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623B1 -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 Google Patents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623B1
KR100296623B1 KR1019940013280A KR19940013280A KR100296623B1 KR 100296623 B1 KR100296623 B1 KR 100296623B1 KR 1019940013280 A KR1019940013280 A KR 1019940013280A KR 19940013280 A KR19940013280 A KR 19940013280A KR 100296623 B1 KR100296623 B1 KR 10029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lever
ho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142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1994001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623B1/ko
Publication of KR96000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장착한 수도전의 레버를 밀면 물이 나오고 놓게 되면 물이 멎으며, 걸림대를 밀면 물이 계속 나오다가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는 수도전이 장착된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도전 몸통(1)의 배수관(2)에 오링(3)을 끼운 연결관(4)를 나합하고 배수관(52)끝에 밸브관(9)을 나합하되 이 밸브관(9)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링(5)의 평면에 바킹(6)을 끼우고 밸브(7)의 자루(8)를 물이 나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설하며 토수구(10)의 양측내벽면의 요홈(11)에 삽착한 n자형의 못(12)에 괘설된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를 받혀주도록 하며,토수구(10)의 나사에 레버(13)가 작동할 작동공(58)과 배수공(59)이 천공된 겁품발생판(57)을 나합하고 배수관(52)의 공간(21)에 구멍(22)이 있는 당김판(23)을 끼운 다음 공간(19)의 내벽면에 걸림턱(20)이 형성되도록 하고, 구멍(22)을 관통하는 걸림대(17)의 갈구리(16)를 공간(19)에 삽설하며 이 걸림대(17)는 레버(13)의 하단 축받이홈에 축(18)으로 축설하며, 당김판(23)에 연결된 줄(26)에 스프링(25)을 끼워서 걸림턱(24)에 걸리게 하고 조임나사(60)을 나합하며 줄(26)을 축받이(29)에 축(28)으로 축설한 축바퀴(27)를 통해 싱크대(31)에 호스(32)로 연결한 물통(3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물을 간편하게 사용하면서 냉비를 없애며 넘침으로 인한 물의 유실을 막고 싱크대(31)나 욕조 물탱크와 분리된 물통(30)을 호스(32)로 연결함으로써 넘침의 방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 제1도의 종단면도.
제2b도는 물통이 있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2c도는 싱크대가 유동하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도.
제4a도는 뜸통이 있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제4b도는 물통이 있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제4c도는 싱크대가 유동하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본 발명은 싱크대에 장착한 수도전의 레버를 밀면 물이 나오고 놓게 되면 물이 멎으며, 걸림대를 밀면 물이 계속 나오다가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는 수도전이 장착된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는 단순히 물을 받는 기능뿐이였으며 거기에 장착된 수도전도 사용할 때마다 핸들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을뿐만 아니라 자동폐쇄 기능이 없기때문에 많은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키 위하여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도전 몸통(1)의 밑에 형성된 배수관(2)에 오링(3)을 끼운 다음 연결관(4)를 나합하고 그 수평방향의 배수관(52)나사에 밸브관(9)을 나합하되 이 밸브관(9)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링(5)의 안쪽 평면에 바킹(6)을 끼우고 밸브(7)의 자루(8)끝이 유수(流水)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설하며 토수구(10)의 양측내벽면 요홈(11)에 삽착한 n자형 못(12)의 끝이 요홈의 걸림턱(11')에 걸려서 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이 못(12)에 괘설된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를 받혀주도록 하며, 토수구(10) 내벽의 나사에 레버(13)가 작동할 작동공(58)과 배수공(59)이 천공된 거품 발생판(57)을 나합하여 n자형의 못(12)이 해탈되지 못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배수관(52)의 밑부분에 천설된 공간(21)에 긴 구멍(22)이 있는 당김판(23)을 끼운 다음 공간(19)의 내벽면에 걸림턱(20)이 형성되도록 하고, 구멍(22)을 관통한 걸림대(17)의 갈구리(16)를 공간(19)에 삽설하며 이 걸림대(17)는 레버(13)의 하단 축받이홈에 축(18)으로 축설한다.
제2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김판(23)끝에 L자형 레버(46)의 상단을 축(47)으로 축설하고 레버(46)의 절곡부는 연결관(40)의 내벽축받이(45)에 축(61)으로 축설하며 수평간의 구멍에 축(48)로 축설된 볼트(49)에 뜸통(50)을 나합하고 이 뜸통(50)을 보호할 보호관(51)을 연결관(4)의 하단에 나합하며 보호관(51)을 싱크대(31)의 밖에 설치할 때는 그 내부로 들어갈 물의 수면이 싱크대(31)의 수면과 같이 되도록 관을 연결하고 보호관(51)의 하단을 막던가 물통을 별도로 설치한다.
제2도(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김판(23)에 연결된 줄(26)에 코일형 스프링(25)을 끼워서 걸림턱(24)에 걸리게 하고 조임나사(60)을 나합하여 평상시에는 당김판(23)을 밀어주도록 하며 줄(26)은 축받이(29)에 축(28)으로 축설한 축바퀴(27)를 통해 물통(30)에 연결한다.
물탱크나 싱크대(31)와 물통(30)이 연통될 수 있도록 굴신이 잘되는 호스(32)를 연결하고,물통(30)의 밑에는 지렛대(34)의 받침(35)이 받혀 주도록 하며,지렛대(34)에는 추(36)를 관삽하여 습동케 하며 지렛대(34)는 축받이(33)에 축설한다.
제2도(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크대(31)가 유동되는 경우에는 물통(30)이나 호스(32)없이 스프링(44)으로 탄지된 받침판(43)에 싱크대(31)가 얹히도록 하고 줄(26)을 받침판(43)에 연결하며 받침판(43)의 타단을 축으로 축설하여 유동되도록 한다.
몸통(1)의 내부에는 온수유입공(37')과 냉수유입공(37")이 있는 온냉수조절코크(37)를 오링(38)처리하여 볼트축(39)으로 축설하며 온냉수조절코크(37)의 축에 손잡이(41)를 끼우고 볼트(42)로 나결하며 몸통(1)의 뒷면에는 온냉수가 들어갈 유니온(55)(56)을 T볼트 및 대너트(53)(54)로 결합하고 그 중앙에 본 출원인의 발명인 자동호스를 나합하며 그 끝에 샤워기를 연결한다.
싱크대(31) 대신 욕조를 사용하면 자동욕조가 되고 싱크대(31) 대신 대형 물탱크를 사용하면 자동물탱크가 된다.
그리고 몸통(1)에 본 출원인의 발명인 자동호스를 장착한 다음 유니온(55)(56)을 유체탱크에 연결하면 더욱 편리한 유체공급탱크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레버(13)를 →표방향으로 밀어주면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을 위로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7)가 열리며 물이 나오고 밀어주었던 레버(13)를 놓게 되면 자동되었던 부품들이 모두 중력(重力)과 수압에 의하여 원상복귀되면서 밸브(7)가 닫히므로 물이 멎는다.
그리고 걸림대(17)의 하단부를 →표방향으로 밀어주면 걸림대(17)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다가 갈구리(16)끝이 공간(19)의 내벽면에 접한 다음부터는 회전이 중단된채 레버(13)와 함께 걸림대(17)전체가 →표방향으로 밀리면서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를 밀어주므로 밸브(7)가 열러지며 갈구리(16)는 걸림턱(20)에 걸려있게 되므로 걸림대(17)를 밀고 있지않아도 물이 계속 나오게 된다.
이같이 물이 계속 나오는 상태에서 물이 멎도록 하려면 레버(13)를 →표방향으로 밀어주었다가 놓게 되면 되는데 그 이유는 레버(13)를 밀어줄때 갈구리(16)가 걸림턱(20)에서 베껴지면서 걸림대(17)가 중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레버(13)를 놓게 되면 작동되었던 모든 부품이 중력과 수압에 의하여 원상복귀되면서 밸브(7)가 닫히기 때문이다.
갈구리(16)가 걸림턱(20)에 걸려있을 때는 물이 계속 나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냥 내버려두면 싱크대(31)의 물이 연질호스(32)를 통해 물통(30)으로 들어가면서 그 중량에 의하여 줄(26)을 잡아당기기 때문에 구멍(22)의 걸림대(17)가 당겨지면서 갈구리(16)가 걸림턱(20)에서 해탈되므로 레버(13)와 밸브(7)가 원상복귀되며 물이 멎게 된다.
따라서 싱크대(31)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물이 멎게 된다.
추(36)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받침(35)이 물통(30)을 들고 있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싱크대(31)에 고일 물의 양을 조절한다.
물이 계속 나오다가 일정량의 물이 싱크대(31)에 고일때 자동으로 멎는 다른 방법은 뜸통(50)이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서 볼트(49)와 L자형레버(46)의 수평간을 밀어주면 그 수직간이 당김판(23)을 당겨주면서 갈구리(16)가 걸림턱(20)에서 해탈되므로 밸브(7)가 닫히며 물이 멎게 된다.
욕조나 대형 물탱크에서도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물을 간편하게 사용하면서 냉비를 없애며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게 하면서 넘침으로 인한 물의 유실을 막고 싱크대(31)나 욕조 물탱크와 분리된 물통(30)을 굴신이 자유로운 호스(32)로 연결함으로써 싱크대(31)나 대형 물탱크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물의 넘침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도전 몸통(1)의 배수관(2)에 오링(3)을 끼운 연결관(4)를 나합하고 배수관(52)끝에 밸브관(9)을 나합하되 이 밸브관(9)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링(5)의 평면에 바킹(6)을 끼우고 밸브(7)의 자루(8)를 물이 나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삽설하며 토수구(10)의 양측내벽면의 요홈(11)에 삽착한 n자형의 못(12)에 괘설된 레버(13)의 상단(14)이 자루(8)를 받혀주도록 한 것에 있어서 토수구(10)의 나사에 레버(13)가 작동할 작동공(58)과 배수공(59)이 천공된 겁품발생판(57)을 나합하고 배수관(52)의 공간(21)에 구멍(22)이 있는 당김판(23)을 끼운 다음 공간(19)의 내벽면에 걸림턱(20)이 형성되도록 하고, 구멍(22)을 관통하는 걸림대(17)의 갈구리(16)를 공간(19)에 삽설하며 이 걸림대(17)는 레버(13)의 하단 축받이홈에 축(18)으로 축설하며,당김판(23)에 연결된 줄(26)에 스프링(25)을 끼워서 걸림턱(24)에 걸리게 하고 조임나사(60)을 나합하며 줄(26)이 축바퀴(27)를 통해 싱크대(31)에 호스(32)로 연결한 물통(3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싱크대 및 자동욕조.
KR1019940013280A 1994-06-12 1994-06-12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KR10029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280A KR100296623B1 (ko) 1994-06-12 1994-06-12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280A KR100296623B1 (ko) 1994-06-12 1994-06-12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42A KR960000142A (ko) 1996-01-25
KR100296623B1 true KR100296623B1 (ko) 2001-10-24

Family

ID=3752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280A KR100296623B1 (ko) 1994-06-12 1994-06-12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752A (ko) * 1995-12-28 1997-07-26 박연수 수압과 자력 부력을 응용한 호환성 급지수 장치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42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29003A (ja) 排水設備
KR100296623B1 (ko)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JP5732658B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JP2003253722A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100293591B1 (ko) 중력과 수압 및 부력을 응용한절수용 기기
KR200165466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100459510B1 (ko) 밸브의 응용방법
KR20040082912A (ko)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KR100365525B1 (ko) 쌍밸브 자동절수꼭지
KR100453259B1 (ko)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레버를 장착하는 방법
JP4159086B2 (ja) 湯水抜栓
KR100432396B1 (ko) 자동호스의 제작 방법
JPH116185A (ja) 水槽用排水管継ぎ手
JPH0218855Y2 (ko)
KR20030031389A (ko) 다목적 무동력(無動力) 양수기(揚水機)
KR940005437Y1 (ko) 화장실 세척기용 온수가열기
JP2004068328A (ja) 浴室の排水ユニット
KR970046752A (ko) 수압과 자력 부력을 응용한 호환성 급지수 장치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960031862A (ko) 다목적 자동절수꼭지
KR20040024423A (ko) 밸브의 응용방법 및 그 장치
KR100240230B1 (ko) 다목적 안전 볼탑
JPS592363Y2 (ja) シンクウハカイ ニヨル ギヤクリユウボウシベン オソナエタ ユミズコンゴウセン
JPS603183Y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