는 미리결정된 주파수의 사인 파 또는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신호 발생기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를 제어하는 변조기 주파수 제어기를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 시스템은: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동조기 출력을 각각 갖는 다수의 동조기들;
    상기 다수의 동조기 출력 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 및
    만약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들중 선택된 하나의 출력 신호가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 신호를 생성하는 검사 평가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는 또한, 상기 동조기들중 선택된 하나의 출력 신호가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상기 일치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수의 동조기 출력 신호들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배열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신될 고주파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스캔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를 제어하는 동조기 제어기;
    상기 고주파 대역의 적어도 일부의 어느 주파수들에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 상기 고주파 대역의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들로 인터리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의 변조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규칙적인 시간 간격들에서 상기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회로를 더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동조기 입력들 및 동조기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는 각각의 동조기 출력들을 갖는 다수의 동조기들;
    방송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공급하도록 입력 동축 케이블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상기 동조기 입력들에 공급하는 제 1 고주파 분할기;
    각각의 복조되거나 디코딩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들을 공급하도록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는 복조기 회로;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변조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복조기 회로에 연결된 다수의 변조기들;
    다수의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에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제 1 고주파 결합기;
    제 1 출력 동축 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보조 수신기들중 제 1 수신기에 상기 다수의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중 제 1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출력 단자;
    제 2 출력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수의 보조 수신기들중 제 2 수신기에 상기 다수의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중 제 2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출력 단자;
    상기 다수의 변조기들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검사 신호 발생기;
    상기 제 1 고주파 결합기의 입력에 상기 다수의 결합된 고주파 출력 신호들중 제 3 신호를 지향시키는 지향 회로; 및
    동조기 출력 신호들이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 평가하는 검사 평가기를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입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 제 1 고주파 연결기; 및
    상기 제 1 고주파 연결기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제 2 고주파 연결기 및 제 3 고주파 연결기에 공급하는 제 2 고주파 분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주파 연결기는 상기 제 1 출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고 제 3 고주파 연결기는 상기 제 2 출력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제 1 고주파 분할기로부터의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 상기 변조기들의 고주파 출력 신호들, 상기 검사 신호 발생기의 상기 검사 신호들, 및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는 입력들과;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를 상기 동조기 입력들에 공급하고,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들을 상기 제 1 고주파 결합기에 공급하고, 상기 검사 신호들 및/또는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들을 상기 변조기 입력 신호로서 상기변조기들에 공급하는 출력들을 갖는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스위칭 매트릭스는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더 가지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신기는 상기 고주파 입력 신호상에 업스트림 시그널링 스트림(upstream signaling stream)을 부가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홈 내 수신기 시스템.
  14. 제 1 항에 청구된 홈 내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메인 수신기로서,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동조기 출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공급하도록 변조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 신호 발생기;
    상기 동조기 입력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지향시키는 지향 회로; 및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가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 평가기를 포함하는, 메인 수신기.
  15.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신기; 및
    고주파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조기 입력 및 동조기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동조기 출력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동조기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비디오 수신기에 고주파 출력 신호를 공급하도록 변조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를 포함하는 메인 수신기를 포함하는 홈 내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 수신기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에 검사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동조기 입력에 상기 고주파 출력 신호를 지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조기 출력 신호가 상기 검사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내 시스템.
KR10-2004-7014422A 2002-03-14 2003-02-12 홈 내 수신기 시스템 KR20040093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6033 2002-03-14
EP02076033.6 2002-03-14
PCT/IB2003/000613 WO2003077451A1 (en) 2002-03-14 2003-02-12 An in-home receiv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142A true KR20040093142A (ko) 2004-11-04

Family

ID=2779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422A KR20040093142A (ko) 2002-03-14 2003-02-12 홈 내 수신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57238A1 (ko)
EP (1) EP1488555A1 (ko)
JP (1) JP2005520392A (ko)
KR (1) KR20040093142A (ko)
CN (1) CN1643830A (ko)
AU (1) AU2003252814A1 (ko)
WO (1) WO2003077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3339B (zh) * 2010-02-16 2015-04-29 飞思卡尔半导体公司 用于检测噪声之中的振荡信号的检测器及方法
US8583970B2 (en) * 2011-05-13 2013-11-12 James Francis Harvey Enhancing a receiver for improved impairment/fault detection when handling the reception of intermittent signals
US8839056B2 (en) * 2011-05-13 2014-09-16 James Francis Harvey Equipment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177B2 (ja) * 1994-07-01 2000-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US6006112A (en) * 1997-11-26 1999-12-21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ceiver with RF loopback and downlink frequency scanning
US6662135B1 (en) * 1998-12-09 2003-12-09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lective mixer testing of a cable modem
US7130579B1 (en) * 1999-10-21 2006-10-31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radio transceiver with a wide tuning range VCO
FI20001774A (fi) * 2000-08-10 2002-02-11 Nokia Networks Oy Lähetinvastaanottimen testaaminen
US6996057B2 (en) * 2001-10-05 2006-02-07 Adtran, Inc. Integrated RF loopback test apparatus for redundant data radio transceiv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7451A1 (en) 2003-09-18
JP2005520392A (ja) 2005-07-07
CN1643830A (zh) 2005-07-20
EP1488555A1 (en) 2004-12-22
AU2003252814A1 (en) 2003-09-22
US20050257238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97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peration mode of hdtv
KR100905401B1 (ko) 소프트웨어 제어형 멀티 모드 양방향 통신 디바이스
US637731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20150101005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unit
US6961956B2 (en) Simplified digital settop box
US7016435B2 (en) Broadcast receiver having automatic gain control function
JP2001359068A (ja) 2方向性通信装置用の信号インタフェース
US7545444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television set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20040093142A (ko) 홈 내 수신기 시스템
US20020199202A1 (en) Multiple input data receiver for cable television systems
CA2364345C (en) An upconverter for a television signal headend distribution center handl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3224780A (ja) 地上波放送信号変換装置及び地上波放送信号受信装置
US7564892B1 (en) Satellite transcoder
JPH11355681A (ja) テレビジョン放送の受信装置
JP2000059746A (ja) Catv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JP3598773B2 (ja) ディジタルcatvシステムとその受信装置
JP4633208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6738979B1 (e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which is not influenced by unnecessary signal components
JP4029894B2 (ja) 送信方法
US20050108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cable broadcasting signals
JPH118847A (ja) 衛星放送受信機
JP3783704B2 (ja) 受信装置
KR100252936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엘엔비(lnb)의국부발진주파수설정방법
JP2001339223A (ja) 衛星電波受信方法および衛星電波受信装置
Lauterjung A measurement system for the test of DVB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