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408A -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408A
KR20040086408A KR10-2004-7012894A KR20047012894A KR20040086408A KR 20040086408 A KR20040086408 A KR 20040086408A KR 20047012894 A KR20047012894 A KR 20047012894A KR 20040086408 A KR20040086408 A KR 2004008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duct
defrost
assembly
be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드만다니엘
블랙마크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8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5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the housing or parts thereof being integrated in other devices, e.g.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2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ventilation channels incorporat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덕트 채널(28, 32)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66)를 구비하는 길다란 전방 비임 부재(22)를 포함한다. 또한, 비임 조립체는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36, 38, 40)을 구비하는 길다란 후방 비임 부재(24)를 포함한다. 전방 비임 부재가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되어 비임 구조체(12)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들의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비임 구조체내에 다수의 덕트(42, 44, 46)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INSTRUMENT PANEL BEAM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예를 들면 히팅, 배기 및 공기 조화(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 HVAC) 시스템과 같은 많은 차량 시스템이 계기 패널에 내장된다. HVAC 시스템은 계기 패널에 내장된 다수의 공기 분배 덕트를 포함한다. 공지된 계기 패널에 있어서, HVAC 덕트는 계기 패널 비임 구조체에 부착된 별개의 부품이다. 많은 부품은 조립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그로 인해 제조 시간이 증가되고 노동비용이 상승된다.
미국 특허 제 5,312,133 호에는 강철 비임에 부착된 강철 비임과 이 강철 비임에 부착된 덕트 시스템을 포함하며, 변형되지 않고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는 계기 패널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덕트 시스템은 접착제로 함께 접착되어 덕트 시스템을 형성하는 전방 채널 부재 및 후방 채널 부재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549,344 호에는 금속 지지 비임, 플라스틱 기부 부재 및 다수의 덕트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덕트는 별개로 형성되고, 그런 연후에 일체 유닛을 형성하도록 기부 부재에 열 용접된 고온 플레이트이다. 다음에 기부 부재 및 덕트는 금속 지지 비임에 부착된다.
미국 특허 제 5,676,216 호에는 무릎 받침대 조립체, 계기 패널, 보강 조립체, 비임 덕트 조립체 및 체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비임 조립체는 일체식 공기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2개 피스의 비임 구조체를 포함한다. 비임 구조체의 각 피스는 판 몰딩 화합물(sheet molding compound : SMC)로 형성되며, 접착제로 함께 접착된다. 보강 조립체는 계기 패널의 무릎 받침대를 지지하는 별개의 금속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762,395 호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U자형 덕트 채널을 구비하는 단일 피스 플라스틱 크로스 차량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조립체는 U자형 덕트 채널의 상방향 대면 에지에 연속적으로 고정되어 조립체내에 폐쇄 덕트를 형성하는 계기 패널을 포함한다.
발명의 요약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는 다수의 덕트 채널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하는 길다란 전방 비임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비임 조립체는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을 포함하는 길다란 후방 비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되어 비임 구조체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들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에서 다수의 덕트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열가소성 재료로 길다란 전방 비임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다수의 덕트 채널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열가소성 재료로 길다란 후방 비임 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비임 부재가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방 비임 부재를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하여 비임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내에 다수의 덕트를 형성하는, 상기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는 다수의 매몰성형된 덕트 채널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전방 비임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비임 조립체는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매몰성형된 덕트 채널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방 비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되어 비임 구조체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들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에서 다수의 덕트를 형성한다. 또한, 비임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이 상기 후방 비임 부재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에 대응하며 이 채널과 정렬되며, 이에 의해 상기 플리넘 부재 및 상기 후방 비임 부재의 상기 서리제거 덕트 채널들이 상기 플리넘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를 형성한다.
공지된 계기 패널 조립체는 비임 구조체와, 비임 구조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적인 계기 패널을 포함한다. 장식적인 패널의 일부는 충돌 사고시에 차량 탑승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무릎 받침대(knee bolster)로서 작용한다. 계기 패널 조립체는 자동차의 승용실 내측에 장착되며, 비임 구조체는 자동차 차체, 대표적으로 A-필라에 부착된다. 공지된 계기 패널 비임 구조체는 강철,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의 분해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의 분해 배면도.
일체 매몰성형된 HVAC 덕트 및 에너지 흡수체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비임 구조체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를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가소성 비임 구조체는 계기 패널의 장식 패널(들)을 지지한다. 일체 매몰성형된 HVAC 덕트 및 에너지 흡수체는 공지된 계기 패널 구조체보다 부품 개수가 적게 되며, 그로 인해 계기 패널 제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노동 비용이 적게 된다.
열가소성 비임 구조체는 많은 열가소성 재료중 하나로 성형될 수 있다. 적당한 열가소성 재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ABS 혼련물, 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 아크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폴리프로필렌 디아민 변형)-스티렌(AES), 페닐렌 에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산화물 및 폴리스티렌의 유리 충전 혼련물,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의 혼련물(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NORYL GTX(등록상표)), 폴리카보네이트/PET/PBT의 혼련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충격 변형제(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XENOY(등록상표)), 폴리아미드, 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염화 폴리비닐 PVC,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저/고 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각각 비임 조립체(10)의 분해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는 성형된 열가소성 비임 구조체(12)를 포함하며,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14), 중앙 스택(16) 및 단부 브래킷(18, 20)이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부착된다. 플로어 브래킷(21)은 자동차의 플로어 팬(도시하지 않음)에 중앙 스택(16)을 연결한다.
비임 구조체(12)는 전방 비임 부재(22), 후방 비임 부재(24) 및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로 형성된다. 전방 비임 부재(22)는 매몰성형된 HVAC 덕트 채널, 특히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채널(28) 및 메인 공기 조화 덕트 채널(32)을 포함한다. 후방 비임 부재(24)는 후방 비임 부재(24)의 제 1 측면(34)내로 성형된대응하는 HVAC 덕트 채널을 포함한다. 특히,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채널(36, 38) 및 메인 공기 조화 덕트 채널(40)은 후방 비임 부재(24)의 제 1 측면(34)내로 성형된다.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는 측면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42, 44)를 형성하는 대응 사이드 윈도우 서지제거 덕트 채널(28, 36)과, 메인 공기 조화 덕트(46)를 형성하는 메인 공기 조화 덕트 채널(32, 40)과 함께 결합된다. 또한, 전방 비임 부재(22)는 다수의 공기 조화 덕트 출구(48)를 포함한다.
후방 비임 부재(24)의 제 2 측면(50)은 매몰성형된 전방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채널(52)을 포함한다.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는 대응 매몰성형된 덕트 채널, 특히 전방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채널(54)과, 측면 윈도우 서리제거 윈도우 연결 채널(56, 58)을 포함한다. 후방 비임 부재(24) 및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는 전방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60)를 형성하는 대응 전방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채널(52, 54)과,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42, 44)에 연결하는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 연결 채널(56, 58)과 함께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비임 부재(22) 및 후방 비임 부재(24)는 진동 용접(vibration welding)에 의해 그리고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열 접착, 접착제 접착 및 패스너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비임 부재(24) 및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는 진동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열 접착, 접착제 접착 및 패스너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합된다.
전방 비임 부재(22)의 저면측 에지(68)로부터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66)가연장되어 있다. 전방 비임 부재(22)의 에너지 흡수체(66) 및 메인 본체 부분(70)은 단일편으로 성형된다. 무릎 받침대(도시하지 않음)는 계기 패널의 일부분이며, 에너지 흡수체(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충돌 상황 동안에, 탑승자 무릎으로부터 무릎 받침대로 그리고 에너지 흡수체(66)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에너지 흡수체(66)의 변형은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탑승자 무릎의 손상을 방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흡수체(66)는 실질적으로 D자형 구성을 갖고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흡수체(66)는, 충돌 사고시에 차량 탑승자 무릎의 힘으로 인해 무릎 받침대를 향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탑승자 무릎으로부터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모든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C자형 채널 지지 로드(72)가 에너지 흡수체(66)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C자형 채널 지지 로드(72)는 글로브 박스 힌지(74)를 포함한다.
다수의 보강 리브(76)는 전방 비임 부재(2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보강 리브(76)는 서리제거 덕트 채널(28)과 메인 공기 조화 덕트 채널(3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14)는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와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2)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 82)는 예를 들면 패스너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하부 스티어링 지지 부재(82)는 차량 액셀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86, 88)을 부착시키기 위한 페달 브래킷 부분(84)을 포함한다.
각 브래킷(18, 20)은 비임 구조체(12)의 대향 단부(90, 92)에 부착된다. 단부 브래킷(18, 20)은 승용차의 승용실내에 비임 구조체(12)를 고정시키기 위해 자동차 차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체로 매몰성형된 HVAC 덕트 및 에너지 흡수체(66)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비임 구조체(12)를 포함하는 상술한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는 계기 패널의 장식적인 패널(들)을 지지한다. 일체로 메몰성형된 HVAC 덕트(42, 44, 46) 및 에너지 흡수체(66)는 공지된 계기 패널 구조체보다 부품 개수가 적게 되며, 그로 인해 계기 패널 제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노동 비용이 적게 된다.
본 발명을 다양한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자들은 이해하고 있다.

Claims (25)

  1.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에 있어서,
    다수의 덕트 채널(28, 32)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66)를 포함하는 길다란 전방 비임 부재(22)와,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36, 38, 40)을 포함하는 길다란 후방 비임 부재(24)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되어 비임 구조체(12)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들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에서 다수의 덕트(42, 44, 46)를 형성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된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사기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 및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된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2)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에너지 흡수체(66)가 실질적으로 D자형 구성을 이루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가 상기 에너지 흡수체(66)중 적어도 2개 사이로 연장되는 C자형 채널 지지 로드(72)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6.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된 중앙 스택(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스택은 자동차 시스템 제어부를 수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12)의 제 1 단부에 부착된 제 1 단부 브래킷(18)과, 상기비임 구조체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제 2 단부 브래킷(20)을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비임 부재(24)에 결합된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는 상기 후방 비임 부재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2)에 대응하며 이 채널(52)과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4)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플리넘 부재 및 상기 후방 비임 부재의 상기 서리제거 덕트 채널들이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60)를 형성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내의 상기 다수의 덕트는 전방 서리제거 덕트(60), 사이드 윈도우 서리제거 덕트(42, 44) 및 메인 공기 조화 덕트(46)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 덕트 출구(48)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22, 24)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12.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재료로 길다란 전방 비임 부재(22)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다수의 덕트 채널(28, 32)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66)를 포함하는, 상기 성형 단계와,
    열가소성 재료로 길다란 후방 비임 부재(24)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후방 비임 부재가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36, 38, 4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비임 부재를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하여 비임 구조체(1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내에 다수의 덕트(42, 44, 46)를 형성하는, 상기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재료로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4)을 포함하는, 상기 성형 단계와,
    상기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를 상기 후방 비임 부재(24)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플리넘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은 상기 후방 비임 부재내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과 정렬되어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60)를 형성하는, 상기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를 상기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에 결합하여,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1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를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에너지 흡수체(66)가 실질적으로 D자형 구성을 이루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가 적어도 2개의 에너지 흡수체(66) 사이로 연장되는 C자형 채널 지지 로드(72)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재료로 중앙 스택(16)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스택을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단부 브래킷(18) 및 제 2 단부 브래킷(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부 브래킷을 상기 비임 구조체의 제 1 단부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부 브래킷을 상기 비임 구조체의 제 2 단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를 상기 후방 비임 부재(24)에 결합시키는 단계가, 상기 전방 비임 부재를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진동 용접, 열 접착, 접착제 접착 및 패스너중 적어도 하나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제조 방법.
  20.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10)에 있어서,
    다수의 매몰성형된 덕트 채널(28, 32) 및 다수의 에너지 흡수체(66)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전방 비임 부재(22)와,
    상기 전방 비임 부재 덕트 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매몰성형된 덕트 채널(36, 38, 40)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후방 비임 부재(24)로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되어 비임 구조체(12)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비임 부재들내의 상기 대응하는 다수의 덕트 채널이 상기 비임 구조체에서 다수의 덕트(42, 44, 46)를 형성하는, 상기 열가소성 후방 비임 부재(24)와,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4)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서리제거 플리넘 부재(26)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4)이 상기 후방 비임 부재내의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 채널(52)에 대응하며 이 채널(52)과 정렬되며, 이에 의해 상기 플리넘 부재 및 상기 후방 비임 부재의 상기 서리제거 덕트 채널들이 상기 플리넘 부재가 상기 후방 비임 부재에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서리제거 덕트(60)를 형성하는, 상기 플리넘 부재(26)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된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14)를 더 포함하며,상기 스티어링 칼럼 지지체(14)는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0)와, 상기 상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에 결합된 하부 스티어링 칼럼 지지 부재(82)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가 상기 에너지 흡수체(66)중 적어도 2개 사이로 연장되는 C자형 채널 지지 로드(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C자형 지지 로드가 글로브 박스 힌지(74)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 구조체(12)에 결합된 중앙 스택(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스택이 자동차 시스템 제어부를 수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비임 부재(22)는 진동 용접, 열 접착, 접착제 접착 및 패스너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후방 비임 부재(24)에 결합되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전방 비임 부재(22)와 일체로 성형된 중앙 스택(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스택은 자동차 시스템 제어부를 수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KR10-2004-7012894A 2002-02-19 2002-02-19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86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2/004785 WO2003078187A1 (en) 2002-02-19 2002-02-19 Instrument panel beam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08A true KR20040086408A (ko) 2004-10-08

Family

ID=2803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894A KR20040086408A (ko) 2002-02-19 2002-02-19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78534A4 (ko)
JP (1) JP2005519808A (ko)
KR (1) KR20040086408A (ko)
CN (1) CN1620372A (ko)
AU (1) AU2002250119B2 (ko)
WO (1) WO2003078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6091A1 (en) 2001-08-15 2003-02-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mproved seating system
DE202004006337U1 (de) * 2004-04-19 2004-07-29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Luftleitelement für eine Instrumententafel eines Kraftfahrzeuges
FR2881708B1 (fr) * 2005-02-04 2007-05-04 Valeo Systemes Thermiques Poutre structurelle pour habitacle de vehicule, logeant des organes aerauliques de distribution selective d'air
FR2887511B1 (fr) * 2005-06-22 2008-10-03 Valeo Systemes Thermiques Poutre creuse de support d'equipement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FR2901182B1 (fr) * 2006-05-18 2008-08-08 Faurecia Interieur Ind Snc Ensemble de ventilation d'un habitacle de vehicule et vehicule automobile associe.
FR2909935B1 (fr) 2006-12-19 2015-04-24 Renault Sas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comportant un reseau de canalisations de degivrage
US9623798B2 (en) * 2013-04-17 2017-04-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Vibration absorbing features for plastic assemblies
CN103738186B (zh) * 2014-01-21 2016-06-0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中控台区域车身结构
JP6894355B2 (ja) * 2017-11-27 202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製ラジエータサポートダクト
GB2619775A (en) * 2022-06-17 2023-12-20 Draexlmaier Lisa Gmbh Cockpit carrier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133A (en) * 1992-12-17 1994-05-17 Ford Motor Company Cross vehicular assembly including knee bolsters
US5311960A (en) * 1992-12-17 1994-05-17 Ford Motor Company Two piece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al cross vehicular beam
US5676216A (en) * 1994-04-14 1997-10-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ructural two-piece composite instrument panel cross-beam with integrated air distribution system
US5556153A (en) * 1994-10-14 1996-09-17 Davidson Textron Inc. Instrument panel assembly
US5564515A (en) * 1995-08-23 1996-10-15 Chrysler Corporation Instrument panel assembly
US5762395A (en) * 1996-06-25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lded cross car support structure
JPH1029475A (ja) * 1996-07-15 1998-02-03 Yazaki Corp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ユニット
US5934744A (en) * 1997-10-01 1999-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ross car structural beam
JPH11165524A (ja) * 1997-12-01 1999-06-22 Moriroku Company Ltd 自動車の空調用ダクト装置
US6378934B1 (en) * 1999-03-09 2002-04-30 Lear Corporation Cross-guard duct and steering column support bracket
WO2001074627A1 (en) * 2000-03-31 2001-10-11 Delphi Technologies, Inc. Structural beam with integrated knee energy absorbers
US6237956B1 (en) * 2000-04-17 2001-05-29 Lea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support bracket
US6371551B1 (en) * 2000-10-24 2002-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teering column, instrument panel, and cowl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50119A1 (en) 2003-09-29
EP1478534A1 (en) 2004-11-24
AU2002250119B2 (en) 2007-07-26
CN1620372A (zh) 2005-05-25
JP2005519808A (ja) 2005-07-07
EP1478534A4 (en) 2006-03-15
WO2003078187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123B2 (en) Instrument panel thermoplastic energy absorbers
KR100305165B1 (ko) 자동차계기판용가로방향지지구조체
US6073987A (en) Integrated modular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668513B2 (en) Structural composite member formed of a metal and reinforced by a blow-molded member
JPH08500309A (ja) 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取付け構造体アセンブリー
US20110193332A1 (en) Unit support for the body of a motor vehicle, bulkhead module with unit support, cockpit module for a vehicle body, body structure, and finally assembled body
WO2001074648A2 (en) Integrated structural hvac system
KR20040086408A (ko) 계기 패널 비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6354623B1 (en) Automotive trim panel
KR100461796B1 (ko)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6872134B2 (en) Dashboard assembly
US20050048904A1 (en) Vehicle air duct assembly of an integrated beam structure
JP2006507173A (ja) 運転室用サブアセンブリ
RU2003101704A (ru) Узел поперечины приборного щит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03045763A1 (en) Instrument panel thermoplastic energy absorbers
JP2005119469A (ja) 車両空気ダクト
JP2003136942A (ja) 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および車両搭載方法
JP4431913B2 (ja) 空気案内ダクト
WO2003051682A1 (en) Passenger side inflatable restrant bracket
WO2001074627A1 (en) Structural beam with integrated knee energy absorbers
JP2004114863A (ja) リィンフォースバー
JP2002103945A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搭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