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912A -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912A
KR20040082912A KR1020030018335A KR20030018335A KR20040082912A KR 20040082912 A KR20040082912 A KR 20040082912A KR 1020030018335 A KR1020030018335 A KR 1020030018335A KR 20030018335 A KR20030018335 A KR 20030018335A KR 20040082912 A KR20040082912 A KR 2004008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water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3001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2912A/ko
Publication of KR2004008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 개의 밸브에 의하여 수온을 조럭하면 많이 절수되는 각종이 개폐장치의 개폐방법 및 그 장치로 개발한 것이다.
그 구성은『수도꼭지(1) 몸통(2)안에 형성된 급수관(3)(3')의 환형턱(4)(4')의 안쪽 평면에 패킹(5)(5')을 끼우고 밸브(7)(7')의 자루(6)(6') 끝이 밀판(14)(14')에 접하게 한 다음 T볼트(8)(8')로 그 이탈을 방지하며 대너트(9)(9')를 결합시키고, 공간(23)의 바닥 요홈에 수평공(11)이 천공되고, 밀판(14)(14')과 회전축(15)이 형성된 축(12)을 장착하며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오링(18)(19)을 끼우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 상단에 장착한 핸들(24)을 볼트(25)로 고정시키고, 뚜껑(26)을 끼우며 수도꼭지(1)의 받침판(45)상단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 밸브집(29)을 장착하여 밸브집(29)의 쐐기(49)가 레버(35)의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며, 레버(35)의 절곡부(47)밑에 고깔형의 연질관(50)을 씌운 다음 연질관(50)밑면의 후렌지(51)를 수도꼭지(1)의 암나사(52)바닥에 대고 후렌지(51)밑에 밀착시킨 구멍(72)(73)이 천공된 제어판(53)을 볼트관(54)으로 결합하며, 제어판(53)의 구멍(72)(73)안에서 레버(35)가 작동하고,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 밸브집(29)의 환형턱(30) 뒤쪽 평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뒤쪽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밸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패킹(39)을 끼우고 그 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를 장착』한 것으로서 밸브(7)(7')에 의해 수온이 조절되며, 절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omitted}
본 발명은 네 개의 밸브에 의하여 온 냉수와 그 혼합된 물을 공급 차단하는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이 개폐장치의 개폐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네 개의 밸브에 의하여 온 냉수와 그 혼합된 물을 공급차단하는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이 개폐장치의 개폐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는 카트리지에 의하여 온 냉수의 공급과 혼합을 하도록 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도 닫지 않으면 물이 계속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밸브 2개에 의하여 온수와 냉수가 공급 혼합되면서 카트리지 역할을 하며 밸브 1개는 이와 같이 혼합된 물을 공급 차단하도록 하며, 밸브 1개는 물통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물이 멎게 함으로써 물이 넘치지 못하게 하는 등의 모든 기능이 가장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온·냉수 혼합 밸브와 한 쌍의 공급 차단용 밸브가 조화를 이루어지게 하는 두 쌍의 밸브가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는 주방용, 세면용, 욕실용, 원홀 등의 모든 수도꼭지는 물론 이질(異質)의 유체를 혼합하여 공급 차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쌍쌍밸브의 개폐방법 및 그 장치』라고 명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부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주방용 수도꼭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 주방용 수도꼭지의 본 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c] 는 본 발명 받침 판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d] 는 본 발명 제어판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e] 는 본 발명 원홀 다용도 수도꼭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f] 는 본 발명 원홀 다용도 전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g] 는 본 발명 원홀 다용도 평면 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h] 는 본 발명 뽑빱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1a] 및 [도 2a] [도 2b]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1) 몸통(2)에 온·냉수가 공급되는 급수관(3)(3')의 환형턱(4)(4')의 안쪽 평면에 패킹(5)(5')을 끼우고 자루(6)(6')가 형성된 밸브(7)(7')를 장착하고 T볼트(8)(8')로 대너트(9)(9')를 결합시킨다.
공간(23)의 바닥 요홈에 수평공(11)이 천공되고, 밀판(14)(14')이 형성된 축(12)을 장착하고, 축(12)의 상단에 회전축(15)이 형성되어있다.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한 다음 볼트(25)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상표가 있는 뚜껑(26)을 끼운 다음 핸들(24)을 좌우로 돌리면서 밀판(14)(14')에 의해 밸브(7)(7')의 자루(6)(6')가 밀리며 밸브(7)(7')를 개폐하도록 구성한다.
이 수도꼭지(1)의 받침판(45)상단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 밸브집(29)을 장착하여 밸브집(29)의 쐐기(49)가 레버(35)의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면서 레버(35)가 그 요홈(46)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케 구성한다.
이 레버(35)의 절곡부(47)밑에 고깔형의 연질관(50)을 씌운 다음 연질관(50)밑면의 후렌지(51)를 수도꼭지(1)의 암나사(52)바닥에 대고 후렌지(51)밑에 밀착시킨 제어판(53)을 볼트관(54)으로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게 결합하되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제어판(53)의 구멍(72)안에서 레버(35)가 작동하면서 구멍(72)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레버(35)가 측면 구멍(73)에 들어가면 원상 복귀될 수 없게 구성한다.
제어판(53)을 뒤집어 정착하면 측면 구멍(73)의 방향이 바꾸게 된다. 이와 같이 몸통(2)의 전면에 형성된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밸브집(29)의 환형턱(30) 뒤쪽 평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뒤쪽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밸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 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패킹(39)을 끼우고 그 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를 장착하며, 토수관(42)에 구멍(43)이 다수 천공된 공지의 거품망(44)을 장착하며, 레버(35)에 피복손잡이(64)를 피복 한다.
몸통(2)의 뒤쪽에 천공된 수평공(55)에 오링(56)이 끼워진 지수(止水)레버(57)를 밀어 넣어서 레버(57)의 끝이 몸통(2)내벽의 구멍(62)에 끼이도록 하고, 레버(57)에 장착시킨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게 구성한 다음 몸통(2) 밖으로 돌출된 레버(57)에 보조레버(58)를 고정시키고, 이 보조레버(58)끝과 물통(27)을 끈(60)으로 연결하며, 끈(60)상단에 스프링(28)을 연결하고 물통(27)과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를 잘 굽어지는 호스(63)로 연결한다.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관(48)에 오링(49)이 끼워진 마개(65)를 장착하고 이 마개(65)에 천공된 구멍(66)에 오링(56)을 끼운 지수레버(57)를 밀어 넣고, 볼트관(67)으로 마개(65)를 고정시키되 지수레버(57)의 끝이 축(12)의 수평공(11)을 관통한 다음 공간(23)의 바닥 형성된 축받이(68)의 구멍(69)에 축설되도록 하고, 지수레버(57)에 장착한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게 구성하되 축(12)의 수평공(11)은 축(12)이 좌우로 회전할 때 지수레버(57)에 접촉되지 않을 만치 크게 천공하여야 한다.
[도 2a] 의 급수관(3)의 환형턱(4)의 안쪽 평면에 패킹(5)을 끼우고 자루(6)가 형성된 밸브(7)를 장착하고 T볼트(8)로 대너트(9)를 결합시킨 부분(XXXXX표로 표시된 부분)은 여타의 단면도와 같이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도 2b] 와 같이 몸통(2)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참작하여야 한다.
그리고T볼트(8)(8')에 패킹(73)(73')을 밀착시키고, 대너트(9)(9')안에 공지의 편심유니온(74)(74')을 결합하되 이 편심유니온(74)(74')에는 패킹(75)(75')과 밸브(76)(76')나 볼(77)(77')이 내장된 역류방지기(78)(78')를 장착한다.
[도2e] [도2f] [도 2g] 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는 원홀 세면용 다용도로서 세면용 수도꼭지에 자동샤워헤드가 장착된 것이다.
수도꼭지(1)와 몸통(2)내부의 구성은 [도 2a] [도 2b] 와 동일하며 다만 모통(2)이 수직원형일 뿐이고, 세면기에 고정시키는 부분이 몸통(2)하단을 볼트(79)로 고정시키는 것이 상이한데 그 구성은 수도꼭지(1)가 형성된 몸통(2)은 수직원통형으로서 그 중간바닥(80)에 양측면에 형성된 급수관(3)(3')의 환형턱(4)(4')의 밑 평면에 패킹(5)(5')을 끼우고 자루(6)(6')가 형성된 밸브(7)(7')를 장착한 다음 급수관(81) (81')을 결합시킨다.
[도 2e] 의 급수관(3)의 환형턱(4)의 밑 평면에 패킹(5)을 끼우고 자루(6)가 형성된 밸브(7)를 장착한 다음 급수관(81)을 결합시킨 부분(XXXXXX표로 표시한 부분)은 도 2f]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2)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두 환형턱(4)(4')의 상단이나 공간(23)의 바닥 요홈에 밀판(14)(14')이 형성된 축(12)을 장착하고, 축(12)의 상단에 회전축(15)이 형성되어있다.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한 다음 볼트(25)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상표가 있는 뚜껑(26)을 끼운 다음 핸들(24)을 좌우로 돌리면서 밀판(14)(14')에 의해 밸브(7)(7')의 자루(6)(6)'가 밀리며 밸브(7)(7')를 개폐하도록 구성한다.
몸통(2) 뒤쪽 암나사(82)에 오링(84)이 끼워진 엘브(83)를 결합하고 엘브(83)의 암나사에 환형턱(91)이 형성된 내관(86)에 호스(88)를 씌우고 그 겉에 체결너트(87)를 장착한 다음 환형턱(91)상면에 패킹(65)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89)의 자루(90)를 호스(88) 내부를 집어넣은 체결너트(87)를 상기 엘브(83)의 암나사에 결합한다.
밸브(41)를 경유한 물이 흐르는 밸브집(21)의 수로(70)에 연결된 송수관(71)을 몸통(2)뒤쪽 수평관(48)에 장착된 엘브(72)에 연결하여 밸브(42)를 경유한 물이 토수관(42)이나 엘브(83)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도 2h]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에서 넘치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공(85)이 있는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의 바닥에 있는 배수공(87)의 바닥(94)위에 패킹(88)을 끼우고, 이 패킹(88)위에서 후렌지(89)가 형성된 배수관(90)을 밑으로 집어넣어서 후렌지(89)가 패킹(88)에 밀착되게 한 다음 배수공(87)의 하단 외부로 관통된 배수관(90)의 수나사에 패킹(92)을 끼우고, 체결너트(93)를 결합하여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 바닥에 배수관(90)을 고정시키되이 배수관(90)의 내벽(95)상단에 접할 오링(96)이 끼워진 밸브(97)의 자루(98)를 배수관(90)중간 양 측면의 구멍(99)(100)중 구멍(99)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 같이 배수관(90)위에서 밸브(97)의 절곡된 자루(98)가 구멍(99)을 관통하여 배수관(90)밖으로 나온 절곡된 자루(98)끝의 구멍(101)과 레버(102)를 사슬(103)로 연결하여 사슬(103)이 관통할 공간(127)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벽(128)이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축(104)으로 연결된 레버(10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레버(10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슬(103)을 통해 절곡된 자루(98)가 들리며 밸브(97)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축(104)은 후렌지(106)가 형성된 볼트관(107)의 공간 내벽에 밀착되면서 관통하며, 볼트관(107)의 수나사에는 너트(108)를 결합하여 배수공(85)에 고정시키되 물이 배출될 공간을 남겨 둔다.
체결너트(109)와 패킹(110)이 씌워진 공지의 S자형배수관(111)의 상단을 배수관(90)하단의 배수구(112)에 끼우고, 체결너트(109)를 배수관(90)의 수나사에 결합하여 이 연결부로 물이 새지 않게 한다.
그리고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에 레버(126)와 핸들(127)이 있는 수도꼭지(113)를 장착하는 급수관(114)에 패킹(115)을 끼우고 체결너트(116)를 결합한다.
급수관(114)에 연결되는 급수관(117)을 급수조절기(118)의 급수관(119)에 체결너트(120)로 결합하며, 수도관(121)에 연결된 급수조절기(118)의 암나사에패킹(122)과 요홈(123) 및 오링(124)이 있는 유량볼트(125)를 결합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및 [도 2a] [도 2b]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2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밀판(14)이 자루(6)를 밀어주므로 밸브(7)가 열리며 온수가 많이 공급되며, 동시에 밀판(14')이 자루(6')애서 분리되므로 밸브(7')가 닫히며 냉수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혼합된 물의 수온이 올라간다.
핸들(24)을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밀판(14)이 자루(6)에서 불리되므로 밸브(7)가 수압에 의하여 닫히며 온수가 적게 공급되며 동시에 밀판(14')이 자루(6')를 밀어주므로 밸브(7')가 열리며 냉수가 많이 공급되므로 혼합된 물의 수온이 내려간다.
이와 같이 핸들(2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온이 올라가고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온이 내려가므로 수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피복손잡이(64)를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레버(35)의 상단(36)이 그 위에 근접해 있는 자루(34)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밸브(33)가 열리면 물이 구멍(43)을 통해 배출되면서 물거품이 생긴다.
표 방향으로 밀어주었딘 피복손잡이(54)에서 손이나 그릇을 치우면 중력과 수압에 의하여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원상복귀 되면서 밸브(33)가 닫히면서 물이 멎는다.
피복손잡이(64)를 그 한계점까지표 방향으로 밀어준 나음 다시 좌측으로 밀어주면 레버(35)가 구멍(73)에 들어가면서 그 턱에 걸리므로 손이나 그릇을 피복손잡이(64)에서 치워도 원상복귀 되지 못하므로 물이 계속 배출된다.
이 때 피복손잡이(64)를 우측으로 밀어주면 원상복귀 되면서 밸브(33)기 닫히므로 물이 멎는다.
이와 같이 수온이 조절된 물이 밸브(33)를 지나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28)을 위로 당기게 하면 끈(60)과 보조레버(58) 및 물통(27)이 뒤로 돌리면서 지수(止水)레버(57)에 장착된 밀대(59)가 자루(40)를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41)가 열리기 때문이다.
물이 계속 배출되도록 하면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호스(63)를 통해 들어가는 물이 의하여 물통(27)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무거워지기 때문에 스프링(28)이 늘어나면서 보조레버(58)가 내려가면 이 밀대(59)가 자루(40)에서 분리되며 밸브(41)가 닫히면 물이 자동으로 멎게 된다.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의 물을 퍼내면 수위가 내려가면서 상기 작용의 반대로 작용하므로 물이 다시 나온다.
[도2e] [도2f] [도2g] 의 작용원리도 위의 작용원리와 대동소이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h] 의 작용원리는 레버(126)를 을표 방향으로 밀면서 사용한 물이 싱크대(186)에 고인 상태에서 레버(10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레버(10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슬(103)을 끌러 당기기 때문에 절곡된 자루(98)가 들리며 밸브(97)가 열리게 되므로 고여있던 물이 배출된다.
레버(105)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레버(10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사슬(103)이 늘어지므로 절곡된 자루(98)가 원상복귀 되면서 밸브(97)가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은 공지의 카트리지가 없이 밸브(7)(7')에 의해 수온이 조절되며, 수온이 조절된 물을 밸브(33)에 의해 공급차단하고,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밸브(41)에 의하여 자동차단 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자동이 원활하고, 많은 물이 절수되며, 넘침으로 인한 낭비가 없고, 수도꼭지의 개폐 없이 물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유용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도꼭지(1) 몸통(2)안에 형성된 급수관(3)(3')의 환형턱(4)(4')의 안쪽 평면에 패킹(5)(5')을 끼우고 밸브(7)(7')의 자루(6)(6') 끝이 밀판(14)(14')에 접하게 한 다음 T볼트(8)(8')로 그 이탈을 방지하며 대너트(9)(9')를 결합시키고, 공간(23)의 바닥 요홈에 수평공(11)이 천공되고, 밀판(14)(14')과 회전축(15)이 형성된 축(12)을 장착하며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오링(18)(19)을 끼우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상단에 장착한 핸들(24)을 볼트(25)로 고정시키고, 뚜껑(26)을 끼우며 수도꼭지(1)의 받침판(45)상단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 밸브집(29)을 장착하여 밸브집(29)의 쐐기(49)가 레버(35)의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며, 레버(35)의 절곡부(47)밑에 고깔형의 연질관(50)을 씌운 다음 연질관(50)밑면의 후렌지(51)를 수도꼭지(1)의 암나사(52)바닥에 대고 후렌지(51)밑에 밀착시킨 구멍(72)(73)이 천공된 제어판(53)을 볼트관(54)으로 결합하며, 제어관(53)의 구멍(72)(73)안에서 레버(35)가 작동하고,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10)이 끼워진 밸브집(29)의 환형턱(30) 뒤쪽 평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뒤쪽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밸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 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패킹(39)을 끼우고 그 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를 장착하며, 토수관(42)애 구멍(43)이 있는거품망(44)을 장착하며, 레버(35)에 피복손잡이(64)를 피복하고, 몸통(2)의 뒤쪽의 수평공(55)에 오링(56)이 끼워진 지수(止水)레버(57)를 밀어넣어서 레버(57)의 끝이 몸통(2)내벽의 구멍(62)에 끼이도록 하고, 레버(57)에 장착시킨 밀대(59)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며, 몸통(2)밖으로 돌출된 레버(57)에 보조레버(58)를 연결하고, 이 보조레버(58)끝과 물통(27)을 끈(60)으로 연결하며, 끈(60)상단에 스프링(28)을 연결하고 물통(27)과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를 잘 굽어지는 호스(63)로 연결하며, 수평관(48)에 오링(49)이 끼워진 마개(65)를 장착하고 이 마개(65)에 천공된 구멍(66)에 오링(56)을 끼운 지수레버(57)를 밀어 넣고, 볼트관(67)으로 마개(65)를 고정시키되 지수레버(57)의 끝이 축(12)의 수평공(11)을 관통한 다음 공간(23)의 바닥 형성된 축받이(68)의 구멍(69)에 축설되게 하고, 지수레버(57)에 장착한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게 구성하되 축(12)의 수평공(11)은 축(12)이 좌우로 회전할 때 지수레버(57)에 접촉되지 않을 만치 크게 천공하며, 급수관(3)의 환형턱(4)의 안쪽 평면에 패킹(5)을 끼우고 자루(6)가 형성된 밸브(7)를 장착하고 T볼트(8)로 대너트(9)를 결합시킨 부분(XXXX X표로 표시된 부분)은 여타의 단면도와 같이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도 2b] 와 같이 몸통(2)의 좌측으로 돌출되며, T볼트(8)(8')에 패킹(73)(73')을 밀착시키고, 대너트(9)(9')안에 공지의 편심유니온(74)(74')을 결합하되 이 편심유니온(74)(74')에는 패킹(75)(75')과 밸브(76)(76')나 볼(77)(77')이 내장된 역류방지기(78)(78')를 장착하며, 몸통(2) 뒤쪽 암나사(82)에 오링(84)이 끼워진 엘브(83)를 결합하고 엘브(83)의 암나사에 환형턱(91)이 형성된 내관(86)에 호스(88)를 씌우고 그 겉에체결너트(87)를 장착한 다음 환형턱(91)상면에 패킹(65)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119)의 자루(90)를 호스(88) 내부를 집어넣은 체결너트(87)를 상기 엘브(83)의 암나사에 결합하며, 밸브집(21)의 수로(70)에 연결된 송수관(71)을 몸통(2)뒤쪽 수평관(48)에 장착된 엘브(72)에 연결하고,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의 배수공(85)이 있는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의 바닥에 배수공(87)의 바닥(94)위에 패킹(88)을 끼우고, 이 패킹(88)위에서 후렌지(89)가 형성된 배수관(90)을 밑으로 집어넣어서 후렌지(89)가 패킹(88)에 밀착되게 한 다음 배수공(87)의 하단 외부로 관통된 배수관(90)의 수나사에 패킹(92)과 체결너트(93)를 결합하며 배수관(90)의 내벽(95)상단에 접할 오링(96)이 끼워진 밸브(97)의 자루(98)를 배수관(90)중간 양 측면의 구멍(99)(100)중 구멍(99)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배수관(90)위에서 밸브(97)의 절곡된 자루(98)가 구멍(99)을 관통하여 배수관(90)밖으로 나온 절곡된 자루(98)끝의 구멍(101)과 레버(102)를 사슬(103)로 연결하여 축(104)으로 연결된 레버(10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레버(10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슬(103)을 통해 절곡된 자루(98)가 들리며 밸브(97)가 열리도록 구성하되 축(104)은 후렌지(106)가 형성된 볼트관(107)의 공간 내벽에 밀착되면서 관통하며, 볼트관(107)의 수나사에는 너트(108)를 결합하여 배수공(85)에 고정시키고 체결너트(109)와 패킹(110)이 씌워진 공지의 S자형배수관(111)의 상단을 배수관(90)하단의 배수구(112)에 끼우고, 체결너트(109)를 배수관(90)의 수나사에 결합하며 세면대나 욕조 및 싱크대(186)에 레버(126)와 핸들(127)이 있는 수도꼭지(113)를 장착하는 급수관(114)에 패킹(115)을 끼우고 체결너트(116)를 결합하고, 급수관(114)에연결되는 급수관(117)을 급수조절기(118)의 급수관(119)에 체결너트(120)로 결합하며, 수도관(121)에 연결된 급수조절기(118)의 암나사에 패킹(122)과 요홈(123) 및 오링(124)이 있는 유량볼트(125)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쌍쌍 벨브 개폐 방법 및 그 장치
KR1020030018335A 2003-03-20 2003-03-20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82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35A KR20040082912A (ko) 2003-03-20 2003-03-20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335A KR20040082912A (ko) 2003-03-20 2003-03-20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12A true KR20040082912A (ko) 2004-09-30

Family

ID=3736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35A KR20040082912A (ko) 2003-03-20 2003-03-20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29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755B1 (en) Apparatus for flushing drain pipes
JP2009510287A (ja) 排水出口装置
US3314082A (en) Compartmented sink and associated liquid flow means
KR20040082912A (ko)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7633A (ko) 다기능 수도꼭지
KR970028016A (ko) 자동개폐장치의 제작방법 및 그 구성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100459510B1 (ko) 밸브의 응용방법
KR100232376B1 (ko) 자동 개폐되는 다용도 수도전
KR100296623B1 (ko)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KR100293591B1 (ko) 중력과 수압 및 부력을 응용한절수용 기기
JPH11256631A (ja) 壁または床取出し用給排水機構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50000293A (ko) 밸브를 응용하는 방법
KR100374194B1 (ko) 자동코브라가 부착된 자동절수꼭지
KR100355657B1 (ko) 밸브로수로를개폐하는레버가장착된수도꼭지.
KR101007054B1 (ko)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JP2520775Y2 (ja) 湯水混合水栓のキャップ内水抜構造
KR100365525B1 (ko) 쌍밸브 자동절수꼭지
KR200320991Y1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JP2591018Y2 (ja) シンク装置
KR20040024423A (ko) 밸브의 응용방법 및 그 장치
JP4159086B2 (ja) 湯水抜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