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396A -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396A
KR20040090396A KR10-2003-7015149A KR20037015149A KR20040090396A KR 20040090396 A KR20040090396 A KR 20040090396A KR 20037015149 A KR20037015149 A KR 20037015149A KR 20040090396 A KR20040090396 A KR 2004009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bus
joint assembly
conductor coupling
bu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333B1 (ko
Inventor
화이트마이클월터
밀스브루스윌리엄
레더로버트헨리
Original Assignee
제너럴일렉트릭캐나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일렉트릭캐나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너럴일렉트릭캐나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외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 버스 전도체를 각각 포함하는 제1상 버스 덕트 섹션과 제2상 버스 덕트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 조인트 조립체는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의 단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전도체 결합부는 내부 버스 전도체에 비해 외부 치수가 감소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는,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 둘레에 각각 장착된 복수 개의 가동 접촉 핑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ISOLATED PHASE BUS DUCT JOINT ASSEMBLY}
상절연 버스 시스템은 전력 전달 및 분배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상절연 버스 시스템은 단부끼리 전기 접속된 복수 개의 상절연 버스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각 섹션에는, 고전압 수준에서 조작되는 중심 또는 내부 전도체와, 이 내부 전도체와 동심을 이루며 그 전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전도성 금속 외부 하우징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외부 하우징은 보통 접지 퍼텐셜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유지된다. 통상적인 상절연 버스 시스템에서, 단부끼리 접속되어 있는 섹션은 현장에서 인접 하우징에 용접되는 하우징 커버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밀봉되는 것이 보통이다.
비록 상절연 버스 덕트 시스템의 대부분의 운전은 하우징과 커플링을 현장 설치하기 쉬운 비교적 개방된 환경에서 이루어지지만, 현장에서 섹션들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버스 덕트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폐쇄된 환경에서는 현장 설치가 쉽지 않다. 또한, 하우징 구조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하우징 커버로 버스 덕트 섹션을 결합시키면, 현장 접근에 문제가 생기거나, 버스 덕트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엔클로저를 확대해야 한다.
예를 들면, 회전식 변압기의 회전자로 컬렉터 전류를 운반하기 위해, 변압기의 축을 통해 버스 덕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축의 직경은 그 축 내에서의 버스 덕트 시스템의 배치 및 이 버스 덕트 시스템의 외경과 관련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버스 덕트 시스템을 통과하는 전류의 자기 효과 때문에 아크가 생기고 축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과 버스 덕트 시스템 사이에는 최소한의 간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폐된 환경에서는 축의 직경을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예에서는, 3개의 상절연 버스 덕트 시스템이 축의 중심을 관통해서 축이 현장용 섹션으로 분할되어 있다. 버스 덕트 시스템은 2개의 섹션으로도 분할되어 있으며 축 섹션 내부에서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버스 덕트 시스템의 전체 직경을 증가사키는 커플링을 사용하면, 축 내부에 있는 그 커플링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거나, 3개의 상절연 버스 덕트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 직경이 증가할 수 있다.
비록 많은 형태의 버스 덕트 시스템 커넥터가 개발되었지만, 이러한 커넥터 중 다수는 플러그 또는 스탭 연결부(stab connection) 또는 핑거를 포함하며, 내부 전도체 사이에는 스프링 및 볼트 연결부가 외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피복되지 않은 것이 보통이고, 내부 전도체보다 직경이 크다. 결과적으로, 외부 하우징 커플링의 직경을 증가시켜야만 내부 전도체 커플링과 외부 전도성 하우징 사이에 허용 가능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버스 덕트 둘레에 엔클로저가 있는환경에서는, 내부 전도체 커플링의 외부 치수가 증가하면 엔클로저에 대한 전기적 간극(electrical clearance)이 감소하며, 내벽이 버스 덕트 시스템의 외부 하우징 벽으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엔클로저를 더 크게 만들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절연 버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절연 버스 하우징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거나 플러깅하기 위한 새로운 분리식 플러그 조인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형태에 따른 제1상 버스 덕트 섹션과 제2상 버스 덕트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의 단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IV-IV선을 따라 절단하여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
본 발명은 밀폐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절연 버스 덕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한 분리식 상절연 버스 덕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전도체용 커플링에서의 외경 증가를 최소화하기에 적합한 상절연 버스 덕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상 버스 덕트 섹션 및 제2상 버스 덕트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각 섹션은 외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 버스 전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는 내부 버스 전도체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 로딩식 핑거를 사용하여 내부 버스 전도체의 단부를 결합시킨다. 상기 핑거는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결합 단부에 장착된 전기 접촉 부재이며, 스프링은 핑거를 편향시켜 내부 버스 전도체의 양 단부와 접촉시킨다. 상기 스프링은, 커플링 조립체에서 내부 버스 전도체의 외부 직경 또는 치수가 증가하지 않도록 내부 버스 전도체 안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버스 전도체의 결합 단부의 외부 치수를 감소시켜, 핑거 접촉 부재를 결합 단부의 외측면에 장착할 때 커플링 조립체에서 내부 버스 전도체의 외부 치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구성은, 내부 버스 전도체와 외부 하우징 사이에 필요한 전기적 간극이 거의 증가하지 않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서는, 제1상 버스 덕트 섹션과 제2상 버스 덕트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각 섹션은 외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 버스 전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는,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들 결합부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는,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에 의해 제1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 둘레에 각각 장착된 복수 개의 가동 접촉 핑거를 포함한다. 이들 핑거는 제1 전도체 결합부를 지나서 각각 연장되어 제2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과 맞물린다.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는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와 핑거를 통과하는 나사식 스템을 각각 포함한다. 이 나사식 스템은, 핑거의 외측면과 맞물리는 조정 가능한 헤드와, 그 나사식 스템 위에 장착되어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헤드와 나사식 스템이 스프링에 대해 조정되어 상기 핑거가 제1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와 로킹식으로 맞물리도록 압박된다.
제1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은 내부 버스 전도체의 전도체 외측면에 비해 외부 치수가 감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와 각 섹션의 내부 버스 전도체는 원통 형상이며, 제1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는 내부 버스 전도체에 비해 직경이 각각 감소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도체 결합부가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단부 안에 장착되고, 내부 버스 전도체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조립체는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부착된 외피를 더 포함하며, 이 외피는 예정량만큼 다른 내부 버스 전도체 위로 핑거 위에서 핑거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상기 외피는 직경이 감소되어 있으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끼워지는 환형 플랜지를 형성한다. 상기 외피는,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와 환형 플랜지 사이에서 실런트(sealant)의 비드(bead)에 의해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버스 덕트 섹션의 외부 하우징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는 내부 버스 전도체의 커플링과 정렬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그 커플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약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조립체의 외부 하우징은 패스너와 결합한 접합 플랜지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플랜지 사이에서 절연체가 위치해서, 내부 버스 전도체를 향해 연장되어 외피를 둘러싸고 지지한다.
본 발명의 교시 내용은, 조인트가 버스 덕트 시스템 내부의 코너에 위치하도록 굴곡져 있거나 구형인 커플링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용례는, 동일 축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매우 인접한 평행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버스 덕트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속성과 목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1020으로 지시되어 있는 2개 섹션의 버스 덕트가 도시되어 있다. 각 섹션의 버스 덕트(10, 20)는 관 형상의 알루미늄제 외부 버스 덕트 또는 도전성 금속 외부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이 외부 금속 하우징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엔클로저라고도 부르겠다. 버스 덕트(10, 20)는 관 형상의 알루미늄제 내부 또는 중심 버스 전도체(16)를 더 포함한다. 내부 버스 전도체(16)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과 같은 그 밖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내부 버스 전도체(16)는 얇은 슬리브로 이루어진 절연체(17)로 각각 둘러싸여 있다. 절연체(17)의 사용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내부 버스 전도체(16)와 도전성 금속 외부 하우징(14) 사이의 전기적 공간 간극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버스 덕트(10, 20) 안에 각각 위치한 내부 또는 중심 버스 전도체(16)는, 버스 덕트를 따라서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절연체(18)에 의해서 외부 하우징(14)에 대해 동심 상태를 이루며 장착되어 있으며,내부 버스 전도체(16)를 원통형 링 방식으로 완전히 에워싸서 내부 버스 전도체(16)가 외부 하우징(14)으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조인트 조립체(20)에 포함되는 내부 또는 중심 버스 전도체(16)의 단부(22)에는 제1 및 제2 연장 커플링 또는 전도체 결합부(24, 26)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전도체 결합부(24, 26)는 관 형상이며, 관형 버스 전도체(16) 내부로 예정 간격만큼 연장된다. 제1 및 제2 연장 커플링(24, 26)의 외측면(28)은 내부 버스 전도체(16)의 내측면(30) 안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전도체 결합부(24, 26)는 도면 부호32에 도시되어 있는 용접형 접합부에 의해 제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전도체 결합부(24, 26)의 외측면(28)은 더 나은 전기 전도를 위해 은으로 도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도체 결합부(24)는 에이프런 플랜지(apron flange; 34)를 구비하고, 제1 전도체 결합부(24)의 내측면(36)에는 오목한 레지(recessed ledge; 38)가 마련되어 있다. 에이프런 플랜지(34) 둘레에는 복수 개의 개구(40; 도 3)가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40)는 오목한 레지(38) 상에 위치하는 오목한 스폿면(recessed sopt face; 42)을 구비한다. 제2 전도체 결합부(26)는 굴곡진 도입면(44)을 구비한다.
전도체 결합부(24, 26) 외에, 조인트 커플링 조립체(20)는 제1 결합부(24)의 에이프런 플랜지(34)의 외측면(28)에 장착된 복수 개의 도전성 접촉 핑거(50)를 포함한다. 이들 핑거(50)는 도전 상태 개선을 위해 은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핑거(50)에는 고유의 중심 개구(5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개구는 에이프런 플랜지(34)에 마련되어 있는 대응하는 개구(40)와 정렬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를 통해 둥근 머리 나사(54)가 반경 방향으로 통과해서 통상적인 와셔(56)에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둥근 머리 나사(54)와 편평한 와셔(56)가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패스너는 에이프런 플랜지(34) 및 각 핑거(50)와 협동해서 이들 핑거(50)를 에이프런 플랜지(34)의 외측면(28)에 장착시키고 있다. 패스너(51)는 스템(58)과 스프링(60) 및 너트(62)를 더 포함한다. 나선이 형성된 둥근 머리 나사(54)의 나사식 스템(58)에는 헬리컬 스프링(60)과 너트(62)가 스폿면(42)에 장착되어 있다. 둥근 머리 나사(54)를 돌려서 너트(62)가 스크링(60)과 맞물리게 할 수 있으며, 그러면 스프링(60)이 압축되고 핑거(50)가 제1 및 제2 결합부(24, 26)의 외측면(28)에 대해 아래쪽으로 압박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핑거(50)는 플랜지(64, 66)와 같은 보스를 더 포함한다. 이들 플랜지(64, 66)는 서로에 대해 옵셋되어 있어 스템(58)과 둥근 머리 나사(54)가 약간 경사지게 되며, 그 결과 스프링(60)이 압축되고 핑거 플랜지(64, 66)가 결합부(24, 26)의 외측면(28) 내부를 물게 된다. 핑거 플랜지가 결합부(24, 26)의 외측면(28) 내부를 물게 되면, 핑거(50)에 걸쳐 결합부(24, 26) 사이에 양호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결합부(24, 26)의 은으로 도금된 외측면(28)과 은으로 도금된 핑거(50)의 산화은에는 맞물림 동안에 마멸이 발생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은이 흘러서 양호한 전기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핑거(50) 상의 둥근 플랜지(66)와 결합부(26) 상의 굴곡진 도입면(44)은, 둥근 머리 나사(54)를 조여서 핑거(50)를 제 자리에 로킹하기 전에 핑거(50)를 밀어서 결합부(26)와 맞물리게 하며, 2개의 내부 버스 전도체(16)가 서로에 대해 거의 정렬된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예시한 핑거(50)의 형상은, 핑거(50)가 결합부(24, 26) 사이의 공간 또는 간극을 잇도록 세장형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핑거(50)가 굴곡진 형상이라면 코너 조인트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조립체(20)는 외피(70)를 더 포함한다. 이 외피(70)는 커플링 조립체(20) 위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원통형 외피이다. 원통형 외피(70)는 내부 버스 전도체(16) 중 하나의 외측면(2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축소 원통면(72)을 구비한다. 외피(70)는 커플링 조립체(20) 위로 간격을 둔 상태로 연장되어 다른 내부 버스 전도체(16) 위를 예정된 거리만큼 지난다. 외피(70)는 RTV 실리콘(74)의 비드에 의해서 제1 버스 전도체(16)에 대해 제 자리에 고정된다.
외부 엔클로저 또는 외부 금속 하우징(14)에는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76)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절연성 안내 핀 또는 패스너(78)가 연장되어 외부 하우징(14)을 함께 체결시킨다. 절연 링(80)이 각 플랜지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 절연 링은 절연성 안내 핀(78)에 의해 제 자리에 고정된다.
조인트 조립체(20)에서, 핑거(50)는 버스 전도체(16)의 외측면(22)과 거의 동일하게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어, 내부 버스 전도체(16)의 중심으로부터 대체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둥근 머리 나사(54)만이 외측면(22)을 반경 방향으로 약간 지나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핑거(50)와 외부 엔클로저(14)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 전기적 간극을 위해 외부 엔클로저(14)의 직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이것은, 스프링(60)이 제1 전도체 결합부(24)의 내측면(36) 안에 위치한다는 사실에 주로 기인한다.
또한, 핑거(50) 위에 비금속 실드 또는 외피(70)를 사용하면 결합부가 외부 엔클로저(14)로부터 차폐되고, 그 결과 외무 엔클로저(14)와 커플링 조인트 핑거(50)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최소의 전기적 간극 거리에서 유지된다.
도면에 예시한 버스 덕트 섹션(10, 12)은 1상식 상절연 버스 덕트 시스템을 위한 것이며, 많은 경우에 3상식 상절연 버스 덕트 시스템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보통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전술한 기재 내용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교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Claims (13)

  1. 외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 버스 전도체를 각각 포함하는 제1상 버스 덕트 섹션과 제2상 버스 덕트 섹션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로서,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내측면과 외측면을 각각 구비한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와,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 둘레에 각각 장착된 복수 개의 가동 접촉 핑거를 포함하며, 이들 핑거는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를 지나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2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과 맞물리고,
    상기 스프링 로딩식 조정 패스너는 상기 가동 접촉 핑거 및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를 통과하는 나사식 스템을 각각 포함하며, 이 나사식 스템은, 상기 가동 접촉 핑거의 외측면과 맞물리는 조정 가능한 헤드와, 상기 나사식 스템 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의 내측면과 맞물리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와 나사식 스템이 상기 스프링에 대해 조정되어 상기 가동 접촉 핑거가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와 로킹식으로 맞물리도록 압박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의 전도체 외측면에 비해 외부 치수가 감소되어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와 각 섹션의 내부 버스 전도체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는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에 비해 직경이 각각 감소되어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내부 전도체 결합부는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의 단부 중 하나 안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부착된 비금속 외피를 더 포함하며, 이 외피는 간극을 둔 상태로 다른 내부 버스 전도체 및 상기 가동 접촉 핑거 위로 연장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직경이 감소되어 있어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끼워지는 환형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와 환형 플랜지사이에서 실런트의 비드에 의해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각 섹션의 외부 하우징은 패스너와 결합한 접합 플랜지에 의해 접합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 섹션의 플랜지 사이에 절연체가 위치하며, 이 절연체는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외피를 둘러싸고 지지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는 지지 에이프런을 구비하고, 이 지지 에이프런의 내부면에는 오목한 레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에이프런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개구를 상기 나사식 스템이 통과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나사식 스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오목한 레지에서 상기 내부면과 맞물리며,
    상기 제2 전도체 결합부는 둥근 선단 엣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 핑거는, 상기 헤드와 나사식 스템이 상기 스프링에 대해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 안으로 물려 들어가서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를 함께 로킹시키는 둥근 물림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인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버스 전도체는 절연 슬리브로 둘러싸여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 핑거와 상기 제1 전도체 결합부 및 제2 전도체 결합부의 외측면은 은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인 상절연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KR1020037015149A 2002-03-21 2003-02-20 상분리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KR100988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377,853 2002-03-21
CA002377853A CA2377853C (en) 2002-03-21 2002-03-21 Isolated phase bus duct joint assembly
PCT/CA2003/000237 WO2003081740A1 (en) 2002-03-21 2003-02-20 Isolated phase bus duct join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396A true KR20040090396A (ko) 2004-10-22
KR100988333B1 KR100988333B1 (ko) 2010-10-18

Family

ID=2781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149A KR100988333B1 (ko) 2002-03-21 2003-02-20 상분리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677532B2 (ko)
EP (1) EP1490938A1 (ko)
JP (1) JP4238139B2 (ko)
KR (1) KR100988333B1 (ko)
CN (1) CN100413163C (ko)
AU (1) AU2003255364A1 (ko)
BR (1) BR0303675A (ko)
CA (1) CA2377853C (ko)
MX (1) MXPA03010472A (ko)
NO (1) NO334190B1 (ko)
NZ (1) NZ529061A (ko)
RU (1) RU2304831C2 (ko)
WO (1) WO2003081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4647B1 (en) * 2003-12-12 2016-11-09 Merck Canada Inc. Cathepsin cysteine protease inhibitors
CN102369641B (zh) * 2009-04-24 2015-09-30 三菱电机株式会社 高压电气设备的导体
JP4580036B1 (ja) * 2009-06-12 2010-11-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スバーおよびコネクタ
CN102790365B (zh) * 2012-07-30 2016-03-09 江苏巴斯威节能科技有限公司 全连式主导体全浇注离相母线及其形成方法
US9865997B2 (en) 2013-11-12 2018-01-09 Schneider Electric USA, Inc. Double shutter shroud and tunnel for MCC bus connections
US9385517B2 (en) * 2014-04-02 2016-07-05 Busway Solutions, LLC Busway output box guide/inhibitor system for insertion and removal of a busway output box
CN105281277A (zh) * 2015-11-20 2016-01-27 中天科技海缆有限公司 一种海缆中心定位保护装置
EP3485538A1 (de) * 2016-07-18 2019-05-22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Verbindungselement
CN109244846B (zh) * 2016-09-29 2020-10-02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母线组件以及母线连接结构
CN108599065B (zh) * 2018-05-21 2024-01-09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两管型母线的连接方法及连接结构
CN112086765B (zh) * 2020-08-21 2022-04-0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管母支撑金具及输电系统
CN114172100B (zh) * 2021-12-14 2024-04-30 青岛东山集团母线智造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组合式插接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4012A (en) 1952-05-07 1957-03-05 Porter Co Inc H K Packed sleeve joint for buses
US2783299A (en) 1953-01-12 1957-02-26 Ite Circuit Breaker Ltd Weather-and pressure-tight enclosure for isolated phase bus bar
CA669151A (en) * 1958-07-31 1963-08-2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bus structure
US3061666A (en) 1961-03-17 1962-10-30 Bell Telephone Labor Inc Splice closure for sheathed cable
US3459872A (en) 1966-06-24 1969-08-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Bus duct with improved connecting means
US3584137A (en) * 1969-02-28 1971-06-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Bus duct comprising insulated bus bars
US3636237A (en) * 1970-09-08 1972-01-18 Arrow Hart Inc Bus duct
US3692923A (en) 1971-06-22 1972-09-19 Ite Circuit Breaker Ltd Flexible sealed housing for isolated phase bus
US4029379A (en) 1973-09-14 1977-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al bus duct with torque indication nut
US4174143A (en) 1976-03-29 1979-11-13 Cutler-Hammer, Inc. Bus duct joint employing lightly-loaded multiple-point electrical connector
US4204085A (en) 1978-05-26 1980-05-20 Gould Inc. Seismic-proof bus duct joint
US4728752A (en) * 1986-08-22 1988-03-01 Eaton Corporation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bus ducts having unequal numbers of runs
US4804804A (en) * 1987-11-19 1989-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efficient power busway housing
US5821464A (en) * 1996-08-23 1998-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section length for power busway distribution system
US6435888B1 (en) * 2001-05-18 2002-08-20 Square D Company Captive splice assembly for electrical bus and method f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3132468A (ru) 2005-04-10
CA2377853C (en) 2009-06-16
NO20035155L (no) 2003-11-20
BR0303675A (pt) 2004-07-13
NO334190B1 (no) 2014-01-13
WO2003081740A1 (en) 2003-10-02
AU2003255364A1 (en) 2003-10-08
CN100413163C (zh) 2008-08-20
CN1509509A (zh) 2004-06-30
NO20035155D0 (no) 2003-11-20
US20030178214A1 (en) 2003-09-25
MXPA03010472A (es) 2004-03-09
NZ529061A (en) 2006-03-31
KR100988333B1 (ko) 2010-10-18
RU2304831C2 (ru) 2007-08-20
JP4238139B2 (ja) 2009-03-11
JP2005521369A (ja) 2005-07-14
CA2377853A1 (en) 2003-09-21
US6677532B2 (en) 2004-01-13
EP1490938A1 (en)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9076A (en) Electrical cable terminating and grounding connector
US3323097A (en) Conductor termination with stress distribution means
US8556654B2 (en) Coaxial connector grounding inserts
JPS635396Y2 (ko)
KR100988333B1 (ko) 상분리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US4222625A (en)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shield construction
US9444156B2 (en) Coaxial connector grounding inserts
US4678259A (en) Metal junction box for plug-in multicontact connector
CA1266898A (en) High voltage externally-separable bushing
US3713075A (en) Dielectric shield for plug-in contacts
CN214378174U (zh) 一种隔离接地开关弧触头底座及隔离接地开关
KR200483742Y1 (ko) 초고압 기기용 컨덕터 결합구조
JP2804040B2 (ja) 電気的接続導体
USRE28837E (en) Shielding tape grounding device for high voltage cables
JP3181504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920007518Y1 (ko) 변압기의 2차측 터미널구조
CN217720272U (zh) 用于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的母线装置
CN218384644U (zh) 用于气体绝缘系统的绝缘子组件及气体绝缘系统
US20240145986A1 (en) Cable connector
KR20220014559A (ko)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WO2023099613A1 (en) Cable module, gas-insulate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module
JPH0810696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011364B2 (ja) 電気機器の終端接続部構造
KR20220040909A (ko) 엘보 접속재 연결구
JPH10126911A (ja) 導体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