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983A - 쵸크코일 - Google Patents

쵸크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983A
KR20040088983A KR1020030038181A KR20030038181A KR20040088983A KR 20040088983 A KR20040088983 A KR 20040088983A KR 1020030038181 A KR1020030038181 A KR 1020030038181A KR 20030038181 A KR20030038181 A KR 20030038181A KR 20040088983 A KR20040088983 A KR 2004008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choke coil
coil
earth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나미오
이토에이이쓰
Original Assignee
세키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42Oxides
    • H01F1/344Ferrites, e.g. having a cubic spinel structure (X2+O)(Y23+O3), e.g. magnetite Fe3O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자체에 고주파신호를 어스측에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진 쵸크코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낮은 자심(2)과, 상기 자심 (2)과 직접 도전상태로 접속한 어스용리드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갖고, 상기 자심 (2)을 케이스 또는 절연도료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1)가 실시된 것으로, 권선와이어(1)와 자심(2)사이의 절연재료(3)및 공간에 의한 분포용량을 이용하여, 고주파성분을 어스로 흘리는 기능 및 제품자체의 방열효과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또한, 어스용 리드가 쵸크코일 본체에 세트되어 있고, 상기 어스용 리드와 동전위가 되도록 권선와이어(1)를 페이스트카본 등의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4)로 피복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분포용량을 조정 및 증가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쵸크코일{CHOKE COIL}
본 발명은, 코일자체에 고주파신호를 어스측으로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진 쵸크코일에 관한 것이다.
쵸크코일은, 직류를 잘 통하게 하고, 주파수가 높은 교류전류의 통과를 방해하기 위해서, 저항치는 작게 하고 인덕턴스는 크게 한 코일이다.
종래, 쵸크코일은, 적지 않은 부유(浮遊)정전용량이 존재하고, 이 부유정전용량은 쵸크코일을 바이패스하기 때문에, 쵸크코일의 인덕턴스에 의한 고주파특성(노이즈 저감효과)을 저해하도록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노이즈필터의 감쇠특성을 악화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노이즈필터의 감쇠특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쵸크코일의 권선에 기인하는 부유정전용량을 반대로 바이패스 콘덴서로서 이용함에 의해, 필터의 감쇠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지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 11- 346472호 공보가 있다.
<특허문헌>
상기 일본국 특개평 11-346472호 공보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배선기판 (A) 및 커먼모드 쵸크코일 (L1), (L2)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필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커먼모드 쵸크코일을 도전체 (C)로 덮은 것으로, 필터의 감쇠특성을 악화시키는 부유정전용량이 없어지고, 또한 그 부유정전용량이 라인바이패스콘덴서로서 작용하여 분포정수형 필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필터의 감쇠특성은 비약적으로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자체에 고주파신호를 어스측으로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진 쵸크코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쵸크코일의 카본도포가 없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쵸크코일의 카본도포가 있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쵸크코일의 절연도장타입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쵸크코일의 코어 케이스 절연타입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저전압·신호계 리드타입 쵸크코일(자심 비저항이 낮다)의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저전압·신호계 리드타입 쵸크코일(자심 비저항이 높다)의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면탑재형 쵸크(토로이덜)의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 공지의 노이즈 필터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 2 : 자심
3 : 절연재료 4 : 도전재료
5 : 코일단말 6 : 어스용 리드
7 : 코어 케이스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낮은 자심(磁心)과, 상기 자심과 직접 도전상태로 접속한 어스용 리드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가지며, 상기 자심을 케이스 또는 절연도료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가 실시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자심의 고유저항이 50-Ωm 이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성재료가 소프트 페라이트에서는 Mn-Zn계, 금속계에서는 샌더스트 아몰퍼스 및 그들과 유사의 금속성형재료, 압분(壓粉)재료에서는 철계, 철합금계, 기타 금속분말계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어스용 리드가 쵸크코일 본체에 세트되어 있고, 상기 어스용 리드와 동전위가 되도록 권선와이어를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로 피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낮은 자심(2)과, 상기 자심(2)과 직접 도전상태에 접속한 어스용 리드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가지며, 상기 자심(2)을 케이스 또는 절연도료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1)가 실시된 것으로서,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와 자심(2) 사이의 절연재료(3) 및 공간에 의한 분포용량을 이용하여, 고주파성분을 어스로 흐르는 기능및 제품자체의 방열효과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스용 리드가 쵸크코일 본체에 세트되어 있고, 상기 어스용 리드와 동전위가 되도록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를 페이스트카본 등의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4)로 피복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분포용량을 조정 및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전체 주위에 걸쳐 대향전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향전극면적이 많고, 더구나 전극간 갭이 좁아, 용량치의 범위를 수PF∼수천PF까지 바꿔 설계를 할수 있어서 설계자유도가 크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쵸크코일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토로이덜(toroidal)형 타입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50-Ωm 이하인 재료, 예를 들면 소프트 페라이트에서는 Mn-Zn계, 금속계에서는 샌더스트, 아몰퍼스 및 그들의 유사 금속성형재료, 압분재료에서는 철계, 철합금계, 기타 금속분말계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의 원고리형상의 자심(2)과, 그 자심(2)과 직접 도전성의 접착제 등으로 도전상태로 접착한 어스용 리드(6)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가지고, 상기 자심 (2)을 절연도료(3)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가 실시된 것이다.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는, 바깥지름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하고, 비저항이 작은 원고리형상의 자심(2)에 나선형상으로 감아지며, 바깥지름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한다.
상기 자심(2)에 어스용 리드(6)를 도전접착함에 의해, 상기 자심 자체가 본래의 자성체의 기능과 동시에 권선된 코일도체와의 사이에 분포용량이 발생하고, 그 때문에 고주파신호부분을 어스에 바이패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쵸크코일의 고주파특성이 한층 개선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에 도전재료(4)를 도포한 코어커버 (7)로 상기 자심(2)을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가 실시되고, 코어커버(7)의 이면에 어스용 리드(6)를 도전접착함에 의해, 코일과의 전극사이의 치수가 작아져서, 보다 큰 분포용량을 발생할 수가 있고, 그것에 의하여 비저항이 높은 자심에도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개선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쵸크코일과 종래형 쵸크코일과의 특성을 비교한 것을 표 1∼4에 나타낸다.
종래형 쵸크코일은, Mn-Zn계 페라이트의 토로이덜형의 자심을 플라스틱의 케이스커버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로 권선한 것으로,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커버(7)내부에 있는 자심(2)에 어스용 리드(6)선을 도전접착하여, 그 단말을 인출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종래형 쵸크코일과 본 발명의 어스를 부착한 쵸크코일과의 종합특성의 비교(표 1)
표 1
고주파영역에서 대폭적인 특성개선을 볼 수 있다.
쵸크코일의 인덕턴스특성(표 2)
표 2
쌍방 같은 조건이기 때문에 같은 특성이다.
본 발명의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와 자심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포용량의 상태(표 3)
표 3
본 발명의 발생하고 있는 분포용량 및 코일 임피던스특성(표 4)
표 4
분포용량에 의한 임피던스특성이 고주파에서 낮게 작용하여, 고주파에서의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저전압·신호계 리드타입 쵸크코일(자심 비저항이 낮다)의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는, 한쪽 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하고, 비저항이 작은 원기둥체의 자심(2)에 나선형상으로 감아지고서, 다른쪽 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심(2)의 다른쪽 끝단측에는 어스단말(6)이 도전접착에 의해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심 자체가 원래의 자성체의 기능과 동시에 권선된 코일도체와의 사이에 분포용량이 발생하고, 그 때문에 고주파신호부분을 어스에 바이패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쵸크코일의 고주파특성이 한층 더 개선된다.
또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가 감겨진 상기 자심(2)의 중앙부에는, 페이스트카본 등의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4)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를 피복하여 도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 (1)와 상기 도전재료(4)와의 사이에서 분포용량이 큰 값으로 할 수 있어 특성개선이 이루어진다.
(3) 저전압·신호계 리드타입 쵸크코일(자심 비저항이 높음)의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는, 한쪽 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하고, 비저항이 큰 원기둥체의 자심(2)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지고, 다른쪽 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심(2)의 중앙부에는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 (1)를 덮도록 어스단말(6)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어스단말(6)이 감겨진 상기 자심(2)의 중앙부에는, 페이스트카본 등의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4)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 및 상기 어스단말(6)을 피복하여 도전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와 상기 도전재료(4)의 사이에서 분포용량을 취할 수 있다.
(4) 면탑재형 쵸크(토로이덜)의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는, 안지름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하고, 비저항이 작은 원고리형상의 자심(2)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지고, 바깥지름끝단에 코일단말(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이 감겨진 상기 자심(2)의 소정범위에는, 페이스트카본 등의 페이스트상태의 도전재료(4)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를 피복하여 도전부를 형성한다.
또한, 어스단말(6)이 상기 도전재료(4)를 피복하지 않은 상기 자심(2)의 아래쪽 끝단측에 도전접착에 의해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1)와 상기 자심(2)과의 사이에서 분포용량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재료(4)의 사이에서 보다 많은 분포용량을 취할수 있다.
다음에, 상기 (4) 면탑재형 쵸크(토로이덜)에 있어서의 도전재료(4)의 피복이 없는 「없음」샘플, 1/2의 피복「No.1」샘플, 3/4의 피복「No.2」샘플, 1/4의 피복「No.3」샘플의 경우에 있어서의 포장재료용 ETFE 와이어에서의 특성비교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그리고,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본도포에 의한 용량치의 비교로부터,피복이 없는 쪽보다 피복이 있는 쪽이 많이 취해지는 것이 분명하다.
표 6
또, CO는 「없음」샘플, C1은 「No.1」샘플, C2는「No.2」샘플, C3은「No.3」샘플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7은, 카본도포조건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있다.
표 7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낮은 자심과, 그 자심과 직접 도전상태에 접속한 어스용 리드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갖가지며, 상기 자심을 케이스 또는 절연도료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가 실시된 것으로,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와 자심 사이의 절연재료 및 공간에 의한 분포용량을 이용하여, 고주파성분을 어스로 흐르는 기능 및 제품 자체의 방열효과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쵸크코일 본체를 어스로 하고, 주로 권선와이어(마그네트와이어)의 피복에 카본페이스트 등의 도전재료를 사용한 구조의 콘덴서로 하고 있기 때문에, 10에서 2000PF 정도까지 분포용량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쵸크코일은, 분포용량을 카본페이스트의 도포량으로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코일단체로 필터 특성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Claims (4)

  1. 자성재료의 고유저항이 낮은 자심과, 상기 자심과 직접 도전상태에 접속한 어스용 리드를 형성한 어스단자를 가지고, 상기 자심을 케이스 또는 절연도료로 덮고, 그 위에 권선와이어가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코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심의 고유저항이 50-Ω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코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재료가 소프트 페라이트에서는 Mn-Zn계, 금속계에서는 샌더스트, 아몰퍼스 및 그들 유사의 금속성형재료, 압분재료에서는 철계, 철합금계, 그 외 금속분말계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코일.
  4. 어스용 리드가 쵸크코일본체에 세트되어 있고, 상기 어스용 리드와 같은 전위로 되도록 권선와이어를 페이스트형상의 도전재료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코일.
KR1020030038181A 2003-04-10 2003-06-13 쵸크코일 KR20040088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6302A JP2004311866A (ja) 2003-04-10 2003-04-10 チョークコイル
JPJP-P-2003-00106302 2003-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983A true KR20040088983A (ko) 2004-10-20

Family

ID=334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81A KR20040088983A (ko) 2003-04-10 2003-06-13 쵸크코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11866A (ko)
KR (1) KR20040088983A (ko)
CN (1) CN1536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144B1 (ko) * 2022-06-10 2022-10-07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led전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8307A (ja) * 2006-10-10 2008-04-24 Nec Tokin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5216265B2 (ja) 2006-10-10 2013-06-19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フィルタ回路及びノイズフィルタ
JP4987506B2 (ja) * 2007-02-21 2012-07-2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ノイズフィルタ
JP5182925B2 (ja) * 2008-03-18 2013-04-17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17005572A (ja) * 2015-06-12 2017-01-0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多段接続lcフィルタ及び医療用機器
CN109509607B (zh) * 2018-12-29 2023-11-17 合肥美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滤波器
CN209345154U (zh) * 2019-01-23 2019-09-03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可用于音频和蓝牙信号的天线线路
US20230290557A1 (en) * 2020-07-15 2023-09-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on mode choke coil and noise filter circuit equipped with said common mode choke coi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319A (ja) * 1981-11-10 1983-05-16 Nippon Ferrite Ltd ノイズフイルタ用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4167711A (ja) * 1990-10-30 1992-06-15 Murata Mfg Co Ltd Lcフィルタ
JPH06103655B2 (ja) * 1991-12-26 1994-12-14 株式会社トーキン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3508329B2 (ja) * 1995-10-06 2004-03-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型ノイズフイルタ
JP2000150246A (ja) * 1998-11-06 2000-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ロイダルインダ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144B1 (ko) * 2022-06-10 2022-10-07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led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1866A (ja) 2004-11-04
CN1536764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101A (en) Integr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US10096417B2 (en) Common mode noise filter
US8044753B2 (en) Common-mode choke coil
US6476689B1 (en) LC filter with capacitor electrode plate not interfering with flux of two coils
JP2007042678A (ja) コイルおよびフィルタ回路
JP2004031291A (ja) コネクタ付き信号伝送ケーブル
US6778034B2 (en) EMI filters
JPH05291046A (ja) インダクタ
KR20040088983A (ko) 쵸크코일
JP2012129631A (ja) 車載機器用高周波ノイズフィル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駆動回路
EP0393644B1 (en) LC noise filter
US11606008B2 (en) EMI filter for DC motor
TW441172B (en) Noise suppressing apparatus
JP2006100465A (ja) 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
JP2005150198A (ja) 通信用トランス
JP5252564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6273498B2 (ja)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11522522B2 (en) Low-pass filter
JP2884513B1 (ja) 複合磁性材料を用いたノイズ吸収素子
JP3431496B2 (ja) 複合磁性材料を用いた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900007925B1 (ko) 노이즈 필터
CN110945784A (zh) 电感-电容滤波器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JP2884512B1 (ja) 貫通形emiフィルタ
JPH07183749A (ja) ノイズフィルタ
JP2021150512A (ja)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