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616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616A
KR20040084616A KR1020030019817A KR20030019817A KR20040084616A KR 20040084616 A KR20040084616 A KR 20040084616A KR 1020030019817 A KR1020030019817 A KR 1020030019817A KR 20030019817 A KR20030019817 A KR 20030019817A KR 20040084616 A KR20040084616 A KR 2004008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vibration
mo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442B1 (ko
Inventor
박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42B1/ko
Priority to EP04000049A priority patent/EP1463277A3/en
Priority to JP2004006158A priority patent/JP2004304764A/ja
Priority to CNB2004100025999A priority patent/CN100356799C/zh
Priority to US10/812,779 priority patent/US20040192210A1/en
Publication of KR2004008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은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의 경로를 분리하여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신호만을 증폭하고, 상기 음성신호와 증폭된 벨소리신호로부터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한 후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선택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중에서 증폭해야 하는 신호와 증폭할 필요가 없는 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로부터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성 또는 벨소리 출력시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울림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MULTI FUNCTION DEVICE(MF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MFD(Multi Function Device)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FD의 음질개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음성, 문자 및 화상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에 맞추어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휴대의 편리를 위하여 단말기를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부품의 사이즈나 부품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이 MFD(Multi Function Device)이다.
MDF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 중에서 진동, 멜로디 및 통화음기능을 수행하며, 종래의 수화기(Receiver), 스피커, 부저 및 진동모터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부품이다. 상기 MFD는 음성용 진동판과 진동용 진동판을 구비하여, 진동판에 120-180Hz의 진동 주파수가 입력되면 진동기능을 발생하고, 진동판에 음성대역의 주파수가 입력되면 음향(Voice Sound)을 발생한다. 또한, MFD에서 수화기 및 스피커기능을 위한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지만 진동판이 음성판과 밀착되어 있는 점이 종래와 다르다. 또한, 종래의 진동모터는 전압의 양에 의해 진동동작이 이루어지는 반면 MFD는 진동 주파수에 의해 진동동작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MSM (Mobile Station Modem)(1), 오디오 처리부(2), 부저 구동부(3), 진동모터 구동부(4), 주변장치 처리부(5) 및 메모리부(6)로 구성된다.
MSM(1)은 각 부에 대한 제어 및 모뎀기능을 위한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연산장치로서, 특히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서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주파수신호로 복조하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 처리부(2)는 CODEC(Coder/Decoder)으로 구성되며, MSM(1)에서 복조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수화기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MSM(1)으로 출력한다. 부저 구동부(3)는 MSM(1)에서 복조된 부저신호(벨소리)에 따라 호 착신시 부저를 구동하며, 진동모터 구동부(4)는 진동모드에서 MSM(1)에서 복조된 진동 주파수신호에 따라 호 착신시 진동모터를 구동한다. 또한, 주변장치 처리부(5)는 LCD디스플레이, 키패드 및 전원장치등과 같은 주변장치들의 제어 및 신호처리동작을 수행하며, 메모리부(6)는 단말기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신호처리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MFD를 적용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MFD를 적용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MSM(10)의 내부에 구비된 오디오 처리부(10-1)와, 오디오 처리부(10-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12)와, 오디오 증폭기(12)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성, 벨소리 및 진동기능을 수행하는 MFD(1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MFD를 사용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FD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진동기능과 관련된 동작은 3가지 모드 즉, 통화모드 벨모드 및 진동모드로 구분된다.
1) 통화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상태가 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는 MSM(10)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로 복조된다. 오디오 처리부(10-1)는 복조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로 음량을 조절한 후 출력단자(EAR+,EAR-)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출력단자(EAR+,EAR-)를 통하여 출력된 음성신호는 각각 캐패시터(C1,C2)에서 DC성분이 제거된 후 저항(R1,R3)들을 통하여 오디오 증폭기(12)로 입력된다. 오디오 증폭기(12)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의 증폭률(R2/R1)로 증폭한 후 MFD(1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가 MFD(14)의 음성코일과 진동판을 거치면서 음성을 발생한다.
2) 벨모드
사용자가 착신알림을 벨소리로 설정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면, 오디오 처리부(10-1)는 소리의 세기를 설정하는 이득값을 음성신호의 경우보다 크게 설정한 후 벨소리신호를 출력하며, 그 이후의 동작은 통화모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3) 진동모드
사용자가 착신알림을 진동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면, 오디오 처리부(10-1)는 MFD(14)의 진동 주파수에 해당되는 진동 주파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진동 주파수신호는 음성 증폭기(12)에서 증폭된 후 MFD(14)로 입력된다. 따라서, MFD(14)의 진동판이 입력된 신호의 공진 주파수와 공진되어 진동동작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MFD에서 음성용 진동판과 진동용 진동판은 구조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근접한 위치에 구현되어, 입력신호의 주파수가 공진주파수(120-180Hz)와 일치할 때 진동동작이 수행된다.
그런데, 음성신호나 벨소리신호에도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음성 또는 벨소리 출력시 공진 주파수에 의한 미약한 진동으로 울림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울림현상에 의해 음성 또는 벨소리의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이나 벨소리가 MFD로 출력될 때 미세한 진동에 의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MFD의 음질개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이나 벨소리 신호에 포함된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MFD의 음질개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서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와 진동 주파수성분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를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스위칭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이며, 상기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또는 벨소리신호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MDF의 음질개선 방법은 경로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제1,제2경로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2경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제1경로의 신호와 증폭된 제2경로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증폭된 제2경로의 신호를 진동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MFD (Multi Function Device)로 선택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경로상의 신호는 음성신호이고, 제2경로상의 신호는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이며, 상기 필터링되는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또는 벨소리신호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MDF의 음질개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진동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MDF의 음질개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경로 제어신호에 따라 제1,제2경로로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2경로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와; 상기 제1경로의 오디오 신호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와; 진동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필터링부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1경로의 신호는 음성신호이고, 상기 제2경로의 신호는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 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스위칭부는 통화모드에서는 오디오신호를 제1경로로 출력하고,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제2경로로 출력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필터링부의 출력신호를 MFD로 출력하고, 진동모드에서는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MF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MFD를 구비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MFD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의 구성도.
도 4는 MFD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MSM 100-1, 200-1 : 오디오 처리부
110, 220 : 오디오 증폭기 120, 230 : 필터링부
130 : 스위칭부 240 : 제2스위칭부
140, 250 : MF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음성신호는 벨소리 및 진동 주파수신호에 비하여 신호레벨이 작기 때문에 별도의 증폭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음성신호나 벨소리신호에도 공진 주파수(예를들어, 180Hz)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모두 증폭한 후 MFD를 구동하였으며,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에 대하여 별도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음성 또는 벨소리 출력시 공진 주파수에 의한 미약한 진동으로 울림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증폭할 신호와 증폭할 필요가 없는 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로부터 200Hz이하의 진동 주파수를 제거하는데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3가지 모드 즉 통화모드, 벨모드 및 진동모드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은 오디오신호(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음성신호, 벨소리신호)에서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와 진동 주파수성분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를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MFD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신호의 스위칭을 위하여 여러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MSM에서 출력되는 진동 인에이블신호를 일 예로서 사용한다. 상기 진동 인에이블신호는 예를들어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동일한 상태(논리 "0")로 설정되고, 진동모드에서는 다른 상태(논리"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링부(120)는 MSM(100)의 오디오 처리부(100-1)에서 출력되고 오디오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음성신호 및 벨소리신호)에서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두개의 하이패스필터(High Pass Filter:HPF)(20,21)로 구성되며, 스위칭부(130)는 오디오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와 필터링부(120)의 출력신호를 MSM(100)의 제어단자(GPIO)에서 출력된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따라 MFD(140)로 스위칭하는 두개의 오디오 스위치(30,31)로 구성된다. [표1]에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표1]
동작 모드 통화모드 벨모드 진동모드 Reserved
VIB_EN 0 1 1 0
따라서, 필터링부(110)의 두 필터(20,21)는 오디오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음성신호 또는 벨소리신호를 필터링하여, 해당 신호로부터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고, 스위칭부(130)의 두 오디오 스위치(30,31)는 A단자 또는 B단자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따라 C단자를 통하여 MFD(140)로 출력한다. 즉, 상기 두 오디오 스위치(30,31)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필터링부(12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 또는 벨소리신호를 MFD(140)로 출력하고, 진동모드에서는 오디오증폭기(110)에서 증폭된 진동주파수신호를 MFD(140)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은 MSM의 오디오 처리부에서 처리된 오디오신호(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른 경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 음성신호는 증폭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의 경로와 다른 경로로 분리한다. 이 경우 경로 분리를 위해서 MSM에서 출력되는 경로 제어신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 제어신호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 경로 제어신호의 상태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통화모드와 착신모드(벨 모드 및 진동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예를들어,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경로제어신호를 동일한 상태(논리 "1")로 설정하고, 통화모드에서는 다른 상태(논리"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은 증폭단계를 포함한다.전술한 바와같이, 벨소리신호와 공진 주파수신호의 레벨은 음성신호의 레벨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충분히 증폭되어야 한다. 그런데, 오디오 처리부내의 증폭기로는 충분한 증폭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경로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벨소리신호와 공진 주파수신호를 MFD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증폭한다.
또한, 음성신호나 벨소리신호에는 공진 주파수(예를들어, 180Hz)에 해당하는 주파수성분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필터링단계를 수행하여 음성신호 또는 증폭된 벨소리신호에 포함된 공진 주파수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단계들이 모두 완료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은 해당 신호들을 각 모드에 따라 MFD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MSM에서 출력되는 진동 인에이블신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 제어신호 역시 경로 제어신호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설정된다. 이 경우 스위칭 단계가 필터링단계이후에 기술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시 스위칭 단계를 먼저 수행한 후 필터링단계를 수행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은 증폭할 신호와 증폭할 필요가 없는 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로부터 200Hz이하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종래에 발생되는 음성 또는 벨소리의 음질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MFD의 음질개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MFD의 음질 개선장치는 오디오 처리부(200-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를 제1,제2경로로 분리하는 제1스위칭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위칭부(210)의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MSM(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AUD_PATH)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 제1스위칭부(210)는 오디오 처리부(200-1)의 두 출력단자(EAR+, EAR-)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각각 스위칭하는 2개의 오디오 스위치(50),(51)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는 제2경로로 분리된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220)를 포함하며, 제1경로로 분리된 음성신호와 오디오 증폭기(220)에서 증폭된 벨소리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2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링부는 2개의 하이패스 필터(HPF)(60,61)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는 오디오 증폭기(220)와 필터링부(230)의 출력신호를 MFD(250)로 선택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스위칭부(210)의 동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MSM(200)에서 출력되는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의해 제어되며, 제2스위칭부(240)는 2개의 오디오 스위치(70),(71)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MFD의 음질 개선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작은 3가지의 동작모드 즉, 통화모드, 벨모드 및 진동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통화모드
단말기가 통화상태가 되면, 오디오 처리부(200-1)는 MSM(200)에서 복조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 다음 해당 음성신호를 출력단자(EAR+,EAR-)를 통하여 제1스위칭부(210)로 출력한다.
제1스위칭부(210)의 두 오디오 스위치(50),(51)들은 각각 C단자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MSM(200)의 제어단자(GPIO1)에서 출력되는 경로 제어신호(AUD_PATH)에 따라 A 또는 B단자로 출력한다. [표2]에는 단말기의 각 동작모드에서 경로 제어신호(AUD-PATH)와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표2]
동작 모드 통화모드 벨모드 진동모드 Reserved
AUD_PATH 0 1 1 0
VIB_EN 0 0 1 1
[표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화모드에서 경로 제어신호(AUD-PATH)는 로우상태("0")이기 때문에 두 오디오 스위치(50),(51)들은 입력된 음성신호를 A단자를 제1경로로 출력한다. 따라서, 음성신호는 오디오 증폭기(22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필터링부(230)로 전달된다. 즉, 음성신호의 레벨은 벨소리나 진동 주파수신호보다 작아 큰 증폭이 불필요하며, 오디오 처리부(200-1)의 내부 증폭기로도 충분히 증폭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접 필터링부(230)로 전달되도록 한다.
필터링부(230)의 두 필터(60,61)는 음성신호에서 200Hz이하의 주파수성분을 제거한 다음 제2스위칭부(240)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에서 200Hz이하의 주파수성분을제거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벨소리출력을 위한 단말기의 스피커 구조상 300Hz이하의 소리는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며, 특히 음성신호에 진동 주파수성분이 포함될 경우에는 MFD가 진동하여 음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제2스위칭부(240)의 두 오디오 스위치(70),(71)들은 MSM(200)의 제어단자(GPIO2)에서 출력된 로우상태("0")의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따라, A단자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각 C단자를 통하여 MFD(1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2스위칭부(24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가 MFD(250)의 음성코일과 진동판을 거치면서 음성이 발생된다.
2). 벨모드
사용자가 착신알림을 벨소리로 설정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면, 오디오 처리부(200-1)로부터 제1오디오 스위치(210)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런데, [표2]에서, 현재 경로 제어신호(AUD_PATH)가 하이상태("1")이기 때문에 제1스위칭부(210)의 두 오디오 스위치(50),(51)들은 C단자로 입력된 벨소리신호를 B단자를 통해 제2경로로 출력하고, 제2경로의 벨소리 신호는 오디오 증폭기(220)에서 증폭된다. 즉, 벨소리신호는 음성신호에 비하여 신호레벨이 크기 때문에 오디오 증폭기(220)를 이용하여 충분한 증폭한다.
상기 필터링부(230)의 두 HPF(60,61)는 오디오 증폭기(220)에서 증폭된 벨소리신호에서 200Hz이하의 주파수성분을 제거한 다음 제2스위칭부(240)로 출력하고, 상기 제2스위칭부(240)의 두 오디오 스위치(70,71)는 하이상태("1")의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따라 A단자로 입력된 벨소리신호를 C단자를 통해 MFD(2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2오디오 스위치(240)에서 출력된 벨소리신호가 MFD(250)의 음성코일과 진동판을 거치면서 벨소리가 발생한다.
3). 진동모드
사용자가 착신알림을 진동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되면, 오디오 처리부(200-1)로부터 출력된 진동 주파수신호가 제1스위칭부(210)로 입력된다. 이때, 경로 제어신호(AUD-PATH)는 하이상태이기 때문에 제1스위칭부(210)의 두 오디오스위치(50),(51)들은 입력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오디오 증폭기(220)로 스위칭한다.
그런데, 진동을 위한 진동 공진 주파수신호는 일반적으로 약 180Hz의 주파수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제2스위칭부(240)의 두 오디오 스위치(70,71)들은 하이상태의 진동 인에이블신호(VIB_EN)에 따라 B단자로 입력된 진동 주파수신호를 각각 C단자를 통하여 MFD(250)로 출력한다. 따라서, MFD(250)의 진동판이 입력된 신호의 공진 주파수와 공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증폭할 신호와 증폭할 필요가 없는 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하고,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로부터 200Hz이하의 주파수를 제거함으로써 종래 음성 또는 벨소리의 출력시 발생하는 음질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선행된 실시예들은 단지 한 예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여러가지 대안, 수정 및 변경들이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에게 자명한 것이 될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서 진동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와 진동 주파수성분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를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스위칭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의 음질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의 음질개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와 벨소리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DF의 음질개선방법.
  4. 경로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제1,제2경로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2경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제1경로의 신호와 증폭된 제2경로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링된 신호와 증폭된 제2경로의 신호를 진동 인에이블신호 에 따라 MFD (Multi Function Device)로 선택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이고, 필터링되는 제2경로의 신호는 벨소리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의 신호는
    음성신호이고, 제2경로상의 신호는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는
    통화모드에서는 제1경로로 출력되고,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제2경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신호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MFD로 출력되고, 상기 증폭된 신호는 진동모드에서 MFD로 그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신호는
    통화모드에서는 로우상태이고,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하이상태이며, 상기 진동인에이블신호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로우상태이고 진동모드에서는 하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방법.
  10.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진동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MFD(Multi Function Device)로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인에이블신호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부터 출력되며,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로우상태이고 진동모드에서는 하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경로 제어신호에 따라 제1,제2경로로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2경로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와;
    상기 제1경로의 오디오 신호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와;
    진동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필터링부와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MFD(MultiFunction Device)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스위칭부는
    2개의 아날로그 오디오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링부는 2개의 하이패스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신호와 진동 인에이블신호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대응되어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어신호는
    통화모드에서는 로우상태이고,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하이상태이며, 상기 진동 인에이블신호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로우상태이고 진동모드에서는 하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벨소리신호 및 진동 주파수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의 신호는
    음성신호이고, 상기 제2경로의 신호는 벨소리신호와 진동 주파수 신호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되는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벨소리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통화모드에서는 오디오신호를 제1경로로 출력하고, 벨모드와 진동모드에서는 제2경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부는
    통화모드와 벨모드에서는 필터링부의 출력신호를 MFD로 출력하고, 진동모드에서는 오디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MFD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DF의 음질개선장치.
KR10-2003-0019817A 2003-03-29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45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817A KR100459442B1 (ko) 2003-03-29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EP04000049A EP1463277A3 (en) 2003-03-29 2004-01-05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a multifunction device MF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006158A JP2004304764A (ja) 2003-03-29 2004-01-13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mfdの音質改善装置及びその方法
CNB2004100025999A CN100356799C (zh) 2003-03-29 2004-02-02 改进移动通信终端的多功能设备的音质的系统和方法
US10/812,779 US20040192210A1 (en) 2003-03-29 2004-03-29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ound quality of an MF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817A KR100459442B1 (ko) 2003-03-29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616A true KR20040084616A (ko) 2004-10-06
KR100459442B1 KR100459442B1 (ko) 2004-12-03

Family

ID=3282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817A KR100459442B1 (ko) 2003-03-29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92210A1 (ko)
EP (1) EP1463277A3 (ko)
JP (1) JP2004304764A (ko)
KR (1) KR100459442B1 (ko)
CN (1) CN1003567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814B1 (ko) 2005-02-21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224984A1 (en) 2005-03-08 2007-09-27 Muir Brockett Iii Communication Link Termination Indication Signal and Secondary Signal Method and Apparatus
DE602006017707D1 (de) * 2005-08-02 2010-12-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besserung der sprachverständlichkeit in einer mobilen kommunikationsvorrichtung durch steuern der funktion eines vibrators in abhängigkeit von dem hintergrundgeräusch
CN103139351B (zh) * 2011-11-24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音量控制方法、装置及通信终端
US8842310B2 (en) 2013-02-12 2014-09-2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s between a multifunc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454715B2 (en) 2013-02-13 2016-09-27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parently extending a multifunction de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3546617B (zh) * 2013-10-21 2016-01-27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声音调节的方法及终端
KR101478177B1 (ko) * 2014-05-21 2015-01-02 주식회사 에스엔디테크 방범용 cctv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CN105554283B (zh) * 2015-12-21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9547894B (zh) * 2018-10-24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声器件振幅调整方法、装置和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0938A (en) * 1983-09-30 1986-02-18 Mitel Corporation Voice and data interface circuit
JPH04101527A (ja) * 1990-08-20 1992-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秘話通信装置
CN1179862A (zh) * 1995-03-27 1998-04-22 Bsg实验室股份有限公司 低音扬声器驱动电路
JPH08340267A (ja) * 1995-06-13 1996-12-24 Kokusai Electric Co Ltd 背景雑音低減機能付き送受信機
JP2931559B2 (ja) * 1997-03-21 1999-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US6151373A (en) * 1997-04-03 2000-11-21 At&T Corp. Weak signal resolver
US6259935B1 (en) * 1997-06-24 2001-07-10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Electro-mechanical-acoustic transducing device
JP3328570B2 (ja) * 1998-01-30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0013531A (ja) * 1998-06-17 2000-01-14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2027028A (ja) * 2000-07-07 2002-01-2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通信装置
JP2002344565A (ja) * 2001-05-16 2002-11-29 Nec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
KR100419161B1 (ko) * 2001-08-22 2004-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KR100400555B1 (ko) * 2001-11-27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엠에프디 제어장치 및 방법
US7197332B2 (en) * 2003-04-23 2007-03-27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92210A1 (en) 2004-09-30
EP1463277A3 (en) 2010-07-21
CN1535034A (zh) 2004-10-06
CN100356799C (zh) 2007-12-19
JP2004304764A (ja) 2004-10-28
KR100459442B1 (ko) 2004-12-03
EP1463277A2 (en)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4330B2 (en)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receiver mode
EP1847101B1 (en) Audio device for improved sound reproduction
KR1004594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fd의 음질 개선장치 및 방법
CN105681948A (zh) 改善移动终端听筒模式下的音质的系统及其方法
WO2001099469A1 (fr) Systeme de reproduction de la parole, systeme de generation de signaux vocaux et systeme d'appel
KR100400555B1 (ko) 이동단말기의 엠에프디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90227297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JPH04223718A (ja) 自動車通信センタ装置
KR100474310B1 (ko) 휴대폰의 소음 제거 장치
KR100692773B1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20050063814A (ko) 스테레오 스피커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2485B1 (ko) 오디오 신호 출력 모드에 따른 음질 최적화 회로
KR100672492B1 (ko) 이동 단말기의 이어마이크로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단말기
KR20070031533A (ko) 저음 진동 강조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857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반향음 제거 장치
JP3043118U (ja) ハウリングキャンセラー回路
KR100468953B1 (ko) 휴대용 단말기 벨음질 향상 장치
JP3186951B2 (ja) 受信感知装置
JP200234456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
JPS63191447A (ja) 電子電話機
KR20090011615A (ko) 직류 차단 캐패시터 내장형 이어폰 및 이를 이용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28957A (ko) 음향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JP2003224627A (ja) 通信装置
JP2004129112A (ja) 携帯型無線通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