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559A -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559A
KR20220014559A KR1020200094299A KR20200094299A KR20220014559A KR 20220014559 A KR20220014559 A KR 20220014559A KR 1020200094299 A KR1020200094299 A KR 1020200094299A KR 20200094299 A KR20200094299 A KR 20200094299A KR 20220014559 A KR20220014559 A KR 2022001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ushing
plug
stud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완
유정훈
김태국
이상헌
이종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9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559A/ko
Publication of KR2022001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5Elb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는 지상개폐기의 외함에 구비된 부싱부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와,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컨덕터가 수용되는 케이블수용부 및, 상기 부싱결합부와 연통되는 플러그결합부를 포함하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부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컨덕터가 조립되는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부싱부와 상기 접속컨덕터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접속컨덕터의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결합되는 풀림방지 너트부재와, 상기 플러그결합부에 조립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결합되며, 테스트포인트가 구비된 절연 재질의 플러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ELBOW CONNECTOR FOR GROUND SWITCH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배전선로에서 지중 케이블과 지중용 개폐기를 접속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개폐기는 지중지역에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상개폐기와 특고압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엘보접속재가 사용된다.
엘보접속재는 지상개폐기 부싱과 특고압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와 절연플러그간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는 각 부재 간의 상호 완전하게 접속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 엘보접속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상호 불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는 엘보부의 절연파괴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서는 지상개폐기를 교체하여야하는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막대한 공사비가 수반된다.
구체적으로 원인을 살펴보면, 부싱에 스터드볼트를 체결 시에 편심 각도가 발생하여 스터드볼트와 부싱 간에 불완전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나사산 마모 및 운영 중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볼트를 부싱에 시공한 후에 절연플러그를 시공하여야 하는데, 종래 스터드볼트와 절연플러그를 먼저 외부에서 결합한 후에 토크렌치를 활용하여 부싱 및 케이블 접속단자를 스터드볼트와 결합된 절연플러그를 조여서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편심각도에 따라 체결 시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불완전한 체결로 인해 저항증가 및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편심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과도한 힘으로 체결 시에 절연플러그가 파손될 수 있고, 느슨한 힘으로 체결 시에 체결 불량에 따라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중케이블 VLF 진단 후에 절연플러그를 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절연플러그를 분리할 때 스터드볼트도 함께 분리되어 엘보접속재 전체의 재조립 공정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절연플러그와 함께 분리된 절연플러그를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절연플러그 등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15135호(2011. 02. 09. 공개, 발명의 명칭: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부싱부와 접속컨덕터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상호 유격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스터드볼트부와 부싱부의 불완전 결합을 방지하여 저항 증가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부재를 분리할 때 스터드볼트부가 함께 풀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이 미연에 방지되고 지상개폐기로의 확대 고장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일시 및 순간 정전을 방지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키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는 지상개폐기의 외함에 구비된 부싱부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와,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컨덕터가 수용되는 케이블수용부 및, 상기 부싱결합부와 연통되는 플러그결합부를 포함하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부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컨덕터가 조립되는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부싱부와 상기 접속컨덕터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접속컨덕터의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결합되는 풀림방지 너트부재와, 상기 플러그결합부에 조립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결합되며, 테스트포인트가 구비된 절연 재질의 플러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포인트를 보호하도록 상기 플러그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재를 커버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봉 형상의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컨덕터가 조립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볼트몸체에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싱부에 구비된 볼트결합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1 볼트부와, 상기 볼트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제2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볼트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의 상기 제2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볼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볼트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볼트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볼트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부에 곡면 처리된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부싱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접속컨덕터는 상기 접속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는 상기 접속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2 방향의 면에 접촉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볼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조립부를 상기 부싱부에 밀착시키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재는 절연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 상기 테스트포인트가 인서트 결합되는 플러그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의 상기 제1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 볼트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와, 상기 볼트체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부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가 수용되는 너트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설치방법은 지상개폐기의 외함에 구비된 부싱부에 스터드볼트부를 결합하는 제1 단계와,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컨덕터가 수용된 절연하우징을 부싱부에 결합하여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접속컨덕터를 조립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속컨덕터의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접속컨덕터를 상기 부싱부에 밀착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절연하우징에 플러그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플러그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절연하우징에 캡부재를 결합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부싱부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플러그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는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부싱부와 접속컨덕터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상호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스터드볼트부와 부싱부의 불완전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불완전결합으로 인한 저항 증가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부재는 플러그부재를 분리할 때 스터드볼트부가 함께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작업 시에 플러그부재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스터드볼트부가 함께 플러그부재와 함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됨으로써, 엘보접속재를 재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플러그부재만 분리되게 구비됨으로써 스터드볼트부의 편심각도에 따라 체결 시의 마모 현상이나 불완전 체결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를 이용하면 고장이 미연에 방지되고 지상개폐기로의 확대 고장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시 및 순간 정전을 방지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터드볼트부에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터드볼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의 (a)와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플러그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터드볼트부에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터드볼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의 (a)와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플러그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는 절연하우징(20)과, 스터드볼트부(30)와, 풀림방지 너트부재(40) 및 플러그부재(50)를 포함한다.
절연하우징(20)은 지상개폐기의 외함(1)에 구비된 부싱부(2)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3)와, 케이블(6)이 연결된 접속컨덕터(4)가 수용되는 케이블수용부(21) 및, 부싱결합부(23)와 연통되는 플러그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하우징(20)은 후술하는 부재들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일례로 T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하우징(20)은 부싱결합부(23)와 케이블수용부(21)와 플러그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볼트부(30)는 절연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되며 부싱부(2)에 결합되고 접속컨덕터(4)가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터드볼트부(30)는 부싱부(2)와 접속컨덕터(4)와 플러그부재(5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부재로서, 일측이 부싱부(2)와 나사 결합되고 타측이 플러그부재(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싱부(2)와 플러그부재(50) 사이에 접속컨덕터(4)가 조립될 수 있다.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스터드볼트부(30)에 나사 결합되되, 부싱부(2)와 접속컨덕터(4)를 밀착시키도록 접속컨덕터(4)의 부싱부(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접속컨덕터(4)를 스터드볼트부(30)에 조립한 상태에서, 스터드볼트부(30)에 토크렌치 등을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써, 부싱부(2)와 접속컨덕터(4) 사이의 유격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부재들의 불완전 결합에 의한 발열 및 열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엘보접속재(10)를 설치한 후에 케이블(6) 진단 시나 접지 작업 등을 위해 플러그부재(50)를 분리할 때,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스터드볼트부(30)가 플러그부재(50)와 함께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부재(50)는 플러그결합부(25)에 조립되고 스터드볼트부(30)에 결합되며, 테스트포인트(Test Point,55)가 구비될 수 있고, 절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부재(50)는 플러그본체(51)와, 테스트포인트(55)와, 결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본체(51)는 절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플러그본체(51)는 절연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플러그본체(51)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테스트포인트(55)는 플러그본체(51)에 인서트 결합되고 플러그본체(51)에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테스트포인트(55)는 부싱부(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52)는 플러그본체(51)의 부싱부(2)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스터드볼트부(30)와 나사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2)는 스터드볼트부(30)와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풀림방지 너트부재(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2)와 테스트포인트(55)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러그본체(51)에 의해 안전하게 절연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포인트(55)와 결합부(52) 사이의 간격은 종래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작함으로써 테스트포인트(55) 검침 전압은 종래와 동일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는 풀림방지 너트부재(40)에 의해 부싱부(2)와 접속컨덕터(4)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상호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40)에 의해 스터드볼트부(30)와 부싱부(2)의 불완전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불완전결합으로 인한 저항 증가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플러그부재(50)를 분리할 때 스터드볼트부(30)가 함께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작업 시에 플러그부재(50)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풀림방지 너트부재(40)에 의해 스터드볼트부(30)가 함께 플러그부재(50)와 함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됨으로써, 엘보접속재(10)를 재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터드볼트부(30)가 플러그부재(50)와 함께 분리되면 이를 함께 부싱부(2)에 체결해야 하는데, 이 경우 스터드볼트부(30)의 편심각도에 따라 체결 시의 마모 현상이나 불완전 체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풀림방지 너트부재(40)에 의해 플러그부재(50)만 분리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캡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재(60)는 테스트포인트(55)를 보호하도록 플러그결합부(25)의 후단에 결합되고 플러그부재(5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부재(60)는 테스트포인트(55)가 커버하도록 절연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테스트포인트(55)를 포함한 플러그부재(50)는 절연하우징(20)과 캡부재(60)에 의해 노출이 차단되고 절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터드볼트부(30)는 볼트몸체(31)와 접속부(32)와 제1 볼트부(33)와 제2 볼트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볼트부(30)는 제3 볼트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트몸체(31)는 스터드볼트부(3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32)는 볼트몸체(31)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되고 접속컨덕터(4)가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속부(32)를 기준으로 부싱부(2)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정의한다.
제1 볼트부(33)는 볼트몸체(31)에 접속부(32)의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부싱부(2)에 구비된 볼트결합홈(3)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볼트부(33)는 접속부(32)의 제1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싱부(2)는 제1 볼트부(33)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볼트결합홈(3)을 포함할 수 있고, 볼트결합홈(3)의 내주면에는 제1 볼트부(33)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트부(35)는 볼트몸체(31)에 형성되고 접속부(32)의 제2 방향에 위치하며 풀림방지 너트부재(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볼트부(35)는 접속부(32)의 제2 방향으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내주면에 제2 볼트부(35)가 삽입되는 체결홀(41)이 형성될 수 있고(도 5 참조), 체결홀(41)의 내주면에는 제2 볼트부(35)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속컨덕터(4)는 접속부(32)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조립부(5)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접속부(3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조립부(5)의 제2 방향의 면에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제2 볼트부(35)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조립부(5)가 부싱부(2)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스터드볼트부(30)를 부싱부(2)에 결합하고 접속부(32)에 접속컨덕터(4)를 조립할 후에, 제2 볼트부(35)에 풀림방지 너트부재(40)를 조립함으로써, 부싱부(2)와 스터드볼트부(30) 및 접속컨덕터(4)를 유격 없이 완전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터드볼트부(30)는 부싱부(2)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부싱부(2) 및 접속컨덕터(4)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싱부(2)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볼트부(30)는 황동이나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터드볼트부(30)와 부싱부(2)의 결합 시에 마모되거나 서로 눌어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볼트부(30)는 외면에 주석 이상의 도금을 시행하여 이질 금속의 결합 시에 금속간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속컨덕터(4)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황동이나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풀림방지 너트부재(40)를 접속컨덕터(4)에 밀착 시에 마모되거나 서로 눌어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40)는 외면에 주석 이상의 도금을 시행하여 이질 금속의 결합 시에 금속간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3 볼트부(36)는 볼트몸체(31)에 형성되고 제2 볼트부(35)의 제2 방향에 구비되며, 제1 볼트부(33)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볼트부(33)와 상이한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볼트부(36)의 직경은 제1 볼트부(33)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볼트부(36)는 제2 볼트부(35)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볼트부(3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 볼트부(33)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볼트부(33)와 제2 볼트부(3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볼트부(36)는 제1 볼트부(33) 및 제2 볼트부(35)의 나사산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볼트부(33)의 나사산과 제2 볼트부(35)의 나사산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3 볼트부(36)의 나사산은 왼나사 방향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볼트부(36)의 나사산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볼트부(36)는 제1 볼트부(33)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볼트부(33)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부재(50)에 구비된 결합부(52)는 볼트체결부(53)와 너트수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결합부(52)는 제3 볼트부(36)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볼트결합부(52)의 내주면에는 제3 볼트부(36)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33)와 제3 볼트부(36)는 체결 방향과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최대 조임 토크와 풀림 토크가 서로 다르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볼트부(33)가 부싱부(2)와 먼저 결합되어야만 제3 볼트부(36)가 플러그부재(50)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볼트부(33)와 볼트결합홈(3) 간의 최대 조임토크(예를 들어 88N·m 정도)는 제3 볼트부(36)와 볼트체결부(53) 간의 최대 조임토크(예를 들어 36N·m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볼트부(33)를 오른나사 방향으로 먼저 반드시 체결하여야만 제3 볼트부(36)를 왼나사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다. 즉 제3 볼트부(36)와 볼트체결부(53)를 먼저 체결한 후 제1 볼트부(33)를 부싱부(2)에 조립할 수는 없다.
분리 시에는 상기한 체결공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3 볼트부(36)를 플러그부재(50)에서 먼저 분리한 후 제1 볼트부(33)를 부싱부(2)에서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문제된 바와 같이 제3 볼트부(36)와 플러그부재(50)를 먼저 조립한 후 제1 볼트부(33)를 조립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분리시에도 제3 볼트부(36)가 먼저 풀리게 됨으로써, 접지 작업 시에 플러그부재(50)만 분리할 수 있다.
너트수용부(54)는 볼트체결부(53)의 제1 방향에 형성되고 볼트체결부(53)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풀림방지 너트부재(40)가 수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너트수용부(54)에 의해 플러그부재(50)를 체결 시에 풀림방지 너트부재(40)가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스터드볼트부(30)는 볼트몸체(31)의 제1 방향의 선단부에 곡면 처리된 곡면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터드볼트부(30)는 부싱부(2)의 볼트결합홈(3)의 내부로 진입하여 부싱부(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터드볼트부(30)는 선단부에 구비된 곡면부(34)에 의해 부싱부(2)와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부싱부(2)에 편심 접속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곡면부(34)는 스터드볼트부(30)가 볼트 결합홈에 진입 시에 편심 접속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의 설치방법은 상기한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를 이용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10)의 설치방법은 제1 단계와, 제2 단계와, 제3 단계 및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지상개폐기의 외함(1)에 구비된 부싱부(2)에 스터드볼트부(3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부싱부(2)에 구비된 볼트결합홈(3)에 스터드볼트부(30)의 제1 볼트부(33)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케이블(6)이 연결된 접속컨덕터(4)가 수용된 절연하우징(20)을 부싱부(2)에 결합하여 스터드볼트부(30)에 접속컨덕터(4)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절연하징의 케이블수용부(21)에 케이블(6)이 연결된 접속컨덕터(4)가 삽입될 수 있고, 접속컨덕터(4)의 조립부(5)에 형성된 홀에 스터드볼트부(30)의 접속부(32)가 끼워짐으로써 스터드볼트부(30)와 접속컨덕터(4)가 조립될 수 있다.
제3 단계는 접속컨덕터(4)의 부싱부(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스터드볼트부(30)에 풀림방지 너트부재(40)를 나사 결합하여 접속컨덕터(4)를 부싱부(2)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는 풀림방지 너트부재(40)와 제2 볼트부(35)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속컨덕터(4)를 부싱부(2)에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이에 의해 부싱부(2)와 접속컨덕터(4)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단계는 절연하우징(20)에 플러그부재(50)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고 스터드볼트부(30)와 나사 결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4 단계는, 플러그부재(50)의 제1 방향의 단부를 절연하우징(20)의 플러그결합부(25)에 삽입하고, 제3 볼트부(36)와 볼트체결부(53)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단계에서 스터드볼트부(30)와 부싱부(2)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은, 제4 단계에서 스터드볼트부(30)와 플러그부재(50)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볼트부(36)는 제1 볼트부(3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볼트부(33)와 제3 볼트부(36)는 체결 방향과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최대 조임 토크와 풀림 토크가 서로 다르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볼트부(33)가 부싱부(2)와 먼저 결합되어야만 제3 볼트부(36)가 플러그부재(50)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제5 단계는 제4 단계 이후에, 플러그부재(50)를 커버하도록 절연하우징(20)에 캡부재(6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5 단계에서 캡부재(60)는 테스트포인트(55)가 커버하도록 절연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테스트포인트(55)를 포함한 플러그부재(50)는 절연하우징(20)과 캡부재(60)에 의해 노출이 차단되고 절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는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부싱부와 접속컨덕터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상호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스터드볼트부와 부싱부의 불완전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불완전결합으로 인한 저항 증가 및 발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너트부재는 플러그부재를 분리할 때 스터드볼트부가 함께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작업 시에 플러그부재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스터드볼트부가 함께 플러그부재와 함께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됨으로써, 엘보접속재를 재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림방지 너트부재에 의해 플러그부재만 분리되게 구비됨으로써 스터드볼트부의 편심각도에 따라 체결 시의 마모 현상이나 불완전 체결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를 이용하면 고장이 미연에 방지되고 지상개폐기로의 확대 고장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시 및 순간 정전을 방지하여 전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지상개폐기 외함 2: 부싱부
3: 볼트결합홈 4: 접속컨덕터
5: 조립부 6: 케이블
10: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20: 절연하우징 21: 케이블수용부
23: 부싱결합부 25: 플러그결합부
30: 스터드볼트부 31: 볼트몸체
32: 접속부 33: 제1 볼트부
34: 곡면부 35: 제2 볼트부
36: 제3 볼트부 40: 풀림방지 너트부재
41: 체결홀 50: 플러그부재
51: 플러그본체 52: 결합부
53: 볼트체결부 54: 너트수용부
55: 테스트포인트 60: 캡부재

Claims (13)

  1. 지상개폐기의 외함에 구비된 부싱부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와,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컨덕터가 수용되는 케이블수용부 및, 상기 부싱결합부와 연통되는 플러그결합부를 포함하는 절연하우징;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부싱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컨덕터가 조립되는 스터드볼트부;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부싱부와 상기 접속컨덕터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접속컨덕터의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결합되는 풀림방지 너트부재; 및
    상기 플러그결합부에 조립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결합되며, 테스트포인트가 구비된 절연 재질의 플러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포인트를 보호하도록 상기 플러그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재를 커버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봉 형상의 볼트몸체;
    상기 볼트몸체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컨덕터가 조립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볼트몸체에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싱부에 구비된 볼트결합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1 볼트부; 및
    상기 볼트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제2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볼트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볼트부의 상기 제2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볼트부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부와 상이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볼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볼트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볼트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볼트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부에 곡면 처리된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부는 상기 부싱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컨덕터는 상기 접속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는 상기 접속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상기 제2 방향의 면에 접촉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볼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조립부를 상기 부싱부에 밀착시키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는
    절연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 상기 테스트포인트가 인서트 결합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플러그본체의 상기 제1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 볼트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 및
    상기 볼트체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부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풀림방지 너트부재가 수용되는 너트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11. 지상개폐기의 외함에 구비된 부싱부에 스터드볼트부를 결합하는 제1 단계;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컨덕터가 수용된 절연하우징을 부싱부에 결합하여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접속컨덕터를 조립하는 제2 단계;
    상기 접속컨덕터의 상기 부싱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에 풀림방지 너트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접속컨덕터를 상기 부싱부에 밀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절연하우징에 플러그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나사결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설치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플러그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절연하우징에 캡부재를 결합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설치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부싱부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스터드볼트부와 상기 플러그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의 설치방법.
KR1020200094299A 2020-07-29 2020-07-29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KR20220014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99A KR20220014559A (ko) 2020-07-29 2020-07-29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99A KR20220014559A (ko) 2020-07-29 2020-07-29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59A true KR20220014559A (ko) 2022-02-07

Family

ID=802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299A KR20220014559A (ko) 2020-07-29 2020-07-29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5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910007668B1 (ko) 고전압용의 스크류 조립식 접속시스템
KR0157402B1 (ko) 배전용 연결구조립체와 이를 연결하는 방법
US5902150A (en) Connector for a power supply
US4382651A (en) Transformer bar connector
MX2013008425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puesta a tierra.
US4362351A (en) Terminal assembly
US5100348A (en) Electrical distributor
GB2274208A (en) Earthed cable gland
KR100988333B1 (ko) 상분리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KR20220014559A (ko) 지상개폐기용 엘보접속재 및 그 설치방법
US2931009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GB2123222A (en) Cable glands
KR100635788B1 (ko) 전선 접속모듈
CN201623396U (zh) 气体绝缘高压开关设备
KR20240020565A (ko) 절연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지상개폐기용 부싱 커넥터 장치
CN216214828U (zh) 导电连接装置及气体绝缘金属封闭式开关设备
RU198843U1 (ru) Электроразъем
KR0182837B1 (ko) 옥외 고압선용 유니언
GB2610045A (en) Cable junction box with earth wire
KR102451238B1 (ko) 가스절연 지상개폐기용 절연플러그
US20200358222A1 (en) Deadbreak connector
KR200339329Y1 (ko) 전선 퓨즈
KR20220040909A (ko) 엘보 접속재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