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500A -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500A
KR20040080500A KR1020030015302A KR20030015302A KR20040080500A KR 20040080500 A KR20040080500 A KR 20040080500A KR 1020030015302 A KR1020030015302 A KR 1020030015302A KR 20030015302 A KR20030015302 A KR 20030015302A KR 20040080500 A KR20040080500 A KR 2004008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orizontal
plate
vertic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619B1 (ko
Inventor
김성현
김종백
구본상
Original Assignee
김성현
김종백
구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김종백, 구본상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03-001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6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G2203/801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using conveyors
    • F23G2203/8016Belt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10Waste heat recuperation reintroducing the heat in the same process, e.g. for pre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변과 세로변이 정밀하게 절단되어야 하는 판재를 흡착고정 후 이동시키면서 두 개의 절단장치에 의해 가로변과 세로변이 동시에 절단되게 하는 한편, 각 모서리가 직각이 되게 절단되도록 하는 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A BOARD SAWING MACH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변과 세로변이 정밀하게 절단되어야 하는 판재를 흡착고정 후 이동시키면서 두 개의 절단장치에 의해 가로변과 세로변이 동시에 절단되게 하는 한편, 각 모서리가 직각이 되게 절단되도록 하는 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와 같은 판재의 절단작업은 작업대의 하부에서 돌출 되어 회전되는 원형톱날을 이용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을 각각 절단하였다. 이러한 절단작업은 원형톱날은 고정되고 판재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어 1장의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4번의 절단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고정된 원형톱날에 판재를 이동시켜 절단하는 작업은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가공의 정밀도가 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과정에 있어 작업자가 원형톱날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로변과 세로변이 정밀하게 절단되어야 하는 판재를 흡착고정 후 이동시키면서 두 개의 절단장치에 의해 가로변과 세로변이 동시에 절단되게 하는 한편, 각 모서리가 직각이 되게 절단되도록 하는 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판재를 흡착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의하여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판재를 절단하는 제1절단장치와; 상기 작업대에 의한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판재를 절단하는 제2절단장치로 구성되는 판재의 절단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폭조절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절단과정을 보인 상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과정을 보인 공정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판재 11 : 절단유도홈
100 : 틀체 200 : 제1절단장치
210 : 가로절단몸체 211 : 지주
212 : 폭조절슬라이딩부 220 : 가로절단톱
221 : 슬라이딩몸체 222 : 승강몸체
223 : 톱몸체 223a : 폭조절공
224 : 나사승강구 225 : 회동제한구
230 : 가로폭조절구 241 : 가로절단날
242 : 가로절단모터 300 : 제2절단장치
310 : 세로절단몸체 311 : 절단아암
320 : 세로절단톱 321 : 세로절단날
322 : 세로절단모터 330 : 세로폭조절구
331 : 폭조절바 332 : 폭조절부
333 : 폭고정부 334 : 폭투시창
340 : 절단이송장치 341 : 클러치브레이크
350 : 세로이송장치 400 : 작업대
410 : 흡착공 420 : 작업대이송장치
510 : 가로예비절단톱 520 : 세로예비절단톱
610 : 집진커버 620 : 집진배출관
910 : 흡착고정과정 920 : 가로절단과정
930 :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 940 : 가로절단완료과정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의 절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판재의 절단장치는 사면의 절단이 요구되는 판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틀체(100)의 상부에서 판재(10)를 흡착 고정할 수 있게 다수의 흡착공(410)이 형성되며 작업대이송장치(420)에 의해 흡착된 판재(10)를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대(400)와, 틀체(100)의 중앙부위에 위치되어 작업대(400)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판재(10)의 변을 절단하는 제1절단장치(200)와, 틀체(100)의 일측면에서 절단이송장치(340)에 의해 작업대(400)와 연동 하여 이동되면서 작업대(4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판재(10)의 변을 절단하는 제2절단장치(300)와, 상기 작업대(400)의 흡착과 절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단장치(200)는 틀체(100)의 중앙부위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21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폭조절슬라이딩부(212)로 이루어진 가로절단몸체(210)와, 가로절단몸체(210)에 각기 가로폭조절구(230)에 의하여 가로 폭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가로절단톱(220)으로 되는 것으로, 상기 가로절단톱(220)에는 가로절단모터(242)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로절단날(241)이 구비된다.
한편, 가로절단톱(220)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톱몸체(223)가 폭조절슬라이딩부(2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몸체(221)와, 슬라이딩몸체(2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승강몸체(222)와 승강몸체를 상하 승강동작 시킬 수 있게 나사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나사승강구(224)를 구비하고, 가로절단날(241)의 좌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가로절단날(241)이 결합되는 톱몸체(223)가 승강몸체(222)에 힌지 결합되고, 좌우 각도조절상태를 제한할 수 있게 톱몸체(223)의 상측에 호형으로 장공으로 이루는 폭조절공(223a)을 형성하며 이를 관통하여 승강몸체(222)에 나사 결합되는 회동제한구(225)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가로폭조절구(230)는 일측에 공구결합구가 형성된 나사축조절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절단장치(300)는 세로폭조절구(330)를 매개로 결속되는 두개의 세로절단몸체(310)와, 세로절단몸체(310)의 상측에 돌출 된 절단아암(311)에 나사축으로 된 세로이송장치(35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세로절단톱(3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세로절단톱(320)에는 세로절단모터(322)에 의해 구동되는 세로절단날(321)이 구비된다.
한편, 제2절단장치(300)의 세로폭조절구(330)는 두 개의 세로절단몸체(310) 중 절단이송장치(340)와 결합된 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 측과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폭조절바(331)와, 폭조절바(331)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측 세로절단몸체(31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폭조절이 가능하게 폭조절바(331)에 형성된 래크부와 치합되는 피니언과 축설되며 노출부위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폭조절부(332)와, 폭조절부(332)에 의한 폭조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나사결합에 의해 폭조절바(331)를 구속하며 노출부위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폭고정부(333)와, 폭조절바(331)에 표기된 눈금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폭투시창(334)으로 구성된다.
또한, 절단이송장치(340)는 통상의 나사축과 구동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절단과정에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세로절단날(321)을 감싸는 집진커버(610)를 구비하고 이와 연통 되며 세로절단몸체(3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접혀져 가변성을 갖는 주름관체로 이루어진 집진배출관(620)으로 이루어진 집진 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대이송장치(420)와, 절단이송장치(34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하나의 구동모터로 실시할 수 있게 절단이송장치(340)의 나사축에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통상의 클러치브레이크(341)를 구비한다.
또한, 제1절단장치(200)와 제2절단장치(300)의 절단날(241,321)의 전방측에는 판재(10)의 절단부위에 절단날(241,321)의 절단을 위한 절단유도홈(11)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각각의 가로예비절단날(510)과 세로예비절단날(520)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의 절단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 하고자하는 판재(10)를 작업대(400)에 올려놓고 흡착 고정시키는 흡착고정과정(910)과, 작업대(400)가 흡착 고정된 판재(10)의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틀체(10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가로절단톱(220)을 구비한 제1절단장치(200)에 의하여 판재(10)의 가로방향 변을 절단하는 가로절단과정(920)과, 가로절단과정을 통하여 절단되어 이송되는 판재(10)가 작업대(400)의 진행 방향 측에 구비된 제2절단장치의 세로절단몸체(310)에 도달하여 세로절단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제2절단장치에 구비된 세로절단톱(320)이 세로이송장치(35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가로방향의 절단과 동시에 판재(10)의 세로방향의 양 쪽 변을 절단하는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930)과,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을 통하여 세로절단이 완료되면 제2절단장치를 이송시키는 절단이송장치(34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작업대(400)만이 계속하여 이송되게 하여 가로절단이 완료되게 하는 가로절단완료과정(9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가로절단과정(920)과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930)에 있어 가로절단톱(220)과 세로절단톱(320)의 진행방향 전방측에 절단부를 절단유도홈(11)의 형성을 위한 예비절단작업을 통하여 판재(10)의 가로방향 및 세로절단과정(930)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틀체(100)의 상부에서 판재(10)를 흡착 고정할 수 있게 다수의 흡착공(410)이 형성되며 작업대이송장치(420)에 의해 흡착된 판재(1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대(400)와, 틀체(100)의 중앙부위에 위치되어서 작업대(400)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판재(10)를 절단하는 제1절단장치(200)와, 틀체(100)의 일측면에서 절단이송장치(340)에 의하여 작업대(400)와 연동 하여서 이동되면서 작업대(4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판재(10)를 절단하는 제2절단장치(300)와, 작업대(400)의 흡착과 절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어 등과 같은 판재(10)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양쪽 변을 절단하고 할 경우에는 가공하고자 하는 판재(10)를 작업대(400)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판재(10)를 작업대(400)에 흡착 고정시키는 흡착고정과정(910)을 통하여 판재(10)를 흡착 고정시키고,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작업대이송장치(420)와 제1절단장치(200)의 가로절단톱(220)을 동작시켜는 가로절단과정(920)을 통하여 판재의 가로방향 양쪽 변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가로절단톱(220)의 전방에 구비된 가로예비절단톱(510)에 의하여 절단부에 절단유도홈(11)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절단과정(920)을 통하여 가로방향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 판재(10)가 작업대(400)의 이송 방향측에 위치된 제2절단장치의 세로절단몸체(310)에 이르러 세로절단이 가능하게 되면 컨트롤러가 제2절단장치(300)의 세로절단톱(320)을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930)을 통하여 판재의 가로방향 절단과 더불어 세로방향의 양쪽 변을 절단한다. 이때도 세로절단톱(320)의 전단에 구비된 세로예비절단톱(520)이 절단방향측에 절단유도홈(11)을 형성하여 세로방향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930)을 통하여 판재(10)의 가로와 세로 양측을 절단함에 있어 세로의 절단이 완료되면 컨트롤러가 제2절단장치(300)를 이송시키는 절단이송장치(34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작업대(400)만이 이동되어되게 하는 가로절단완료과정(940)을 통하여 판재(10) 양측 가로부분을 완전히 절단하여서 판재의 네 변 절단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가로방향의 절단 폭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절단장치(200)의 가로절단톱(220)에 각기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가로폭조절구(230)에 공구를 결합함으로써 절단하고자 하는 판재의 규격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가로양측을 경사지게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몸체(222)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톱몸체(223)를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판재(10)의 가로 양측의 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재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로방향의 절단 폭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로폭조절구(330)의 폭조절부(332)에 공구를 결합하여서 제2절단장치의 두개의 세로절단몸체(3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가공하고자하는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를 흡착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작업대와 고정된 제1절단장치 및 작업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동되는 제2절단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등과 같이 정밀가공이 요구되는 판재의 절단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틀체(100)의 상부에서 판재(10)를 흡착 고정할 수 있게 다수의 흡착공(410)이 형성되며 작업대이송장치(420)에 의해 흡착된 판재(10)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대(400)와; 틀체(100)의 중앙부위에 위치되어 작업대(400)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판재(10)를 절단하는 제1절단장치(200)와; 틀체(100)의 일측면에서 절단이송장치(340)에 의해 작업대(400)와 연동 하여 이동되면서 작업대(4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판재(10)를 절단하는 제2절단장치(300)와; 작업대(400)의 흡착과 절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판재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장치(200)는 틀체(100)의 중앙부위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21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폭조절슬라이딩부(212)로 이루어진 가로절단몸체(210)와, 가로절단몸체(210)에 각기 가로폭조절구(230)에 의하여 가로 폭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가로절단톱(220)으로 구성되고, 제2절단장치(300)는 세로폭조절구(330)를 매개로 결속되는 두개의 세로절단몸체(310)와, 세로절단몸체(310)의 상측에 돌출된 절단아암(311)에 나사축으로 이루어진 세로이송장치(350)의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된 세로절단톱(320)으로 구성되는 판재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절단톱(220)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톱몸체(223)가 폭조절슬라이딩부(2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몸체(221)와 슬라이딩몸체(22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승강몸체(222)와 승강몸체를 상하 승강동작 시킬 수 있게 나사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나사승강구(224)를 구비하고, 가로절단날(241)의 좌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가로절단날(241)이 결합되는 톱몸체(223)가 승강몸체(222)에 힌지 결합하고 좌우 각도조절상태를 제한할 수 있게 톱몸체(223)의 상측에 호형으로 장공을 이루는 폭조절공(223a)을 형성하며 이를 관통하여 승강몸체(222)에 나사 결합되는 회동제한구(225)를 구비하는 판재절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단장치(300)의 세로폭조절구(330)는 두 개의 세로절단몸체(310) 중 절단이송장치(340)와 결합된 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과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폭조절바(331)와, 폭조절바(331)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측 세로절단몸체(31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폭조절이 가능하게 폭조절바(331)에 형성된 래크부와 치합되는 피니언과 축설되며 노출부위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폭조절부(332)와, 폭조절부(332)에 의한 폭조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나사결합에 의하여 폭조절바(331)를 구속하며 노출부위에 공구결합부를 형성한 폭고정부(333)와, 폭조절바(331)에 표기된 눈금을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된 폭투시창(334)으로 구성되고, 절단이송장치(340)는 통상의 나사축과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판재절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이송장치(420)와, 절단이송장치(34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하나의 구동모터로 구동할 수 있게 절단이송장치(340)의 나사축에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클러치브레이크(341)를 구비하는 판재절단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장치(200)와 제2절단장치(300)의 절단날(241,321)의 전방측에는 판재(10)의 절단부위에 상기 절단날(241,321)의 절단을 위한 절단유도홈(11)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각각의 가로예비절단날(510)과 세로예비절단날(520)을 구비하는 판재절단장치.
  7. 가공하고자하는 판재(10)를 작업대(400)에 올려놓고 흡착 고정시킨 흡착고정과정(910)과; 작업대(400)가 흡착 고정된 판재(10)의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틀체(10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가로절단톱(220)을 구비한 제1절단장치(200)에 의하여 판재(10)의 가로방향 양측을 절단하는 가로절단과정(920)과; 가로절단과정을 통하여 절단되어 이송되는 판재(10)가 작업대(400)의 진행 방향측에 구비된 제2절단장치의 세로절단몸체(310)에 도달하여 세로절단이 가능하게 되며, 제2절단장치에 구비된 세로절단톱(320)이 세로이송장치(35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가로방향의 절단과 동시에 판재(10)의 세로방향 양측을 절단하는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930)과; 가로 및 세로절단과정을 통하여 세로절단이 완료되면 제2절단장치를 이송시키는 절단이송장치(340)의 동작을정지시키고 작업대(400)만이 계속하여 이송되게 하여 가로절단이 완료되는 가로절단완료과정(940)으로 이루어지는 판재절단방법.
KR10-2003-0015302A 2003-03-12 2003-03-12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KR10050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302A KR100506619B1 (ko) 2003-03-12 2003-03-12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302A KR100506619B1 (ko) 2003-03-12 2003-03-12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03U Division KR200317439Y1 (ko) 2003-03-12 2003-03-12 판재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500A true KR20040080500A (ko) 2004-09-20
KR100506619B1 KR100506619B1 (ko) 2005-08-09

Family

ID=3736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302A KR100506619B1 (ko) 2003-03-12 2003-03-12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6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4050A (zh) * 2011-12-15 2012-06-27 苏州豪特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薄板输送装置
CN103862528A (zh) * 2014-03-25 2014-06-18 成都浪度家私有限公司 用于木料切割机的工作台
CN109049196A (zh) * 2018-07-30 2018-12-21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打坯机快速切割装置
CN116277360A (zh) * 2023-03-14 2023-06-23 福建兴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加工生产线及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106B1 (ko) * 2018-12-03 2019-10-21 박희삼 엠디에프 패널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4050A (zh) * 2011-12-15 2012-06-27 苏州豪特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薄板输送装置
CN103862528A (zh) * 2014-03-25 2014-06-18 成都浪度家私有限公司 用于木料切割机的工作台
CN109049196A (zh) * 2018-07-30 2018-12-21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打坯机快速切割装置
CN116277360A (zh) * 2023-03-14 2023-06-23 福建兴恒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加工生产线及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619B1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2316B2 (ja) 鋸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US7100758B2 (en) Device for clamping and holding an elongated workpiece
US6142050A (en) Cutting machine for elongate workpieces
US7882866B2 (en) Inverted multiple router station
US5179883A (en) Apparatus for dividing wood
KR20170100701A (ko) 자동 톱 기계장치
KR100506619B1 (ko)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CN206048520U (zh) 中空复合板开孔机
KR102074505B1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KR102026937B1 (ko) 자동 목재 재단 시스템
KR200317439Y1 (ko) 판재절단장치
EP1138455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series of cuts at different angles in one or more panels using a panel sawing machine
CN210046779U (zh) 木工拉槽机的可调拉槽锯机及其应用的木工拉槽机
KR20030024418A (ko) 석재가공장치
KR101142523B1 (ko) 목재 가공장치
KR101143841B1 (ko) 자동 석재 절단 장치
KR102192813B1 (ko) Cnc 런닝쏘
KR200310192Y1 (ko) 판재절단장치
CN219153185U (zh) 锯切装置
CN218476102U (zh) 一种旋转锯切装置
KR20040057218A (ko)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CN210702868U (zh) 切割机
CN218398559U (zh) 一种木板切割装置
CN220805633U (zh) 一种板材用自动裁剪设备
JP2002331490A (ja) 板状体分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