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851A - 전선용 선재 송출기 - Google Patents

전선용 선재 송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851A
KR20040078851A KR1020030013743A KR20030013743A KR20040078851A KR 20040078851 A KR20040078851 A KR 20040078851A KR 1020030013743 A KR1020030013743 A KR 1020030013743A KR 20030013743 A KR20030013743 A KR 20030013743A KR 20040078851 A KR20040078851 A KR 20040078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brake
tens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510B1 (ko
Inventor
이운선
Original Assignee
이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선 filed Critical 이운선
Priority to KR10-2003-001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5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07Details; Auxiliary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8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winding
    • H01B13/0858Details of winding apparatus; Auxiliary devices
    • H01B13/0866Brakes or tension regu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트위스팅(Twisting)하여 절연재로 피복하기 위해 트위스팅 머시인 (Twisting Machine;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꼬는 기계: 이하, 트위스팅 머시인이라 한다)으로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송출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구성은 프레임 틀체(1)의 측방에 설치 구성되는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부에 설치 구성되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와;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 전방부에 설치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부(4)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구성은 프레임 틀체(1)를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 및 가이드 롤러부(4)를 이중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다수의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할 시 늘어지거나 끊어짐이 없이 균일하게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되게 하여 트위스팅을 양호하게 한다.
둘째, 보다 많은 다수의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할 수 있고 송출 시 송출각도(θ)를 최소화하여 전선용 선재(S)가 단선 됨이 없이 원활하게 송출될 수 있다.
세째, 전선용 선재(S)를 송출하는 구성들을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이중 구성함으로써 프레임 틀체(1)는 그 부피가 크지 않게 되어 작업장의 장소를 보다 적게 차지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용 선재 송출기{Pay Off Supply}
본 발명은 전선용 선재 송출기(Pay Off Suppl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트위스팅(Twisting)하여 절연재로 피복하기 위해 트위스팅 머시인 (Twisting Machine;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꼬는 기계: 이하, 트위스팅 머시인이라 한다)으로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송출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선용 선재를 송출하는 송출기는 여러가닥의 선재를 송출할 시 세밀한 장력 조절이 유지되지 못하여 양호한 트위스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절연 피복이 불량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또 선재를 송출할 시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한 선재를 송출할 시 송출기 프레임 틀체의 일측부에서만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다수의 선재를 송출해야 할 경우 송출기의 부피가 늘어나 작업장 내의 넓은 장소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었고, 또 송출기 프레임 틀체가 횡방향으로의 길이가 늘어나 트위스팅 머시인으로의 선재 송출이 곤란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여러가닥의 전선용 선재를 트위스팅 머시인으로 송출할 시 균일하게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되게 하여 트위스팅을 양호하게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전선용 선재의 송출 수단을 프레임 틀체의 양측으로 이중 구성 함으로써 넓은 장소를 차지하지 않게 되고 트위스팅 머시인으로 전선용선재를 송출할 시 선재의 각도를 최소화하여 선재가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며 보다 많은 선재를 송출할 수 있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레임 틀체의 측방에 설치 구성되는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과, 상기 프레임 틀체의 상측부에 설치 구성되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와, 상기 프레임 틀체의 상측 전방부에 설치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부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레임 틀체를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틀체의 양측으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 및 가이드 롤러부를 이중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구성 중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구성 중 "텐션조절구"에 대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구성 중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의 일부 발췌 외형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프레임 틀체 2: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
3: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 4: 가이드 롤러부
5: 모터 6: 모터축
7: 마그네틱판 8: 회전축
9: 동판 10: 마찰판
11: 브레이크 12: 보빈축
15: 홈 16: 캡
17: 브레이크 패드 18: 브레이크 패드 고정구
19: 브레이크용 바 20: 지지안내구
22: 보빈 23: 지지판
24: 지지용 브라켓트 26: 레버용 브라켓트
27: 회동체 29: 편심 캠
30, 31, 35, 32: 제1, 제2, 제3, 제4 가이드 롤러
34: 롤러 지지봉 36: 롤러 바
37: 송출안내롤러 38: 스톱퍼용 롤러
40: 텐션 조절구 41: 하우징
42: 인장스프링 43: 조절구
45: 조절용 볼트 46: 노브
48: 가이드공 49: 스톱퍼
50: 고리 52: 롤러
S: 전선용 선재 T: 트위스팅 머시인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1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프레임 틀체(1)의 측방에 설치 구성되는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부에 설치 구성되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와,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 전방부에 설치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부(4)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은 도2 및 도5에서와 같이 모터(5)의 전방으로 모터축(6)에 의해 마그네틱판(7)을 축설하고 상기 마그네틱판(7)의 전방에는 회전축(8)에 의해 동판(9)이 부착된 마찰판(1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8)에는 브레이크(11)를 축설하고 상기 브레이크(11)에는 보빈축(12)을 축설한다.
상기 마찰판(10)의 외측에는 케이스(13)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8)의 외측에는 하우징(14)을 설치하며 상기 브레이크(11)에는 홈(15)을 형성하고 상기 보빈축(12)의 선단에는 캡(16)을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11)의 홈(15)에는 브레이크 패드(17)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17)는 도5에서와 같이 일측부는 브레이크 고정구(18)에 의해 고정하고 타측부는 브레이크용 바(19)와 연결하되 이는 지지안내구(20)에 관통되어 상하 가이드되게 구성한다.
상기 브레이크 고정구(18)와 지지안내구(20)는 프레임 틀체(1)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2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보빈축(12)에는 전선용 선재(S)가 권취된 보빈(22)을 삽입 장착한다.
위와 같이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상기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에 대한 구성을 도2 내지 도4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프레임 틀체(1) 상측부에 지지판(23)을 갖는 지지용 브라켓트(24)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3)에는 축(25)에 의해 레버용 브라켓트(26)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축(25)에는 베어링으로 된 회동체(27)를 회동가능하게 축설한다.
상기 회동체(27)의 일측에는 축(28)에 의해 편심캠(29)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편심캠(29)은 상기 회동체(27)와 당접되게 설치 구성한다.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에는 제1 가이드 롤러(30)와 제2 가이드 롤러(31) 및 제4 가이드 롤러(32)를 축(33)(33a)(33b)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편심 캠(29)에는 롤러 지지봉(34)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롤러 지지봉(34)의 상측 선단부에 제3 가이드 롤러(3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지지용 브라켓트(24)의 선단부에 롤러 바(36)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롤러 바(36)의 하측 선단에는 송출안내롤러 (37)를 설치한다.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의 후방 선단부에 상기 브레이크용 바(19)를 고정되게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3)의 상측 선단에는 상기 롤러 지지봉(34)이 정지되게 하는 스톱퍼용 롤러(38)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용 브라켓트(24)에는 고정브라켓트(39)에 의해 텐션조절구(4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텐션조절구(40)는 도4에서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41)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41)의 내측에는 인장 스프링(42)을 내장 설치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하측에는 조절구(43)를 삽입 설치한다.
즉, 상기 조절구(43)는 외측으로 볼트형의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내측부와 결합되게 하고, 중앙부에는 너트부(44)를 형성하여 조절용 볼트(45)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조절용 볼트(45)의 하측 선단에는 노브(46)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 끝단부에는 캡(47)을 결합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41)의 측방에는 가이드공(48)을 소정의 길이 만큼 수직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조절구(43)의 측방에는 스톱퍼(49)를 돌출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공(48)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상측 선단부는 고리(50)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에 고정핀(51)에 의해 연결 고정한다.
위와 같이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4)에 대한 구성을 도1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틀체(1)의 전방 상측부에 상기 송출안내롤러 (37)로부터 가이드되어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롤러(52)를 롤러 축(53)에 의해 횡방향으로 설치 구성한다.
위와 같이 가이드 롤러부(4)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 및 가이드 롤러부(4)는 다수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된 도1 및 도6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프레임 틀체(1)를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 및 가이드롤러부(4)를 이중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시된 도6에서의 도면 부호 중 설명하지 않은 T는 다수의 전선용 선재를 트위스팅하는 트위스팅 머시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에 의해 보빈(22)으로부터 전선용 선재(S)를 상측으로 공급하고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가이드 롤러부(4)를 통해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된다.
즉, 상기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도2 및 도6에서와 같이 전선용 선재(S)를 보빈(22)으로부터 송출하여 상기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와 가이드 롤러부(4) 및 트위스팅 머시인(T)에 가설한 다음 상기 트위스팅 머시인(T)에서는 다수의 전선용 선재(S)를 당기면서 트위스팅을 실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5)를 구동시키면 모터축(6)에 축설된 마그네틱판(6)을 회전시키고 상기 마그네틱판(6)의 자력에 의해 동판(9)이 구성된 마찰판(10)을 회전시키며 상기 마찰판(10)이 회전되면 회전축(8)이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8)이 회전함에 따라 브레이크(11)와 보빈축(12)이 회전하고 상기 보빈축(12)이 회전함에 따라 보빈(22)에 권취되어 있는 전선용 선재(S)를 풀어 내어 프레임 틀체(1)의 상측부에 구성되어 있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로 이송한다.
상기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로 이송된 전선용 선재(S)는 제1, 제2, 제3, 제4 가이드 롤러(33)(33a)(35)(33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송출안내롤러(36)를 통해 가이드롤러부(4)로 이송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4)로 이송된 전선용 선재(S)는 롤러(52)의 안내에 따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가이드되어 트위스팅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하는 본 발명의 "전선용 선재 송출기"는 도2에서 전선용 선재(S)가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에 의해 정상으로 장력조절이 유지된 상태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는 트위스팅 머시인(T)에 의해 양호한 트위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가 비정상적으로 느슨하게 되면 이 경우 도2에서와 같이 인장 스프링(42)에 의해 인장력으로 레버용 브라켓트(26)를 축(25)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이때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는 축(25)을 중심으로 도2의 가상선(은선으로 도시하였음)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는 하측으로 하강하고 후방부는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후방 선단부에 결합한 브레이크용 바(19)를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또한, 축(25)에 설치된 베어링형 회동체(27)는 편심캠(29)과 당접되어 회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편심캠(29)에 결합된 롤러지지봉(34)이 후방으로 제쳐지고 이의 상측 선단부에 설치된 제3 가이드 롤러(35) 또한 후방으로 제쳐지게 되어 전선용 선재(S)를 당기게 된다.
이때 전선용 선재(S)가 송출되는 안내송출롤러(37)와 트위스팅 머시인(T)간에는 장력이 발생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용 바(19)가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도2 및 도5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17)는 브레이크(11)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보빈 축(12)을 제어하여 일시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이게 되고 이때 보빈(22)으로부터의 전선용 선재(S)의 풀림을 제어하게 되어 전선용 선재(S)는 정상적인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11)를 제어하여 보빈 축(12)을 일시 정지하거나 회전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유는 상기 모터 축(6)의 마그네틱판(7)과, 동판(9)이 부착된 마찰판(10)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그네틱판(7)의 흡착력에 의해 마찰판(10)을 회전시키고 있다.
그런데, 브레이크(11)를 제어하게 되면 그 제어력이 마그네틱판(7)의 흡착력 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어 마그네틱판(7)이 정상적인 회전수로 회전하더라도 마찰판(10)은 일시정시키거나 회전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찰판(10)과 회전축(8)으로 연결된 보빈축(1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하여 전선용 선재(S)가 정상적인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하다가 전선용 선재(S)에 비정상적으로 장력이 높아져 팽팽하게 되면 상기 제3 가이드 롤러(35)와 롤러 지지봉(34)을 전방으로 당기게되고 이 경우 상기에서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가 비정상적으로 느슨하게 되었을 경우 장상적인 장력으로 조절할 경우"의 역순에 따라 작용되어 브레이크 패드(17)에 의해 제어되어 있던 브레이크(11)를 해제한다.
이때 보빈축(12)의 회전수를 높여주게 되고 전선용 선재(S) 또한 보빈(22)으로부터의 풀림 속도를 높여주게 되어 정상적인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 중 텐션조절구(40)는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의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2 및 도4에서 노브(46)를 회전시키면 조절용 볼트(45)는 회전하고 조절구(43)는 스톱퍼(49)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므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조절하여 하측으로 하강된다.
이 경우 인장스프링(42)은 인장력이 커지게 되고 그 인장력은 레버용 브라켓트(26)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축(2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회동체(27)와 당접된 편심캠(29)은 상기 회동체(27)의 반대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 지지봉(34)의 제3 가이드 롤러(35) 또한 후방으로 제쳐지는 힘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도6에서 트위스팅 머시인(T)에서 전선용 선재(S)를 당기면서 트위스팅을 하고 있으므로 송출되는 전선용 선재(S)에는 장력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전선용 선재(S)에 장력을 낮추려면 상기 텐션 조절구(40)의 노브(4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대한 작용 설명은 상기에서 전선용 선재(S)에 장력을 높이게 할 경우의 작용 순서와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여러가닥의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할 시 늘어지거나 끊어짐이 없이 균일하게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되게 하여 트위스팅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즉, 도1 및 도6에서와 같이 프레임 틀체(1)가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 및 가이드 롤러부(4)를 이중으로 설치 구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다수의 전선용 선재(S)가 상기 가이드 롤러부(4)의 롤러(52)를 통해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될 시 송출각도(θ)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공급되어 전선용 선재(S)의 트위스팅을 양호하게 하고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쉽게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전선용 선재(S)를 송출하는 구성들을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이중 구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보빈(22)을 장착하여 많은 가닥의 전선용 선재(S)를 송출하더라도 프레임 틀체(1)는 그 부피가 크지 않게 되어 작업장의 장소를 보다 적게 차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다수의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할 시 늘어지거나 끊어짐이 없이 균일하게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송출되게 하여 트위스팅을 양호하게 한다.
둘째, 보다 많은 다수의 전선용 선재(S)를 트위스팅 머시인(T)으로 송출할 수 있고 송출 시 송출각도(θ)를 최소화하여 전선용 선재(S)가 단선 됨이 없이 원활하게 송출될 수 있다.
세째, 전선용 선재(S)를 송출하는 구성들을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이중 구성함으로써 프레임 틀체(1)는 그 부피가 크지 않게 되어 작업장의 장소를 보다 적게 차지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레임 틀체(1)의 측방에 설치 구성되는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부에 설치 구성되는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와;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상측 전방부에 설치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부(4)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은 모터(5)의 전방으로 모터축(6)에 의해 마그네틱판(7)을 축설하고, 상기 마그네틱판(7)의 전방에는 회전축(8)에 의해 마찰판(10)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8)에는 브레이크(11)를 축설하고, 상기 브레이크(11)에는 보빈(22)이 장착되는 보빈축(12)을 축설하며, 상기 브레이크(11)에는 브레이크용 바(19)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패드(17)를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는 프레임 틀체(1) 상측부에 지지판(23)을 갖는 지지용 브라켓트(24)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3)에는 레버용 브라켓트(26)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의 후방 일측에는 회동체(27)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체(27)의 일측에는 편심캠(29)을 상기 회동체(27)와 당접 회동되게 설치하며, 상기 레버용 브라켓트(26)의 전방으로 제1, 제2 및 제4 가이드 롤러(33)(33a)(33b)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편심 캠(29)에는 롤러 지지봉(34)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롤러 지지봉(34)의 상측 선단부에 제3 가이드 롤러(3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용 브라켓트(24)의 선단부에 롤러 바(36)를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의 하측 선단에는 송출안내롤러(37)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용 브라켓트(24)에는 텐션조절구(40)를 고정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텐션조절구(40)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41)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41)의 내측에는 인장 스프링(42)을 내장 설치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42)의 하측에는 조절구(43)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조절구(43)의 중앙부에는 노브(46)를 갖는 조절용 볼트(45)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41)의 측방에는 가이드공(48)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43)의 측방에는 스톱퍼(49)를 돌출되게 고정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
  5. 프레임 틀체(1)를 후광전협(後廣前狹)의 형상, 즉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틀체(1)의 양측으로 보빈장착 및 브레이크 수단(2)과, 서플라이용 텐션헤드부(3) 및 가이드 롤러부(4)를 이중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선재 송출기.
KR10-2003-0013743A 2003-03-05 2003-03-05 전선용 선재 송출기 KR10049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43A KR100496510B1 (ko) 2003-03-05 2003-03-05 전선용 선재 송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43A KR100496510B1 (ko) 2003-03-05 2003-03-05 전선용 선재 송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501U Division KR200316487Y1 (ko) 2003-03-05 2003-03-05 전선용 선재 송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51A true KR20040078851A (ko) 2004-09-13
KR100496510B1 KR100496510B1 (ko) 2005-06-22

Family

ID=3736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743A KR100496510B1 (ko) 2003-03-05 2003-03-05 전선용 선재 송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443A (zh) * 2015-11-04 2016-02-17 江阴神辉电工材料有限公司 合金加热丝放线装置
CN107857166A (zh) * 2017-11-30 2018-03-30 河南送变电建设有限公司 一种分线张力机
WO2023127449A1 (en) * 2021-12-27 2023-07-06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accommodation device and electric wire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443A (zh) * 2015-11-04 2016-02-17 江阴神辉电工材料有限公司 合金加热丝放线装置
CN107857166A (zh) * 2017-11-30 2018-03-30 河南送变电建设有限公司 一种分线张力机
WO2023127449A1 (en) * 2021-12-27 2023-07-06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accommodation device and electric wir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510B1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7661C (zh) 送纱器
CN106676690B (zh) 一种用于操作倍捻或并捻机的锭子的方法
KR100496510B1 (ko) 전선용 선재 송출기
KR200316487Y1 (ko) 전선용 선재 송출기
US8474234B2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KR200367719Y1 (ko)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텐션 조절장치
US20070169460A1 (en) Open-end rotor spinning device
CN210001300U (zh) 一种高速并纱机
CN112189403A (zh) 精准定种型种绳编织机
CN113734905B (zh) 全自动收线机
CN210480413U (zh) 一种具有张力调节功能的纺织加工用同步放线装置
JP6358187B2 (ja) 紡機におけるドラフト装置
CN210505020U (zh) 一种紧密赛络纺纯涤纱的出纱导线装置
CN219280354U (zh) 包芯三股绳一体机的单股绳绕线硬度调节装置
CN201006919Y (zh) 直捻机可调节的磁力张力器
KR200176901Y1 (ko) 낚시줄 권취기
CN217996349U (zh) 一种退扭对绞机的自动排线和张力调节装置
CN214269705U (zh) 一种卷线装置
JPH07320565A (ja) ボビン用フライヤ
KR20020073055A (ko) 경편기의 소극적 경사송출장치
JP3467690B2 (ja) 撚線機における繰り出し素線の張力調整装置
CN216404698U (zh) 锭子的出丝组件以及锭子
CN117466078A (zh) 草丝包覆机的张力控制装置
CN215828954U (zh) 转杯纺纱设备用混纺加装组件
CN213772299U (zh) 一种熔喷lft模头捻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