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606A -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606A
KR20040083606A KR1020030018121A KR20030018121A KR20040083606A KR 20040083606 A KR20040083606 A KR 20040083606A KR 1020030018121 A KR1020030018121 A KR 1020030018121A KR 20030018121 A KR20030018121 A KR 20030018121A KR 20040083606 A KR20040083606 A KR 2004008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tie
coke oven
hydraulic cylinder
tie rods
ti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036B1 (ko
Inventor
유정관
백부순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1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0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로에 축조된 연와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 타이로드를 구비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크스 로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분할로드식으로 조립되며, 그 양단에는 각각 장력 스프링등이 끼워지는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 상기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의 일단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가 장착되는 측의 크로스 타이로드 상에서 고정판과 너트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가 코크스 로에 가하는 지지력을 검출하여 출력시키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로 부터의 출력값이 최초의 설정값에 비하여 과도하게 벗어나면 상기 유압 실린더를 통한 코크스 로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로체 지지물 유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타이로드를 절단할 필요없이 분해조립하여 재장착이 가능함으로써 코크스 로의 보수유지및 정비작업이 용이하며, 코크스 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의 길이및 장력변화를 쉽게 자동조정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코크스로를 지지하도록 하여 로체 수명을 크게 늘리도록 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AN APPARATUS FOR SUPPORTING COKE OVEN STRUCTURE}
본 발명은 코크스 로에 축조된 연와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 타이로드를 구비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로스 타이로드를 절단할 필요없이 분해조립하여 재장착이 가능함으로써 코크스 로의 보수유지및 정비작업이 용이하며, 코크스 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의 길이및 장력변화를 쉽게 자동조정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코크스로를 지지하도록 하여 로체 수명을 크게 늘리도록 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로(100)는 도 1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구조물의 다수의 연소실및 탄화실들을 차례로 구비한 구조를 갖추고, 최초 냉간 상태에서 연와(110)로 벽체들이 조적되고 조업온도까지 승온되어 코크스를 생산하게 되며, 조업이 개시된 상태에서는 그 조업 온도를 하락시키지 않고 코크스 로가 폐쇄될 때까지 코크스 로의 팽창을 억제하는 일정한 힘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코크스 로(100)에 갖춰진 높이 2,300mm의 연소실은 연와(110)로 축조되고, 한 개의 탄화실(120)의 건류를 위하여 양측에서 열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1,270℃ 로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코크스 로(100)는 그 조업중에 이상 팽창, 돌출, 기울림등의 기계적및 열적변형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을 장착하고,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의 양측단에는 철구조물인 벅스테이(Buck stay)(135)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단에는 각각 장력 스프링(140)들이 끼워져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벅스테이(135)를 내측으로 지지하여 그 힘이 노체 상부의 데크 플레이트(142)에 전달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구조에서 코크스로(100)가 사각형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총 264개가 코크스 로(100)의 상하부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부측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장입차 레일베이스(150)의 연와에 의해 조적되어 조업온도까지 승온시켜 온도를 하락시키지 않고, 코크스 로(100)가 폐쇄될 때 까지 코크스로의 팽창을 억제하는 일정한 힘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힘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142)에 연결된 후레쉬 플레이트(152)에 의해 노체연와(110)에 균일하게 전달하게 되어 노체연와(110)가 온도나 수직하중등에 의해 외부로 팽창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작업자들은 오븐연와(110)가 외부로 과도하게 팽창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조업중 주기적으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단에 마련된 장력 스프링(140)의 길이를 측정자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기준치와 비교하고 설비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즉, 장력 스프링(140)의 길이가 늘어난 경우라면, 스프링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약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특히 장력 스프링(140)의 길이가 기준치 이상으로 벗어난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연소실 상부의 온도로 인한 열화에 의하여 그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절손된 상태이고, 이는 장력 스프링(140)으로부터 일정한 힘을 가하지 못하게 되므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벅스테이(135)가 길이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서 노체를 지지하는 힘이 줄어 들게 된다.
이와 같이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코크스로(100)의 상부측 연와(110)의 내부에서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절손되면, 벅스테이(135)가 비틀리고, 그에 따라서 코크스로 (100) 상부의 레일(160)상에서 이동하는 이동기기(미도시)가 레일(160)의 비틀림에 의해서 주행이 불가하며, 코크스로 상부연와의 돌출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교체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와이어 로프(미도시)등으로 벅스테이(135)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그 작업과정에서 와이어 로프의 절손위험, 와이어 로프의 복사열(110℃)로 인한 늘어짐(Tension Loose), 와이어 로프를 당겨주는 체인블럭(Chain Block)의 작동불량등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코크스로(100)의 상부측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코크스로(10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를 통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입차레일 베이스(150)의 교체시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절단한 후, 레일 베이스(150)를 교체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레일베이스(150)의 교체 시에는 대규모 공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대략 18m의 길이를 가진 일체형의 환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코크스로 상부측의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절단 한 다음, 레일 베이스(150)를 교체 해야만 한다. 따라서, 레일베이스(150)와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동시 교체하므로 대규모의 공사 진행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새로운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장착시 18m의 일체형 환봉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주변설비의 간섭이나 환봉의 자중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길이를 감안하여 중간부위에 이물질이 막혀 삽입이 불가능하면 코크스로 상부전체를 해체해야 하는 등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조업중 노상부의 온도에 따라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길이가 늘어나고, 그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단에 마련된 스프링(140)의 길이가 늘어나서 장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도 스프링(14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방법이 없고, 타이로드(130)가 늘어나므로써 발생하는 스프링(140)의 길이및 장력을 보정하는 방법이 없어 작업자 임의 판단에 의한 스프링(140)의 길이및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었다.
그에 따라서 코크스 로(100)를 정확한 설계규격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입차 레일 베이스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크로스 타이로드를 절단할 필요가 없이 분해조립하여 재장착이 가능함으로써 코크스 로의 보수유지및 정비작업이 용이하며, 크로스 타이로드의 장착시에도 별도의 큰 공간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방식이 크게 개선되고, 코크스 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의 길이및 장력변화를 쉽게 자동조정함으로써 스프링이 일정한 장력으로 코크스로를 지지하도록 하여 로체 수명을 크게 늘리도록 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코크스 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코크스 로의 크로스 타이로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서 크로스 타이로드를 장착하는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갖춰진 크로스 타이로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갖춰진 크로스 타이로드가 코크스 로의 상부에 매설된 정단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갖춰진 크로스 타이로드가 코크스 로의 상부에 매설된 측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갖춰진 크로스 타이로드의 양측단 결합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의 요부 구성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가 코크스 로에 장착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분할로드 10.... 나사부
12.... 나사캡 20a,20b.... 고정판
25.... 너트 30.... 유압 실린더
33.... 로드셀 40.... 유압 시스템
50.... 콘트롤러 100.... 코크스 로
110... 연와 120.... 탄화실
130... 크로스 타이로드 135.... 벅스테이(Buck stay)
140... 장력 스프링 142.... 데크 플레이트
150... 장입차 레일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크스 로에 축조된 연와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크스 로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분할로드식으로 조립되며, 그 양단에는 각각 장력 스프링등이 끼워지는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
상기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의 일단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가 장착되는 측의 크로스 타이로드 상에서 고정판과 너트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가 코크스 로에 가하는 지지력을 검출하여 출력시키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로 부터의 출력값이 최초의 설정값에 비하여 과도하게 벗어나면 유압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를 통한 코크스 로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체 지지물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1)는 코크스 로(1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을 다수의 분할로드(5)들로 구성하여 그 분할위치에 나사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10)에 결합가능하여 인접한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나사캡(12)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코크스 로(10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연결 조립설치함에 있어 복수의 타이로드(130)들이 1조를 이루어 그 양단에 스프링(140)등이 장착된다. 즉 각각의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부분이 절단되어 분할 조립되는 분할로드(5)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그 분할 조립을 위하여 나사부(10)와 나사캡(12)들을 구비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분할 구조를 갖는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은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1조로 그 양단이 고정된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이 하나의 고정판(20a)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그 양측단에는 각각 스프링(140)들이 각각 끼워지며, 또 다른 고정판(20b)에 의해서 2개의 스프링(140)들이 그 사이에 협지되도록 유지되며,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단 나사부(10)에는 너트(25)가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로 부터 스프링(140)과 고정판(20a)(20b)들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코크스로(100)의 압출기(미도시)측에 위치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고정판(20a)(20b)들의 사이에 각각 유압 실린더(30)가 개재되어 위치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30)가 장착되는 측의 크로스 타이로드(130) 상에서 고정판(20)과 너트(25)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코크스 로(100)에 가하는 지지력을 검출하여 출력시키는 로드셀(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33)로 부터의 출력값이 최초의 설정값에 비하여 과도하게 벗어나면 유압 시스템(40)을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30)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30)를 통한 코크스 로(100)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50)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코크스로의 압출기측에 위치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고정판(20a)(20b)들의 사이에 각각 유압 실린더(30)가 개재되어 위치하고,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의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에 로드셀(33)이 구비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5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러(50)는 유압 시스템(40)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30)를 제어하도록 연계된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30)들은 그 몸체가 후방측 고정판(20b)에 고정되고, 그 로드는 전방측 고정판(20a)에 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30)들은 전,후로 움직이도록 개별 유압라인(37)을 통하여 유압 모터등을 구비한 통상의 유압 시스템(40)에 연결되어 있고, 그에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30)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그 로드를 인출시키거나 몸체측으로 내장시키도록 동작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1)는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평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가 위치되어 서로 평행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의 양외측으로 각각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이 배치됨으로서, 어느 작업위치에서도 조업중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불량 개소 부분에 대해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와는 무관하게 보수가 이루어져 코크스 로(100)의 적절한 조업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1)는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이 나사부(10)와 나사캡(12)들을 이용한 분할 구조를 갖춤으로서 연결및 분리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많은 인력이 필요 없으며, 분할로드(5)의 길이는 짧은 것이 설치하기 쉽지만, 너무 과도하게 짧으면 연결 작업의 횟수가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분할로드(5)들의 길이는 모의실험(Simulation)분석 결과, 3~4m 의 길이로 등분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코크스 로(100)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상부측 연와(110)가 조적되지 않은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배치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조도이다.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부분적으로 과열되어 평균치 이상으로 신장하고, 그 신장 한계를 초과하는 곳에서는 국부가열의 결과가 나타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파열이 일어나게 되므로 해당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교체해야 한다. 특히 벅스테이(135)로 부터 가까운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단위치에서 부식 및 절손이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분할로드(5)를 사용하면, 다음 교체시에는 끝단 부위만 간단하게 교체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타이로드(130)는 환봉의 전체 길이를 여러 개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분할로드(5)들은 각각 1개씩 접속하면서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시 주변의 설비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자중에 의해 휨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조업중 수시로 단시간내에 막힘없이 간단하게 교체가능함으로써 노력이 적게들고 안전하게 정비공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설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rane)의 동원없이 압출기 측 벅스테이(135)에 작업발판(139)을 설치하고, 작업자는 분할된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하나씩 노체 폭 방향으로 밀면서 삽입공간(110a)에 조립하고, 각각의 분할로드(5)의 끝단 나사부(10)에는 나사캡(12)들을 나사결합시켜 하나의 긴 봉형상으로 각각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을 삽입공간(110a)으로 밀어 넣어 관통시킨 다음, 코크스로의 압출기 반대측으로 각각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하고, 그 선단에는 복수의 고정판(20a)(20b)과 스프링(140)들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140)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너트(25)를 이용하여 조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2개의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은 코크스로의 압출기 반대측에스프링(140)이 고정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으로는 압출기측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단부에 다시 스프링(140)들을 끼우게 된다.
이는 압출기측 벅스테이(135)로 부터 고정판(20a)과 스프링(140)들을 2개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에 끼우고, 스프링(140)의 외측으로 고정판(20b)에 유압 실린더(30) 몸체를 장착한 다음, 상기 유압 실린더(30)와 고정판(20b)을 2개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에 끼워서 너트(25)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2개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중 어느 하나에는 외측의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에 로드셀(33)을 장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콘트롤러(50)에 전달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유압 실린더(30)들은 유압라인(37)들을 통하여 유압 시스템(40)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착한 후에는 작업자들은 상기 너트(25)를 조여서 스프링(140)의 길이를 세팅하고,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140)은 벅스테이(135)측에 밀착된 고정판(20a)이 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벅스테이(135)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어 그 지지력이 코크스로를 정상적인 형태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기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에 개재된 로드셀(33)에서는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서 고정판(20a)이 벅스테이(135)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출력되고, 이는 콘트롤러(50)에 전기적인 신호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압출기측의 스프링(140) 길이를 최초의 세팅길이에 맞춘 상태에서 로드셀(33)에 의하여 검출된 지지력을 기준으로 이와 비교하여 +/_ 10% 범위내에서 지지력들이 변화되면 지지력의 보정을 하지 않고, 로드셀(33)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최초 설정 지지력에서 +/_10% 이상을 벗어나면 콘트롤러(50)는 유압 시스템(40)을 통하여 해당 로드셀(33)이 장착된 고정판(20b)의 유압 실린더(30)를 동작시킴으로써 벅스테이(135)에 대하여 가하는 힘을 조정하는 것이다.
즉, 스프링(140)이 최초에 너트(25)에 의해서 일정길이로 세팅되어 벅스테이(135)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코크스로를 항상 일정 형상으로 유지하는 과정에서, 로드셀(33)은 최초의 세팅값을 출력시킨다. 이러한 출력값은 콘트롤러(50)에 기억되며, 코크스로의 조업중에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과열되어 최초의 길이로 부터 신장되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양끝단에 장착된 너트(25)들은 코크스로의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간격이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25)들에 의해서 지지되는 스프링(140)들은 고정판(20a)(20b)사이에서 그 길이가 신장되면서, 장력이 감소되어 벅스테이(135)측에 가하는 탄성 복원력이 크게 감소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140)의 길이가 늘어나서 장력이 저하되면 상기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에 개재된 로드셀(33)의 지지력 측정값이 저하되고, 저하된 값은 콘트롤러(5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경우, 콘트롤러(50)는 로드셀(33)에 의하여 검출된 지지력을 기준으로 최초의 설정값에 비교하여 +/_ 10% 범위에서 지지력들이 변화되면 유압 실린더(30)를 동작시키지 않지만, 로드셀(33)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최초 설정 지지력에서 +/_10% 이상을 벗어나면 스프링(140)에 의해서 벅스테이(135)에 가하는 힘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30)가 작동하여 유압 실린더(30)가 벅스테이(135)측으로 향하여 고정판(20a)을 밀게 된다.
따라서, 벅스테이(135)에서는 유압 실린더(30)에 의해서 가압되고, 동시에 유압 실린더(30)가 장착된 고정판(20b)도 너트(25)측으로 가압되어 로드셀(33)에 의한 측정값은 상승되고, 그 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콘트롤러(50)는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압 실린더(30)에 의해서 벅스테이(135)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조정된 상태에서 작동중, 상기와는 반대로 동절기등에 코크스로의 조업 온도가 하강하여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온도가 하강하면, 이는 그 온도 하강만큼 길이를 축소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서 유압 실린더(30)는 벅스테이(135)를 과도한 힘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30)가 지지되는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의 로드셀(33)에서도 출력값이 설정값을 넘어서 검출되고, 그 값이 최초 설정 지지력에서 10% 이상을 벗어나서 출력되면 콘트롤러(50)는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을 해제하여 벅스테이(135)를 미는 작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벅스테이(135)는 과도하게 밀리지 않게 되고, 스프링(140)만에 의해서 밀리게 되므로 상기 로드셀(33)에 의해서 검출되는 출력값은 최초의 설정치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1)는 항상 안정된 범위의 작용력으로 코크스로의 노체 지지물들을 지지및 유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입차 레일 베이스(150)를 교체하고자 하는경우에는 크로스 타이로드(130)를 절단할 필요가 없이 분해조립하여 재장착이 가능함으로써 코크스 로(100)의 보수유지및 정비작업이 용이하며,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장착시에도 별도의 큰 공간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방식이 크게 개선된다.
즉,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의 교환작업은 부식부위와, 장입차 레일베이스(150) 부위만 나사캡(12)을 풀고 교환이 가능하며, 그 작업결과 종래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철거시간과 재장착시간과 소요인원을 평가하면 본 발명의 관계된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교환 설정방법이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월등하게 뛰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의 방식으로는 정기 보수공사에서 실시하지 않으면 안됐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 조업중에도 부분적인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교체 공사가 무방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코크스 로의 온도변화에 따른 스프링(140)의 길이및 장력변화를 로드셀(33)과 유압 실린더(30)등을 이용하여 쉽게 자동조정함으로써 스프링(140)이 일정한 장력으로 코크스로(100)를 지지하도록 하여 로체 수명을 크게 늘리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3)

  1. 코크스 로(100)에 축조된 연와(110)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크스 로(10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분할로드(5)식으로 조립되며 그 양단에는 각각 장력 스프링(140)등이 끼워지는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130);
    상기 복수의 크로스 타이로드(130)의 일단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판(20a)(20b)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30);
    상기 유압 실린더(30)가 장착되는 측의 크로스 타이로드(130) 상에서 고정판(20b)과 너트(25)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가 코크스 로에 가하는 지지력을 검출하여 출력시키는 로드셀(33); 및
    상기 로드셀(33)로 부터의 출력값이 최초의 설정값에 비하여 과도하게 벗어나면 유압 시스템(40)을 통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30)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30)를 통한 코크스 로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콘트롤러(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체 지지물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은 다수의 분할로드(5)들로 구성되고, 그 분할위치에 나사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10)에 결합가능하여 인접한 크로스 타이로드(13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나사캡(12)들을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체 지지물 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50)는 로드셀(33)에 의하여 검출된 지지력을 기준으로 최초의 설정값에 비교하여 +/_ 10% 범위에서 지지력들이 변화되면 유압 실린더(30)를 동작시키지 않지만, 로드셀(33)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최초 설정 지지력에서 +/_10% 이상을 벗어나면 상기 유압 실린더(30)들을 작동시켜 유압 실린더(30)가 벅스테이(135)측으로 향하여 고정판(20a)을 미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체 지지물 유지장치.
KR1020030018121A 2003-03-24 2003-03-24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KR10097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121A KR100979036B1 (ko) 2003-03-24 2003-03-24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121A KR100979036B1 (ko) 2003-03-24 2003-03-24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606A true KR20040083606A (ko) 2004-10-06
KR100979036B1 KR100979036B1 (ko) 2010-08-30

Family

ID=3736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21A KR100979036B1 (ko) 2003-03-24 2003-03-24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324B1 (ko) * 2012-11-26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구조물 지지장치
CN114958396A (zh) * 2022-05-29 2022-08-30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焦炉拉条弹簧加压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129A (en) 1975-02-24 1977-02-15 Firma Carl Still Intermediate head for coke oven batteries
JPH0651258U (ja) * 1992-12-21 1994-07-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アンカーボルト切損検出装置
JP2888114B2 (ja) * 1993-09-21 1999-05-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炉団方向炉締力簡易調整方法
KR19990006999U (ko) * 1997-07-30 1999-02-25 김종진 코크스 오븐 내화연와의 팽창압력 보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324B1 (ko) * 2012-11-26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구조물 지지장치
CN114958396A (zh) * 2022-05-29 2022-08-30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焦炉拉条弹簧加压的方法
CN114958396B (zh) * 2022-05-29 2024-04-05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焦炉拉条弹簧加压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036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3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coke oven wall
US2008021053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lacing Coke Oven Wall
RU2703758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ый катодный кожух алюминиевого электролиза 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линии алюминиевых электролизеров
KR100979036B1 (ko) 노체 지지물 유지장치
JP2017014348A (ja) 室炉式コークス炉の炉締め構造及び炉締め方法
EP2761242B1 (en) Auto-adjusting binding system for metallurgical furnace
CN110760662B (zh) 一种装配式热处理炉底板
CN211626066U (zh) 一种辊道窑
JP2004137336A (ja) 室式コークス炉の炉締装置
CN209741062U (zh) 一种换热式两段焦炉的炉柱装置
JP4921963B2 (ja) 炉天井及び炉天井の支持部材
KR10148232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US1764708A (en) Integral roof construction for furnaces
CN216738195U (zh) 一种炼焦炉用炉柱
CN215712566U (zh) 玻璃熔炉用炉壁顶紧装置
CN211626099U (zh) 窑炉拱顶结构及具有该窑炉拱顶结构的辊道窑
CN215757151U (zh) 一种应用在热回收焦炉上的炉柱
RU20447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онального армирования кладки коксовых печей
CN221296800U (zh) 一种焦炉维修用炉门框拆卸夹具
CN211103627U (zh) 整列料槽压紧结构
CN216738187U (zh) 一种抗冷热冲击高强度焦炉炉门
CN207671988U (zh) 一种焦罐衬板
KR20050001760A (ko)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조립장치
CN111089489A (zh) 窑炉拱顶结构及具有该窑炉拱顶结构的辊道窑
CN117431077A (zh) 一种焦炉维修用炉门框拆卸夹具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