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613A -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613A
KR20040082613A KR1020030017207A KR20030017207A KR20040082613A KR 20040082613 A KR20040082613 A KR 20040082613A KR 1020030017207 A KR1020030017207 A KR 1020030017207A KR 20030017207 A KR20030017207 A KR 20030017207A KR 20040082613 A KR20040082613 A KR 20040082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tread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654B1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6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도록 하여 타이어 트레드 표면의 외관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트레드 고무 배합물 내에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대전방지제를 적용하여 트레드 표면에서의 계면장력을 줄임으로서 타이어 트레드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레드 고무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발명은 공지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있어서 대전방지제로서 하기의 식(1)로 표시되는 소듐알킬술포네이트를 0.5∼3.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SO3Na.......(1)
상기 식(1)에서 R은 C8∼C14인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Tread compound for anti-stactic agent}
본 발명은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도록 하여 타이어 트레드 표면의 외관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공업생산품에 대하여 디자인 및 색상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타이어 산업에도 이러한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가 타이어를 구입시 타이어의 외관은 구매척도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이어를 제조한 후 타이어 트레드 표면의 외관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통상적으로 제조일로부터 4주후 외관오염이 발생이 관찰된다. 이에 대한 주원인은 내후성 및 내오존성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트레드 고무의 첨가제로 사용하는 노화방지제나 혹은 왁스(wax)가 트레드 표면부위로 과량 석출되면서 변색이 되거나 혹은 석출된 노화방지제나 왁스가 부분적으로 검댕이(black spot)처럼 보이게 된다.
타이어가 외부에 노출이 되면 일반적으로 타이어 트레드 표면은 극성의 산화막이 형성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어의 배합물 내에 존재하는 비극성 물질의 왁스가 트레드 표면으로 이동 및 확산을 하게 되는데 트레드 표면의 극성 산화층 때문에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배열의 왁스층이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불규칙한 배열의 왁스층이 햇빛 등에 노출시 빛의 산란으로 인해 검댕처럼 보이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레드 고무 배합물 내에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대전방지제를 적용하여 트레드 표면에서의 계면장력을 줄임으로서 타이어 트레드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레드 고무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발명은 공지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있어서 대전방지제로서 하기의 식(1)로 표시되는 소듐알킬술포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SO3Na.......(1)
상기 식(1)에서 R은 C8∼C14인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원료고무는 천연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부타디엔 고무(BR), 스티엔-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 고무(SR)와 같은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료고무는 트레드 고무조성물에서 통상적인 천연고무와 합성고무의 혼합비 즉, 천연고무 60∼90중량부와 전기의 합성고무가 10∼40중량부로 혼합된 혼합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서 내오존성 및 내후성의 향상을 위해서 왁스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포함된다. 왁스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트레드 고무의 내오존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3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트레드의 외관특성이 매우 불량하게 되므로 본원발명에서 왁스는 전술한 수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많은 실험결과 왁스는 2중량부 사용시 적절한 내오존성과 외관특성을 가지는 트레드 고무를 얻을 수 있으나 다소 외관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1)의 대전방지제의 일예로서 C9H19SO3Na, C11H23SO3Na, C13H27SO3N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3.0중량부 포함된다. 대전방지제를 0.5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트레드 고무의 외관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며, 3.0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트레드 고뭉의 인장강도 및 내마모 특성이 하락하기 때문에 본원발명에서 대전방지제는 전술한 수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대전방지제 및 왁스 이외에 종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제, 노화방지제, 공정유, 가류제, 가류촉진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서 본원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트레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트레드를 함유하는 타이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비교예,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들에 의해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하기의 표 1과 같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1500)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N351) 60중량부, 왁스 1중량부, 공정오일(A#2 oil) 7중량부, 촉진제(N-cyclohexyl-2-benzothiazolsulfen amide, CZ) 1.0중량부, 유황 1.8중량부, 디페닐구아니딘(DPG) 0.5중량부, 아연화 3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중량부, 노화방지제(RD/6C) 4중량부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160℃에서 30분간 가류하여 트레드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왁스 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트레드 고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왁스 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트레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하기의 표 1과 같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1500)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N351) 60중량부, 왁스 2중량부, 공정오일(A#2 oil) 7중량부, 촉진제(CZ) 1.0중량부, 유황 1.8중량부, 디페닐구아니딘(DPG) 0.5중량부, 아연화 3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중량부, 노화방지제(RD/6C) 4중량부 및 대전방지제(상품명 : JISTAT100) 2.0중량부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을 160℃에서 30분간 가류하여 트레드 고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전방지제(상품명 : JISTAT100) 5.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트레드 고무를 제조하였다.
표 1. 비교예 및 실시예의 고무조성물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SBR1500 100 100 100 100 100
카본블랙 60 60 60 60 60
왁스 1.0 2.0 3.0 2.0 2.0
대전방지제 - - - 2.0 5.0
공정오일 7 7 7 7 7
촉진제 1.0 1.0 1.0 1.0 1.0
1.8 1.8 1.8 1.8 1.8
DPG 0.5 0.5 0.5 0.5 0.5
아연화 3 3 3 3 3
스테아린산 1 1 1 1 1
RD/6C* 2/2 2/2 2/2 2/2 2/2
*RD : 2,2,4-trimethly-1,2-dihydro quinoline
*6C : 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
<시험예>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2의 트레드 고무를 ASTM 관련 규정에 의하여 점도, 인장강도, 300%모듈러스, 신장율, 마모, 발열, 블로우-아웃, 내오존성 및 외관과 같은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 물성 결과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점도(125℃) 53 52 51 50 48
인장강도(kgf/cm2) 250 248 232 244 228
300%모듈러스(kgf/cm2) 118 115 109 112 96
신장율(%) 528 529 531 535 519
마모(g) 0.234 0.238 0.291 0.239 0.257
발열(℃) 29 28 26 26 30
블로우아웃 시간(100℃) 5.6분 5.7분 4.2분 5.9분 4.3분
내오존성(STATIC) 4등급 2등급 1등급 2등급 2등급
외관등급 1등급 3등급 5등급 1등급 1등급
*마모는 피코(pico) 시험기기를 이용하여 내마모 정도를 평가한 것으로 80회 회전 후 손실된 분량(g)을 나타냄
*점도는 무니 테스터(mooney tester)기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함
*내오존성 및 외관 : 1등급은 우수, 3등급은 보통, 5등급은 열세로 등급이 높은수록 특성이 하락함
상기의 표 2에서처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트레드 고무에 있어서 왁스 1중량부를 사용한 비교예 1 고무는 외관이 우수한 반면, 내오존성 특성이 무척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왁스 2중량부를 사용한 비교예 2 고무는 내오존성 특성과 외관이 보통임을 알 수 있으며, 왁스 3중량부를 사용한 비교예 3 고무는 비교예 1 고무와는 반대로 내오존성 특성이 우수한 반면, 외관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트레드 고무조성물에서 왁스의 사용은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사용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왁스를 2중량부 사용하고, 대전방지제를 첨가한 실시예 1, 2의 고무의 물성을 보면 대전방지제를 사용시 내오존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외관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전방지제를 과다 사용한 실시예 2의 트레드 고무는 인장강도, 마모, 발열 및 블로우-아웃 특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어 과량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실시예 2 고무조성물은 본원발명에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의 물성결과에서처럼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를 0.5∼3.0중량부 첨가한 본원발명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은 점도, 인장강도, 300%모듈러스, 마모, 발열 및 블로우-아웃 같은 물성이 종래의 트레드 고무조성물과 비교시 동등 수준을 유지하면서 내오존성 특성, 특히 외관특성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공지의 트레드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로서 하기의 식(1)로 표시되는 소듐알킬술포네이트 0.5∼3.0중량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고무조성물.
    RSO3Na.......(1)
    상기 식(1)에서 R은 C8∼C14인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1.0∼3.0중량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고무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원료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부타디엔 고무, 스티엔-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고무와 같은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의 혼합고무 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 고무조성물.
  4.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트레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03-0017207A 2003-03-19 2003-03-19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3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207A KR100534654B1 (ko) 2003-03-19 2003-03-19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207A KR100534654B1 (ko) 2003-03-19 2003-03-19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613A true KR20040082613A (ko) 2004-09-30
KR100534654B1 KR100534654B1 (ko) 2005-12-08

Family

ID=3736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207A KR100534654B1 (ko) 2003-03-19 2003-03-19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654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944B1 (ko)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타이어 고무 조성물
JP2022540758A (ja) 低汚染の劣化防止剤化合物、劣化防止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タイヤ用ゴム組成物
EP347851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sters
MXPA00005204A (es) Composiciones de caucho coloreadas para cubiertas de neumaticos.
KR100534654B1 (ko)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746336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58958B1 (ko) 타이어 표면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250641B1 (ko) 액상 epdm고무를 함유하는 고무조성물
KR20010039329A (ko)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397859B1 (ko) 트럭버스용 래디알 공기압 타이어의 사이드월 고무 조성물
KR100870731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JP2004307619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トレッドゴムに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0449890B1 (ko) 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360938B1 (ko) 트럭버스용 래디알 공기압 타이어의 사이드월 고무 조성물
KR100726866B1 (ko) 트럭 및 버스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332688B1 (ko) 트럭 및 버스의 공기압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593025B1 (ko)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726867B1 (ko) 승용차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834806B1 (ko)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KR20020064039A (ko) 승용차용 타이어 고무조성물
JPH03192138A (ja) 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
JP2001214002A (ja) ゴム組成物
KR100542283B1 (ko) 마모성능이 우수한 자동차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JP2005041974A (ja) ラジアルタイヤ
EP0531272B1 (en) Rubber compositions having reduced staining and discol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