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130A - 전기화학적 반쪽 셀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적 반쪽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130A
KR20040089130A KR10-2004-7011802A KR20047011802A KR20040089130A KR 20040089130 A KR20040089130 A KR 20040089130A KR 20047011802 A KR20047011802 A KR 20047011802A KR 20040089130 A KR20040089130 A KR 2004008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current divider
current
electrochemical half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릿츠 게스터만
안드레아스 불란
리차드 말초우
한스-디터 핀터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8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25B11/031Por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2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염화 수소 수용액의 전해를 위한 전기화학적 반쪽-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셀은 액체 출구 이외에 기체 공급부 및 기체 방출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기체 챔버를 포함하고, 또한 전기 전도성 전류 분배기 상에 있고 전도성 방식으로 전류 분배기와 접촉하는 기체 확산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류 분배기는 상기 전류 분배기의 전체 표면에 대하여 5 내지 65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 더욱 상세하게는 15 내지 50 % 범위로 노출된 표면 및 0.3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6 mm 두께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화학적 반쪽 셀{ELECTROCHEMICAL HALF-CELL}
본 발명은 특히 기체 확산 전극에 의한 염화 수소 (염산) 수용액의 전해를 위한 전기화학적 반쪽-셀에 관한 것이다.
기체 확산 전극에 의한 염산의 전해 방법은, 예를 들어 US-A-5 770 0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팔라듐 합금을 포함하며, 루테늄, 이리듐 및 티타늄의 혼합 옥시드로 코팅된 기판으로 이루어진 적합한 애노드를 갖는 애노드 공간은 염화 수소 수용액으로 채워져 있다. 애노드에서 생성된 염소는 애노드 공간에서 새어 나오고 적절한 처리가 된다. 애노드 공간은 시판 양이온 교환 막에 의하여 캐소드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캐소드 쪽에서, 기체 확산 전극은 양이온 교환 막 상에 있다. 기체 확산 전극은 또한 전류 분배기 상에 있다. 기체 확산 전극은 예를 들어, 산소-소비 캐소드 (OCC)이다. 기체 확산 전극으로서 OCC의 경우, 공기, 산소가 풍부한 공기 또는 순수 산소가 일반적으로 캐소드 공간으로 들어가고 OCC에서 반응하게 된다.
원래 알려진 염산 전해는 4,000 A/m2가 넘는 전류 밀도에서, 캐소드 쪽에서 수소 발생이 관찰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생성된 수소는 기체 (즉 공기, 산소가 풍부한 공기 또는 산소)와 혼합되어 과량으로 캐소드 반쪽-셀에 공급된다. 추가의단점은 높은 전류 밀도에서 높은 전압이 또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높은 전류 밀도 및 낮은 전압은 산업적으로 본 방법을 수행할 때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필요하다.
EP-A-7885 294호 역시 기체 확산 전극에 의한 염산의 전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제1 층이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야기하는 큰 메쉬 크기 및 두께를 갖는 네트 또는 철판 망 (expanded metal)으로 이루어진, 2-층 전류 분배기가 거기에 기재되어 있다. 제2 층 역시 네트 또는 철판 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1 층 보다 작은 메쉬 크기를 가지므로 기체 확산 전극 상에 많은 수의 접촉 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높은 전류 밀도 및 가능한 낮은 전압에서 염산 전해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목적하지 않은 수소 발생을 완전히 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과량으로 사용된 산소는 캐소드 반쪽-셀로 재순환되고, 수소가 생성되면 본 시스템에 축적될 것이므로 생성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염화 수소 수용액의 전해를 위한 전기화학적 반쪽-셀에 관한 것으로, 기체 공급부 및 기체 방출부 및 액체 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기체 공간, 및 전기 전도성 전류 분배기 상에 있고 전류 분배기와 전기 전도적으로 접촉하는 기체 확산 전극을 포함하고, 전류 분배기는 전류 분배기의 총 면적 기준으로 5 내지 65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의 자유 면적 및 0.3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2 mm의 두께를 갖는다.
전류 분배기는 몇몇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기체 확산 전극과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여야 한다. 동시에, 전류 분배기는 기체 공간 내의 기체의 기체 확산 전극으로의 전달 및 전해 작동 중에 형성되는 반응의 물 및 염산의 애노드 반쪽-요소에서 캐소드 반쪽-요소로의 이온 교환 막을 통한 전달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전류 전달이 기체 확산 전극의 표면에 걸쳐 가능한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기체 확산 전극과 전류 분배기 사이의 균일한 접촉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기체 확산 전극은 전류 분배기 상에 그것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놓여진다. 전류 분배기 및 기체 확산 전극은 2 개의 평판이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놓여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전류 분배기는 가능한 낮은 접촉 저항으로 캐소드 반쪽-요소에 연결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전류 분배기 상에 있는 기체 확산 전극 쪽 (이하에서 배면이라고 지칭함)은 전기 전도성이다. 그러므로, 기체 확산 전극과 전류 분배기 사이의 전기 전도성 접촉은 기체 확산 전극이 전류 분배기 상에 느슨하게 놓여지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캐소드 반쪽-셀에 비하여 애노드 반쪽-셀의 보다 높은 압력 때문에, 이온 교환 막은 기체 확산 전극으로 압축되고, 차례로 전류 분배기 상으로 압축된다. 기체 확산 전극은 임의적으로 추가적으로 전류 분배기에 고정된다. 고정은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클램프 연결의 방법으로) 또는 고정 방법으로 (예를 들어, 접착 결합 또는 봉합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기체 확산 전극은 또한 전기 전도 방식으로 전류 분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기체 확산 전극이 전기 전도성 배면을 갖지 않지만 그것의 배면 상에 또다른 전기 비전도성 층을 가질 때 요구된다.
전류 분배기가 기체 확산 전극으로 돌출되면, 기체 확산 전극을 커버하는 영역 및 그것을 커버하지 않는 영역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커버하지 않는 면적의 총합을 이하에서 전류 분배기의 자유 면적으로 지칭한다. 기체 확산 전극과 접촉하는 전류 분배기의 면적의 총합을 또한 이하에서 접촉 면적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천공 금속 박판이 전류 분배기로서 사용된다면, 커버 면적은 접촉 면적에 해당한다. 전류 분배기가 철판 망, 네트, 직물 등인 경우, 철판 망 등의 웹이 한 평면 상에 있지 않기 때문에, 총 커버 면적은 단지 비교적 작은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체 확산 전극과 접촉하지 않는다. 철판 망, 네트, 직물 등이 편평하게 압연되면, 접촉 면적은 증가한다. 더욱이, 전류 분배기의 커버 면적이 증가한다.
전류 분배기의 총 면적은 본원에서 전류 분배기의 길이 및 폭에서 계산되는 면적의 의미로서 이해된다.
접촉 면적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전류 분배기는 스탬프의 방식으로 잉크패드로 압축되고 그후 기체 확산 전극 상에 놓여진 한 장의 종이로 압축된다. 이는 전류 분배기가 기체 확산 전극과 접촉하게 되는 영역을 가시화한다. 접촉 면적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커버 면적 또는 자유 면적은 이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철판 망의 특별한 경우에, 전류 분배기의 두께는 웹 두께를 의미한다. 이하의 파라미터는 철판 망을 특징짓는데 사용된다: 웹 두께는 철판 망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박판의 두께에 해당한다. 웹 폭은 서로 평행하지만 어긋난 두 조각 사이의 거리의 결과이다. 메쉬 크기는 조각의 길이 및 신장 변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2 개의 인접하는 웹 사이의 최대 거리인 메쉬 폭을 특징짓는다.
전류 분배기는 바람직하게는 철판 망, 네트, 직물, 발포체, 부직포,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 또는 천공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것은 전기 전도성 물질,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전류 분배기는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또는 귀금속-안정화된 티타늄, 예를 들어 귀금속-도핑된 티타늄 또는 귀금속-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전류 분배기는 귀금속 옥시드로 코팅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백금 금속 군의 금속, 즉 Ru, Rh, Pd, Os, Ir, Pt를 사용하여 티타늄의 귀금속 안정화 또는 귀금속 옥시드 코팅을 제조한다.
전류 분배기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m 범위의 메쉬 길이, 3 내지 5 mm 범위의 메쉬 폭, 0.4 내지 1.8 mm 범위의 웹 폭 및 0.4 내지 2 mm 범위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전류 분배기가 철판 망을 포함하는 경우, 편평하게 압연되어 있다. 전류 분배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하게 완전히 압연되어 있다. 이는 전류 분배기 상에 기체 확산 전극의 최대 접촉 면적을 제공한다. 전류 분배기가 편평하게 압연된다면, 전류 분배기의 자유 면적은 압연 후의 자유 면적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적 반쪽-셀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전류 분배기는 전기 전도성 베이스 지지체 상에 놓여 있고 베이스 지지체에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가지며, 베이스 지지체는 철판 망, 네트, 직물, 발포체, 부직포,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 또는 천공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전류 분배기와 유사하게, 베이스 지지체는 티타늄 또는 귀금속-안정화된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귀금속은 예를 들어 백금 금속 군의 요소일 수 있다.
베이스 지지체는 전류 분배기에 특히 낮은 저항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류 분배기가 베이스 지지체에 연결되는 경우, 베이스 지지체는 전류 공급을 하기 위하여 캐소드 반쪽-요소에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갖는다. 그러나, 다르게는 전류 분배기가 또한 캐소드 반쪽-요소에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전극 반쪽-요소에의 베이스 지지체의 연결부는 특히 낮은 저항, 즉 낮은 접촉 저항을 갖는다. 저-저항 연결부는 예를 들어, 용접 조인트, 소결 연결 또는 납땜 연결의 의미로서 이해된다. 베이스 지지체 및 전류 분배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기체 확산 전극을 통한 액체의 전달 및 기체 확산 전극으로의 기체의 전달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전류 분배기는 캐소드 반쪽-요소에 낮은 저항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존재한다면, 베이스 지지체가 또한 캐소드 반쪽-요소에 낮은 저항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캐소드 반쪽-요소로의 전류 분배기 또는 베이스 지지체의 저-저항 연결은 예를 들어 지지체 요소의 도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지지체는 예를 들어, 사다리꼴 측단면 또는 Z-측단면일 수 있다. 캐소드 반쪽-셀로의 전류 분배기 또는 베이스 지지체의 연결은 전류 분배기와 전체 면적에 걸쳐서 기체 확산 전극의 접촉을 확실히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지지체에 의하여 또는 많은 수의 지지체 요소에 의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베이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m의 메쉬 길이, 5 내지 15 mm의 메쉬 폭, 2 내지 5 mm의 웹 폭 및 0.8 내지 4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이다.
더욱이, 1 내지 4 mm의 두께 및 7 내지 25 mm의 메쉬 크기를 갖는 네트가 베이스 지지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베이스 지지체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70 % 이하의 자유 면적 및 1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 천공 금속 박판 또는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이다.
본 실시예는 이하에 언급한 실험 조건 하에서, 이하에 기재되고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해 셀에서 수행하였다.
전해 셀은 전해질 공간(12) 및 애노드(3) (예를 들어 귀금속 옥시드-코팅된 티타늄 전극)로 이루어진 애노드 반쪽-요소(1)를 갖는다. 애노드 및 캐소드의 전극 면적은 각 경우에 0.86 m2이다. 애노드 반쪽-요소(1)는 상업용 양이온 교환 막(4), 예를 들어 나피온 (Nafion (등록 상표)) 타입 324에 의하여 캐소드 반쪽-요소(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캐소드 반쪽-요소(2)는 기체 공간(13) 및 전류 분배기(6) 및 기체 확산 전극(5)에서 형성된 캐소드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교환 막(4)은 기체 확산 전극(5)에 놓여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전류 분배기(6)는 베이스 지지체(14)에 놓여 있고 그것에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갖는다. 기체 확산 전극(5)은 전류 분배기(6) 및 이온 교환 막(4)과의 우수한 접촉을 요구한다. 이 접촉은 예를 들어 애노드 반쪽-요소(1)의 압력이 캐소드 반쪽-요소(2)의 압력보다 확실히 높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통 작동에서, 양이온 교환 막은 애노드 반쪽-요소의 높은 압력에 의하여 기체 확산 캐소드로 압축되고 상기 기체 확산 캐소드는 차례로 전류 분배기로 압축된다. 이는, 전해 셀의 작동 중에 염소 기체 형태가 통과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침액 시일(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반쪽-셀과 캐소드 반쪽-셀 사이의 압력 차이는 400 mbar이고, 애노드 반쪽-요소의 압력이 더 높았다.
전해 셀의 작동 중에, 염산은 애노드 반쪽-요소를 통하여 450 l/시간의 부피 유속으로 공급부(7) 및 방출부(15)를 통하여 펌핑되었다. 펌핑에 의하여 순환되는 염산의 농도는 12-13 중량%였다. 5,000 A/m2의 전류 밀도에서, 30 중량% 강도의 염산 약 23 리터를 첨가하였다. 소비된 염산을 교환하였다. 애노드에서 생성된 염소를 역시 애노드 반쪽-요소(1)로부터 방출부(15)를 통하여 제거하고, 침액 시일(10)을 통하여 염산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염소를 적당한 처리로 공급하였다. 산소를 캐소드 반쪽-요소의 기체 공간(13)으로 공급부(8)를 통하여 1750 l/시간의 부피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산소의 순도는 99.9 %이다. 과량의 산소를 방출부(11)를 통하여 캐소드 반쪽-요소로부터 제거하였다. 기체 확산 전극에서 산소가 감소하는 동안 생성된 물을 기체 공간(13)으로부터 방출부(9)를 통하여 제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상기 전해 셀에서, 4.2 mm의 메쉬 길이, 3.1 mm의 메쉬 폭, 0.5 mm의 웹 폭 및 0.4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을 전류 분배기로서 사용하였다. 자유 면적은68 %였다. 기체 확산 전극은 이 전류 분배기의 한 쪽에 놓여져 있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더욱 거친 철판 망이 전류 분배기의 다른 쪽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의 전류 분배기의 저-저항 연결부는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베이스 지지체는 또한 캐소드 반쪽-요소 상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어 있었다. 베이스 지지체는 이하의 디멘션을 가졌다: 13.2 mm의 메쉬 길이, 6.3 mm의 메쉬 폭, 2.4 mm의 웹 폭 및 1.5 mm의 웹 두께. 베이스 지지체의 자유 면적은 24 %이었다.
5 kA/m2의 전류 밀도에서 전해 작동 중의 전압이 2.02 V였다. 캐소드 반쪽-요소로부터 제거된 산소 중의 수소의 농도는 2000 ppm이었다. 이는 비교적으로 높은 전압 때문이었다.
실시예 2
상기 전해 셀에서, 6 mm의 메쉬 길이, 3.3 mm의 메쉬 폭, 0.5 mm의 웹 폭 및 0.5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을 전류 분배기로서 사용하였다. 자유 면적은 68 %였다. 철판 망을 편평하게 압연하였다. 압연 후의 자유 면적이 53 %였다. 기체 확산 전극은 이 전류 분배기의 한쪽에 놓여져 있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더욱 거친 철판 망이 전류 분배기의 다른 쪽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의 전류 분배기의 저-저항 연결부는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베이스 지지체는 또한 캐소드 반쪽-요소 상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어 있었다. 베이스 지지체는 이하의 디멘션을 가졌다: 13.2 mm의 메쉬 길이, 6.3 mm의 메쉬 폭,2.4 mm의 웹 폭 및 1.5 mm의 웹 두께. 베이스 지지체의 자유 면적은 24 %였다.
5 kA/m2의 전류 밀도에서 전해 작동 중의 전압이 1.57 V였다. 캐소드 반쪽-요소로부터 제거된 산소 중의 수소의 농도는 1 ppm 미만이었다.
실시예 3
상기 전해 셀에서, 6 mm의 메쉬 길이, 3.4 mm의 메쉬 폭, 1.3 mm의 웹 폭 및 1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을 전류 분배기로서 사용하였다. 철판 망을 편평하게 압연하였다. 압연 후의 자유 면적이 24 %였다. 기체 확산 전극은 이 전류 분배기의 한쪽에 놓여져 있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더욱 거친 철판 망이 전류 분배기의 다른 쪽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었다. 베이스 지지체로의 전류 분배기의 저-저항 연결부는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베이스 지지체는 또한 캐소드 반쪽-요소 상에 낮은 저항으로 장착되었다. 베이스 지지체는 이하의 디멘션을 가졌다: 13.2 mm의 메쉬 길이, 6.3 mm의 메쉬 폭, 2.4 mm의 웹 폭 및 1.5 mm의 웹 두께. 베이스 지지체의 자유 면적은 24 %였다.
5 kA/m2의 전류 밀도에서 전해 작동 중의 전압이 1.44 V였다. 캐소드 반쪽-요소로부터 제거된 산소 중의 수소의 농도는 1 ppm 미만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전해 셀에서, 6.2 mm의 메쉬 길이, 3.4 mm의 메쉬 폭, 1.1 mm의 웹 폭 및 1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을 전류 분배기로서 사용하였다. 철판 망을 편평하게 압연하였다. 압연 후의 자유 면적이 35 %였다. 기체 확산 전극은 이 전류분배기의 한쪽에 놓여져 있었다. 전류 분배기는 베이스 지지체가 없는 캐소드 반쪽-요소 상에 낮은 저항으로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었다.
5 kA/m2의 전류 밀도에서 전해 작동 중의 전압이 1.55 V였다. 캐소드 반쪽-요소로부터 제거된 산소 중의 수소의 농도는 1 ppm 미만이었다.
결과의 개관
실시예 제조업자의 데이타에 따른 전류 분배기의 자유 면적 (%) 두께 (mm) 5 kA/m2에서의 작동 전압 (V)
1 (베이스 지지체를 갖는 전류 분배기-비교예) 68 0.4 2.02
2 (베이스 지지체를 갖는 전류 분배기) 53 0.5 1.57
3 (베이스 지지체를 갖는 전류 분배기) 24 1.0 1.44
4 (베이스 지지체가 없는 전류 분배기) 35 1.0 1.55

Claims (9)

  1. 기체 공급부(8) 및 기체 방출부(11) 및 액체 출구(9)를 갖는 하나 이상의 기체 공간(13), 및 전기 전도성 전류 분배기 상에 놓여져 있고 전류 분배기(6)와 전기 전도적으로 접촉하는 기체 확산 전극(5)을 포함하며, 전류 분배기(6)가 전류 분배기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5 내지 65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 범위의 자유 면적 및 0.3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2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염화 수소 수용액의 전해를 위한 전기화학적 반쪽-셀.
  2. 제1항에 있어서, 전류 분배기(6)가 철판 망, 네트, 직물, 발포체, 부직포,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 또는 천공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분배기(6)가 4 내지 8 mm 범위의 메쉬 길이, 3 내지 5 mm 범위의 메쉬 폭, 0.4 내지 1.8 mm 범위의 웹 폭 및 0.35 내지 2 mm 범위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분배기(6)가 전기 전도성 베이스 지지체(14) 상에 놓여져 있고 베이스 지지체(14)에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갖고, 베이스 지지체(14)가 철판 망, 네트, 직물, 발포체, 부직포,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 또는 천공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5. 제4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체(14)가 10 내지 40 mm의 메쉬 길이, 5 내지 15 mm의 메쉬 폭, 2 내지 5 mm의 웹 폭 및 0.8 내지 4 mm의 웹 두께를 갖는 철판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6. 제4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체(14)가 1 내지 4 mm의 두께 및 7 내지 25 mm의 메쉬 폭을 갖는 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7. 제4항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체(14)가 70 % 이하의 자유 면적 및 1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 천공 금속 박판 또는 슬롯이 있는 금속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8. 제1항 내지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분배기(6)가 티타늄 또는 귀금속-안정화된 티타늄 또는 귀금속 옥시드 코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9. 제1항 내지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분배기(6)가 편평하게 압연된 철판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 반쪽-셀.
KR10-2004-7011802A 2002-01-31 2003-01-20 전기화학적 반쪽 셀 KR20040089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3689A DE10203689A1 (de) 2002-01-31 2002-01-31 Kathodischer Stromverteiler für Elektrolysezellen
DE10203689.6 2002-01-31
PCT/EP2003/000480 WO2003064728A2 (de) 2002-01-31 2003-01-20 Elektrochemische halbz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130A true KR20040089130A (ko) 2004-10-20

Family

ID=771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802A KR20040089130A (ko) 2002-01-31 2003-01-20 전기화학적 반쪽 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73211A1 (ko)
EP (1) EP1472390A2 (ko)
JP (1) JP2005516120A (ko)
KR (1) KR20040089130A (ko)
CN (1) CN1625610A (ko)
BR (1) BR0307249A (ko)
DE (1) DE10203689A1 (ko)
PL (1) PL370278A1 (ko)
WO (1) WO20030647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9779A1 (de) 2001-10-09 2003-04-10 Bayer Ag Verfahren zur Rückführung von Prozessgas in elektrochemischen Prozessen
ES2533254T3 (es) * 2002-11-27 2015-04-08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Célula electrolítica bipolar, sin intersticios
DE10342148A1 (de) * 2003-09-12 2005-04-07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Elektrolyse einer wässrigen Lösung von Chlorwasserstoff oder Alkalichlorid
ITMI20060054A1 (it) * 2006-01-16 2007-07-17 Uhdenora Spa Distributore di corrente elastico per celle a percolatore
DE102006005788A1 (de) * 2006-02-07 2007-08-09 Umicore Ag & Co. Kg Katalysator mit verbessertem Anspringverhalten
DE102006023261A1 (de) 2006-05-18 2007-11-22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lor aus Chlorwasserstoff und Sauerstoff
AT509237A2 (de) * 2009-07-01 2011-07-15 Vtu Holding Gmbh Elektrodenvorrichtung
SG174714A1 (en) 2010-03-30 2011-10-28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for preparing diaryl carbonates and polycarbonates
US9175135B2 (en) 2010-03-30 2015-11-03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for preparing diaryl carbonates and polycarbonates
CN105585080B (zh) * 2016-03-02 2018-01-16 蓝星(北京)化工机械有限公司 电降解高浓度有机废水用氧阴极电解槽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838A (en) * 1980-05-05 1984-02-21 Oli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reticulate electrodes for electrolytic cells
US4354917A (en) * 1980-10-31 1982-10-19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Gas electrode with asymmetric current distributor
US4732660A (en) * 1985-09-09 1988-03-22 The Dow Chemical Company Membrane electrolyzer
US4690748A (en) * 1985-12-16 1987-09-01 The Dow Chemical Company Plastic electrochemical cell terminal unit
US4731168A (en) * 1986-02-18 1988-03-15 The Dow Chemical Company Electrogenerative cell for the oxidation or halogenation of hydrocarbons
US5454995A (en) * 1994-04-18 1995-10-03 Cincinnati Milacron, Inc. Method for reducing cycle tim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T1282367B1 (it) * 1996-01-19 1998-03-20 De Nora Spa Migliorato metodo per l'elettrolisi di soluzioni acquose di acido cloridrico
IT1284072B1 (it) * 1996-06-26 1998-05-08 De Nora Spa Cella elettrochimica a membrana provvista di elettrodi a diffusione gassosa contattati da portacorrente metallici lisci e porosi a
DE19715429A1 (de) * 1997-04-14 1998-10-15 Bayer Ag Elektrochemische Halbzelle
US6383677B1 (en) * 1999-10-07 2002-05-07 Allen Engineering Company, Inc. Fuel cell curren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4728A2 (de) 2003-08-07
EP1472390A2 (de) 2004-11-03
DE10203689A1 (de) 2003-08-07
CN1625610A (zh) 2005-06-08
PL370278A1 (en) 2005-05-16
JP2005516120A (ja) 2005-06-02
WO2003064728A3 (de) 2004-01-15
US20030173211A1 (en) 2003-09-18
BR0307249A (pt)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3973B2 (ja) 複極式ゼロギャップ電解セル
CA1258443A (en) Electrolysis apparatus with horizontally disposed electrodes
CA2914112C (en) Electrolysis cell of alkali solutions
RU2423554C2 (ru) Упругий ток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для перколяционных ячеек
US6872286B2 (en) Water electrolysis cell
NO157544B (no) Fremgangsmaate for i en elektrolyseanordning aa fordele den elektriske stroemmen over en elastisk, poroes og permeabel elektrodes overflate, samt elektrolyseanordning.
KR20050044403A (ko) 가스 확산 전극을 갖는 전해 전지
US5660698A (en) Electrode configuration for gas-forming electrolytic processes in membrane cells or diapragm cells
KR20040089130A (ko) 전기화학적 반쪽 셀
EP0726971B1 (en) Mattres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20040069621A1 (en) Electrochemicall cell
EP0681038B1 (en) Electrolyzer for the producti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chlorate equipped with improved electrodes
JPH1081986A (ja) 水平型複極式電解槽
JP4680901B2 (ja) 電気化学セル
JPS5943885A (ja) ガス発生電解槽用の電極装置
US4839013A (en) Electrode assembly for gas-forming electrolyzers
US6527923B2 (en) Bifurcated electrode of use in electrolytic cells
WO2020105369A1 (ja) 水素製造方法
US5958211A (en) Method of reactivating an electrolyzer
EP0124125A2 (en) Electrolysis cell and method of generating halogen
KR840002297B1 (ko) 전해조
JPH10204670A (ja) 食塩電解槽
WO2003095705A1 (en) Bifurcated electrode of use in electrolytic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