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575A -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575A
KR20040078575A KR1020040014224A KR20040014224A KR20040078575A KR 20040078575 A KR20040078575 A KR 20040078575A KR 1020040014224 A KR1020040014224 A KR 1020040014224A KR 20040014224 A KR20040014224 A KR 20040014224A KR 20040078575 A KR20040078575 A KR 2004007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top
readable medium
display
computer readable
map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9219B1 (ko
Inventor
호크-섬호라티우스 루크
버케스오토지.
윌리암스데이비드더블유.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7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한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 또는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맵 페인을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 위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맵 페인 위의 커서 검출에 응답하여 맵 페인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맵 페인 내에서 프레임을 드래깅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가상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맵 페인은 바람직하게는는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맵 페인의 프레임 내에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의 부분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포함된 2003년 3월 4일자 출원의 미국 가출원 제60/451,97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네비게이팅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handheld computing device)는 최근에 꾸준히 그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이 장치는 팜탑(palmtops), 포켓 컴퓨터(pocket computer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퍼스널 오거나이저(personal organizers),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handheld personal computers), 및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s)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름으로 통하며,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핼드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는 터치 스크린(touch-sensitive screen)을 구비한 LCD, 스크린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스타일러스(stylus), 및 키패드나 미니어쳐 QWERTY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갖는 소형의 포켓 크기 장치이다. 핸드핼드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며, 운영 체제 및 운영체제 상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의 가장 바람직한 특성들 중 하나는 그 휴대성이다. 컴팩트하고 휴대가능한 핸드핼드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는 e-메일, PIM(개인 정보 관리: Personal Infomation Management), 인터넷 브라우저, 스프레드시트 (spreadsheet), 및 워드 프로세싱과 같은 실제 컴퓨터 또는 유사 컴퓨터 어플리케이션들, 및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종래의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로서, 사용자는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e-메일 메시지를 수신하고, 회의 또는 약속 스케줄을 정하고, 인터넷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컴퓨터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현재 일반적이다. 이는 명령 라인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또는 메뉴 구동 인터페이스(menu-driven interface)에 비해 보다 직관적이고 유연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그래픽적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히 대중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Microsoft Window XP 운영 체제와 함께 제공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퍼스널 컴퓨터 및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상에서는 잘 동작하지만, 몇몇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들은 모바일 폰, PDA 및 충분히 발전된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핸드핼드 장치 상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로의 크기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퍼스널 컴퓨터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PDA 크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대각선 5″또는 그 미만)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면, 텍스트 및 아이콘들은 너무 작아서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식별이 어려울 것이다. 또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네비게이팅 및 편의성은 소형 스크린 상에서는 어려워질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아이콘이 원하는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해도, 아이콘이 너무 작아서 사용자가 그 아이콘(타겟) 위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요는 아니다. 이는 본 발명의 핵심/중요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확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는 단지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간단한 형태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virtual desktop) 또는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와,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 위에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맵 페인(map pane)을 표시하는 단계와, 맵 페인 위에서 커서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맵 페인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맵 페인 내에서 프레임을 드래그(drag)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가상 데스크탑을 패닝(pan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맵 페인은 바람직하게는 가상 데스크 탑의 축소된 화상(scaled down image)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맵 페인의 프레임 내에서의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의 부분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에 대응한다. 한 실시예에서, 맵 페인은 디스플레이 내에서 재위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우측 하부 코너(corner)에서 맵 페인을 갖도록 선택하거나, 스크린 상의 바로 중심에서 맵 페인을 갖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 또는 가상 데스크탑의 일 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의 맵 페인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검출에 응답하여(전용 또는 fn+ 하드웨어 버튼과 같은 하드웨어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음), 상기 방법은 가상 데스크탑에 관련한 부분을 보여주는 맵 페인을 디스플레이하며, 이 맵 페인은 가상 데스크탑에 관련한 부분을 한정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맵 페인 내에서 프레임을 드래그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그 부분을 패닝(pann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맵 페인 디스플레이 신호의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맵 페인을 숨기는 단계(hiding)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맵 페인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검출에 응답하여 (a) 맵 페인의 불투명도를 점차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한 부분 위에 내부 프레임을 구비한 맵 페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맵 페인 내에서 프레임을 드래그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패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이 패닝은 커서 이동의 방향에 관련될 수 있으며 패닝의 속도에 있어서 1:1 또는 1:X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줌(zoom)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toggl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가상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줌 조절된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팬 버튼 누름 및 유지의 검출에 응답하여, 가상 데스크탑은 대응하는 방향으로 패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먼저 제1 상태(전체 데스크탑)로 다시 줌-아웃(zoom out)하고, 사용자에게 제2 상태의 영역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프레임을 제공하고, 다음에 사용자가 제1 상태 내의 프레임을 이동시켜 원하는 제2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도록 허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하드웨어 버튼의 해제(releasing) 시에, 디스플레이는 자동적으로 선택된 위치에서 제2 상태로 다시 복귀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드웨어 줌 버튼 누르고 해제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이러한 2가지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의 각 코너 상에 있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패닝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패닝 버튼들은 버튼 위치를 향한 또는 정해진 위치를 향한 패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타스크 바 상태(task bar state)와 제2 타스크 바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스크 바의 한 예는 MicrosoftWindows XP 운영 체제에서 구현된 스타트 바(start bar)와 같은 타스크 바이다. 제1 타스크 바 상태는 숨겨진 타스크 바를 포함하고, 제2 타스크 바 상태는 디스플레이된 타스크 바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된 타스크 바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가상 데스크탑 위에 디스플레이되고, 타스크 바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1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숨겨진)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변화할 경우에도, 타스크 바 크기(예를 들어, 폭)는 변화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타스크 바 상태와 제2 타스크 바 상태 사이의 토글링이 예를 들어, 하드웨어 버튼 또는 하드웨어 펑션(function)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줌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가상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선택된 시간 간격 후에도 여전히 줌 버튼이 눌려져 있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표시될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 주위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마우스 클릭에 응답하여 커서 위치 주위에 프레임 중심이 오게 하는 단계와,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커서 드래그의 방향으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줌 버튼이 더이상 눌러지지 않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상태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줌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가상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팬 버튼 누름 및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커서 드래그의 방향으로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팬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될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 주위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마우스 클릭에 응답하여 커서 위치 주위에 프레임 중심이 오도록 하는 단계와,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커서 드래그의 방향으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팬 버튼이 더이상 눌러지지 않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상태로 토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향상된 네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메모리로부터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핸드핼드 포터블 컴퓨팅 장치가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키보드가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 포함될 수 있으며, 동시에 눌러진 키보드 상의 2개 이상의 키들의 조합이 팬 버튼 누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커서를 이동시키고 커서를 드래그할 수 있게 하는 터치 감지형일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핸드핼드 포터블 컴퓨팅 장치가 또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개방 위치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폐쇄 위치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도 1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수직 측면도.
도 3은 폐쇄 위치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도 1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폐쇄 위치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도 1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수평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비디오 메모리의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식적 표현도.
도 6은 커서가 맵 페인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일 수 있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도식적 표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비디오 메모리의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식적 표현도.
도 8은 커서가 맵 페인의 에지를 드래그한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맵 페인의 위치가 변화되었을 때 보일 수 있는,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식적 표현도.
도 9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패닝 버튼들, 줌 버튼 및 줌 표시기 LED를 추가 구성요소들로서 갖는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줌 모드(zoomed mode)의 도식적 표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 페인 및 반투명 타스크 바(translucent task bar)를 도시한, 도 10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줌 모드의 도식적 표현도.
도 12 및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데스크탑의 일부만을 도시한, 가상 데스크탑의 패닝을 나타낸 표현도.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줌-인 모드(zoomed in mode)와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 사이의 크기 조절(scaling) 및 이동(shifting)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줌-인 프레임을 갖는 전체 가상 데스크탑의 도식적 표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
28: 디스플레이
310: 축소된 화상
320: 가상 데스크탑
350: 디스플레이된 화상
360: 맵 페인
370: 프레임
380: 커서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위해, 특정한 구성들 및 세부사항들이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널리 공지된 특징들은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지 하도록 하기 위해 생략되거나 간소화될 것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handheld computing device)"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 디스플레이, 및 전형적으로 표준 크기의 키보드가 아닌(그러나 표준 크기의 키보드도 사용될 수 있음) 입력 메카니즘을 갖는 소형 범용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입력 메카니즘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패드, 터치 스크린, 트랙볼, 터치 패드(touch-sensitive pad), 소형 알파벳 및/또는 QWERTY 키보드 등일 수 있다.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의 한 실시예의 일례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로서 실시되어 있다. 용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며,특히 PDA, 퍼스널 오거나이저, 팜탑 컴퓨터, 셀 폰, 컴퓨터 노트패드(computerized notepad), 포켓 컴퓨터,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 및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덮개(lid, 24) 및 기부(base, 26)를 갖는 케이싱(casing, 22)을 구비한다. 덮개(24)는 개방 위치(도 1)와 폐쇄 위치(도 2 내지 도 4) 사이에서 피벗하도록 기부(26)에 힌지(hinge)로 연결된다.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덮개(24)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인 디스플레이(28)를 갖는다.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에는 디스플레이(28)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스타일러스(30)와 소형 알파벳 및/또는 QWERTY 키보드(32)가 설비되며, 이 둘은 기부(26)에 장착된다. 스타일러스가 아닌 다른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s)의 예들은 다수의 랩탑 컴퓨터 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포인팅 버튼, 스틱 또는 패드, 트랙볼, 트랙 패드, 및 조이스틱을 포함한다. 한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쉬운 보다 소형의 포인팅 장치들이 몇몇의 구현예들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전통적인 마우스가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실시예에서, 마우스를 네비게이팅할 표면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또한 적외선(IR) 트랜시버 및/또는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도시생략)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는 덮개(24)와 기부(26)를 갖는 2-구성요소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를 나타내지만,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의 다른 구현예들은 몇몇의 컴퓨터노트패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힌지 연결된 구성요소(hinged components) 없이 통합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은 슬라이드 가능한 덮개(slidable lid)를 갖거나 전혀 덮개를 갖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키보드를 갖지 않으며 힌지 설계를 갖지 않는다. 이는 터치 스크린과 하나 이상의 버튼(화면 상의 "소프트 키" 버튼 또는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의 케이싱(22)의 측면 상의 하드웨어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조사들은 적절한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를 제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들과 달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 큰 데스크탑의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구현된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8)와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상의 운영 체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네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선점들을 사용하여,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가 Windows 브랜드 운영 체제를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은 운영 체제의 일부로서 또는 그래픽 장치 드라이버나 다른 소프트웨어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커서"는 위치를 마킹하는, 디스플레이(28)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가능한 심볼과 같은 아이템이다. 그 위치는 현재의 엔트리 위치(예를 들어, 다음 문자가 나타날 장소)의 표시일 수 있다. 심볼은 화살표, 장방형(solid rectangle) 또는 밑줄 부호(underline character)로 구성될수 있으며(이들 예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님), 플래시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커서 드래그(cursor drag)", "커서를 드래그", 또는 "커서 드래깅"은 커서가 전형적으로 통상 모드가 아닌 제2 모드에 있는 동안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제2 모드는 커서 동작 전에 버튼 또는 키(예를 들어, 마우스 버튼, 트랙볼 버튼, 시프트 키 또는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나 디스플레이 상의 "소프트 키")를 처음에 누르고, 커서 동작 동안 또는 핸드핼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다른 동작 동안에 버튼 또는 키의 상태를 유지한 결과일 수 있다. 커서 드래그 동안에, 커서는 드래그 동작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도록 변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커서는 화살표 모양으로부터 펼쳐진 손 형태 또는 움켜쥐고 있는 손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소형 디스플레이(28)를 갖는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와 같은)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 상에서 큰 데스크탑을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비디오 메모리(프레임 버퍼)의 컨텐츠가 블럭(300)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출력 회로(340)는 비디오 메모리의 부분들을 디스플레이(28) 내의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으로서 표현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상 데스크탑(320)이 블럭(300) 내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의 운영 체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브시스템(subsystem)이 인지하는 전체 데스크탑이다. 전통적인 컴퓨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대각선 19-인치)가 주어지면, 그 가상 데스크탑은 800×600화소, 1024×768 화소, 또는 디스플레이(28)의 이용가능한 메모리량 및 크기에 따른 다른 값일 수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컬러로 표현되지만, 흑백 또는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또한 고려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디스플레이의 축소된 화상(310)이 또한 비디오 메모리 내에 (즉, 블럭(300) 내에) 유지된다. 축소된 화상(310)의 기능은 다음에서 설명된다.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퍼스널 컴퓨터들에서, 전체 가상 데스크탑(320)이 디스플레이(28)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상(35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인(zoomed-in)" 모드가 제공되어 가상 데스크탑(320)의 (블럭(300)에서 점선(330)으로 둘러싸인) 한 부분이 비디오 출력 회로(3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상(35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원한다면, 다음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전체 가상 데스크탑(320)("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과 상기 부분(330)("줌-인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와 줌-인 모드(zoomed in mode) 사이의 변화는 버튼을 누르거나 디스플레이(28) 상에서 적절한 기능을 선택하는 것과 같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 상에서 수행되는 적절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들이 다음에서 제공된다.
또한, 비디오 출력 회로(34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일부로서 디스플레이(28) 상에 표현하기 위한 가상 데스크탑(320)의 축소된 화상(310)을 오버레이(overlay)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소된 화상(31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일부로서 도시된 맵 페인(map pane, 360)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레임(370)은 맵 페인(360)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레임(370)은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 주위의 경계(border)를 나타낸다. 또한, 커서(380)가 비디오 출력 회로(340)에 의해 디스플레이(28) 상에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맵 페인(360)의 위치 및 불투명도는 맵 페인(360)에 관련한 커서(380)의 위치 및/또는 커서에 대해 취해지는 동작들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도 5는 맵 페인(360)이 약간 반투명한 디스플레이(28)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보다 불투명한 맵 페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커서(380)는 맵 페인(360)으로부터 멀리 있으며, 따라서 맵 페인은 보다 덜 불투명하다. 도 6에서, 커서(380)는 맵 페인(360)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맵 페인이 보다 불투명하게 된다. 이러한 예에서, 맵 페인(360)은 커서(380)가 맵 페인(360) 위에 위치할 때 더 불투명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하드웨어 버튼(들)을 누르는 것, 커서(380)에 대해 상이한 동작을 취하는 것(예컨대, 스크린의 빈 부분 상에서의 더블 클릭)과 같은 기타 동작들이 맵 페인(360)을 보다 불투명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데스크탑(320)의 어느 부분(330)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으로서 표시되는지를 변경하도록 프레임(370)이 (예를 들어, 커서(38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예를 사용할 때, 프레임(370)은 커서(380)에 의해 맵 페인(360) 내의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되었다.이에 응답하여, 가상 데스크탑(320)의 상이한 대응 부분(330)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특징은 사용자가 가상 데스크탑(320)의 어느 부분(330)이 디스플레이될지를 패닝 및 제어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으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실제 부분(330)은 맵 페인(360) 내의 프레임(370)에 의해 표현된다. 원한다면, 이 부분(330)은 프레임이 맵 페인(36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370)을 이동시키는 것은 커서(380)로 프레임을 드래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380)가 프레임(370) 내에 있을 때, 프레임(370)이 위치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펼쳐진 손(도시 안됨)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개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버튼들 또는 다른 포인터들)과 같은 다른 수단이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예들은 다음에서 설명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도 5의 예를 사용할 때, 가상 데스크탑(320)의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상의 맵 페인(360)의 위치는 (맵 페인(360)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370)과 혼동되지 않도록) 커서(380)가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를 드래깅한 결과로서 변화되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식으로 맵 페인(360)을 이동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으로서 도시된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을 변경하지 않는다. 단지 맵 페인(360)의 위치만이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맵 페인(360)을 이동시키는 것은 커서(380)로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를 드래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380)가 보더(365) 상에 있고 프레임(370)을 이동시킬 수 있을 때, 커서(380)는 플래싱(flashing), 아이콘의 변화, 또는 이미 사용된 아이콘의 재구성과 같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개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버튼들 또는 다른 포인터들)과 같은 다른 수단들이 맵 페인(360)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프레임(370)의 외부이지만 여전히 맵 페인 (360)의 주변 경계(365) 내를 클릭하여 목표 지점에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의 중심이 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중심 재설정을 제공한다. 원한다면, 프레임(370)의 외부이지만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 내에서 커서(380)를 이동시키는 것은 커서(380)가 중심 재설정 특징(re-centering feature)이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도록 변화되게 한다(예를 들어, 포인팅 손가락이 됨).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380)의 말단은 프레임(370) 외부지만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 내에 위치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원한다면, 상기 위치에 커서(380)를 위치시키는 것은 커서(380)가 포인팅 손가락(도시 안됨)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커서(380) 구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영역 내에서 커서(380)를 클릭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선택하는 것은 프레임(370)의 중심이 클릭된 지점 상에 재설정되게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재설정을 위해 선택된 위치가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에 근접한다면, 프레임이 맵 페인(360)의 주변 경계(365) 내에서 유지되는 이용 가능한 가장 근접한 지점에 프레임(370)이 위치될 것이다. 이러한 영역 내에서 맵 페인(360)을 클릭할 때,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은 프레임(370)의 새로운 위치를 반영하도록 즉시 이동된다.
프레임(370) 및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의 중심 재설정이 도 7의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에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부분(330)은 가상 데스크탑(320)의 최좌측 중심으로 이동되었으며, 이는 도 6에서 배치된 바와 같이 가상 데스크탑(320)의 좌측 중심측에서의 커서(380)의 클릭에 응답한 프레임(370)의 이동과 일치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다수의 특징부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몇몇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는 디스플레이(128)를 구비한 케이싱(12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8) 주위에 하나 이상의 패닝 버튼(80)들 및 줌 버튼(100)이 위치한다. 이러한 패닝 버튼(80)들 및 줌 버튼(100)은 "하드웨어" 버튼들, 예를 들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의 케이싱(122)의 외측 에지들을 따라 배치되는 물리적인 버튼들일 수 있다. 버튼(80, 100)들은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128)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 예를 들어, 클릭에 의해 시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8)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커서를 드래그하고 마우스를 클릭하도록 하는 터치 스크린 LCD이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는 또한 줌 표시기 LED(90)를 포함한다. 이러한 줌 표시기 LED(9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도시 안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드라이버(도시 안됨)에 의해 켜지거나 꺼져 가상 데스크탑(320)이 제1 줌-인 상태(예를 들어,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을 나타냄)에 있는지 제2 줌-아웃 상태(예를 들어, 그 전체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상 데스크탑(320)의 많은 부분을 나타냄)에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는 대안적으로 스피커(도시생략)를 구비하여 줌 및 패닝 동작 동안에 사용자에게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는 바람직하게는 포인팅 장치(30)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맵 페인(360)은 팝업 윈도우(pop-up window)로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닝 버튼(8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읽는 독자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하나의 패닝 버튼(80)을 누름 및/또는 유지하는 것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단일 패닝 버튼(80)이 사용되거나 복수개의 패닝 버튼(80)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어느 경우든,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맵 페인(360)은 디폴트로 보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은 예를 들어, 맵 페인(360)이 보이지 않으면서, 전체 가상 데스크탑(320)(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 또는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도 10에 도시된 줌-인 모드)의 통상적인 모습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가상 데스크탑(320) 상의 원하는 위치에 커서(380)를 위치시키고 소정의 기능(예를 들어, 패닝 버튼(80)을 누르고 유지)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맵페인(360)이 커서(380)의 위치에 나타나게 한다(도 11). 맵 페인(3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맵 페인(360)을 팝업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 상의 패닝 버튼(80)을 누른 상태로 유지하고 나서,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어디에서나 포인터를 클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380)가 디스플레이(128) 상에서 클릭되는 지점은 맵 페인(360)이 팝업될 위치이다. 원한다면, 맵 페인(360)은 명암도가 천천히 증가하거나 사용자에게 즉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 팝업 맵 페인(360)이 사용된다면, 맵 페인(360)은 디스플레이(128) 상에서 완전히 보이도록 항상 팝업될 것이다. 이를 위해, 커서(380)가 디스플레이(128)의 에지에 근접한 위치를 가리켜 중심에 있는 맵 페인(360)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게 한다면, 맵 페인(360)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내에 완전히 있게 되는 커서(380)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지점에 맵 페인(360)이 배치된다. 맵 페인(360)은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28)의 중간과 같이 디폴트 팝업 위치(default pop-up position)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팝업 맵 페인(360)을 사용할 때, 맵 페인이 보인 후에, 소정 간격, 즉 3 초 후에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맵 페인은 사용자가 사용(예를 들어, 프레임(370)을 이동)하는 동안 보이게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후에, 아마도 비사용 기간 후에 사라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줌-인 모드에 있는 동안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화상(350)을 클릭 및 드래그할 수 있으며, 보이는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이 커서(380)를 따라 이동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38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위의 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커서(380)를 선택하고 그것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가상 데스크탑(320)의 가시 부분(330)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도 13에서의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을 나타낸다. 원한다면, 맵 페인(360)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된 화상(350)과 함께 이동하거나 고정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고, 맵 페인(360) 내의 프레임(370)은 이동되는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원한다면, 줌 버튼(100)은 줌-인 모드(즉,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이 보여짐)와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즉, 전체 가상 데스크탑(320)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으로서 보여짐) 사이에서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을 토글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이 줌-인 모드에서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로 변화될 때, 가상 데스크탑(320)의 보이는 부분(330)은 크기 조절되고,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에 관련한 줌-인 뷰의 관계를 보강하는 위치로 동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특징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부분(330)은 보다 중심에 오도록 되어 줌-인 모드와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의 관계를 보강한다. 이러한 특징은 줌-인 모드에서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중간 위치 디스플레이의 단계들은 애니메이션의 품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원한다면,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와 줌-인 모드 사이의 완전한 토글링은 한 기능(예를 들어, 줌 버튼(100)을 누름 및 해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부분적인 토글링(즉, 중간 위치에서 중단하도록 함)이 제2 기능(예를 들어, 줌 버튼(100)의 누름 및 유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에 있을 때, 줌-인 프레임(420)이 제공될 수 있다. 줌-인 프레임(420)은 줌-인 모드에 있을 때 가상 데스크탑(320)의 가시 영역(즉, 부분(330))의 범위를 나타낸다. 중간 보기(즉, 줌-인 보드와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 사이)가 제공된다면, 줌-인된 프레임이 중간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원한다면, 전체 가상 데스크탑 모드가 보여지는 내내 줌-인된 프레임이 보여질 수 있으나 반투명하다. 대안적으로, 줌-인된 프레임(420)을 나타내기 위한 메카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줌 버튼(100)과 패닝 버튼(80) 양자 모두를 선택하거나, 줌 버튼을 누르고 유지하거나, 다른 동작이 프로그래머에 의해 정의된 바대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120)의 8개의 패닝 버튼(80)(도 9)은 자동 패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패닝 버튼(80)들 중 4개는 코너(예를 들어, 각 코너, 즉 북동, 남동, 남서, 및 북서 코너에 하나씩)에 위치하며, 다른 4개는 코너 패닝 버튼(80)들 사이에 배치된다. 4개의 코너 패닝 버튼(80) 중 임의의 것을 누를 때, 핸드핼드 컴퓨팅 장치(20)는 패닝하고 디스플레이(128)의 네이티브 해상도(native resolution)로 가상 데스크탑(320)의 연관된 코너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예를 들어, 줌-인 모드).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 버튼들 사이에 배치된) 센터 패닝 버튼(80) 중 임의의 것을 누르는 것은 디스플레이(128)의 네이티브 해상도로 가상 데스크탑(320)의 중심 측면(centered side)을 디스플레이한다.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패닝 버튼(80)을 누르고 유지하는 것과 같이 가상 데스크탑(320)의 중심을 보이기 위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하드웨어 버튼(예를 들어, 패닝 버튼(80))을 통해 가상 데스크탑(320)의 상이한 영역들을 억세스하도록 하며, 가장 빈번한 보기(view)에 대한 신속한 억세스를 제공한다.
원한다면, 각각의 패닝 버튼(80)의 코너 또는 측면으로의 즉각적인 패닝 대신에, 패닝 버튼(80)을 누르는 것은 현재 위치로부터 눌려진 패닝 버튼(80)을 향한 부드러운 패닝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데스크탑(320)의 좌하측 코너가 처음에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28)의 좌상측의 패닝 버튼(80)을 누르는 것은 가상 데스크탑(320)이 그 좌상측 코너를 나타내도록 부드럽게 패닝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8)의 우상측 코너의 패닝 버튼(80)을 누르는 것은 가상 데스크탑(320)이 그 우상측 코너를 나타내도록 부드럽게 패닝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8)의 좌하측 및 좌우측 코너들의 패닝 버튼(80)은 코너 패닝 버튼들 사이에 배치된 패닝 버튼들과 같은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분(330)이 표현될 때 타스크 바(390)(예를 들어, Microsoft Windows XP 운영 체제에서와 같은 "스타트 바")가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한 에지를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타스크바(390)는 가상 데스크탑(320) 아래에 있지만, 타스크 바(39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위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예를 들어, 원한다면 상부 또는 측면 에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스크 바(39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 내에서 보이는 부분(330)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게 동일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원한다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부들과 마찬가지로, 타스크 바(39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에 도시된 가상 데스크탑(320)의 부분(3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타스크 바(390)는 지속적일 수 있으며 또는 숨겨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속적이라면, 타스크 바(39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부분을 남겨두는 상태로 디스플레이(28)의 영구적인 영역을 차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스크 바(390)는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의 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여진다. 즉, 타스크 바(390)는 반투명하다. 타스크 바(39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하다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과 타스크 바(390) 상의 제어부 모두에 대한 지속적인 억세스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28)와 동일한 폭(예를 들어, 640 화소)일 수 있는 타스크 바(390)는 전체 디스플레이 화상(350)의 표면 상에서 플로팅된다. 도 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상(350)을 잡아 드래깅하는 것은 가상 데스크탑(320)이 고정된 타스크 바(390) 아래에서 슬라이드하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타스크 바 버튼(410)(도 9)을 통해 타스크 바(390)를 숨기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타스크 바 버튼(410)은 토글링 기능을 갖는다. 다른 특징부들은 디스플레이(28)에 대해 취해진 동작들 또는 하드웨어 버튼 조합들과 같이 타스크 바(390)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타스크 바(390)가 숨겨진다면, 사용자는 들어오는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운영 체제 통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것 등의 동작시 즉각적으로 가상 데스크탑(320)에 나타나는 타스크 바(390)를 자동적으로 갖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변경 구성을 허용하지만,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위에서 상세히 기술되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모든 변형, 다른 구성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려고 함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공보, 특허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조문헌들은 각각의 참조문헌이 참조로서 포함되거나 그 전체가 기술되도록 참조문헌들이 개별적이고 특별하게 나타나는 정도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에서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장(특히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문장)에서 특별히 표시하지 않거나 특별히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단수 및 복수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용어 "로 이루어지는", "갖는",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은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개방형 용어(즉,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을 포함하는"을 의미)로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값들의 범위의 설명은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그 범위 내에 있는 각각의 별개의값을 개별적으로 참조하는 간단한 표기법의 역할만을 하도록 한 것이며, 각각의 개별적인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설명된 것처럼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모든 방법들은 달리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특별히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임의의 적절한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예들의 사용 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예시어(예를 들어, "와 같은")는 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히 하는데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에 알려진 최선의 모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들의 변형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숙독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적절한 변경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하며,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특정하게 기술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이 실시되는 것도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발명의 모든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달리 표시되거나 명확하게 부인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상술한 구성요소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목들은 구성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특허청구범위의 특정사항에 대한 해석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8)

  1.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은,
    (a) 디스플레이 상에 데스크탑(desktop)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b)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맵 페인(map pane)을 상기 데스크탑의 한 부분 위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c) 상기 맵 페인 위에서의 커서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맵 페인의 불투명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맵 페인 내에서 상기 프레임을 드래깅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pann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가상 데스크탑의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d)는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다른 제2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 데스크탑은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보다 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의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데스크탑의 상기 축소된 화상의 부분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부분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맵 페인을 드래깅하는 커서에 응답하여 상기 데스크탑 상의 다른 위치로 상기 맵 페인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패닝 동작의 검출에 응답하여 사운드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드래깅된 상기 프레임의 검출에 응답하여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프레임이 드래깅될 수 있는 경계로서역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은 상기 맵 페인이 드래깅될 수 있는 경계로서 역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데스크탑 상의 소정의 위치로 디폴트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스크탑 상에 타스크 바(task ba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스크 바는 상기 맵 페인이 드래깅될 수 있는 경계로서 역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커서가 상기 타스크 바 위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타스크 바를 숨기는(hiding) 단계와,
    특정한 영역 내에서 플로팅(floating)하는 커서에 응답하여 상기 타스크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타스크 바가 상기 맵 페인과 중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맵 페인을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커서가 상기 타스크 바 위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타스크 바를 숨기는 단계와,
    특정한 영역 내에서 플로팅하는 커서에 응답하여 상기 타스크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타스크 바와 맵 페인이 중첩하는 경우 상기 타스크 바 위에 상기 맵 페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맵 페인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별 선호(per-user preferences)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 상의 상기 맵 페인의 위치는 고정되며 변경될 수 없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가능하며, 상기 프레임 크기는 상기 맵 페인의 크기의 고정 비율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조감도를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프레임이 드래깅됨에 따라 상기 데스크탑을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다른 부분들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프레임 드래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데스크탑을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다른 부분으로 갱신하는 것을 대기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은 스크린 새로 고침(screen refresh)마다 한 번 계산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데스크탑의 축소된 화상은 각각의 프레임 드래그 동작의 종료시에 계산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은,
    (a) 디스플레이 상에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b) 사용자로부터의 맵 페인 디스플레이 입력 신호의 검출에 응답하여,
    (1)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맵 페인을 상기 데스크탑의 한 부분 위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2) 상기 프레임을 상기 맵 페인 내에서 드래깅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와,
    (c) 상기 맵 페인 디스플레이 신호의 종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맵 디스플레이 페인을 숨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 디스플레이 신호는 키 누름 및 마우스 클릭 조합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 디스플레이 신호의 종료는 키 업(key up) 또는 마우스 업(mouse up)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 디스플레이 신호는 복수개의 동시 키 누름 조합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데스크탑 상의 고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은 상기 커서 클릭 위치에 그 중심이 오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맵 페인의 디스플레이 동안에 상기 커서의 이동은 상기 맵 페인 내에서 상기 프레임을 드래깅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의 한 부분 위에 맵 페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맵 페인의 불투명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3) 상기 맵 페인 외부로 드래깅하는 커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탑의 패닝은 상기 커서 드래깅 이동의 방향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데스크탑의 중심에 상기 맵 페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은,
    줌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toggling)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전체 데스크탑의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함 - 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a) 제1 팬 버튼 누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 방향으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와,
    (b) 제2 팬 버튼 누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2 방향으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와,
    (c) 제3 팬 버튼 누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3 방향으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와,
    (d) 제4 팬 버튼 누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4 방향으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제1 팬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제2 팬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3 팬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4 팬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센터 버튼의 누름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체 데스크탑의 중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팬 버튼이 눌러지는 동안 드래깅되는 커서에 응답하여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닝은 커서가 드래깅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툴바(toolbar) 상태 및 제2 툴바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툴바 상태는 숨겨진 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툴바는 디스플레이된 툴바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툴바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식으로 상기 데스크탑 위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툴바 치수(dimensions)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화할 때 변화하지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특정가능한 에지(user-specifiable edge)에 고정되며, 상기 툴바는 타스크 바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향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하향 방향이며, 상기 제3 방향은 좌측 방향, 상기 제4 방향은 우측 방향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 제5 팬 버튼 누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5 방향으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방향은 대각선 방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5 팬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모든 팬 버튼들의 대략 중심에서의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팬 버튼에서의 제2 지점까지 그려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2.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은,
    줌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데스크탑의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함 - 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줌 버튼이 선택된 시간 간격 후에도 여전히 눌러지고 있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a)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될 데스크탑의 부분 주위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b) 마우스 클릭에 응답하여, 커서 위치 주위에 프레임의 중심이 오도록 하는 단계와,
    (c)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 드래그 방향으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d) 줌 버튼이 더이상 눌러지지 않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로 토글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이동은 상기 데스크탑의 에지들에 의해 제한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줌 버튼이 선택된 시간 간격 후에도 여전히 눌러지고 있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커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점차적으로 크기 조절하고 패닝하도록 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6.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은,
    줌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상태와 제2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상에 전체 데스크탑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전체 데스크탑의 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함 - 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a) 팬 버튼 누름 및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커서 드래그의 방향으로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a) 팬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1)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될 데스크탑의 부분 주위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2) 마우스 클릭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 위치 주위에 프레임의 중심이 오도록 하는 단계와,
    (3) 커서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커서 드래그의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4) 상기 팬 버튼이 더이상 눌리지 않음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 상태로 토글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을 패닝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데스크탑의 퍼센트를 변화시킴이 없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전체 데스크탑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8.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을 줌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전체 데스크탑의 퍼센트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40014224A 2003-03-04 2004-03-03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099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197903P 2003-03-04 2003-03-04
US60/451,979 2003-03-04
US10/694,709 2003-10-28
US10/694,709 US7369102B2 (en) 2003-03-04 2003-10-28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575A true KR20040078575A (ko) 2004-09-10
KR101099219B1 KR101099219B1 (ko) 2011-12-27

Family

ID=327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224A KR101099219B1 (ko) 2003-03-04 2004-03-03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69102B2 (ko)
EP (1) EP1457868A3 (ko)
JP (2) JP2004272906A (ko)
KR (1) KR101099219B1 (ko)
AU (1) AU2004200483B2 (ko)
BR (1) BRPI0400575A (ko)
CA (1) CA2457735A1 (ko)
MX (1) MXPA04001924A (ko)
RU (1) RU233501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431A1 (ko) * 2016-06-08 2017-12-1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680A1 (en) * 2002-08-26 2004-02-26 Mark Davis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ers with contact-sensitive displays
US7369102B2 (en) * 2003-03-04 2008-05-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US7299406B2 (en) * 2004-06-02 2007-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presenting spreadsheet document content
JP4789232B2 (ja) * 2004-10-05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操作モード制御方法
US20060071915A1 (en) * 2004-10-05 2006-04-06 Rehm Peter H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taking notes with sketches and typed text
US20090040238A1 (en) * 2004-10-25 2009-02-12 Mitsue Ito Image display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same
US9071870B2 (en) * 2004-12-08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digital visual content on a device
US20060168528A1 (en) * 2005-01-27 2006-07-2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rranging user interface glyphs on displays
US7626599B2 (en) * 2005-07-12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map in computer display magnification
US20070013723A1 (en) * 2005-07-12 2007-01-18 Microsoft Corporation Magnification engine and interface for computers
US7783993B2 (en) * 2005-09-23 2010-08-24 Palm, Inc. Content-based navigation and launching on mobile devices
JP5185124B2 (ja) * 2005-10-14 2013-04-17 ヤフ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タラクティブな地図生成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70143010A1 (en) * 2005-12-20 2007-06-21 Henrik Jensfelt Physical navigation button surrounded by a display
JP4855085B2 (ja) 2006-01-27 2012-01-18 興和株式会社 視野計
US7652662B2 (en) * 2006-04-26 2010-01-26 Mediatek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80114585A1 (en) * 2006-11-10 2008-05-15 Sherryl Lee Lorraine Scott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Selectable Input Mode Indicator, and Associated Method
US8069029B2 (en) * 2006-11-10 2011-11-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axis input device and selectable language indicator for languag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EP1926075B1 (en) * 2006-11-27 2013-01-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Handheld computer device with display which adapts to the orientation of th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uch a device
US8194034B2 (en) * 2006-12-20 2012-06-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splay
US7779367B2 (en) * 2007-02-08 2010-08-17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control configuration
JP4355815B2 (ja) * 2007-04-04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20080320397A1 (en) * 2007-06-19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sharing of electronic documents
CN101329860A (zh) * 2007-06-22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图像缩放系统及缩放方法
US9026938B2 (en) * 2007-07-26 2015-05-05 Noregin Assets N.V., L.L.C. Dynamic detail-in-context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access and content access on electronic displays
JP2009059223A (ja) * 2007-08-31 2009-03-1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62109A1 (en) * 2007-11-08 2009-05-14 Linkstor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hierarchical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interfaces
US9513765B2 (en) * 2007-12-07 2016-12-06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liding objec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US8356258B2 (en) 2008-02-01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display areas utilizing enhanced window states
US8954887B1 (en) * 2008-02-08 2015-02-10 Google Inc. Long press interface interactions
US20090204912A1 (en) * 2008-02-08 2009-08-13 Microsoft Corporation Geneeral purpose infinite display canvas
US8176434B2 (en) * 2008-05-12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view scrolling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KR101534789B1 (ko) * 2008-05-28 2015-07-0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모션-컨트롤 뷰
US8156445B2 (en) 2008-06-20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d interaction with heterogeneous data
TWI356340B (en) * 2008-07-01 2012-01-11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map-based menu interface
JP4976353B2 (ja) * 2008-09-08 2012-07-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55786B2 (ja) * 2008-09-09 2013-03-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74181B2 (en) * 2008-09-15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Screen magnifier panning model with dynamically resizable panning regions
US20100077304A1 (en) * 2008-09-19 2010-03-25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Magnification with Interactive Panning
KR101546782B1 (ko) * 2008-10-02 201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510738B1 (ko) * 2008-10-20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489053B2 (en) * 2008-11-20 2019-11-26 Gula Consulting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user identity
JP5470861B2 (ja) * 2009-01-09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100271288A1 (en) * 2009-04-24 2010-10-28 Sudharshan Srinivasan Automatic synchronized scaling of views during application sharing
JP5326802B2 (ja) *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2254032A1 (en) * 2009-05-21 2010-1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263049B2 (ja) * 2009-07-21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473070B (zh) * 2009-08-10 2016-06-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屏幕上的光标的系统和方法
US8966375B2 (en) * 2009-09-07 2015-02-24 Apple Inc. Management of application programs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480957B1 (en) 2009-09-22 2017-08-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9310907B2 (en) 2009-09-25 2016-04-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832585B2 (en) *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8698845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CN101763270B (zh) * 2010-01-28 2011-06-15 华为终端有限公司 组件显示处理方法和用户设备
US8301723B2 (en) * 2010-02-26 2012-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puter to handheld device virtualization system
US20110214063A1 (en) * 2010-03-01 2011-09-01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navig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a remoted desktop that is larger than the local screen
US20110234637A1 (en) * 2010-03-24 2011-09-29 Microsoft Corporation Smart gestures for diagram state transitions
US9823831B2 (en) 2010-04-07 2017-11-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8291344B2 (en) 2010-04-07 2012-10-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513801B2 (en) 2010-04-07 2016-12-06 Apple Inc. Accessing electronic notifications and settings icons with gestures
US8924371B2 (en) 2010-06-02 2014-12-3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arch-sort toggle
US20110302516A1 (en) 2010-06-02 2011-12-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bile design patterns
JP2012118832A (ja) * 2010-12-02 201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65866B2 (en) 2010-12-15 2012-09-1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ed navigation
US9244606B2 (en) 2010-12-20 2016-0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JP5492269B2 (ja) * 2011-03-28 2014-05-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092033B2 (ja) 2011-03-28 2012-12-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40055400A1 (en) 2011-05-23 2014-02-27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ergonomics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WO2012162411A1 (en) * 2011-05-23 2012-11-29 Haworth, Inc. Digital whiteboard collab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9471192B2 (en) 2011-05-23 2016-10-18 Haworth, Inc. Region dynamics for digital whiteboard
US9465434B2 (en) 2011-05-23 2016-10-11 Haworth, Inc. Toolbar dynamics for digital whiteboard
US8806369B2 (en) 2011-08-26 2014-08-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nd interacting with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703382B2 (en) * 2011-08-29 2017-07-11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US20130067366A1 (en) * 2011-09-14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content navigation direction based on directional user gestures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9347791B2 (en) 2011-10-07 2016-05-24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touch screen display
US9058341B2 (en) * 2012-03-15 2015-06-16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product contents within a package
CN107728906B (zh) 2012-05-09 2020-07-31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EP2847662B1 (en) 2012-05-09 2020-02-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JP6273263B2 (ja) 2012-05-09 2018-01-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接触に応答して追加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EP2847660B1 (en) 2012-05-09 2018-11-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EP2847658B1 (en) 2012-05-09 2017-06-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9479549B2 (en) 2012-05-23 2016-10-25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with whiteboard with federated display
US9479548B2 (en) 2012-05-23 2016-10-25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with whiteboard access to global collaboration data
CN102819400A (zh) * 2012-08-14 2012-12-12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的桌面系统及界面交互方法、装置
JP5376039B2 (ja) * 2012-12-06 2013-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264479B (zh) 2012-12-29 2018-12-25 苹果公司 用于对用户界面分级结构进行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093877B2 (ja) 2012-12-29 2017-03-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接触ジェスチャのために触知出力の生成を見合わせ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US20140188606A1 (en) * 2013-01-03 2014-07-03 Brian Moore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virtual keyboards
US11861561B2 (en) 2013-02-04 2024-01-02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US10304037B2 (en) 2013-02-04 2019-05-28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KR20150016695A (ko) * 2013-08-05 2015-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9372B1 (ko) 2014-05-30 2018-12-17 애플 인크.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의 전환
CN105844074B (zh) * 2015-01-30 2021-06-15 富士胶片株式会社 诊疗辅助装置、诊疗辅助方法以及诊疗辅助系统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802783B2 (en) 2015-05-06 2020-10-13 Haworth, Inc. Virtual workspace viewport following in collaboration system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684756B2 (en) * 2016-04-27 2020-06-16 Rockwell Collins, Inc. Avionics picture-in-picture display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US11126325B2 (en) 2017-10-23 2021-09-21 Haworth, Inc. Virtual workspace including shared viewport markers in a collaboration system
US11934637B2 (en) 2017-10-23 2024-03-19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markers identifying multiple canvases in multiple shared virtual workspaces
WO2020176517A1 (en) 2019-02-25 2020-09-03 Haworth, Inc. Gesture based workflows in a collaboration system
USD962249S1 (en) * 2019-06-11 2022-08-30 Clive Leonard Haines Bucklan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49628B2 (en) * 2019-09-17 2022-02-1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s and methods for refactoring full-size process plant displays at various zoom and detail levels for visualization on mobile user interface devices
US11212127B2 (en) 2020-05-07 2021-12-28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sharing over one or more display clients and authorization protocols for collaboration systems
US11750672B2 (en) 2020-05-07 2023-09-05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sharing over one or more display clients in proximity of a main client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134A (en) * 1989-10-25 1993-11-16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displays by using a two dimensional scroll palette
JPH0452686A (ja) * 1990-06-20 1992-02-20 Fujitsu Ltd 表示領域移動制御方式
JPH0490596A (ja) * 1990-08-02 1992-03-24 Fujitsu Ltd レイアウト表示を利用した画面スクロール方式
US5781196A (en) * 1990-10-19 1998-07-14 Eidos Plc Of The Boat House Video compression by extracting pixel changes exceeding thresholds
JPH0827700B2 (ja) * 1990-12-31 1996-03-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表示制御システム
JP3291311B2 (ja) * 1992-03-16 2002-06-10 富士通株式会社 スクロール制御装置およびスクロール表示方法
JP2813728B2 (ja) * 1993-11-01 199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ズーム/パン機能付パーソナル通信機
JPH07152528A (ja) * 1993-11-26 1995-06-16 Fujitsu Ltd 画面スクロール装置及び方法
US6097371A (en) * 1996-01-02 2000-08-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characteristics of a displayable data file using an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US5781195A (en) * 1996-04-16 1998-07-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two-dimensional views of a three-dimensional surface
JP3586351B2 (ja) * 1997-03-21 2004-11-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ウインドウ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209011B1 (en) * 1997-05-08 2001-03-27 Microsoft Corporation Handheld computing device with external notification system
JP3713696B2 (ja) * 1997-06-02 2005-11-09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方法、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格納媒体
JPH117592A (ja) * 1997-06-16 1999-01-12 Hochiki Corp 防災表示装置
US5864337A (en) * 1997-07-22 1999-01-26 Microsoft Corporation Mehtod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multimedia features with map views displayed by a computer-implemented atlas program
US5933141A (en) * 1998-01-05 1999-08-03 Gateway 2000, Inc. Mutatably transparent displays
US6396487B1 (en) * 1998-03-23 2002-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enhancement for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s
US6392661B1 (en) * 1998-06-17 2002-05-21 Tride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ituational awareness using multiple map displays employing peripheral range bands
JP3735798B2 (ja) * 1999-05-24 2006-01-18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表示装置
US7373592B2 (en) * 1999-07-30 2008-05-13 Microsoft Corporation Modeless child windows for application programs
JP3773716B2 (ja) * 1999-09-13 2006-05-10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て行な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20020024506A1 (en) * 1999-11-09 2002-02-28 Flack James F. Motion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to control navigation and display of object viewers
US6628243B1 (en) * 1999-12-09 2003-09-30 Seiko Epson Corporation Presenting independent images on multiple display devices from one set of control signals
WO2001061539A2 (en) * 2000-02-14 2001-08-23 Ferreira, Jose, P., S.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real city
JP2001273070A (ja) * 2000-03-24 2001-10-05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編集装置、及び記録媒体
US7142205B2 (en) * 2000-03-29 2006-11-28 Autodesk, Inc. Single gesture map navig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020112237A1 (en) * 2000-04-10 2002-08-15 Kelts Brett 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s
JP2002132410A (ja) * 2000-10-30 2002-05-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Wwwブラウザ
JP3726881B2 (ja) * 2000-12-15 2005-12-14 コナミ株式会社 スロットゲーム装置
US20020140665A1 (en) * 2001-03-27 2002-10-03 Gary Gordon Method for framing viewports on a computer screen, and for pointing therein
JP2002287868A (ja) * 2001-03-27 2002-10-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提供媒体
TW521205B (en) * 2001-06-05 2003-02-21 Compal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capable of controlling amplification with pressure
JP3805231B2 (ja) * 2001-10-26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369102B2 (en) * 2003-03-04 2008-05-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431A1 (ko) * 2016-06-08 2017-12-1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4106274A (ru) 2005-08-10
JP2004272906A (ja) 2004-09-30
EP1457868A2 (en) 2004-09-15
AU2004200483B2 (en) 2009-10-08
MXPA04001924A (es) 2005-04-25
AU2004200483A1 (en) 2004-09-23
CA2457735A1 (en) 2004-09-04
US7369102B2 (en) 2008-05-06
EP1457868A3 (en) 2012-05-30
US20040174398A1 (en) 2004-09-09
RU2335011C2 (ru) 2008-09-27
JP2010262660A (ja) 2010-11-18
BRPI0400575A (pt) 2005-01-11
KR101099219B1 (ko) 201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219B1 (ko) 소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2216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applications tha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JP6775598B2 (ja) アフォーダンスを背景に表示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9250729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plurality of non-selected graphical user elements
CN112346802A (zh) 用于与多个应用程序窗口交互的系统、方法和用户界面
US10684751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RU2609070C2 (ru) Средство запуска для контекстных меню
US8413075B2 (en) Gesture movies
KR101016981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대화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73362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wide keyboard in a small device
CN111090366B (zh) 进行多任务处理的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06527439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14530396A (ja) セマンティックズーム
JP2014531646A (ja) セマンティックズームアニメーション
KR20030097820A (ko)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한 장치들 상에디스플레이된 조화 이미지들
JP2010170573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230418462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content manipulation operations
US20050166158A1 (en) Semi-transparency in size-constrained user interface
JP2012203644A (ja) 電子機器
JP733797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間でのナビゲーション、ドックの表示、及びシステム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要素の表示の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0592246C (zh) 在较小的显示屏上浏览图形用户接口的方法
CN114371799A (zh) 一种带有触摸屏的笔记本的操作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