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36A -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36A
KR20040083736A KR1020030018307A KR20030018307A KR20040083736A KR 20040083736 A KR20040083736 A KR 20040083736A KR 1020030018307 A KR1020030018307 A KR 1020030018307A KR 20030018307 A KR20030018307 A KR 20030018307A KR 20040083736 A KR20040083736 A KR 20040083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crew shaft
screw
livestock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한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곤 filed Critical 한상곤
Priority to KR102003001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736A/ko
Publication of KR2004008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점도를 가지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만 또는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에 있어서, 사료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과;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과;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과, 이 제1 스크류축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 및 상기 제1,2,3 스크류축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A feed apparatus}
본 발명은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축사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점도를 가지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축사 등에서 사용되는 사료는, 펠릿(pellet) 형태인 고형사료(固形飼料) 및 점도가 있는 가루상태의 농후사료(濃厚飼料)로 나누어지는데, 본 발명은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농후사료의 공급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농후사료를 공급할 경우에는, 농후사료(이하, 편의상 "점도가 있는 사료"라 칭함)의 특성상 점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대차 등을 이용하여 사료를 이동하고 삽 등을 이용하여 사료통에 일일이 사료를 담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축산농가의 고령화 현상과 축산농가의 대형화로 인하여 상술한 수동작업을 통한 사료공급방법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좀더 편리하게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들이 여러 알려져 있는데 그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통상적인 사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부에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출구(201)가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200)과, 상기 사료 공급통(200)의 내부인 배출구(20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단일의 배출 스크류(30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사료 공급통 내부에 채워진 점도가 있는 사료는, 덩어리 형태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단일의 배출 스크류가 헛도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료의 배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배출 스크류가 회전될 경우에 사료가 간헐적으로 불규칙하게 배출됨으로서, 사료의 정량 공급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사료 공급통을 500kg 이상의 대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점도를 가지는 사료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사료 공급통의 하부에 채워진 사료는 거의 고형상태로 존재함으로서, 상기 단일의 배출 스크류가 아예 회전되지 않게 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야기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점도가 있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여 이를 사료 공급통의 하부에 위치된 배출 스크류축으로 공급시켜 사료의 배출량을항상 일정하게 하고자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순환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파쇄 효율을 최대로 높임으로서, 좀더 안정된 정량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사료 공급통을 대용량(500kg 이상)으로 제조하더라도 사료 공급통의 상부와 하부가 각기 분리되게 작동됨으로서, 용량과 관계없이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상부에 위치된 각각의 스크류축 및 하부에 위치한 스크류축의 속도를 달리하여 좀더 안정적인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사료통의 배열과 관계없이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축사에 있어서, 사료를 사료통에 만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사료의 공급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킴에 따라서 축사의 무인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만 또는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에 있어서, 사료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과;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이 구비되고,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과;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과, 이 제1 스크류축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 및 상기 제1,2,3 스크류축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 스크류축과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 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하나의 이송부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8은 통상적인 사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렬 레일
11 : 작동대
12 : 돌출 작동대
2 : 사료 공급통
21 : 이동수단
211 : 이송부, 212 : 다리, 213 : 회전축, 214 : 롤러,
215 : 이동모터, 216 : 회전 힌지부
22 : 사료 투입구
23 : 사료 안내공간
231 : 전방 경사판, 232 : 후방 경사판
24 : 배출관
241 : 배출부
3 : 정량 배출부
31 : 제1 스크류축
311 : 왼 스크류판
32 : 제2 스크류축
321 : 오른 스크류판
33 : 제3 스크류축
331 : 오른 스크류판
4 : 구동수단
41 : 구동모터
411 : 스프로킷
42 : 연결수단
5 : 복귀 스위치
6 : 정지 스위치
7 : 구동수단 제어스위치
8 : 배출커버
81 : 실린더
9 : 커버
100 : 축사
101 : 사료통, 102 : 물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 스크류축과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101)만 또는 사료통(101)과 물통(102)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100)에 있어서, 사료통(101) 및 물통(10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1)과,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며 사료가 채워지는 사료 공급통(2)과, 상기 사료 공급통(2)의 내부에 구비되어 덩어리 형태로 공급되는 점도가 있는 사료를 상부에서 순환 파쇄시키고 하부에서 정량으로 배출하는 정량배출부(3), 및 정량배출부(3)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공급통(2)은, 하부에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는이동수단(21)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2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하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231,232)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하부에 일측으로 배출부(241)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24)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량배출부(3)는,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311)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31)과, 이 제1 스크류축(31)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31)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21)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32)과, 상기 배출관(24)에 구비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31)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구동수단(4)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사료공급통(2)의 외측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을 빠르게 하고 제1 스크류축(3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1)와 각 스크류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동수단(4)을 작동시켜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사료 공급통(2)의 상부를 통해 덩어리 형태의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으로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나 각 축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판의 비틀려진 방향이 서로 반대임으로서, 일측으로 투입된 사료는 제1 스크류축(31)에 형성된 왼 스크류판(311)의 회전을 통해 사료공급통(2)의 상부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파쇄된다.
다음 타측으로 이동되는 파쇄된 사료는 제2 스크류축(32)에 형성된 오른 스크류판(321)의 회전을 통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하부인 제3 스크류축(33)의 상부로 균일하게 떨어진다.
다음 제3 스크류축(33)에 도달된 파쇄 사료는 제3 스크류축(33)에 형성된 오른 스크류판(331)의 회전을 통해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241)를 통과하여 축사의 사료통(101)으로 유입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3 스크류축(33)에 도달되는 점도를 가진 사료는 거의 파쇄되어 가루의 형태임으로서, 제3 스크류축(33)을 통해 사료가 정량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제1,2 스크류축(31,32)을 통한 파쇄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사료 공급통(2)의 상부에서 순환 이동시킴과 동시에 파쇄를 시킴에 따라서. 파쇄 효율을 극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사료 공급통(2)의 중간에 위치된 제1,2 스크류축(31,32)이 서로 맞물려 있어 사료 공급통(2)의 상,하부 공간을 차단 구획함으로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가 하부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서 순간적으로 사료 배출량이 과다하게 되거나, 또는 사료 덩어리로 인하여 제3 스크류축(33)이 정지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료공급통를 대용량(500kg 이상)으로 제조하더라도 사료공급통의 상부와 하부가 각기 분리되게 작동됨으로서, 용량과 관계없이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속도를 제2 스크류축(32)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함으로서,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에 항상 공간이 구비되게 하여 사료 공급통에 있어 사료투입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제2 스크류축(32)에 사료를 공급함에 있어 약간의 압력을 줌에 따라서 제2 스크류축(32)에 사료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스크류축(32)의 사료공급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2 스크류축(52)의 공회전 상태를 예방하여 사료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함으로서, 정량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서 배출의 적체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연속적인 정량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4)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41)는, 회전축에 장착된 동일크기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42)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크기를 달리하는 제1,2,3 스프로킷(421,422,423) 및 이 제1,2,3 스프로킷(421,422,423)과 상기 구동모터(41)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각기 연결하는 3개소의 체인(424)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2 스프로킷(42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프로킷(421)의 크기를 작게하고 제1 스프로킷(42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프로킷(423)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4)의 작동과 연결수단(42)을 구성하는 각 스프로킷과 체인(424)들을 통해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에 장착된 제1,2,3 스프로킷(421,422,423)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라서,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회전속도를 달리 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료의 연속적인 정량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에 위치된 제1 스크류축(31)이 전방에 위치된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에서 투입되는 사료가 제2 스크류축(32)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음에 따라서, 사료의 파쇄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의 왼, 오른 스크류판(311,312)은 비틀려지는 방향만 틀리고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왼,오른 스크류판(311,312)의 후방측과 전방측은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 경사판(232)과 전방 경사판(231)에 밀착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료공급통(2)의 중간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쇄된 사료만이 제3 스크류축(33)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서, 좀더 안정된 정량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서, 상기 이동수단(21)은, 양측에 상기 복렬 레일(1;도1참조)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사료공급통의 하부로 돌출된 다리(212) 및 이 다리(212)에 장착된 회전축(213)을 통해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214)를 포함하는 양측 이송부(211)와, 상기 양측 이송부(211) 중 하나의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회전축(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동모터(21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모터(215)의 작동을 통해 직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이동수단(2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다리(212)는, 양측 이송부(211)를 각각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2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하부 다리로 분리되며 상,하부 다리의 사이에는 하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힌지부(216)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모터(215)의 작동을 통해 곡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한쌍의 롤러(214)가 장착된 하부다리가 상부다리와 연결된 회전 힌지부(216)를 통해 방향이 자유로이 변경됨에 따라서, 곡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로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이동수단(21)과 구동수단(4)을 제어할 수 있는 복귀 스위치(5)와 정지 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렬 레일(1)의 끝단과 시작단에는 상기 복귀 스위치(5)와 정지 스위치(6)를 각기 작동시키는 작동대(11)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사료공급을 마친후에는 상기 복귀 스위치(5)와 복렬레일(1)의 끝단에 장착된 작동대(11)가 서로 충돌되어 복귀 스위치(5)가 작동됨으로서, 사료의 공급이 멈춘 상태에서 이동수단(21)만이 동작되어 사료 공급통(2)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료 공급통(2)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순간에는 상기 정지스위치(6)와 복렬 레일(1)의 시작단에 장착된 작동대(11)가 서로 충돌되어 정지스위치(5)가 작동됨으로서 장치는 멈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전방에는 구동수단(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렬 레일에는 물통의 위치를 알려주어 사료의 배출을 중지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 제어스위치와 접속되는 다수의 돌출 작동대(1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사료통(101)이 아닌 물통(102)의 상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와 상기 복렬레일(1)의 돌출작동대(12)가 서로 충둘되어 구동수단(4;도2참조)이 정지되어 사료의 배출을 멈추게 되고, 상기 돌출작동대의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다시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사료통에 사료를 배출 공급하는 것이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41)의 하부에는 실린더(81)를 통해 개폐되는 배출커버(8)를 구비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배출부을 막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료 투입구의 상부에는 커버(9)가 더 구비됨으로서,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흙 또는 빗물이나 눈 등이 사료 공급통(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점도가 있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여 이를 사료공급통의 하부에 위치된 배출 스크류축으로 공급시켜 사료의 배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함에 따라 정량공급이 가능한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순환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파쇄효율을 최대로 높여 좀더 안정된 정량공급이 가능한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 있다.
또한 사료 공급통을 용량과 관계없이 정량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료 공급통을 대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상부에 위치된 각각의 스크류축 및 하부에 위치한 스크류축의 속도를 달리하여 좀더 안정된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직선형 또는 곡선형(원형)으로 배치된 사료통 배열과 관계없이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축사에 있어서, 사료를 사료통에만 선택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장치의 기능이 좀더 높이는 효과도 있다.
또 사료의 공급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킴에 따라서 축사의 무인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축산의 선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2)

  1.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101)만 또는 사료통(101)과 물통(102)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100)에 있어서;
    사료통(101)과 물통(10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1)과;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21)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22)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하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231,232)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23)이 구비되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241)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24)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2)과;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311)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31)과, 이 제1 스크류축(31)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31)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21)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32)과, 상기 배출관(24)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31)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33)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3); 및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은, 사료공급통(2)의 외측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을빠르게 하고 제1 스크류축(3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1)와 각 스크류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1)는 회전축에 장착된 동일크기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42)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크기를 달리하는 제1,2,3 스프로킷(421,422,423) 및 이 제1,2,3 스프로킷(421,422,423)과 상기 구동모터(41)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각기 연결하는 3개소의 체인(4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로킷(42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프로킷(421)의 크기를 작게하고 제1 스프로킷(42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프로킷(423)의 크기를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에 위치된 제1 스크류축(31)이 전방에 위치된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의 왼, 오른스크류판(311,312)은 비틀려지는 방향만 틀리고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왼,오른 스크류판(311,312)의 후방측과 전방측은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 경사판(232)과 전방 경사판(231)에 밀착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1)은, 양측에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사료공급통의 하부로 돌출된 다리(212) 및 이 다리(212)에 장착된 회전축(213)을 통해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214)를 포함하는 양측 이송부(211)와, 상기 양측 이송부(211) 중 하나의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회전축(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동모터(2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다리(212)는, 양측 이송부(211)를 각각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2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하부 다리로 분리되며 상,하부 다리의 사이에는 하부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힌지부(21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이동수단(21)과 구동수단(4)을 제어할 수 있는 복귀스위치(5)와 정지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렬 레일(1)의 끝단과 시작단에는 상기 복귀스위치(5)와 정지스위치(6)를 각기 작동시키는 작동대(1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10.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전방에는 구동수단(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렬 레일에는 물통의 위치를 알려주어 사료의 배출을 중지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 제어스위치와 접속되는 다수의 돌출 작동대(1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41)의 하부에는 실린더(81)를 통해 개폐되는 배출커버(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투입구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커버(9)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KR1020030018307A 2003-03-24 2003-03-24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KR20040083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07A KR20040083736A (ko) 2003-03-24 2003-03-24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07A KR20040083736A (ko) 2003-03-24 2003-03-24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87U Division KR200315781Y1 (ko) 2003-03-24 2003-03-24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36A true KR20040083736A (ko) 2004-10-06

Family

ID=3736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07A KR20040083736A (ko) 2003-03-24 2003-03-24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7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0513A (zh) * 2015-10-30 2016-01-13 綦江县万兴肉牛养殖场 养牛喂食机
KR102291120B1 (ko) * 2020-12-07 2021-08-20 김일 등겨의 파분, 멸균 및 포장 시스템
CN113632738A (zh) * 2021-08-09 2021-11-12 浙江景宁明辉工艺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投食的猫餐盘
CN114916447A (zh) * 2022-06-06 2022-08-19 内蒙古民族大学 一种双层栏架式母-犊牛混合饲养的牛舍
CN116686732A (zh) * 2023-08-02 2023-09-05 吉林省农业科学院 一种可实现精准投喂的羊喂食用饲喂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0513A (zh) * 2015-10-30 2016-01-13 綦江县万兴肉牛养殖场 养牛喂食机
KR102291120B1 (ko) * 2020-12-07 2021-08-20 김일 등겨의 파분, 멸균 및 포장 시스템
CN113632738A (zh) * 2021-08-09 2021-11-12 浙江景宁明辉工艺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投食的猫餐盘
CN114916447A (zh) * 2022-06-06 2022-08-19 内蒙古民族大学 一种双层栏架式母-犊牛混合饲养的牛舍
CN116686732A (zh) * 2023-08-02 2023-09-05 吉林省农业科学院 一种可实现精准投喂的羊喂食用饲喂装置
CN116686732B (zh) * 2023-08-02 2023-09-26 吉林省农业科学院 一种可实现精准投喂的羊喂食用饲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44808U (zh) 饲料定量供给设备
US3090605A (en) Feed mixer
CN209815020U (zh) 一种用于木质素纤维生产原料的粉料送料装置
CN110637748A (zh) 用于畜牧养殖的全自动喂料装置
KR20040083736A (ko)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EP0907408B1 (en) Mixer vehicle
KR200315781Y1 (ko)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
CN210247909U (zh) 一种用于养牛场饲料混合和给料装置
KR20180137367A (ko) 첨가물의 균일한 혼합이 가능한 사료 공급장치
CN107926735A (zh) 一种搅拌饲喂机
US3272400A (en) Feed saver for automatic feed apparatus
US5205416A (en) Feed hopper having outlet slots that reduce material shearing and are positioned to strengthen the auger housing
CN108450984A (zh) 养牛用饲料加工装置
CN114403032A (zh) 一种可改变食量具有自动投食功能的肉羊养殖装置
CN210389805U (zh) 一种医用pvc粒料制造自动定量添加装置
US3021121A (en) Feed mixer
CN214438094U (zh) 一种混料输送机
CN219939354U (zh) 一种多料仓粉末计量同步给料装置
CN219877138U (zh) 一种新型饲料出料装置
CN210782492U (zh) 一种猪舍养殖用受孕母猪喂料装置
CN208166106U (zh) 一种饲料添加剂生产用给料装置
CN218571119U (zh) 一种圈舍羊栏用自动化配料装置
CN209030825U (zh) 一种畜牧养殖用自动喂食槽
JP2008261572A (ja) 家畜の排泄物の乾燥システム
CN216961110U (zh) 一种可改变食量具有自动投食功能的肉羊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