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10B1 - 밸브의 응용방법 - Google Patents

밸브의 응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10B1
KR100459510B1 KR10-2002-0070528A KR20020070528A KR100459510B1 KR 100459510 B1 KR100459510 B1 KR 100459510B1 KR 20020070528 A KR20020070528 A KR 20020070528A KR 100459510 B1 KR100459510 B1 KR 10045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lever
ba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474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2-007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5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를 응용하여 카트리지 역할을 하며,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많이 절수하면서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는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 유체의 개폐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밸브의 응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급수공(21)(22)과 공간(23)이 있는 몸통(2)내부의 환형턱((3)(4)밑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밑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공간(23)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밑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몸통(2)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 외경에 오링(18)(19)을 끼우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하고, 그 위에 뚜껑(26)을 끼우며, 급수공(21)(22)의 하단에 호스(27)(28)를 결합하고, 몸통(2)측면에 형성된 수도꼭지(1)내부에 끼운 밸브집(29)의 환형턱(30)좌측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좌측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밸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 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패킹(39)을 끼우고 그 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를 장착하며, 토수관(42)에 구멍(43)이 다수 천공된 공지의 거품함(44)을 장착하며, 레버(35)에 피복손잡이(64)를 피복하고, 카트리지(130)의 환형턱(3)(4)구면에 각각 오링(142)(143)을 끼우고 그 밑에서 볼(144)(145)밀어 넣은 다음 볼트관(139)(140)을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응용방법』로서 밸브에 의하여 수온을 조절하며 자동지수(止水)와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많이 절수되며 그 구성의 단순화로 내구성이 높고, 생산원가의 절감 등 유익한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밸브의 응용방법{omitted}
본 발명은 밸브를 응용하여 카트리지 역할을 하며, 온ㆍ냉수(溫ㆍ冷水)의 수온 조절과 공급은 물론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많은 물을 절약하면서 물통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기 때문에 물의 넘침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며 내구성이 높은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 유체의 개폐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밸브의 응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밸브를 응용하여 카트리지 역할을 하며, 온ㆍ냉수(溫ㆍ冷水)의 수온 조절과 공급은 물론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많은 물을 절약하면서 물통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자동으로 멎기 때문에 물의 넘침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구성의 단순화로 생산원가를 절감하며 내구성이 높은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 유체의 개폐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밸브의 응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꼭지를 비롯한 각종 유체와 개폐장치는 유체(流體)가 불필요할 때도 개패장치를 닫지 안으면 계속 나오기 때문에 많이 낭비되며, 온ㆍ냉수의 공급을 위한 카트리지를 사용하야 하는 불편과 복잡한 구성으로 생산원가가 높아지며, 고장의 빈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카트리지 대신밸브와 패킹 2개를 장착함으로써 수온을 조절하며 자동지수로 인해 일정량의 물이 싱크대에 고이면 자동으로 수로가 차단되므로 물을 비롯한 유체가 넘치지 않게 하는 자동절수꼭지와 유체의 개폐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의 밸브에 의한 온ㆍ냉수 공급장치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세면용 원홀 뒷면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 세면용 원홀 측면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c] 는 본 발명 주방용 원홀 측면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d] 는 본 발명 세라믹밸브와 세라믹패킹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e] 는 본 발명 주방용 원홀 몸통의 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f] 는 본 발명 욕실용 절수꼭지의 평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g] 는 본 발명 받침 판의 종단면도 및 그 작용원리도
[도 2h] 는 본 발명 제어판 및 볼트 관의 평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i] 는 본 발명 온ㆍ냉수 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j] 는 본 발명 온ㆍ냉수 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k] 는 본 발명 줄 샤워꼭지 전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l] 는 본 발명 주방용 절수꼭지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m] 는 본 발명 수직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n] 는 본 발명 수평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o] 는 본 발명 볼밸브 카트리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p] 는 본 발명 볼밸브 카트리지 측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1a] 및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천공된 급수공(21)(22)과 공간(23)이 있는 몸통(2)내부의 급수공(21)(22)상단 둘레에 형성된 환형턱((3)(4)의 밑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밑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공간(23)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한 다음 볼트(25)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상표가 있는 뚜껑(26)을 끼운 다음 핸들(24)을 좌우로 돌리면서 밀판(14)에 의해 밸브(7)(8)의 자루(9)(10)가 밀리며 밸브(7)(8)를 개폐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급수공(21)(22)의 하단에는 각각 온ㆍ냉수의 급수관이나 호스(27)(28)를 결합하여 온ㆍ냉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패킹(5)(6)과 밸브(7)(8) 및 자루(9)(10)는 [도 2d] 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모든 밸브(7)(8)(33)(41)(74)와 그 자루(9)(10)(34)(40)(75) 및 모든 패킹(5)(6)(31)(39)(44)(47)을 자석이나 세라믹으로 만들되 이 모든패킹(5)(6)(31)(39)(44)(47)의 이면에는 오링 자리가 있다.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천공된 급수공(21)(22)과 공간(23)이 있는 몸통(2)내부의 급수공(21)(22) 상단 둘레에 형성된 환형턱(3)(4)의 밑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밑에서 밸브(7)18)의 자루(9)(10)를 공간(23)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몸통(2)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한 다음 볼트(25)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상표가 있는 뚜껑(26)을 끼우고 핸들(24)을 좌우로 돌리면서 밀판(14)에 의해 밸브(7)(8)의 자루(9)(10)가 밀리며 밸브(7)(8)가 개폐되게 구성한다.
그리고급수공(21)(22)의 하단에는 각각 온ㆍ냉수의 급수관이나 호스(27)(28)를 결합하여 온ㆍ냉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몸통(2)의 측면에 형성된 수도꼭지(1)의 내부에 끼운 밸브집(29)의 환형턱(30)좌측 평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좌측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밸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 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패킹(39)을 끼우고 그 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을 창작하며, 토수관(42)에 구멍(43)이 다수 천공된 공지의 거품망(44)을 장착하며, 레버(35)에 피복손잡이(64)를 피복한다.
이 수도꼭지(1)의 받침판(45)상단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48)이 끼워진 밸브집(29)을 장착하여 밸브집(29)의 쐐기(49)가 레버(35)의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면서 래버(35)가 그 요홈(46)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케 하며 레버(35)의 절곡부(47)밑에 고깔형의 연질관(50)을 씌운 다음 연질관(50)밑면의 후렌지(51)를 수도꼭지(1)의 암나사(52)바닥에 대고 후렌지(51)밑에 밀착시킨 제어판(53)을 볼트관(54)으로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게 한다.
몸통(2)의 측면에 천공된 수평공(55)과 축(12)의 밑에 천공된 수평공(11)에 오링(56)이 끼워진 지수(止水)레버(57)를 밀어 넣어서 레버(57)의 끝이 몸통(2)내벽의 구멍(62)에 끼이도록 하고, 레버(57)에 장착시킨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게 구성한다.
몸통(2) 밖으로 돌출된 레버(57)에 보조레버(58)를 고정시키고, 이 보조레버(58)끝과 물통(127)을 끈(60)으로 연결하며, 끈(60)상단에 스프링(128)을 연결하고 물통(127)과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를 잘 굽어지는 호스(63)로 연결한다.
[도 2c] 는 [도 2b] 와 동일하게 구성된 수도꼭지(1)의 몸통(2) 하단 암나사에 바닥(65)과 구멍(67)이 있는 내관(66)의 상하 요홈에 오링(68)(69)을 끼우고, 목돌림꼭지(70)의 수직관(71)을 내관(66)에 씌운 다음이 내관(66)을 상기 몸통(2)하단의 암나사에 결합하되 목돌림꼭지(7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72)의 안쪽 평면에 패킹(73)을 끼우고 자루(75)가 있는 밸브(74)를 장착하여 목돌림꼭지(70)가 회전할 때 밸브(74)의 자루(75)가 바닥(65)에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관(77)에 걸리며 밸브(74)가 열리도록 구성 한 다음 볼트관(76)을 목돌림꼭지(70)의 암나사에 결합하여 밸브(74)가 이탈하지 않게 하며, 목돌림꼭지(70)의 끝에 토수관(78)의 내관(129)을 결합하고, 토수관(78)끝에 구멍(79)이 있는 거품망(80)을 끼우며, 목돌림꼭지(70)의 수직관(71) 암나사(82)에 뚜껑(81)을 결합하는데 이는 밸브(74)가 작동할 공간을 가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밸브(41)를 경유한 물이 밸브(74)를 지나 토수관(78)으로 배출되기 위한 수로(83)를 만들어 물이 흐르도록 해야 자동지수(自動止水) 기능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밸브(7)(8)(33)(41)(74)의 자루(9)(10)(34)(40)(75) 및 패킹(5)(6)(31)(39)(44)(47)은 자석이나 세라믹으로 만들며, 필요애 따라 일반 밸브나 패킹을 써도 되고, 패킹(5)(6)(31)(39)(44)(47)의 이면에는 오링을 끼울 요홈을 만든다.
[도 2e] 는 [도 2c] 의 선분 AA'의 횡단면도로서 내관(66)을 몸통(2)하단의 암나사에 결합하되 목돌림꼭지(7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72)의 안쪽 평면에 패킹(73)을 끼우고 자루(75)가 있는 밸브(74)를 장착하여 목돌림꼭지(70)가 회전할 때 밸브(74)의 자루(75)가 바닥(65)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관(77)에 걸리며 밸브(74)가 열리도록 한 다음 볼트관(76)을 목돌림꼭지(70)의 암나사에 결합하여 밸브(74)가 이탈하지 않게 하고, 목돌림꼭지(70)의 수직관(71) 암나사(82)에 뚜껑(81)을 결합한 것이다.
[도 2f] [도 2k] 는 [도 2b] 와 동일한 구성된 수도꼭지(1)가 있는 수평방향의 좌우몸통(2)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3)(4)의 평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옆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축(12)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뚜껑(84)(85)을 결합하며, T볼트(86)(87)로 대너트(88)(89)를 결합하고, 대너트(88)(89)안에 패킹(90)(91)을 끼워서 공지의 편심유니온(92)(93)을 결합하되 이 편심유니온(92)(93)에는 패킹(94)(95)과 밸브(96)나 볼(97)이 내장된 역류방지기(98)(99)를 장착한다.
수평관(100)에 오링(101)이 끼워진 마개(102)를 장착하고 이 마개(102)와 축받이(106)를 연결하는 평판(107)을 볼트(108)(109)로 몸통(2)의 바닥에 고정시킨 다음에 마개(102)의 구멍(104)과 축받이(106)의 구멍(110)에 오링(105)이 끼워진 지수레버(57)를 장착하며, 이 지수레버(57)에 장착한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케 하고, 밖으로 돌출된 지수레버(57)에 보조레버(58)를 고정시킨다.
밸브(41)를 경유한 물이 흐르는 수로(83)와 몸통(2) 하단의 나사에 환형턱(113)이 형성된 밸브집(112)을 결합하되 이 밸브집(112)의 환형턱(113)위에 패킹(111)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114)의 자루(115)를 집어넣은 다음 니쁠(117)이 끼워진 호스(116)의 겉에 끼운 체결너트(118)를 밸브집(112)의 하단 나사에 결합하여 밸브(114)의 자루(115)가 호스(116)의 안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도 2g] 는 수도꼭지(1)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판(45) 상단의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밸브집(29)의 쐐기(49)가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면서 레버(35)가 그 요홈(46)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도 2h] 는 수도꼭지(1) 암나사(52)의 바닥에 후렌지(51)잘 대고 그밑에 밀착시킨 제어판(53)을 볼트관(54)으로 결합한 것으로서 레버(35)가 전후로 작동하면서 구멍(125)에서 이동하며, 레버(35)가 측면 구멍(126)에 들어가면 원상 복귀될 수 없기 때문에 물이 계속 나오게 되고, 제어판(53)을 뒤집어 정착하면 측면 구멍(126)의 방향이 바꾸게 된다.
[도 2l] 은 [도 2k] 와 완전 동일한 구성에서 밸브(41)를 경유한 물이 흐르는 수로(83)와 몸통(2) 하단이 만나는 배수관(123)의 환형턱(111)위에 패킹(113)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114)의 자루(115)를 집어넣은 다음 목돌림관(119)의 수직관(120) 요홈에 체결링(121)을 끼우고 체결너트(122)로 수직관(120)을 결합하되 수직관(120)내벽에 형성된 밀대(124)가 밸브(114)의 자루(115)에 근접하게 구성하며, 밸브(7)(8)대신 볼을 사용해도 된다.
[도 2m] 에서 보는바와 같이 카트리지(13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3)(4)의 밑면에 각각 패킹(5)(6)을 끼우고 그 밑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밀어 넣은 다음 볼트관(139)(140)을 결합하며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카트리지(130)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할 수 있게 하며, 수평공(11)에 지수(止水)레버(57)를 장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130)의 하단 중심에 배수구(141)를 만들며 카트리지(130)밑면에 오링(137)을 끼운다.
[도 2n] 에서 보는바와 같이 카트리지(130)의 수평관(131)(132)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3)(4)의 평면에 각각 패킹(5)(6)을 끼우고 그 옆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밀어 넣은 다음 볼트관(139)(140)을 결합하며,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미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카트리지(130)의 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할 수 있게 하며, 수평공(11)에 지수(止水)레버(57)를 장착하고 이 지수레버(57)에 밀대(59)를 장착하며 카트리지(130)의 밖으로 돌출된 지수레버(57) 끝에 보조레버(58)를 장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130)의 환형턱(133)위에 패킹(134)을 놓고 그 위에 자루(136)가 형성된 밸브(135)놓고 이 자루(136)에 밀대(59)가 근접하도록 하며, 발(138)이 형성된 카트리지(130) 밑면에 오링(137)을 끼운다.
[도 2o] 에서 보는바와 같이 카트리지(136)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3)(4)의 구면에 각각 오링(142)(143)을 끼우고 그 밑에서 볼(144)(145) 밀어 넣은 다음 볼트관(139)(140)을 결합하며,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카트리지(130)의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워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외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할 수 있게 하며, 수평공(11)에 지수(止水)레버(57)를 장착하고 이 지수레버(57)에밀대(59)를 장착하며 카트리지(130)의 밖으로 돌출된 지수레버(57) 끝에 보조레버(58)를 장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130)의 환형턱(133)위에 패킹(134)을 놓고 그 위에 자루(136)가 형성된 밸브(135)놓고 이 자루(136)에 밀대(59)가 근접하도록 하며, 발(138)이 형성된 카트리지(130) 밑면에 오링(137)을 끼운다.
[도 2p] 는 [도 2o] 와 동일한 구성인데 밀판(14)의 밑면이 사면(斜面)을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2o] 를 90도 회전시킨 측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및 [도 2a]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24)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밀판(14)이 자루(9)에서는 분리되면서 자루(10)를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7)는 닫히고 밸브(8)는 열리므로 온수가 나오던 밸브(7)에서는 온수가 적게 나오고, 냉수가 나오던 밸브(8)에서는 냉수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수온을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128)을 위로 당겨서 끈(60)이 보조레버(58)를 위로 끌어당기게 하면 밀대(59)가 밸브(41)의 자루(40)를 옆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41)가 열리면서 물이 밸브(33)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복손잡이(64)를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레버(35)의 상단(36)이 받침판(45)의 요홈(4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밸브(33)의 자루(34)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밸브(33)가 열리며 물이 토수관(42)의 거품망(44) 구멍(43)으로 나오며 물거품을 일으키고, 피복손잡이(64)를 밀어주지 않으면 피복손잡이(64)가 준력과 수압에 의하여 원상 복귀되며 밸브(33)가 닫히기때문에 물이 멎는다.
피복손잡이(64)를 그 한계점까지 밀어준 다음 다시 좌측으로 밀어주면 레버(35)가 [도 2h]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판(53)의 구멍(125)에서 측면구멍(126)으로 이동하면서 피복손잡이(64)를 밀어주지 않아도 원상 복귀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계속 나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욕조(61)에 물이 고이면서 그 수위가 높아지면 호스(63)를 통해 물통(127)으로 들어가는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그 무게에 의하여 스프링(128)이 늘어나며 물통(127)이 하잘하므로 보조레버(58)를 끌어내리기 때문에 밀대(59)가 원상 복귀되며 밸브(41)가 닫히면서 물이 자동으로 멎게 된다.
[도 2c] [도 2e] 의 작용원리도 피복손잡이(64)에 의한 작용원리는 [도 2b] 와 완전동이하며, 목돌림꼭지(70)를표 방향으로 돌리면 싱크대(61) 앞으로 끌어당기면 밸브(74)의 자루(75)가 걸림관(77)에 걸리면서 밸브(74)가 열리며 수로(83)로 흘러내리는 물이 싱크대(61)에 고이면 그 무게에 의하여 물통(127)이 하강하면 밸브(41)가 닫히며 물이 멎는 작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f] [도 2g] [도 2i] [도 2j] [도 2k] 의 수온 조절이나 피복손잡이(64)의 조작에 의한 작용원리는 [도 2c] 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상이한 것은 호스(116)를 들면 구부러지면서 자루(115)가 밀리며 밸브(114)가 열리기 때문에 호스(116)로 물이 나온다.
[도 2l] 와 작용원리도 [도 2k] 와 동일한데 다만 목돌림관(119)을표 방향으로 돌리면 밀대(124)가 밸브(114)의 자루(115)를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114)가열리며 물이 나오고, 목돌림관(119)을표의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원상 복귀되면서 밸브(114)가 닫히기 때문에 물이 멎는다.
여타의 작용원리는 [도 2k] 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m] [도 2n] 외 작용원리는 [도 2i] [도 2J] 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o] [도 2p] 의 작용원리는 [도 2i] 와 동일하며, [도 2p]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판(14)이 많이 회전하면 볼(144)이 많이 밀려 내려가면서 많은 물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공지의 카트리지 없이 밸브에 의하여 수온을 조절하며 자동지수(止水)와 불필요한 물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많이 절수되며 그 구성의 단순화로 내구성이 높고, 생산원가의 절감 등 유익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직으로 천공된 급수공(21)(22)과 공간(23)이 있는 몸통(2)내부의 환형턱((3)(4)밑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밑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공간(23)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수평공(11)이 천공된 축(12)에 구멍(13)과 밀판(14)이 형성된 회전축(15)을 씌우고, 몸통(2)상단 나사(16)에 캡(17)을 결합하되 나사(16)상단과 회전축의 외경에 각각 오링(18)(19)을 끼우며, 캡(17)의 중심공(20)을 관통하는 회전축(15)의 상단에 핸들(24)을 장착하고 볼트(25)로 고정시키며, 그 위에 뚜껑(26)을 끼우고, 급수공(21)(22)의 하단에 호스(27)(28)를 결합하며, 몸통(2)측면에 형성된 수도꼭지(1)내부에 끼운 밸브집(29)의 환형턱(30) 좌측면에 패킹(31)을 끼우고 그 좌측에서 받침판(32)쪽으로 집어넣은 벨브(33)의 자루(34)끝이 레버(35)의 상단(36)위에 근접케 한 다음 밸브(33)를 밀어주는 스프링(37)을 장착하고, 환형턱(38)끝에 끼운 패킹(39)뒤에서 자루(40)가 형성된 밸브(41)를 장착하며, 토수관(42)에 구멍(43)이 천공된 거품망(44)을 장착하며, 레버(35)에 피복손잡이(64)를 피복하고, 수도꼭지(1)의 받침판(45)상단 요홈(46)에 레버(35)의 절곡부(47)가 얹히게 한 다음 수도꼭지(1)의 내벽에 오링(48)이 끼워진 밸브집(29)을 장착하여 밸브집(29)의 쐐기(49)가 레버(35)의 절곡부(47)위에서 받침판(45)상단에 밀착되며, 레버(35)의 절곡부(47)밑에 고깔형의 연질관(50)을 씌운 다음 이 연질관(50)밑면의 후렌지(51)를 수도꼭지(1)의 암나사(52)바닥에 대고 후렌지(51)밑에 밀착시킨 구멍(125)과 측면구멍(126)이 천공된 제어판(53)을볼트관(54)으로 결합하며, 몸통(2)의 측면에 천공된 수평공(55)과 축(12)의 밑에 천공된 수평공(11)에 오링(56)이 끼워진 지수(止水)레버(57)를 밀어 넣고 레버(57)의 끝이 몸통(2)내벽의 구멍(62)에 끼이게 하며, 레버(57)에 장착시킨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하게 구성하고, 몸통(2) 밖으로 돌출된 래버(57)에 보조레버(58)를 고정시키며, 이 보조레버(58)끝과 물통(127)을 끈(60)으로 연결하고, 끈(60)상단에 스프링(128)을 연결하며 물통(127)과 세면기나 싱크대 및 욕조(61)를 잘 굽히는 호스(63)로 연결하고, 수도꼭지(1)의 몸통(2) 하단 암나사에 바닥(65)과 구멍(67)이 있는 내관(66)의 상하 요홈에 오링(68)(69)을 끼우고, 목돌림꼭지(70)의 수직관(71)을 상기 내관(66)에 씌운 다음 이 내관(66)을 몸통(2)하단의 암나사에 결합하되 목돌림꼭지(7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72)의 안쪽 평면에 패킹(73)을 끼우고 자루(75)가 있는 밸브(74)를 장착한 다음 볼트관(76)을 목돌림꼭지(70)의 암나사에 결합하며, 밸브(74)의 자루(75)가 바닥(65)에 형성된 걸림관(77)에 걸리게 하고, 목돌림꼭지(70)끝에 토수관(78)의 내관(129)을 결합하고, 목돌림꼭지(70)의 수직관(71)암나사(82)에 뚜껑(81)을 결합하며, 밸브(41)를 경유한 물이 밸브(74)를 지나 토수관(78)으로 배출될 수로(83)를 만들고, 모든 밸브(7)의 자루(9) 및 패킹(5)은 자석이나 세라믹으로 만들며, 필요에 따라 일반 밸브나 패킹을 써도 되고, 모든 패킹(5)의 이면에는 오링을 끼울 요홈을 만들고, 수도꼭지(1)가 있는 수평방향의 좌우몸통(2)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3)(4) 평면에 패킹(5)(6)을 끼우고, 그 옆에서 밸브(7)(8)의 자루(9)(10)를 축(12)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뚜껑(84)(85)을 결합하며, T볼트(86)(87)로 대너트(88)(89)를 결합하고, 대너트(88)(89)안에 패킹(90)(91)을 끼워서 공지의 편심유니온(92)(93)을 결합하되 이 편심유니온(92)(93)에는 패킹(94)(95)과 밸브(96)나 볼(97)이 내장된 역류방지기(98)(99)를 장착하며, 수평관(100)에 오링(101)이 끼워진 마개(102)를 장착하고, 마개(102)와 축받이(106)를 연결한 평판(107)을 볼트(108)(109)로 몸통(2)의 바닥에 고정시킨 다음에 마개(102)의 구멍(104)과 축받이(106)의 구멍(110)에 오링(105)이 끼워진 지수레버(57)를 장착하며, 지수레버(57)에 장착한 밀대(59)의 상단이 밸브(41)의 자루(40)에 근접케 하고, 밖으로 돌출된 지수레버(57)에 보조레버(58)를 고정시키며, 수로(83)가 있는 몸통(2)하단 나사에 환형턱(113)이 형성된 밸브집(112)을 결합하되 이 밸브집(112)의 환형턱(113)위에 패킹(111)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114)의 자루(115)를 집어넣은 다음 니쁠(117)이 끼워진 호스(116)겉에 끼운 채결너트(118)를 밸브집(112)하단 나사에 결합하여 밸브(114)의 자루(115)가 호스(116)의 안에 위치케 하며, 수로(83)에 연결된 몸통(2)하단의 배수관(123)에 형성된 환형턱(111)위에 패킹(113)을 놓고 그 위에서 밸브(114)의 자루(115)를 집어넣은 다음 목돌림관(119)의 수직관(120) 요홈에 체결링(121)을 끼운 수직관(120)을 체결너트(122)로 결합한 수직관(120)내벽의 밀대(124)가 밸브(114)의 자루(115)에 근접하게 하며, 카트리지(130)의 환형턱(3)(4)구면에 각각 오링(142)(143)을 끼우고 그 밑에서 볼(144)(145)밀어 넣은 다음 볼트관(139)(140)을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응용방법.
KR10-2002-0070528A 2002-11-10 2002-11-10 밸브의 응용방법 KR10045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28A KR100459510B1 (ko) 2002-11-10 2002-11-10 밸브의 응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528A KR100459510B1 (ko) 2002-11-10 2002-11-10 밸브의 응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74A KR20040041474A (ko) 2004-05-17
KR100459510B1 true KR100459510B1 (ko) 2004-12-03

Family

ID=3733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28A KR100459510B1 (ko) 2002-11-10 2002-11-10 밸브의 응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5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663A (ko) * 1998-03-14 1999-10-15 박연수 자동정수 및 절수용 수도꼭지
KR20010077633A (ko) * 2000-02-05 2001-08-20 박연수 다기능 수도꼭지
KR100301090B1 (ko) * 1999-05-06 2001-09-22 박연수 무동력 기기용 밸브 응용 방법
KR100302507B1 (ko) * 1998-06-21 2001-11-22 박연수 사출밸브를 응용한 유채용 기기의 개폐장치
KR20020084798A (ko) * 2001-05-03 2002-11-11 박연수 초 절약형 개폐장치
KR20040004013A (ko) * 2002-07-02 2004-01-13 박연수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레버를 장착하는 방법
KR20040007182A (ko) * 2002-07-16 2004-01-24 박연수 자동절수꼭지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663A (ko) * 1998-03-14 1999-10-15 박연수 자동정수 및 절수용 수도꼭지
KR100302507B1 (ko) * 1998-06-21 2001-11-22 박연수 사출밸브를 응용한 유채용 기기의 개폐장치
KR100301090B1 (ko) * 1999-05-06 2001-09-22 박연수 무동력 기기용 밸브 응용 방법
KR20010077633A (ko) * 2000-02-05 2001-08-20 박연수 다기능 수도꼭지
KR20020084798A (ko) * 2001-05-03 2002-11-11 박연수 초 절약형 개폐장치
KR20040004013A (ko) * 2002-07-02 2004-01-13 박연수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레버를 장착하는 방법
KR20040007182A (ko) * 2002-07-16 2004-01-24 박연수 자동절수꼭지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74A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456A (en)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fresh water
KR100459510B1 (ko) 밸브의 응용방법
KR970028016A (ko) 자동개폐장치의 제작방법 및 그 구성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KR100453259B1 (ko)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레버를 장착하는 방법
JP4916196B2 (ja) 水栓柱
KR100441451B1 (ko) 자동절수꼭지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82912A (ko) 쌍쌍 밸브 개폐방법 및 그 장치
KR100365525B1 (ko) 쌍밸브 자동절수꼭지
KR20070102338A (ko) 쌍 자루 밸브나 밸브를 응용한 자동급수장치
KR100296623B1 (ko) 자동싱크대및자동욕조
KR100374194B1 (ko) 자동코브라가 부착된 자동절수꼭지
JPH0218855Y2 (ko)
KR100441453B1 (ko) 팽이밸브 응용방법
KR100416382B1 (ko) 다용도 코크
KR100355657B1 (ko) 밸브로수로를개폐하는레버가장착된수도꼭지.
KR100300223B1 (ko) 중력과수압에의해닫히는배수구마개
KR20010048070A (ko) 역류방지기와 걸림턱이 있는 개폐장치의 제작방법 및 그구성
JP4159086B2 (ja) 湯水抜栓
KR100240230B1 (ko) 다목적 안전 볼탑
KR20050000293A (ko) 밸브를 응용하는 방법
KR200330041Y1 (ko) 연수배출장치
KR970046752A (ko) 수압과 자력 부력을 응용한 호환성 급지수 장치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