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260A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260A
KR20040089260A KR1020030022965A KR20030022965A KR20040089260A KR 20040089260 A KR20040089260 A KR 20040089260A KR 1020030022965 A KR1020030022965 A KR 1020030022965A KR 20030022965 A KR20030022965 A KR 20030022965A KR 20040089260 A KR20040089260 A KR 2004008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onnecting
terminal
plate
cath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108B1 (ko
Inventor
김성민
이희영
정용호
김희수
박성철
이하영
김은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캡
Priority to KR10-2003-002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1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인출되어 있고, 저항이 작으며 생산성이 높은 전기에너지저장장치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측에 양극 집전체 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양극리드와 음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음극리드가 분리되어 연장된 원통형 전극권취체, 양극리드 연결판, 음극리드 연결판 그리고 양극리드 연결판과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결합하는 절연결합수단이 일체화된 단자판, 전극권취체를 수용하는 일측이 개봉된 원통형의 밀봉용기를 가지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에너지저장장치의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단자가 양쪽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에 비해 직렬 또는 병렬연결이 용이해지며 직렬 또는 병렬연결에 따른 부피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생산성 또한 제고될 수 있으며, 또한 전해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방향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공간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에너지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가 한쪽방향으로 인출된 저항이 작은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나 캐페시터 같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단자연결방법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저항과 생산성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직결되는 것으로 큰 용량 및 작은 저항이 요구될수록 단자 연결방법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나 캐페시터 같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그 형상에 따라 단자 연결방법도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특성에 따라 단자 연결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양극(40)과 음극(50) 그리고 양극과 음극사이에 위치하는 격리막(30), 단자(45, 55), 밀봉용기(10), 그리고 전해질(20)을 사용하는 전지나 전해 콘덴서, 그리고 활물질로 활성탄소를 사용하는 전기이중층 캐페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활물질로 금속산화물을사용하는 의사캐페시터(Pseudo Capacitor), 활물질로 한쪽 극은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극은 활성탄소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캐페시터(Hybrid Capacitor)는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데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과 밀봉이라는 요구조건 때문에 단자연결방법에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 필름캐페시터와 같은 정전형 캐페시터(electrostatic capacitor)는 액체전해질을 사용하지 않을 뿐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해 콘덴서의 경우 전극(60)의 특정위치에 냉압착(cold pressing), 스티칭(stiching) 같은 방법으로 리드선(63)을 부착하고 권취 후 리드선을 리벳팅, 용접 같은 방법으로 외부단자(65)에 연결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량이 큰 전해 콘덴서의 경우 집전체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리드선을 전극에 부착하여 권취 후 이를 외부단자에 연결한다. 이 때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리드선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권취 후 양극과 음극의 리드선이 일정한 위치에 모이도록 각 리드선의 간격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는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리드선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리드선이 일정한 위치에 모이도록 각 리드선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은 구조적으로 대단히 복잡한 공정을 수반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6,310,756호에는 양극과 음극을 약간 엇갈리게 위치시키고 이를 권취함으로써 권취체의 한쪽 측면은 양극만 인출되고 다른 한쪽 측면은 음극만 인출되도록 하고, 인출된 측면의 양극 및 음극을 각각 단자에 용접, 아크스프레이, 도전성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결과적으로 리드선 수의 증가 및 생산이 용이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으로 단자가 양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한다. 단자가 한쪽방향인 경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 케이스에 캐페시터를 넣은 후 버스 바(Bus Bar)로 연결하면 되지만, 단자가 양쪽 방향인 경우 버스 바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버스 바가 양쪽에 위치함에 따라 부피 증가를 동반하게 된다.
그리고 직렬 연결시 전압균등화를 위해 밸런싱(balancing)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단자가 한쪽 방향인 경우 버스 바 위에 밸런싱 회로를 위치시킨 후 나사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단자가 양쪽 방향인 경우 밸런싱 회로와 단자를 선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또한 캐페시터에 내부압력을 일정 압력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 압력밸브를 부착하는 경우 단자가 양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면 캐페시터를 세워서 사용할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들 중에서 절반은 압력밸브가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압력밸브가 열리면 전해액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캐페시터를 눕혀서 사용하여야하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상술한 미국특허 제6,310,756호에서는 금속 케이스에 한쪽 단자를 연결하고 금속으로 제작된 뚜껑에 다른 한쪽 단자가 연결되는 경우, 양극 산화법(anodizing), 고분자(polymer) 같은 절연수단을 이용하여 절연시켰지만 케이스와 뚜껑이 합선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자동차처럼 차체를 접지로 사용하는경우 케이스가 차체에 접촉되는 경우 합선이 발생되므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설치에 있어서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인출되어 있고, 저항이 작으며 생산성이 높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술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권취체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4a의 전극권취체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리드 연결판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리드 연결판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리드 연결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밀봉판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밀봉판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밀봉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밀봉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과 밀봉용기가 시밍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봉판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밀봉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7c는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과 밀봉용기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과 밀봉용기가 접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다수 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8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다수 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밀봉판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12a의 밀봉판의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12a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리드연결판의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12a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권취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권심 200 : 전극 권취체
210 : 격리막 220 : 양극
225 : 양극리드 230 : 음극
235 : 음극리드 300 : 단자판
320 : 양극리드 연결판 325 : 양극리드 연결부
340 : 양극단자 350 : 음극리드 연결판
355 : 음극리드 연결부 360 : 음극단자
370 : 절연결합수단 390 : 고무링
400 : 밀봉용기 420 : 밀봉용기 플렌지
500 : 밀봉판 520 : 양극리드 연결부 수용홀
530 : 음극리드 연결부 수용홀 540 : 밀봉판 플렌지
550 : 양극단자 수용홀 570 : 음극단자 수용홀
580 : 레이저용접 슬릿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양극, 격리막, 및 음극이 차례로 권취되어 있고, 일측에 양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양극리드와 음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음극리드가 분리되어 연장된 원통형 전극권취체, b) 양극리드와 밀착되는 양극리드 연결부와 양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 연결판, 음극리드와 밀착되는 음극리드 연결부와 음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과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결합하는 절연결합수단이 일체화된 단자판, c) 전극권취체를 수용하는 일측이 개봉된 원통형의 밀봉용기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일측에 다수의 양극리드 및 다수의 음극리드가 분리되어 연장되도록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일부를 제단하면서, 양극, 격리막, 및 음극을 권취하여 전극 권취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양극 단자와 양극리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 연결판, 및음극단자와 음극리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결합하여 일체화된 단자판을 제조하는 단계, c) 귄취체를 밀봉용기에 투입하고,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밀착하도록 단자판을 밀봉용기에 접합하는 단계, 및 d)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에너지저장장치의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단자가 양쪽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에 비해 직렬 또는 병렬연결이 용이해지며 직렬 또는 병렬연결에 따른 부피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생산성 또한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방향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 실시예로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가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단자판과 밀봉용기는 고무링을 이용하여 밀봉되어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극권취체(200), 단자판(300), 밀봉용기(400)를 가진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권취체(20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4a의 전극권취체(2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밀봉판의 사용여부, 밀봉용기와 단자판의 결합방법 등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나, 이러한 응용예에서도 전극권취체(200)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권취체는 양극(220), 격리막(210), 및 음극(230)이 권심(100)을 중심으로 차례로 권취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양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양극리드(225)와 상기 음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음극리드(235)가 분리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다.
상기 전극권취체(200)는 양극리드(225) 및 음극리드(235)가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리드가 양측에 형성된 경우 보다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단자가 한쪽방향인 경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 케이스에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넣은 후 버스바(Bus Bar)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버스 바가 일측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부피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직렬연결시 전압균등화를 위해 밸런싱(balancing)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단자가 한쪽 방향인 경우 버스 바위에 밸런싱 회로를 위치시킨 후 나사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340)가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 연결판(320) 및 음극단자(360)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리드 연결판(350)이 절연성의 결합수단(370)으로 일체화된 단자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리드 연결판(320, 350)의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225, 235)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고 단자판(300)과 밀봉용기(400)를 고무링(390)을 사용하여 밀봉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리드 연결판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리드 연결판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양극리드 연결판(320)과 음극리드 연결판(350)에는 양극단자(340)와 음극단자(36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캐스팅, 주조 등을 통하여 양극리드 연결판(320)과 양극단자(340), 음극리드 연결판(350)과 음극단자(360)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상기 리드 연결판(320, 350)에 단자(340,360)를 용접(welding)이나, 솔더링(soldering), 또는 브레이징(blazing)에 의해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320)의 재질은 상기 양극(220)의 집전체 재질과, 그리고 음극리드 연결판(350)의 재질은 음극(230)의 집전체 재질과 동일한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재질이라 함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과 같이 통상적으로 같은 계열의 금속이라고 인정될 수 있는 금속군을 의미한다.
특히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사용되는 상기 리드 연결판(320, 350)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성을 지녀야 한다. 일반적으로 양극(220)과 음극(230)에 사용되는 집전체는 해당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액체전해질에 대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재질이므로, 바람직하게는 양극(220)에 연결되는 양극리드 연결판(320)은 양극(220)집전체와 동일한 계열의 재질, 음극(230)에 연결되는 음극리드 연결판(350)은 음극(230)집전체와 동일한 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용접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나 유기 전해액을 사용하는 전기이중층캐페시터의 경우 양극 및 음극 집전체는 모두 알루미늄이므로 양극 및 음극 리드 연결판의 재질은 모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튬이온이차전지의 경우 양극집전체로는 알루미늄을 음극집전체로는 구리를 사용하므로, 이 경우 양극 리드 연결판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그리고 음극 리드 연결판의 재질은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집전체와 동일한 계열의 재질이 아니더라도 전기화학적인 안정성은 리드 연결판 재질 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레이저용접을 이용하여 전극권취체의 리드(225, 235)와 리드 연결판(320, 350)을 접합하고 양극 및 음극(220, 230) 집전체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 리드 연결판(320, 350)의 재질을 1xxx계열의 알루미늄이나 1xxx 계열의 알루미늄보다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단자의 재질은 리드 연결판과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이저용접성 측면에서는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이 유리하지만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은 기계적인 강도가 약하고 기계적인 가공성이 나쁘기 때문에 버스 바나 케이블이 연결되는 단자의 재질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단자는 리드 연결판의 바깥면에 위치하여 단자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재질 선정시 전기화학적인 안정성보다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리드 연결판의 재질과 단자의 재질로서 요구되는특성이 다르므로 리드 연결판에 단자를 용접, 솔더링, 브레이징과 같은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단자의 재질은 기계적인 특성이 우수하고 전기전도도가 좋은 구리합금, 알루미늄합금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리드 연결판(320, 350)에는 리드 연결부(325, 355)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극권취체의 리드(225, 235)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리드연결부(325, 355)는 전극권취체의 리드(225, 235)와 밀착되도록 하고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의 원활한 주입을 위해 리드 연결판(320, 350)에서 전극권취체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으로 리드 연결판과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더라도 반드시 리드연결부를 돌출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c는 도 5a의 리드 연결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단자판(300)은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320)과 음극리드 연결판(350)이 절연결합수단(370)에 의해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는 원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양극 및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된 상태로 수지성형(resin mold)하여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320) 및 음극리드 연결판(350)이 절연결합수단(370)에 의하여 일체화되고, 상기 절연결합수단(370)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은 권심에 삽입되어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의 정확한 밀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리드 연결판(320, 350)의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레이저용접을 사용하는 경우 단자판 제작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연결부의 아랫면과 윗면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밀봉용기에전극권취체를 넣고 단자판 중앙의 돌출부와 밀봉용기 바닥면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와 단자판의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가 각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결합하여 단자판과 밀봉용기로 전극권취체를 고정시킨 후,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외부에서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 바깥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 안쪽면과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리드를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많은 수의 리드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합부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판의 절연결합수단(370)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플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olyTetraFluoro Ethylene: PTFE)등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PPS와 PEEK는 내화학성은 물론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전극권취체를 수용하는 일측이 개봉된 원통형의 밀봉용기(400)를 가지고 있다.
밀봉용기(400)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주석 도금강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PE, PP, PPS, PEEK, PTFE등의 수지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용기의 재질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달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용액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 내화학성을 고려하면 플라스틱중에서는 PE, PP가 내산성 및 내염기성이 우수하여 밀봉용기의 재질로 적합하며, 금속 중에서는 스테인레스 강이 부분적으로 안정하다. 만약 유기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라면, 밀봉용기의 재질은 금속의 경우 알루미늄이 가격, 내화학성, 중량,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플라스틱의 경우 PE, PP가 뛰어난 내화학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로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가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밀봉판을 더 포함하는 단자판을 사용하여 시 밍방법에 의해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6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봉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밀봉판의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밀봉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밀봉판(500)의 리드연결부 수용홀(520, 530)에는 도 5a 및 5b의 양극 및 음극 리드연결부(325, 355)가 수용되고, 수지성형과 같은 절연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밀봉판(500)과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판(320, 350)은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연된 상태로 일체화된다. 또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기 위해 레이저용접이 가능하도록 단자판 제작시 도 6c와 같이 리드연결부의 아랫면과 윗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 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밀봉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과 밀봉용기가 시밍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6d 및 도 6e를 참조하면,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시밍을 이용하는 경우 밀봉판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주석도금강이 바람직하며 플렌지(540)부위에 수지 또는 고무를 도포하여 밀봉용기 입구에 플렌지(420)가 형성된 밀봉용기에 전극권취체를 삽입하고 단자판 중앙의 돌출부와 밀봉용기 바닥면의 돌출부(440)를 이용하여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와 단자판의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325, 355)가 각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결합하여 단자판의 플렌지(540)와 밀봉용기의 플렌지(420)를 겹쳐 플렌지부위를 시밍하여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 고정시킨 후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외부에서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 바깥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 안쪽면과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리드를 접합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고 밀봉판을 더 포함하는 단자판을 사용하여 용접에 의해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7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밀봉판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밀봉판을 포함하는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예의 밀봉판과 달리 밀봉판 플렌지(540)가 없는 밀봉판을 사용한다. 따라서 플렌지를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의 밀봉판과 동일한 구조이며 따라서 단자판 제조도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시 제2 실시예에서는 입구에 플렌지가 형성되어있는 밀봉용기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렌지가 없는 밀봉용기(450)를 사용하여 도 7c처럼 밀봉판(550)의 가장자리와 밀봉용기의 가장자리를 용접으로 밀봉하는 것이 제 2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고 수지성형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단자판과 열가소성수지로 제작된 밀봉용기를 용접에 의하여 밀봉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과 밀봉용기가 접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단자판 제작시 결연결합을 위해 사용하는 절연결합수단으로 PE, PP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밀봉용기 역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절연결합수단과 밀봉용기(400)에 열을 가하여 용접하고 단자판의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를 위의 실시예처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한 실시예이다.
도 9a는 도 8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다수 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다수 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히 제4 실시예는 직렬 또는 병렬연결 시 별도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단위셀이 수납되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된 밀봉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단자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기 위해 레이저용접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때 용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4a의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리드(225, 235)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또는 아크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금속을 도포하면 필름콘덴서와 같은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는 달리 단자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기 위해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5 실시예로서,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고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고무링을 사용하여 밀봉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 연결판(320, 350)의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225, 235)를 레이저 용접이 아닌 도전성접착제로 접합하고 단자판(300)과 밀봉용기(400)를 고무링(390)을 사용하여 밀봉한 실시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지성형같은 절연결합수단(370)을 사용하여 단자판(300)을 제작할 때, 리드 연결판(320, 350)의 리드연결부(325, 355)의 아랫면과 윗면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접착제에 의해 리드연결부(325, 355)와 전극권취체의 리드가 접합되는 아랫면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밀봉용기에 전극권취체를 삽입하고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에 도전성접착제를 도포한 후 단자판의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가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리드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무링을 사용하여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한 후 도전성접착제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제6 실시예로서, 단자판에서 밀봉판이 리드 연결판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달리, 단자판에서 밀봉판이 리드 연결판의 위쪽에 위치되고,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가 레이저용접에 의하여 접합되고, 단자판과 밀봉용기는 시밍을 사용하여 밀봉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밀봉판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밀봉판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c는 도 12a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리드연결판의 단면도이고, 도 12d는 도 12a의 밀봉판과 도 12c의 리드연결판이 일체화된 단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12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가 밀봉판의 리드연결부 수용홀에 끼워지는 제5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밀봉판(500)은 양극과 음극 리드 연결판의 양극과 음극 단자가 밀봉판의 양극과 음극 단자수용홀(550, 570)에 끼워지며 레이저용접슬릿(580)은 밀봉판 아래쪽에 위치하는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용접하기 위해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하여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리드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단자판 제작시 밀봉판의 양극과 음극 단자수용홀(550, 570)에 양극과 음극 리드 연결판의 양극과 음극 단자가 절연된 상태로 끼워진 상태에서 수지성형같은절연결합수단에 의해 일체화된 단자판 제작시 양극과 음극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 아랫면과 윗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는 레이저용접을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 리드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권취체의 리드와 접합되는 리드연결부의 아랫면만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종류에 따라 수용액계 전해질 또는 유기계전해질 밀봉용기내의 주입하여 사용할 수있지만,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즉, 정전형 캐페시터같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 압력밸브를 부착하는 경우 단자가 양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세워서 사용할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절반은 압력밸브가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압력밸브가 열리면 전해액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눕혀서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극권취체(S10) 및 단자판(S20)을 제조하고, 이후 상기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결합(S30)한 후, 상기 단자판의 양극 및 음극 리드 연결부를 상기 전극권취체의 양극 및 음극리드에 각각 접합(S40)한다.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는 필름콘덴서와 같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이것으로 제조가 완료되지만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나 전해콘덴서, 울트라캐페시터등은 밀봉용기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전해질 주입구를 밀봉함으로써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권취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S10).
도 14를 참조하면, 권심(100)을 중심으로 양극(220), 음극(230),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격리막(210)이 위치하도록 원통형으로 권취한다. 이때 전극권취체의 일측에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가 서로 분리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양극 및 음극 중 일부분 즉, 권취체 상의 일측에서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형성할 부분을 레이저로 제단하면서 권취한다.
전극권취체와는 별도로 단자판을 제조한다(S20). 상기 단자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다이캐스팅이나 주조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단자와 리드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리드 연결판을 제조하거나 프레스와 같은 방법으로 리드연결부만 형성되어있는 양극과 음극 리드 연결판에 양극과 음극 단자를 각각 용접이나 솔더링 또는 브레이징법을 사용하여 접합한다.
솔더링은 450 ℃ 이하의 용가재(filler metal)를 가지고 접합하는 방법을 칭하며, 용접과 브레이징은 450 ℃ 이상의 온도에서 행해지나 그 차이점은 용접은 접합하고자 하는 모재의 용융점(melting point) 이상에서 접합하는 방법이며, 브레이징은 용융점 이하에서 모재(base metal)는 상하지 않고 용가재를 사용하여 열을 가하여 두 모재를 접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어서 단자판과 밀봉용기의 밀봉방법에 따라 그리고 리드 연결판과 전극권취체 리드의 접합방법에 따라 그에 따른 적절한 단자판을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고무링을 사용하여 밀봉하는 경우 양극 리드 연결판과 음극 리드 연결판을 수지성형과 같은 절연결합수단으로 일체화된 단자판을 제조한다. 만약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하는 수단으로 열을 가하여 수지를 용접하는 경우 수지성형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다. 또한 단자판과 밀봉용기를 밀봉하는 방법으로 시밍이나 금속용접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으로 제작된 밀봉판 그리고 양극 리드 연결판과 음극 리드 연결판을 절연된 상태로 수지성형같은 절연결합수단으로 일체화된 단자판을 제조한다. 이때 전극권취체의 리드와 리드 연결판의 리드연결부 접합방법에 따라 리드연결부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을 모두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안쪽면만 노출시킨다.
이후, 전극권취체의 리드와 단자판의 리드연결부의 접합방법에 따라 즉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에 도전성접착제를 도포하고 전극권취체를 밀봉용기에 삽입한 후 상기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상기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밀착되도록 전극권취체가 들어 있는 밀봉용기와 단자판을 용접, 시밍, 고무링과 같은 밀봉수단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전성접척제를 건조시킨다. 그러나 전극권취체의 리드와 단자판의 리드연결부의 접합방법으로 용접을 이용하는 경우 전극권취체를 밀봉용기에 삽입한 후 상기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상기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상기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밀착되도록 전극권취체가 들어 있는 밀봉용기와 단자판을 용접, 시밍, 고무링과 같은 밀봉수단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외부에서 단자판의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양극과 음극 리드연결부와 전극권취체의 양극과 음극 리드를 각각 접합한다.
상기 단계들 이후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경우, 상기 밀봉판과 결합된 밀봉용기 내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자가 일측으로만 인출되어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가 자유로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에너지저장장치는 작은 저항을 가지며 단자가 한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단자가 양쪽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에 비해 직렬 또는 병렬연결이 용이해지며 직렬 또는 병렬연결에 따른 부피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생산성 또한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세워진 상태에서 직렬로 연결되더라도 전해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방향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양극, 격리막, 및 음극이 차례로 권취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양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양극리드와 상기 음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음극리드가 분리되어 연장된 원통형 전극권취체;
    상기 양극리드와 밀착되는 양극리드 연결부와 양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 연결판, 상기 음극리드와 밀착되는 음극리드 연결부와 음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과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결합하는 절연결합수단이 일체화된 단자판; 및
    상기 전극권취체를 수용하는 밀봉용기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와 양극리드 연결부, 및 상기 음극리드와 음극리드 연결부가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과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음극 단자는 용접, 솔더링, 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과 상기 양극 집전체가 동일한 계열의 재질로 되어있고,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상기 음극 집전체가 동일한 계열의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 및 음극리드 연결판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결합수단이 PE, PP, PPS, PEEK, 및 PT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주석 도금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가 PE, PP, PPS, PEEK, 및 PT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 및 상기 밀봉용기가 고무링으로 밀봉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의 양극리드 연결부를 수용하는 양극리드 연결부 수용홀,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를 수용하는 음극리드 연결부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절연결합된 밀봉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판 및 상기 밀봉용기는 시밍이나 용접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주석 도금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절연결합수단이 열가소성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용기의 재질은 상기 단자판의 절연결합수단과 동일한 재질이며, 상기 단자판의 절연결합수단과 상기 밀봉용기의 수지를 용융하여 상기 단자판과 상기 밀봉용기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와 양극리드 연결부, 및 상기 음극리드와 음극리드 연결부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의 양극단자를 수용하는 양극단자 수용홀,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의 음극단자를 수용하는 음극단자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절연결합된 밀봉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판 및 상기 밀봉용기는 시밍이나 용접에 의하여 밀봉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및 주석 도금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 내부압력 조절용 밸브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가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8. a) 일측에 다수의 양극리드 및 다수의 음극리드가 분리되어 연장되도록 양극 및 음극 집전체의 일부를 제단하면서, 양극, 격리막, 및 음극을 권취하여 전극 권취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양극 단자와 양극리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극리드 연결판, 및 음극단자와 음극리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극리드 연결판을 절연결합하여 일체화된 단자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귄취체를 밀봉용기에 투입하고, 상기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상기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밀착하도록 단자판을 상기 밀봉용기에 접합하는 단계;
    d) 상기 단자판의 양극 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양극리드에, 상기 단자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는 상기 전극권취체의 음극리드에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 연결부를 상기 양극리드에, 상기 음극리드 연결부를 상기 음극리드에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리드 연결부를 상기 양극리드에, 상기 음극리드 연결부를 상기 음극리드에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를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에, 상기 음극단자를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에 용접, 솔더링, 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과 상기 밀봉용기를 고무링을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의 양극리드 연결부를 수용하는 양극리드 연결부 수용홀,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의 음극리드 연결부를 수용하는 음극리드 연결부 수용홀을 갖는 밀봉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절연결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단자판 및 상기 밀봉용기는 시밍이나 용접에 의하여 밀봉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의 양극단자를 수용하는 양극단자 수용홀,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의 음극단자를 수용하는 음극단자 수용홀을 갖는 밀봉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양극리드 연결판 및 상기 음극리드 연결판과 절연결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단자판 및 상기 밀봉용기는 시밍이나 용접에 의하여 밀봉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3-0022965A 2003-04-11 2003-04-1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16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965A KR100516108B1 (ko) 2003-04-11 2003-04-1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965A KR100516108B1 (ko) 2003-04-11 2003-04-1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260A true KR20040089260A (ko) 2004-10-21
KR100516108B1 KR100516108B1 (ko) 2005-09-21

Family

ID=3737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965A KR100516108B1 (ko) 2003-04-11 2003-04-11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1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091A (ko) * 2011-06-28 2014-04-21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WO2016114529A1 (ko) * 2015-01-14 2016-07-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부 터미널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JP2022548711A (ja) * 2020-01-13 2022-11-2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円筒形電池および円筒形電池の製造方法
WO2023206192A1 (zh) * 2022-04-28 2023-11-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用电设备、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881B1 (ko) 2004-10-28 2006-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US10312028B2 (en) 2014-06-30 2019-06-04 Avx Corporatio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WO2017201180A1 (en) 2016-05-20 2017-11-23 Avx Corporation Multi-cell ultracapacitor
CN114930620A (zh) * 2020-09-16 2022-08-19 株式会社Lg新能源 纽扣型二次电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091A (ko) * 2011-06-28 2014-04-21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WO2016114529A1 (ko) * 2015-01-14 2016-07-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부 터미널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US10446334B2 (en) 2015-01-14 2019-10-15 Ls Mtron Ltd.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internal terminal
JP2022548711A (ja) * 2020-01-13 2022-11-21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円筒形電池および円筒形電池の製造方法
EP4020678A4 (en) * 2020-01-13 2023-02-08 Lg Energy Solution, Ltd.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A CYLINDRICAL BATTERY
WO2023206192A1 (zh) * 2022-04-28 2023-11-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用电设备、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108B1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494B2 (ja) 構造が改良された上側密封部を有する二次バッテリー
US8530078B2 (en) Secondary battery
CN100438129C (zh) 可充电锂电池
KR100839785B1 (ko) 이차전지 및 그 형성 방법
CN101459236B (zh) 保护电路组件及具有该组件的电池组
JP4749832B2 (ja) 二次電池
JP2010257945A (ja) 2次電池
KR20070122471A (ko) 금속 케이스를 갖는 대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JP5079780B2 (ja) チップ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72904A (ja) 二次電池
KR100516108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992416A (zh) 二次电池
CN101404339B (zh) 二次电池
CN102842699B (zh) 电化学电池及其制造方法
US20060073379A1 (e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44054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074994B2 (ja)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010090787A (ko) 밀폐형 전지
KR100788559B1 (ko) 이차전지
KR101711991B1 (ko) 기둥단자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0994954B1 (ko) 보호회로기판이 접속되는 이차전지
KR20040035411A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118700B1 (ko) 이차전지
KR20060118298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20060118299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