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013A -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 Google Patents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013A
KR20040093013A KR1020040028196A KR20040028196A KR20040093013A KR 20040093013 A KR20040093013 A KR 20040093013A KR 1020040028196 A KR1020040028196 A KR 1020040028196A KR 20040028196 A KR20040028196 A KR 20040028196A KR 20040093013 A KR20040093013 A KR 2004009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centrator
cabling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938B1 (ko
Inventor
위르베플라비앙
푀게르삐에르
Original Assignee
아르눌드 파브리끄 다빠레이아쥬 엘렉트리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눌드 파브리끄 다빠레이아쥬 엘렉트리끄 filed Critical 아르눌드 파브리끄 다빠레이아쥬 엘렉트리끄
Publication of KR2004009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0Exchange station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2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6Coaxial c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8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 H04Q2201/802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링 집중기(cabling concentrator)는 텔레비젼 신호 분배 케이블에 대한 제1 접속관(43), 전화망 케이블에 대한 제2 접속관(48), 각각 지역 정보망 케이블에 대한 다수의 제3 접속관(49A-49H), 텔레비젼 신호, 전화 신호 및 지역 정보망 신호를 각각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6,17,18)에 대한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50,52,51), 및 상기 제1 접속관(43)을 제 1 커넥터(50)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접속관(48)을 제 2 커넥터(52)에 연결하며, 각각의 제 3 접속관(49A-49H)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50,52,51) 각각에 연결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배 유닛(40)은 상기 집중기(42) 및 하나 이상의 능동 전자 요소(16,17,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cabinet)은 상기 신호 분배 유닛(40) 및 직류 배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 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CABLING CONCENTRATOR, SIGNAL DISTRIBUTION UNIT COMPRISING IT AND CABINET COMPRISING THIS UNIT}
본 발명은 주택 및 서비스업종 건물에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신호, 전화망 신호 및 지역 정보망(Local Area Network; LAN) 신호를 간단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방식으로 분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네 쌍의 플러그 스위치로 나타낸 신호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장치를 구성하는 신호 분배 캐비넷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폐쇄용 커버를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을 구성하는 신호 분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배 유닛을 구성하는 케이블링 집중기의 정면에서 취한 입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에 사용되는 혼합 코드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배 유닛의 입단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신호 분배 유닛의 개요도로서, 집중기의 프레임 및 세가지 능동 전자 요소 각각의 박스는 도시 생략하였고, 전화 신호 및 지역 정보망 신호의 경로를 매우 포괄적인 방식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0은 텔레비젼 신호의 경로를 도시한 도 9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cabling concentrator)가 제공된다:
- 텔레비젼 신호 분배용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제 1 접속관;
- 전화망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제 2 접속관;
- 각각 지역 정보망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제 3 접속관;
-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1 커넥터(connector);
- 전화용 능동 전자 요소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2 커넥터;
- 지역 정보망용 능동 전자 요소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3 커넥터;
- 상기 제 1 , 제 2 및 제 3 접속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가 각각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서, 상기 제 1 접속관을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접속관을 상기 제 2 커넥터에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제 3 접속관을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 제 2 및 제 3 접속관,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능동 전자 요소 각각에 대한 고정부를 제공하는 프레임(frame).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링 집중기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상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들이 각각의 제 3 접속관상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커넥터들은 각각 상기 제 1 접속관, 제 2 접속관 및 각각의 제 3 접속관상에 존재하는 신호들을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링 집중기는, 상기 제 1 접속관, 제 2 접속관 및 제 3 접속관에 의해서 케이블링 집중기에 도달하고,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에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능동 전자 요소에 의해 처리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신호들을 제 3 접속관에 수용된 각각의 케이블에 의해서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접속관과 커넥터 사이의 다양한 연결을 조작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함으로써, 특히 간단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실질적인 연결을 수행할 수있으며 신호의 약화 및/또는 교란에 대한 보호 요건을 준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능동 전자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각각의 커넥터를 신호 유형에 따라 전문화시킨 점은, 본 발명의 케이블링 집중기가 포함된 신호 분배 장치의 설치자 및/또는 사용자에게, 특히 보수 유지 및/또는 변경의 측면에서 볼때,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케이블링 집중기가 제공된다:
- 상기 제 3 접속관은 하나의 라인을 따라 그룹 형태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가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 3 접속관, 상기 제 1 커넥터,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3 커넥터가 연속적인 열의 형태로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3 접속관에 더 근접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 3 접속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상기 제 3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사이에 배치되고/되거나;
- 상기 제 1 접속관과 상기 제 2 접속관은 하나의 열을 따라 그룹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3 접속관, 상기 제 1 커넥터, 상기 제 2 커넥터, 상기 제 3 커넥터, 및 상기 제 1 접속관과 상기 제 2 접속관으로 된 그룹은 연속적인 열의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케이블링 집중기가 제공된다:
- 상기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은 상기 집중기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 상기 제 3 접속관은 상기 집중기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며;
- 상기 제 1 커넥터,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3 커넥터는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단부에 더 근접되어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제 1 단부에 더 근접되는 한편, 상기 제 3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정확한 사용 가능성 및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케이블링 집중기가 제공된다: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의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4 접속관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재분배기(repartitioner)를 포함하며, 상기 재분배기의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에 연결되고,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며, 텔레비젼 신호 전체에 대한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4 접속관에 연결되고; 및/또는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3의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5 접속관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커플러(coupler)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의 제 1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에 연결되고, 제 2 인입단은 상기 제 5 접속관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고; 및/또는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의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4 접속관 및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3의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5 접속관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재분배기-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분배기-커플러의 제 1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에 연결되고, 제 2 인입단은 상기 제 5 접속관에 연결되며,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고, 텔레비젼 신호 전체에 대한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4 접속관에 연결되며; 및/또는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지역 정보망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6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6 접속관을 상기 제 2 접속관 및 상기 제 3 커넥터에 연결시키며; 및/또는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전화망 케이블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7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접속관을 상기 제 7 접속관에 연결시키며; 및/또는
- 본 발명에 의한 집중기는 상기 제 1 접속관, 상기 제 2 접속관 및 상기 제 3 접속관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접속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속관, 상기 제 2 접속관 및 상기 각각의 다른 접속관은 하나의 라인을 따라 그룹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케이블링 집중기가 제공된다: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다수의 중첩된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은 유전성 기재 및 상기 기재상에 배치된 도전성 금속 재료로 된 트랙(track) 또는 블록(block)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층 및 상기 제 1 접속관을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층으로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3 접속관 각각에 대해서, 비대칭 신호를 대칭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컨버터는 상기 제 1 층에 의해서, 또한 상기 제2 층에 의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된 인입단을 포함하고, 제 2 층만을 매개로 해서 상기 제 3 접속관에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 상기 각각의 컨버터는 상기 제 3 접속관과 상기 제 1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 상기 각각의 접속관 및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측면에, 상기 제 1 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제 2 층에 더욱 근접하도록 배치되며; 및/또는
-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제 2 접속관을 상기 제 2 커넥터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3 접속관 각각에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고; 및/또는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사이에, 상기 제 3 접속관들을 각각 상기 제 3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는 제 3 층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3 접속관들을 각각 상기 제 3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는 제 4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의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케이블링 집중기가 제공된다:
- 상기 제 1 접속관은 F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관은 스크루(screw) 접속공을 구비한 접속관이고, 상기 제 3 접속관은 RJ45형으로 되어 있으며; 및/또는
-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링 집중기, 및 상기 프레임의 고정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에 수용되는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 전화용 능동 전자 요소 및 지역 정보망용 능동 전자 요소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
- 상기 각각의 능동 전자 요소는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및 정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착 수단 및/또는 배치 수단을 갖는 반면에 후면에는 상기 제 1 커넥터, 제 2 커넥터 및 제 3 커넥터에 대한 접속용 플러그를 갖는 박스를 포함하고;경우에 따라서,
- 상기 각각의 접속용 플러그는 상기 능동 전자 요소의 전자 보드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건축물의 기술적인 외장에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과 용이성을 목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신호 분배 유닛 및 직류 배전부를 포함하는 신호 분배 장치용 캐비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상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캐비넷은 조작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시험용 전화 소켓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신호 분배 장치(10)은 캐비넷(11)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11)에는 텔레비젼 신호 분배용 동축 케이블(12),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접속용 케이블(13) 및 지역 정보망 신호 분배를 위한 8개의 케이블(14A-14H)이 부착된다.
상기 장치(10)은 주택 또는 서비스업종 건물의 일부를 차지하며, 이때 캐비넷(11)은 건물의 기술적 외장시에 배치된다.
상기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12)는 그 자체의 관련 커플러에 연결되고, 한편으로는 수신 안테나 또는 지상의 송신용 분배 케이블망에,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성 송신용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다.
전화 케이블(13)은 2쌍의 컨덕터(conductor)를 포함한다. 전화 케이블은 전화 오퍼레이터의 중앙에 연결되며, 이때 오퍼레이터는 2쌍의 케이블(13)마다 하나의 라인을 제공한다.
지역 정보망 케이블(14A-14H)는 각각 컨덕터의 4개의 트위스트 패어(twisted-pair)를 갖는 통상의 유형의 케이블로서, 카테고리 6 유형의 것이다. 상기 케이블은 각각 장치(10)이 설치된 건물에서 캐비넷(11)과 카테고리 6 RJ45 유형의 소켓(15) 사이에 배설된다.
각각의 케이블(14A-14H)은 지역 정보망 신호와 전화 신호뿐만 아니라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도 2는 소켓(15)의 케이블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역 정보망(LAN) 신호에 대해서 한 쌍의 접속부(1,2)가 구비되는데, 이는 다른 한 쌍의 접속부(3,6)과 동일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전화(PHONE) 신호에 대해서 한쌍의 접속부(4,5)가, 그리고 텔레비젼(TV) 신호에 대해서 한쌍의 접속부(7,8)이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 정보망 및 전화 신호에 대한 접속부들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사용자는 소켓(15)상에 전화기 또는 지역 정보망 기기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접속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2개의 지역 정보망 기기를 접속시키거나 하나의 지역 정보망 기기와 하나의 전화기를 접속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인 더블러(doubl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어댑터를 소켓(15)에 접속시키고, 동축 케이블을 어댑터와 텔레비젼 수상기 사이에 접속시킨다. 변형예로서, 동축 케이블과 어댑터를 동일한 코드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는 소켓(15)의 접속부(7,8)에 부착된 컨덕터의 트위스트 패어에 존재하는 대칭 신호를 동축 케이블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비대칭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한다.
케이블(14A-14H)의 컨덕터의 트위스트 패어상에 텔레비젼 신호, 전화 신호 및 지역 정보망 신호가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 캐비넷(11)은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6), 지역 정보망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7) 및 전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8)을 포함하며, 이때 케이블(12)는 능동 전자 요소(16)에, 케이블(13)은 능동 전자 요소(18)에, 그리고 각각의 케이블(14A-14H)은 능동 전자 요소(16,17,18)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능동 전자 요소(16,17,18)은 구체적으로 전기 에너지 공급이라는 필수적인 기능의 측면에서 능동적인 것이다.
케이블(12,13,14A-14H) 이외에도, 캐비넷(11)에는 텔레비젼 신호 분배용 동축 케이블(19),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를 생성하는 모듈레이터(modulator)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20) 및 전화 케이블(21)이 더 부착된다.
상기 케이블(19,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형성하는 재분배기-커플러(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이 때 인쇄회로기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비넷(11)에 포함되는 케이블링 집중기에 부착된다. 상기 재분배기-커플러는 케이블(12) 및케이블(20)에 각각 연결된 2 개의 인입단과 능동 전자 요소(16) 및 케이블(19)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출력단을 갖는다.
상기 능동 전자 요소(16)에 대한 출력단은 케이블(12) 및 케이블(20)에서 유래한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상기 케이블(19)에 대한 출력단은 오로지 케이블(12)에서 유래한 신호만을 전부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재분배기-커플러에 의해 조작되는 커플링은 요소(16)을 향한 일방적인 것으로서, 케이블(20)에서 유래한 신호들은 케이블(12)에서도 케이블(19)에서도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케이블(19)은 통상의 텔레비젼 신호 분배용 소켓에서 인출된 것으로서, 이러한 소켓은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1 접속관 및 위성에 의한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 2 접속관을 갖는다(소켓은 도시 생략함).
전화 케이블(21)은 케이블(13)과 동일한 유형의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2쌍의 컨덕터를 포함한다. 케이블(13)과 케이블(21) 사이의 연결은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케이블(13)의 4개의 컨덕터를 각각 커넥터(52) 및 소켓(47)에 연결시킨다. 케이블(22)는 통상의 전화 소켓(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이때 전화 소켓은 케이블(13)과 케이블(21)의 한쌍의 컨덕터에 의해 각각 전달되는 2개의 라인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캐비넷(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1)은 조립시 폐쇄된 영역을 형성하는 지지대(25)와 커버(26)을 포함하며, 이 영역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표면상에 케이블(14A-14H)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27)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표면상에 케이블(12,13,19-21)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사한 통로(28)이 구비된다. 실제로, 상기 통로(27,28)은 상기 지지대(25)에 구비된다.
캐비넷(11)의 정면에는 커버(26)이 부착되며, 이 커버(26)은 윈도우(29)를 구비하고, 그 윈도우를 통해서 전자 요소(16,17,18)의 정면을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윈도우(30)이 윈도우(29)의 측면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필러(3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커버(26)의 정면도 마찬가지로 회전문(33)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32)를 구비하며, 이 회전문은 공중 전화망(하기 참조)에 대한 양호한 연결을 시험하기 위한 전화 소켓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케이블(14A-14H)가 부착된 각각의 소켓(15)의 배치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8개의 고정부를 가진 에티켓 케이스(34)가 구비된다. 유사한 에티켓 케이스(35)가 에티켓 케이스(34)의 측면에 구비된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캐비넷(11)은 필요한 경우에 능동 전자 요소(16,17,18)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이외에 제 2의 유사한 분배 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이와 같은 제 2의 신호 분배 유닛의 능동 전자 요소의 정면을 볼 수 있도록 상기 필러(31)은 제거되는 한편, 제 2의 신호 분배 유닛에 연결된 부수적인 지역 정보망의 8개의 케이블이 부착될 배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에티켓 케이스(35)가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1)은 지지대(25)와 일체화된 금속 프레임(36)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6)상에는, 직류 공급부(37), 시험용 전화 소켓(39)에 대한 지지체(38), 신호 분배 유닛(40) 및 카테고리 6의 RJ45형 소켓을 구비한 조작판(41)이 장착된다.
프레임(36)은 필요에 따라서 장치(10)을 연장하기 위해 유닛(40)과 같은 제 2의 신호 분배 유닛 및 조작판(41)과 같은 제 2 의 조작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의 신호 분배 유닛이 배치될 공간을 유닛(40)의 우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조작판(41)의 아래에 제2의 조작판을 배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유닛(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유닛(40)은 능동 전자 요소(16,17,18) 및 케이블링 집중기(42)를 포함한다.
상기 집중기(42)는 바닥부에 3개의 플러그(F43,44,45), 2개의 카테고리 6 RJ45 형의 소켓(46,47) 및 6개의 스크루 접속공을 구비한 접속관(48)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상기 플러그(43-45)는 각각 동축 케이블(12), 동축 케이블(19) 및 동축 케이블(20)을 수용한다.
상기 소켓(46)은 필요에 따라서, 전화 신호 및 지역 정보망 신호에 관해서 다른 한 유닛(40)과 유닛(40)를 단속적으로 만들기 위해 혼합 코드 유형의 지역 정보망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소켓(46)의 접속부로부터의 케이블링은, 한쌍의 접속부(7,8)이 전화 신호용으로(텔레비젼용이 아님) 구비된다는 점 이외에는, 소켓(15)와 유사하다. 상기 집중기(42)내에 존재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접속부(1,2,3,6)을 능동 전자 요소(17)에, 그리고 각각의 접속부(4,5,7,8)을 케이블(13)의 각 컨덕터에 연결한다.
텔레비젼 신호에 관해서 유닛(40)과 유사한 유닛을 단속적으로 만들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12)를 수용하는 2개의 유닛(40)의 플러그(44)는 동축 케이블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고, 이때 다른 한쪽 단부는 다른 한 유닛(40)의 플러그(43)에 접속되는 한편 케이블(19)는 상기 다른 한 유닛의 플러그(44)에 접속된다.
소켓(47)은 전화 케이블(21)을 수용한다.
접속관(48)은 4개의 스크루 접속공을 통해 전화 케이블(13)의 컨덕터를 수용한다. 접속관의 다른 2개의 스크루 접속공은 유닛(37)에 접속된 직류 공급 케이블을 수용한다.
통로(28)과 접속관(48)사이에는, 소켓(39)를 통해서 전화 케이블(13)이 통과한다.
집중기(42)의 상부에는 마찬가지로 카테고리 6의 RJ 45형인 8개의 소켓(49A-49H)가 구비된다.
상기 소켓(49A-49H)는 각각 혼합 코드(49')(도 7)의 한쪽 단부를 각각 수용하며, 다른 한쪽 단부는 조작판(41)의 소켓중 하나에 수용된다. 각각의 케이블(14A-14H)는 조작판(41)의 소켓중 하나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케이블(14A-14H)는 조작판(41)과 조작 코드(49')를 매개로 하여 소켓(49A-49H)중 하나에 연결된다.
집중기(42)는 능동 전자 요소(16), 능동 전자 요소(17) 및 능동 전자 요소(18)의 접속용 플러그를 각각 수용하는 3개의 커넥터(50,51,52)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도 8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F43-45), RJ 45형 소켓(46,47), 접속관(48), 소켓(49A-49H) 및 커넥터(50-52)는, 각각 필수적인 다양한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인쇄회로기판(53)에 연결되어, 결국 도 9 및 도 10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지지된다.
인쇄회로기판(53)에 연결된 상기 플러그, 소켓, 접속관 및 커넥터,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금속 프레임(54)상에 장착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54)는 인쇄회로기판(53)을 포장하고, 상기 커넥터(50-52)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환형의 돌출부(55)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55)는 각각 능동 전자 요소(16), 능동 전자 요소(17) 및 능동 전자 요소(18)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고정부(56,57,58)을 구비한다.
상기 능동 전자 요소들은 각각 그 내부에 금속제 박스를 포함하며, 그 박스에는 전자 보드(각각 60,61,62, 도 8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능동 전자 요소(16,17,18)의 각 박스에는 통기공이 구비되며, 대응하는 윈도우가 돌출부(55)상에 구비된다.
각각의 능동 전자 요소(16,17,18)의 전자 보드는 표지 및/또는 버튼을 포함하며, 이 표지와 버튼은 능동 전자 요소(16,17,18)의 정면상에서 볼 수 있고/있거나 접근 가능한 것이다.
각각의 능동 전자 요소(16,17,18)의 전자 보드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후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커넥터(50,51 또는 52)에 수용되는 플러그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3)은 플러그(43)을 능동 전자 요소(16)에 연결시키고, 접속관(48)에 접속된 2쌍의 전화 케이블을 능동 전자 요소(18)에 연결시키며, 각각의 소켓(46 및 49A-49H)를 능동 전자 요소(17)에 연결시키고, 각각의 소켓(49A-49H)를 능동 전자 요소(16,18)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53)은 직류 배전용 케이블에 접속된 접속관(48)의 2개의 접속공을 능동 전자 요소(16,17,18)에 연결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관(48)과 소켓(46,47) 사이의 연결 및 플러그(43)과 플러그(44,45) 사이의 연결을 수행한다.
도 9 및 도 10에 매우 간략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3)은 중첩된 4개의 층(65-68)을 가지며, 이 층들은 각각 유전성 기판 및 그 기판상에 장착된 도전성 금속 재료로 된 트랙 또는 블록을 포함한다.
도 9에서, 전화 신호의 일반적인 경로는 긴 파선 형태의 라인(69)로 도시하였고, 컨덕터의 트위스트 패어중 하나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망 신호의 일반적인 경로는 짧은 파선 형태의 라인(70)으로 도시한 반면, 다른 한 트위스트 패어에 대응하는 신호의 경로는 혼성선 형태의 라인(71)로 도시하였다.
실질적으로 전화 신호의 경로(69)는 보다 후면측에 있는, 다시 말해서 플러그, 소켓, 접속관 및 커넥터(43-48,49A-49H,50-52)로부터 보다 멀리 있는 층(65)를통과한다.
바이어스(vias)는 다른 층을 향해서, 각각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층(66,67,68)을 향해서, 접속관(48) 및 소켓(46,47)에, 커넥터(52)에, 그리고 소켓(49A-49H)에 신호를 전이시키는 기능을 한다.
라인(71,70)로 표시한 경로를 갖는 지역 정보망 신호는 실질적으로 각각 중간층(66) 및 중간층(67)을 대용한다. 신호를 층(68)을 향해, 경우에 따라서는 층(67)을 향해 전이시키기 위한 바이어스가 소켓(46)에, 커넥터(51)에, 그리고 소켓(49A-49H)에 구비된다.
실제로, 라인(69,71,70)으로 나타낸 경로는 각각 층(65,66,67)에 대응하며, 각각의 케이블 컨덕터에 대한 트랙은 다음과 같은 대응 관계를 갖는다:
- 층(65)에서, 라인(69)로 나타낸 경로에 대해서는, 4개의 트랙이 각각 접속관(48)과 커넥터(52) 사이의 상기 접속관의 스크루 접속공에 대응하는 한편, 커넥터(52)와 각각의 소켓(49A-49H) 사이에는 상기 소켓의 한쌍의 접속부(4,5)에 대응하는 2개의 트랙이 존재하고;
- 각각의 층(66,67)에서, 라인 (71) 및 라인(70)으로 각각 나타낸 경로에 대해서는, 소켓(46)과 커넥터(51) 사이에서, 2개의 트랙이 소켓(46)의 한쌍의 접속부(1,2)과 한쌍의 접속부(3,6)에 대응하고, 커넥터(51)과 각각의 소켓(49A-49H)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능동 전자 요소(18)은 각각의 소켓(49A-49H)에 대하여, 정면에 8개 설치된 버튼(72)에 의해서 케이블(13)에 의해 제공된 2개의 라인으로부터 그것을 선택하는 기능을 하며, 케이블(13)은 대응하는 소켓(49A-49H)의 한쌍의 접속부(4,5)상에, 따라서 대응하는 케이블(14A-14H)가 부착된 소켓(15)의 접속부(4,5)상에 존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능동 전자 요소(17)은 항상 지역 정보망에 대한 멀티포트 중계 장치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여기서는 Switch ETHERNET 10/100 베이스 T이다.
능동 전자 요소(17)의 정면에 위치하는 표지(73)은 각각의 소켓(49A-49H)의 관련된 2쌍의 접속부(쌍 1,2 및 쌍 3,6) 각각에 대한 상태를 표시해 주는 기능을 한다.
텔레비젼 신호의 경로는 도 10상에 도시하였으며, 여기서는 짧은 파선(74)로 나타내었다.
우선, 인쇄회로기판(53)상에는 동축 케이블상에서 전파된 신호와 같은 비대칭 신호를 컨덕터의 트위스트 패어상에서 전파된 신호와 같은 대칭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8개의 컨버터(75)가 구비된다.
각각의 컨버터(75)의 인입단(비대칭 신호)는, 한편에서는 전면층(68)에 부착된 트랙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층(65)에 부착된 도전성 블록(76)에 접속되는 반면에, 각각의 컨버터(75)의 출력단(대칭 신호)는 층(68)에 부착된 2개의 트랙에 연결된다.
플러그(43)과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전술한 바와 같은 재분배기-커플러(도시 생략)의 인입단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재분배기의 한 출력단과 커넥터(50) 사이에서, 텔레비젼 신호는 층(68)에 부착된 트랙에 의해, 또한 접지면을 구성하는 블록(76)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3)에 전파된다.
상기 커넥터(50)과 각각의 컨버터(75) 사이에서, 텔레비젼 신호는 층(68)에 부착된 트랙에 의해, 그리고 블록(7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3)에 전파된다.
각각의 컨버터(75)와 대응하는 소켓(49A-49H) 사이에서, 대칭 형태로 존재하는 텔레비젼 신호는 층(58)에 부착된 2개의 트랙에 의해서 인쇄 회로 기판(53)에 전파된다.
텔레비젼 신호를 대칭 형태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층(68)의 다양한 도전성 트랙의 맞은 편에서, 층(67)은 도전성 블록(77)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블록(77)은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파하는 기능을 하지는 않으나, 특히 혼선 차단 재료에 있어서 임피던스의 조정 및 전자기적 양립에 이용되는 접지면을 생성한다.
전화 신호와 지역 정보망 신호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파시키는 인쇄회로기판(53)의 영역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텔레비젼 신호를 전파시키는 영역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층(66 및 67)은 텔레비젼 신호의 전파 기능을 하는 층(68)의 도전성 트랙과 블록(76)사이에는 도전성 트랙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능동 전자 요소(16)은 비대칭 텔레비젼 신호의 증폭기-재분배기이다.
상기 요소는 구체적으로 증폭기 및 재분배기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에 대해서 소켓(49A-49H)를 향한 8개의 출력 회로가 포함되고, 상기 회로 각각에 대해서 텔레비젼 신호에 대응하여 소켓(49A-49H)에 배전을 할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는 정면에 배치된 하나의 버튼(78)이 포함된다.
능동 전자 요소(16)을 수용하는 커넥터(50)은 소켓(49A-49H)에 더욱 근접되어 있는 커넥터이므로, 능동 전자 요소(16)으로부터 출력되는 텔레비젼 신호의 인쇄회로기판(53)내 경로의 길이가 최소화되는데, 이러한 특징은 기판(53)에서 신호가 약화되고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컨버터(75)는 소켓(49A-49H)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므로, 대칭 형태로 존재하는 텔레비젼 신호의 기판(53)내 경로가 최소화되고, 이러한 특징은 이용되는 주파수(862 MHz까지)에 비추어 매우 민감한 신호의 교란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전화용 능동 전자 요소(18)를 수용하는 커넥터(52)는 소켓(49A-49H)로부터 멀리 존재하므로, 능동 전자 요소(18)과 소켓(49A-49H) 사이에서 전화 신호의 경로는 비교적 길다. 더욱이, 전화 신호가 전파되는 층은 보다 후면측에 위치한 층(65)이다.
전화 신호는 비교적 견고하므로, 실제로 이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커넥터(51)은 커넥터(50)과 커넥터(52)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데, 환언하면 지역 정보망 신호를 전파하는 기능을 하는 인쇄회로기판(53)의 중간층(66,67)에 존재한다. 이러한 위치는 지역 정보망 신호의 감도에 비추어 적합한 것인데, 지역 정보망 신호의 감도는 전화 신호의 감도와 텔레비젼 신호의 감도 사이의 중간에 해당한다.
소켓(49A-49H), 커넥터(50), 커넥터(51), 커넥터(52), 플러그(43-45),소켓(46,47) 및 접속관(48)이 각각 연속하는 5개의 열의 형태로 배열되며, 이때 커넥터(50,51,52)가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의 유형에 따라서 전문화되고, 끝에 배열되는 2개의 열에 대한 간격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인쇄회로기판(53)의 다양한 층들을 전파하고자 하는 신호의 유형에 따라서 전문화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결의 구현, 특히 임피던스 조정에 있어서의 강압성 및 이용되는 신호의 약화 및 교란을 회피하기 위한 전자기적 양립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3)은 직립되어 있는 반면에 능동 전자 요소(16,17,18)은 누워 있는 형태로 된 신호 분배 유닛(40)의 배열은 특히 혼잡한 평면 및 접근 가능성이 있는 평면상에서 특히 유리하다.
표시 수단(예를 들면, 요소(17)의 표지(73)) 또는 배치 수단(예를 들면 버튼(72) 또는 (78))을 능동 전자 요소의 정면에 배치한 것도 접근 가능성의 관점에서 특히 유리하며, 커버(26)이 윈도우(29)에 의해서 지지대(25)의 적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접근 가능성은 동일하게 보존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링 집중기(42)는 수동 요소만을 포함한다. 능동 요소와 신호 분배 유닛(40)의 어셈블리는 능동 전자 요소(16), 능동 전자 요소(17) 또는 능동 정자 요소(18)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3가지 요소를 각각의 신호 유형에 따라서 전문화시킨 것도 조정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볼때 유리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 1 기간 동안에는 능동 전자 요소(16-18)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한 후에 누락된 능동 전자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신호 분배 장치를 가동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른 하나의 유닛(40)을 캐비넷(11)과 같은 캐비넷 내부에서 및/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예를 들면 소켓(49A-49H)를 상단이 아니라 바닥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적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한 변형예에서, 케이블(13)은 공중 전화망이 아닌 사설 전화망에 및/또는 교환형(switched) 전화망이 아닌 수치형 전화망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서, 플러그(43-45), 접속관(48) 및 소켓(46,47,49A-49H)을 구성하는 접속관의 수, 배치 및 특성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플러그(44,45) 및 소켓(46,47)이 삭제되고, 소켓(49A-49H)는 RJ 45와는 다른 유형의 것이고/것이거나 그 수효가 8 이 아닌 다른 수이며; 및/또는 커넥터(50,51,52)는 상이한 배열을 갖는 형태로, 예를 들면 접속관에 평행한 배열과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53) 대신에 상이한 구성의 기판, 구체적으로 층의 수가 4층 이외의 것인 기판을 사용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능동 전자 요소(16,17,18) 대신에 유형은 동일하되 특성은 상이한 신호를 처리하는 요소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Switch ETHERNET으로 이루어진 능동 전자 요소(17) 대신에 지역 정보망에 대해서 다른 유형의 멀티포트 중계 장치를 사용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예에서, 신호 분배 유닛, 예를 들면 유닛(40)은적절한 배전 수단을 구비한 자립형 장치를 구성한다.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택 및 서비스업종 건물에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호 분배 장치는 텔레비젼 신호, 전화망 신호 및 지역 정보망(Local Area Network; LAN) 신호를 간단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방식으로 분배할 수 있다.

Claims (30)

  1. - 텔레비젼 신호 분배용 케이블(12)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제 1 접속관(43);
    - 전화망 케이블(13)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제 2 접속관(48);
    - 각각 지역 정보망 케이블(49')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다수의 제 3 접속관(49A-49H);
    -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6)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1 커넥터(50);
    - 전화용 능동 전자 요소(18)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2 커넥터(52);
    - 지역 정보망용 능동 전자 요소(17)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3 커넥터(51);
    - 상기 제 1 , 제 2 및 제 3 접속관(43,48,49A-49H),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50,51,52)가 각각 연결된 인쇄회로기판(53)으로서, 상기 제 1 접속관(43)이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접속관(48)이 상기 제 2 커넥터(52)에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제 3 접속관(49A-49H)이 상기 제 1 커넥터(50), 제 2 커넥터(52) 및 제 3 커넥터(51)에 각각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53); 및
    - 상기 인쇄회로기판(53), 상기 제 1 , 제 2 및 제 3 접속관(43,48,49A-49H),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50,51,52)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능동 전자 요소(16,17,18) 각각에 대한 고정부를 제공하는 프레임(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속관(49A-49H)은 하나의 라인을 따라 그룹 형태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커넥터(50), 제 2 커넥터(52) 및 제 3 커넥터(52)가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 3 접속관(49A-49H), 상기 제 1 커넥터(50), 상기 제 2 커넥터(52) 및 상기 제 3 커넥터(51)가 연속적인 열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50)이 상기 제 3 접속관(49A-49H)에 더 근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52)가 상기 제 3 접속관(49A-49H)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 3 커넥터(49A-49H)는 상기 제 1 커넥터(50)와 상기 제 2 커넥터(5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관(43)과 상기 제 2 접속관(48)은 하나의 열을 따라 그룹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접속관(49A-49H), 상기 제 1 커넥터(50), 상기 제 2커넥터(52), 상기 제 3 커넥터(51), 상기 제 1 접속관(43)과 상기 제 2 접속관(48)로 된 그룹이 연속적인 열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접속관(43)과 제 2 접속관(48)은 상기 집중기(42)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 상기 제 3 접속관(49A-49H)은 상기 집중기(42)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며;
    - 상기 제 1 커넥터(50), 상기 제 2 커넥터(52) 및 상기 제 3 커넥터(51)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넥터(50)은 상기 제 2 단부에 더 근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52)가 상기 제 1 단부에 더 근접하는 한편, 상기 제 3 커넥터(51)은 상기 제 1 커넥터(50)과 상기 제 2 커넥터(5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의 케이블(19)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4 접속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재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분배기의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43)에 연결되며,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되고, 텔레비젼 신호 전체에 대한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4 접속관(4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3의 케이블(20)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5 접속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의 제 1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43)에 연결되며, 제 2 인입단은 상기 제 5 접속관(45)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2의 케이블(19)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4 접속관(44) 및 텔레비젼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 3의 케이블(20)을 수용하는데적합한 제 5 접속관(45)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재분배기-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분배기-커플러의 제 1 인입단은 상기 제 1 접속관(43)에 연결되고, 제 2 인입단은 상기 제 5 접속관(45)에 연결되며, 지상의 텔레비젼 신호에 대한 제 1 출력단은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되고, 텔레비젼 신호 전체에 대한 제 2 출력단은 상기 제 4 접속관(4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역 정보망 케이블(21)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6 접속관(46)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상기 제 6 접속관(46)을 상기 제 2 접속관(48) 및 상기 제 3 커넥터(51)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화망 케이블(21)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제 7 접속관(47)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상기 제 2 접속관(48)을 상기 제 7 접속관(47)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관(43), 상기 제 2 접속관(48) 및 상기 제 3 접속관(49A-49H)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접속관(44-47)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속관(43), 상기제 2 접속관(48) 및 상기 각각의 다른 접속관(44-47)은 하나의 라인을 따라 그룹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다수의 중첩된 층(65-68)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은 유전성 기재 및 상기 기재상에 배치된 도전성 금속 재료로 된 트랙 또는 블록(76,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제 1 층(65) 및 상기 제 1 접속관(43)을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층(6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상기 제 3 접속관(49A-49H) 각각에 대해서, 비대칭 신호를 대칭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75)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컨버터(75)는 상기 제 1 층(65)에 의해서, 또한 상기 제 2 층(68)에 의해서 상기 제 1 커넥터(50)에 연결된 인입단을 포함하고, 제 2 층(68)만을 매개로 해서 상기 제 3 접속관(49A-49H)에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버터(75)는 상기 제 3 접속관(49A-49H)과 상기 제 1 커넥터(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관(43-48,49A-49H) 및 상기 각각의 커넥터(50-5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의 동일한 측면에, 상기 제 1 층(65)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제 2 층(68)에 더욱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의 상기 제 1 층(65)은 상기 제 2 접속관(48)을 상기 제 2 커넥터(52)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커넥터(52)를 상기 제 3 접속관(49A-49H) 각각에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상기 제 1 층(65)와 상기 제 2 층(68) 사이에, 상기 제 3 접속관들(49A-49H)을 각각 상기 제 3 커넥터(51)에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는 제 3 층(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상기 제 3 접속관들(49A-49H)을 각각 상기 제 3 커넥터(51)에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도전성 트랙을 포함하는 제 4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관(43)은 F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관(48)은 스크루 접속공을 구비한 접속관이며, 상기 제 3 접속관(49A-49H)는 RJ45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50), 제 2 커넥터(52) 및 제 3 커넥터(51)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의 일부분(60,61,62)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링 집중기.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케이블링 집중기(42), 및 상기 프레임(54)의 고정부(56,57,58)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 1 커넥터(50), 제 2 커넥터(52) 및 제 3 커넥터(51)에 수용되는,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능동 전자 요소(16), 전화용 능동 전자 요소(18) 및 지역 정보망용 능동 전자 요소(18)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배 유닛.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능동 전자 요소는 전자 보드(60-62), 및 정면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 수단 및/또는 배치 수단(72,73,78)을 갖는 반면에 후면에는 상기 제 1 커넥터(50), 제 2 커넥터(52) 및 제 3 커넥터(51)에 대한 접속용 플러그를 갖는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배 유닛.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용 플러그는 상기 능동 전자 요소(16-18)의 전자 보드(60-62)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배 유닛.
  29. 제 26 항 내지 제 28항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한 하나 이상의 신호 분배 유닛(40) 및 직류 배전부(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배 장치(10)용 캐비넷.
  30. 제 29 항에 있어서,
    조작판(41)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시험용 전화 소켓(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KR1020040028196A 2003-04-24 2004-04-23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KR101108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5045A FR2854302B1 (fr) 2003-04-24 2003-04-24 Concentrateur de cablage, unite de distribution des signaux le comportant et coffret comportant cette unite
FR0305045 2003-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13A true KR20040093013A (ko) 2004-11-04
KR101108938B1 KR101108938B1 (ko) 2012-01-31

Family

ID=3294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196A KR101108938B1 (ko) 2003-04-24 2004-04-23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18422B2 (ko)
EP (1) EP1471749B1 (ko)
KR (1) KR101108938B1 (ko)
FR (1) FR2854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2269B2 (ja) * 2003-07-04 2008-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部品半装着防止用接続ブロックと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TW200627976A (en) * 2004-09-20 2006-08-01 American Power Conv Corp Equipment rack data/power distribution
FR2954037B1 (fr) * 2009-12-14 2012-01-20 Legrand France Systeme pour distribuer au moins des signaux de reseau informatique local et des signaux d'une autre nature
KR101599146B1 (ko) * 2014-08-14 2016-03-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점퍼 부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190A (en) * 1995-01-27 1997-02-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mmunication wiring system including a reconfigurable outlet assembly
US6028769A (en) * 1996-05-20 2000-02-22 Adc Telecommunication, Inc. Multiple integrated service unit for communication system
GB2317996B (en) * 1996-09-05 2001-04-04 Soho Networks Ltd Building communication system
US5893763A (en) * 1996-09-30 1999-04-13 Hubbell Incorporated Transition adapter for conductor cables
FR2764472A1 (fr) * 1997-06-04 1998-12-11 Trt Lucent Technologies Chassis de support de tiroirs electroniques
US6261107B1 (en) * 1998-01-16 2001-07-17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JP2001015223A (ja) * 1999-06-25 2001-01-19 Nec Corp 汎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合方法
DE29912112U1 (de) * 1999-07-15 1999-09-23 Nk Networks Gmbh Variabler Anschlußverteiler
EP1079491A3 (de) * 1999-08-18 2004-03-17 Reichle & De-Massari AG Gehäuse für eine Verteilerstation
US6922559B2 (en) * 2001-02-26 2005-07-26 Kineto Wireless, Inc.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base station to facilitate unlicensed and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subscrib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2330526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電気接続箱
US6804352B2 (en) * 2001-06-29 2004-10-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circuit density pots splitter assembly
FR2830156B1 (fr) 2001-09-25 2004-11-26 Henri Lee Systeme de distribution tv et unite de traitement utilisee dans ce systeme de distribution
JP2005530309A (ja) * 2002-03-27 2005-10-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善された保持性能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組立体
KR100822120B1 (ko) * 2002-10-18 2008-04-14 키네토 와이어리즈 인코포레이션 비인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인가 무선 통신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확장 장치 및 방법
US20040203789A1 (en) * 2002-11-12 2004-10-14 Hammond Marc John Location service assisted transition between wireless networks
US7627338B2 (en) * 2003-06-06 2009-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oice and data services utilizing wired cordless access with unlicensed spectrum and wired access with licensed spectrum
JP4256757B2 (ja) * 2003-10-07 2009-04-22 富士通株式会社 筐体及び電子装置
US20050113069A1 (en) * 2003-11-25 2005-05-26 Intel Corporation User authentication through separate communication links
US6875031B1 (en) * 2003-12-05 2005-04-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dule
US7136641B2 (en) * 2004-03-18 2006-11-14 Motorola Inc. Alternative network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1749B1 (fr) 2011-08-17
FR2854302A1 (fr) 2004-10-29
KR101108938B1 (ko) 2012-01-31
EP1471749A1 (fr) 2004-10-27
US20050032418A1 (en) 2005-02-10
US7118422B2 (en) 2006-10-10
FR2854302B1 (fr) 200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9190A (en) Communication wiring system including a reconfigurable outlet assembly
US7217152B1 (en) Patch panel with tracer
US9084367B2 (en) Structured cabling chassis
US7339111B2 (en) System handling video, control signals and power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US6344969B1 (en) Switched multi-port communications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08938B1 (ko)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US5703944A (en) Network interface device
US92647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XDSL demarcation interface with multi-functional capability and signal performance enhancement
EP0778665B1 (en) Branching device
US20030014757A1 (en) Modular multi-media converged services portal
MXPA03007863A (es) Sistema de distribucion de senales reconfigurable.
US20060103726A1 (en) Video communication system
US6570965B1 (en) Configurable telephone line distribution modules for designating primary and secondary telephone lines
US7006007B1 (en) Method for the distribution and transfer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as well as a signal distribution arrangement for the transfer of the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signals
EP0205563A1 (en) SYSTEM FOR SELECTIVE COUPLING OF SEVERAL DATA STATIONS.
US6535602B1 (en) Telecommunications wiring device
CA1159976A (en) Low cost user reprogrammable communication system
GB2591590A (en) Cable distribution box
US8355498B2 (en) Communication line interface
KR20000004142U (ko) 다중 컨넥터를 갖는 전용선 단자함
MXPA06006300A (es) Protectores de par de cable de planta externos.
KR200241703Y1 (ko) 전압통신신호분배장치
CA271296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xdsl demarcation interface with multi-functional capability and signal performance enhancement
KR200238754Y1 (ko) 텔레비젼용 케이블 및 통신선 분배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