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065A -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065A
KR20040078065A KR1020040013636A KR20040013636A KR20040078065A KR 20040078065 A KR20040078065 A KR 20040078065A KR 1020040013636 A KR1020040013636 A KR 1020040013636A KR 20040013636 A KR20040013636 A KR 20040013636A KR 20040078065 A KR20040078065 A KR 2004007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output device
imag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557B1 (ko
Inventor
오쯔수지키요타가
이소토시키
수주키히로키
쿠라카케스호지
수지무라토시아키
쉬미주히데노리
수가하라타로
우카이퓨미토시
보우노히로노리
유아사케이
멕천말크
나카가와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4007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6/00Sweating s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45Distributing a job or task amo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39Detecting 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outp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1Printing or st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 장치(50)는 그 내부에 프린터(4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30d);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 수단(20a); 휴대 단말(14)에 출력 목적지인 프린터(40)상 문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수단(20a);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프린터(4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30b); 요구된 인식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베이스(30d)로부터 프린터(40)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수단(30c); 및 검색 수단(30c)에 의해 검색된 프린터(40)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프린터(40)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팅 수단(20c)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 출력 방법{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OUTPUT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정보 출력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 및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동일물의 오브젝트 및 정보는 서로 3차원 공간상에서 연결되어 가상 드래그 엔 드롭 동작으로 인해 오브젝트 정보에 대한 출력 서비스를 달성한다.
관련 배경 기술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시스템들이 지금까지 제안되었다. 이들 서비스가 오브젝트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컴퓨터상 어떤 데이터에 소정 프로세싱을 적용하도록 명령을 내리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있다. 소위 "드래그 엔 드롭"은 이들 기술중 하나로서 공지되었다. "드래그 엔 드롭" 기술에서, 처리될 데이터는 소정 처리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상에 드래그 엔 드롭되어, 소정 처리가 소정 데이터상에서 실행된다. 여기에서, 드래그는 마우스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선택및 이동"을 의미한다. 드롭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선택된 데이터 선택을 릴리스(release)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많은 경우 일반적으로 마우스 버튼을 릴리스함으로써 실현된다.
예를들어, 임의의 파일이 프린트되도록 목표될 때, 마우스 커서는 파일을 가리키는 아이콘상으로 이동되고 마우스 버튼은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눌려지고, 추가로 마우스는 "드래그"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된다. 파일은 프린터를 가리키는 아이콘상으로 보다 많이 이동되고, 마우스 버튼은 드롭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릴리스된다. 상기 처리로 인해, 서비스 "프린트"는 "파일"을 위해 제공된다.
참증 1은 하나의 기술을 개시하고 여기에서 3차원 아이콘이 드래그 엔 드롭 동작으로 컴퓨터상 가상 공간으로 이동되고, 3차원 아이콘은 가상 공간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참증 2는 드래그 엔 드롭 동작으로 컴퓨터상 가상 공간상으로 3차원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 기술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는 컴퓨터상 가상 공간을 공유한다.
[참증 1] 일본특허공개번호 H11-053581
[참증 2] 일본특허공개번호 2002-049934
발명의 요약
참증 1 및 2에 개시된 바와같이, 종래에 컴퓨터의 가상 공간상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 및 컴퓨터에서 공지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이 있다.
상기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은 실제 3차원 공간에서 조차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도록, "서비스"를 "오브젝트"에 링크하기 위한 편리한 기술이다.
그러나, 실제 3차원 공간상 드래그 엔 드롭 동작에 대하여 임의의 효과적인 기술은 아직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출력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정보 출력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 및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실제 3차원 공간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은 실현되고, 예를들어 상품에 대한 정보는 프린터로 프린트될수있다.
도 1은 일시예와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저장 정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3은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4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
도 5는 정보 출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정보 출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정보 출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출력 시스템 8 : 점포
12 : 상품 12a : 2차원 바코드
14 : 휴대 단말 20 : 점포 정보 장치
30 : 관리 서버 40 : 프린터
40a : 2차원 바코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링크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 수단;
출력 요구가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해 문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수단;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에 관한 식별 정보를 얻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목적지가될 출력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될 목적지인 원하는 출력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정보 관리 장치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 정보에 상기 정보를 링크 하면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정보 저장 수단;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및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상품 정보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상품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될 목적지가될 출력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세한 정보를 알고자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 상품의 식별 정보를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품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이, 정보 관리 장치는 출력될 목적지인 출력 장치를 식별하는 것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한 후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여 출력 장치로 부터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실제 3차원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을 실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저장된 정보는 다른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의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수단;
출력 요구가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수단;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에 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글로벌 식별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정보 관리 장치는, 어떤 정보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지에 기초하여,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의 어떤 정보가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검색되는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식별 정보가 요구되도록 더 적응된다. 사용자는 이로써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를 식별할 수 있고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글로벌 식별 정보"는 일반적으로 글로벌하게 사용되는 식별 정보의 다양한 조각들을 균일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저장 수단은 그러한 글로벌 식별 정보에 이것을 링크하면서 이것이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와 상품을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되고,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환 수단은 글로벌 식별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정보 검색 수단은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정보 관리 장치는, 상품에 관련된 어떤 정보가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검색되는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식별 정보가 성취되고 검색된 상품 정보가 출력되도록 적응된다. 사용자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알려지기 원하는 상세한 정보와 상품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장치는 출력 목적지인출력 장치가 상품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작용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지정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사용자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그후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실제 3차원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을 실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보 저장 수단이 이것을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하면서 정보를 저장했기 때문에 장비 및 상품의 다양성이 균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저장된 정보는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링크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 수단;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가 출력 장치로 부터 출력되는 것에 기초하여,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의 어떤 정보가 출력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차례로 검색되는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 내에 관련된 식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그 상에서 출력되기를 원하는 정보인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력 요청과 같이 출력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해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관리 장치와 휴대 단말 사이의 송신 및 수신의 횟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은,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정보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수단;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문의 신호 수신 수단; 및
문의 신호가 상기 문의 신호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특정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수단을 제공한다.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문의 신호를 위한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원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촬상된다. 이에 의해,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가 지정될 수 있다.
앞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이런 특정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에 태그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서, 그 상세한 정보가 알려지기를 원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가 촬상되고 이미지 데이터가 송신되어, 원하는 상품이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식별 정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식별 정보는 특정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에 태그되고;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 및 출력 정보를 허용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수단을 제공한다.
이 휴대 단말은, 윈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가 촬상되고 이미지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적응된다. 따라서, 출력 목적지의 출력 장치가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은 앞의 정보 관리 장치와 앞의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정보 출력 시스템은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 휴대 단말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적응된다. 따라서, 정보에 대한 출력 목적지의 출력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품의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촬상되고 이미지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에 의해, 상품 정보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3차원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이 실현될 수 있고 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런 특정 출력 정보를 가지도록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획득 수단; 및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식별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수신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휴대 단말은 식별 정보 획득 수산을 포함하도록 적응되고, 식별 정보 획득 수산에 의해 획득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는 위에 설명하나 바와 같이 송신된다. 이에 의해 정보 출력 목적지가 쉽게 지정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획득 수단은 양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과 출력 장치의 도움으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이다. 적외선과 고주파수의 사용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가능하다. 또한, 통신은 블루투쓰를 사용하여 허용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대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상기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출력 요구를 수신할 때, 출력될 목적지인 출력 장치에게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해 문의하는 문의 신호를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출력 장치로부터 정보가 출력되는 것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 저장 수단으로 부터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의 정보가 검색되는 것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식별 정보가 획득된다. 이에 의해, 정보가 출력 되도록 요구되는 출력 장치의 식별을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사용자는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와 출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품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되고 식별을 위해 상품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상품 정보 검색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로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되고, 식별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태그되는 식별 정보의이미지 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하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 부터의 상품에 관련되는 정보가 검색되는 것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되는 식별정보가 요구되고, 이 상품의 검색된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그 상세한 정보가 알려지길 원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이미지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품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가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지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그후 출력 장치를 촬상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3 차원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을 실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임의의 출력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링크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출력 요구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출력될 목적지인 출력 장치에게 문의하는 문의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하기 위해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상기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되는 식별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정보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지에 기초하여,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의 정보가 검색되는 것을 기초로하여 획득된다. 사용자는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를 지정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글로벌 식별 정보"는 세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식별 정보의 다양성들을 균일하게 처리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저장 수단이 이것을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 및 상품이 균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임의의 출력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링크하는 상기 출력 장치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출력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상품에 대해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변환 단계;
상기 제 1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정보 검색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로,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을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하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변환 단계;
상기 제 2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로 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식별 정보는,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상품에 관련된 어떤 정보가 검색되는지에 기초하여 획득되고, 검색된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그 상세한 정보가 알려지기 원하는 상품을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상품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가,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것을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지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그후 장치를 촬상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따라서 실제 3 차원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을 실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저장 수단이 이것을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장비 및 상품의 다양성들이 균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을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되는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촬상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그것을 수신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촬상 단계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요구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되는 식별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떤 정보가 출력 장치로 부터 출력되는지에 기초하여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의 정보가 출력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검색되는지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사용자는 이에 의해 출력이 출력되길 원하는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상하고 이를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 목적지인 출력 장치를 식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과 정보 관리 장치 사이의 송신 및 수신의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대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의 획득을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식별 정보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식별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정보 출력 목적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휴대 단말에 의해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연속적인 식별 정보 송신 단계에서 정보 관리 장치에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쉽게 지정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이 출력 장치와의 가까운 거리 무선 통신을 겪게하여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앞서 언급한 정보 출력 방법에서 선호된다. 가까운 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고주파와 적외선의 사용과 사용할 만한 통신이 있다. 또한, 통신은 블루투쓰를 사용하여 보장된다.
본 발명은 도시를 위해 제공된 하기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완전히 이해될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응용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동안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도시를 위해서만 주어지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기 때문이다.
양호한 실시예들의 설명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여기에 기술된 구성요소의 동일 심볼은 첨부 도면의 설명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기술되고 그러므로, 겹치는 설명은 생략될것이다.
예시적인 정보 출력 시스템으로서, 점포(가방 점포)(8)에서 팔린 상품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가 제공된다. 정보 출력 시스템(1)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30), 점포 정보 장치(20), 사용자(U)에 의해 처리된 휴대 단말(14), 및 출력 정보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터(40)를 포함한다. 점포(8)에서 팔려진 상품(12) ID를 나타내는 2차원 바코드(12a)는 상품(12)에 태그되고, 점포(8)에 설비된 프린터(40) ID를 나타내는 2차원 바코드(40a)는 프린터(40)에 태그된다. 본 실시예에서 점포 정보 장치(20) 및 관리 서버(30)는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한정되는 "정보 관리 장치"로서 구성된다. 다음에서, 본 실시예와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기술될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점포 정보 장치(20)의 구성이 도시된다. 점포 정보 장치(20)는 통신 수단(20a), 제어 수단(20b) 및 프린팅 수단(20c)을 포함한다.
통신 수단(20a)은 사용자(U) 및 관리 서버(30)의 휴대 단말(14)과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통신 수단(20a)을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같은 근거리 무선 기술 및 휴대 단말(14)과 상호통신할수있는 인터넷에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휴대 단말(14)과 통신하기 위한 기술에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통신 수단(20a)에 의해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어 수단(20b)은 이미지 데이터에 점포 정보 장치(20)의 ID를 제공하기 위하여사용하고, 그것을 통신 수단(20a) 다시 전송한다. ID로 태그된 이미지 데이터는 통신 수단(20a)의 도움으로 관리 서버(30)에 전송된다.
통신 수단을 통해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된 프린팅 명령을 수신할 때 프린팅 수단(20c)은 프린팅 명령을 바탕으로 프린터(40)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프린팅 수단(20c) 및 프린터(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관리 서버(30)의 구성이 도시된다. 관리 서버(30)는 통신 수단(30a), 인식 수단(30b), 변환 수단(30e), 검색 수단(30c) 및 데이터베이스(30d)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30d)는 물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의 이들 부분은 글로벌 ID와 링크된 후 저장된다. "글로벌 ID"는 세계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다양한 ID를 균일하게 처리하기 위한 ID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책에 대하여 ISBN이라 하는 ID는 폭넓게 사용되고, 바코드에 대하여 JAN 이라 불리는 ID 시스템이 사용된다. 다양한 ID가 상기 방식으로 세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글로벌 ID는 다양한 ID를 균일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으로 한정된다. 책, 채소, 백, 점포, 호텔 및 항공기 같은 다양한 품목은 글로벌 ID의 사용으로 균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베이스(30d)에 저장된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데이터 베이스(30d)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글로벌 ID", "이름" 및 "관련 정보" 데이터는 도 4에서 예로서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30d)는 핸드백(A) 정보 및 프린터(B)에 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30d)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와 연관된 상품 액세스 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 부분을 저장한다.
통신 수단(30a)은 점포 정보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통신 수단(30a)을 위하여 다양한 종래 통신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무선 통신 또는 광섬유 등을 사용하는 유선 통신이 있을 수 있다.
인식 수단(30b)은 통신 수단(30a)을 통해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2차원 바코드에 의해 표현된 ID를 인식한다. 특히,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드백(12)의 ID(12a) 및 프린터(40)의 ID(40a)가 있다. 비록 인식 수단(30b)이 2차원 바코드의 이미지로부터 본래의 2차원 바 코드에 의해 지시된 값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상기 인식 수단(30b)을 위하여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인 종래 기술에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2차원 이미지를 위한 패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2차원 바 코드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수단(30a)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ID 그 자체 또는 글로벌 ID 자체를 수신하면, 인식 수단(30b)에 의한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변환 수단(30e)은 인식 수단(30b)에 의해 인식된 ID를 글로벌 ID로 변환하고 그것을 검색 수단(30c)에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변환 수단(30e)은 모든 상품에 대해 한정된 로컬 ID 및 글로벌 ID의 변환에 참조하는 변환 테이블을 가진다.
검색 수단(30c)은 IFD 키가 변환 수단(30e)을 통해 변환되고 출력될 때 데이터 베이스(30d)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하나 이상의 관련 정보 부분을 추출한다. 검색 수단(30c)은 통신 수단(30a)을 통하여 점포 정보 장치(20)에 추출된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휴대 단말(14)이 기술될 것이다. 휴대 단말(14)은 촬상 수단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이다. 촬상 수단은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및 TV 전화와 동일한 기능 가지며, 통신 수단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한다. 특히 휴대 단말이 이동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면, 해상도가 낮고, 촬상 조건이 나쁠 때, 우수한 이미지가 일련의 시간으로 다수의 이미지 촬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미지는 ID에 대한 판독 정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동기화될수있다. TV 전화 같은 것이 사용되면, ID가 올바르게 판독되는지 아닌지에 대한 응답이 즉각적으로 리턴될수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비록 휴대 단말(14)의 통상적인 예가 휴대용 전화이지만, 상기 PDA(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탄트) 같은 장치는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의 동작이 기술될 것이고, 동일 실시예와 연관된 정보 출력 방법이 기술될것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과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하기되는 실시예에서, 사용(U)가 가방 점포에 입장하는 경우가 기술될 것이고, 점포(8)에 진열된 핸드백에 관한 정보가 출력된다.
도 5는 설명을 위하여 우선 참조될것이다. 휴대용 전화의 촬상 수단을 사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12a), 공지되도록 목표되는 상세한 정보가 촬상되고, 여기서 핸드백(12)은 가방 점포(8)(S10)에 진열된다.
휴대 단말(14)은 점포 정보 장치(20)(S12)에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핸드백(12)(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내 정보 장치(20)에게 명령한다. 그후, 휴대 단말(14)은 휴대 단말(14)의 ID로 이미지 데이터를 태그하고, 그것을 점포 정보 장치(20)에 전송한다.
점포 정보 장치(20)는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30)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한다(S14). 보다 상세히, 점포 정보 장치(20)는 일단 통신 수단(20a)이 상기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요구를 획득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수단(20b)의 도움으로 점포 정보 장치(20)의 ID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태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30)에 전달한다(S14).
연속적으로, 관리 서버(30)는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달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S14),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인식한다. 그다음, 관리 서버(30)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인식한다(S18). 그 다음, 관리 서버(30)는 변환 수단(30e)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글로벌 ID로 인식된 ID를 변환하고, 키로서 변환된 글로벌 ID를 사용하는 데이터 베이스(30d)를 검색하고, 데이터 베이스(30d)로부터 핸드백(12)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S22).
관리 서버(30)는 통신 수단(20a)의 도움으로 점포 정보 장치(20)에 핸드백(122)(상품 데이터)에 관한 획득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점포 정보 장치(20)는 관리 서버(30)로부터 휴대 단말(14)로 수신 상품 데이터를 전송한다(S26). 점포 정보 장치(20)는 제어 수단(20b)의 도움으로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상세한 정보에서 점포 정보(8)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만을 사용자(U)의 휴대 단말(14)에 전송한다. 예를들어, 관리 서버(30)로부터 10,000엔(도 4 참조)의 가격으로 일년 동안 보장되는 이탈리아 악어가죽으로 만들어진 핸드백에 관한 정보가 전송될때조차, 핸드백(12)이 가방 점포(8)에서 디스카운트로 팔려질때 10,000엔의 가격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현재 실시예에서, 정보 관리 장치가 실내 정보 장치(20) 및 관리 서버(30)의 두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세한 정보가 점포 정보 장치(20)에 의해 선택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는 어떤 서비스가 점포 정보 장치를 사용하여 제공되고, 실제로 제공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세한 정보를 선택한다. 특히, 관리 서버(30)는 상품에 관한 모든 가격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점포 정보 장치(20)는 그것을 고객화하는 동안 각각의 점포에 대한 정보를 사용한다. 관리 서버(20)는 다른 서비스에 비해 그 자체에서 유용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처리될 수 있다.
휴대 단말(14)은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S28), 수신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30). 상품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서비스" 메뉴 역시 디스플레이한다.
도 6은 추가 설명을 위하여 참조된다. 그다음 사용자(U)는 휴대 단말(14)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서비스"를 선택하고(S32), 휴대 단말(14)은 점포 정보 장치(20)에 정보 출력 요구를 전송한다(S34). 점포 정보 장치(20)는 일단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출력 요구를 수신하면(S36), 프린터(40) 정보가 휴대단말(14)에 출력된 것을 요구하는 것에 대한 문의 신호를 전송한다(S38). 휴대 단말(14)은 일단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송된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그것이 문의 신호를 수신했다는 것을 휴대 단말(14)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U)가 출력 목적지인 프린터(40)를 선택하도록 명령한다. 특히, 사용자(U)에게 출력 목적지인 프린터(40)상에 태그된 2차원 바 코드를 촬상하도록 한다(S40). 게다가, 휴대 단말(14)은 점포 정보 장치(20)에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S42).
일단 통신 수단(20a)이 제어 수단(20b)을 통해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했다는 것을 점포 정보 장치(20)가 검출하면, 제어 수단(20b)은 통신 수단(20a)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30)에 전달한다(S44). 계속하여, 관리 서버(30)는 통신 수단(20a)을 통해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46). 관리 서버(30)는 일단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S46), 인식 수단(30b)에게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ID를 인식하도록 명령하고(S48), 인식된 ID를 변환 수단(30e)을 통해 글로벌 ID로 변환시킨다. 그 다음, 관리 서버(30)는 키로서 변환된 글로벌 ID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30d)를 검색하고, 데이터베이스(30d)로부터 프린터(40)에 관한 정보(프린터 정보)를 획득한다(S52).
관리 서버(30)는 점포 정보 장치(20)에 검색된 프린터 정보를 전송한다(S54). 점포 정보 장치(20)는 일단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된 프린터 정보의 수신을 검출한후(S56), 프린팅 수단(20c)에게 명령하여 수신된 프린터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 정보를 프린트한다(S58). 프린터 정보는 프린터(40), 출력할수있는 용지 사이즈, 출력할수있는 컬러 수 및 프린터(40)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 및 정보 출력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획득되도록 목표되는 정보로부터 상품(12)의 ID(40a)를 촬상하고, 프린터(40)의 ID(40a), 출력되도록 목표되는 정보를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비록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이 3차원 공간에서 실행되더라도 동작 특성이 실현 가능하다.
비록 정보 출력 시스템(1) 및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프린터(40) ID의 이미지 데이터가 점포 정보 장치(20)로부터 전송된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되었지만, 휴대 단말(14)이 프린터(40)의 ID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때 타이밍은 문의 신호가 수신된후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프린터(40)의 ID 이미지 정보는 핸드백(12) ID의 이미지 정보와 함께 전송될수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점포 정보 장치(20) 및 휴대 단말(14) 사이의 전송/수신 시간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가방 점포의 핸드백(12)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획득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상품에 대한, 예를들어 전화 및 테이블 서비스 같은 점포에서 팔려진 임의의 품목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1) 및 정보 출력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특히, 만약 2차원 바코드가 이들 상품에 태그되면, 상기된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이 실행될수있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프린터(40)의 ID(40a) 및 상품(12)의 ID(12a)로서 2차원 바코드가 사용되는 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로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 소위 RF-I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F-ID는 정보의 소정 양을 일반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비접촉 방식으로 외측에서 정보를 알수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이런 정보로서 ID가 이용된다. 비록 일반적인 바 코드의 경우 바코드가 휴대 단말(14)상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 촬상될 수 있지만, 바코드는 휴대 단말(14)상에 바코드 판독기를 장착함으로써 판독될수있다. 상기 ID를 제외한 다른 실시예로서 OCR에 의한 문자 판독, 및 상표 및 게시판 판독은 본 발명이 응용가능하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가방 점포의 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쇼핑 레이스 처럼 다수의 점포가 어셈블리는 경우에 추가로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운동장 및 공원에 응용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에서, "출력될 오브젝트" 및 "출력을 위한 프린터"가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는 동작이 일반적으로 편리하지만, 양쪽이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가장 극단의 경우, 출력을 위한 프린터는 출력될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장소에 존재하지 않을수있다. 예를들어, 오피스의 프린터가 비즈니스 같은 다른 장소에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오피스의 프린터(40)의 2차원 바코드를 촬상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되거나, 예전에 촬상된 ID의 이미지 정보가 히스토리로서 저장되는 저장 수단으로 오피스의 프린터(40) 2차원 바코드 정보가 저장된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원격 위치에서 프린터 범위로 출력이 이루어질수있다. 게다가, 만약 예전에 촬상된 ID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이 제공되면, 촬상이 근접 장소의 프린터로부터 주로 출력하는 매 시간에 요구되지 않는다는 편리성이 있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저장 정보 장치(20)가 점포(8)에 진열되고, 관리 서버(30)가 점포(8)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더라도, 관리 서버(30) 및 점포 정보 장치(20)는 유닛화된 방식으로 구성될수있다. 이것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될것이다. 도 7은 유닛화된 정보 관리 장치(50)로서 관리 서버(30) 및 점포 정보 장치(20)를 합병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품 및 프린터(40)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30d), 데이터 베이스(30d)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수단(30c),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ID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30b), 인식 수단(30b)에 의해 인식된 ID를 디지털 ID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30e), 휴대 단말(14)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20a), 및 정보를 프린트 및 출력하기 위하여 프린터(40)에게 명령하기 위한 프린팅 수단(20c)을 포함하는 정보 관리 장치(50)가 구성될수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상품 정보는 상기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 출력 시스템(1)과 같이 휴대 단말(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표된 프린터(40)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정보 관리 장치(50)는 점포 정보 장치(20) 및 관리 서버(30)로서 두개의 구성요소(20)로 나뉘어진다.
게다가, 상기된 실시예에서, 점포 정보 장치(20)는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과 관련하여 관리 서버(30)와의 중간물로서 기능, 및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된 프린트 정보를 바탕으로 프린트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독립적인 장치는 이들 두개의 기능 각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린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정보 장치는 프린팅 기능을 달성할 수 있거나 인터넷상 다른 프린트 서비스 사이트는 사용될수있다. 상기 구성은 추가로 미세하게 분리된 도 7에 도시된 정보 관리 장치(50)의 기능 예이다. 상기 방식으로 정보 관리 장치(20)의 분할되고 구성되는 방법을 자유롭게 변화시킬수있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 및 프린터(40)가 글로벌 ID와 링크되어 데이터베이스(30d)에 저장되지만, 상기 글로벌 ID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임의의 정보는 모든 상품 및 프린터(40)에 대해 한정된 ID에 링크하여 저장될수있다. 글로벌 ID가 사용되지 않을때, 데이터 베이스는 모든 종류의 상품들에 대한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공될수있다.
비록 상기된 실시예에서, 프린터의 식별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의 촬상 수단을 가진 프린터에 태그된 ID를 촬상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되었지만, 식별 정보를 얻기 위한 다른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들어, 프린터의 식별 정보는 고주파 및 자외선을 사용하여 프린터 및 휴대 단말 사이에 프로그래밍 통신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휴대 단말로부터 저장 정보 장치로 획득된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보 출력 목적지인 프린터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가 많은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상기 변화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출발점으로서 고려되지 않고, 모든 상기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같이 다음 청구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정보 출력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 및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실제 3차원 공간 공간에서 드래그 엔 드롭 동작이 실현되고, 예를들어 상품에 대한 정보가 프린터로 프린트될 수 있다.

Claims (15)

  1.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서,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링크되는,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 수단;
    출력 요구가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해 문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수단;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에 관한 식별 정보를 얻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 정보에 상기 정보를 링크 하면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정보 저장 수단;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및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상품 정보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상품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관리 장치.
  3.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수단으로서, 상기 저장된 정보는 다른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되는, 상기 정보 저장 수단;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의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수단;
    출력 요구가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수단;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
    상기 문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에 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글로벌 식별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글로벌 식별 정보에 링크되고,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환 수단은 글로벌 식별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정보 검색 수단은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관리 장치.
  5.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서, 상기 저장된 정보는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링크되는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요구 수신 수단;
    상기 출력 요구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수단;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관리 장치.
  6.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정보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수단;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문의 신호 수신 수단; 및
    문의 신호가 상기 문의 신호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특정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수단은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이런 특정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에 태그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
  8. 휴대 단말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식별 정보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으로서, 상기 식별 정보는 특정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에 태그되는,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데이터 및 출력 정보를 허용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9.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런 특정 출력 정보를 가지도록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획득 수단; 및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식별 정보 획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식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식별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수단에 의해 수신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10.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지는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대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출력 요구를 수신할 때, 출력될 목적지인 출력 장치에게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해 문의하는 문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1. 상품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지는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를 지정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되고 식별을 위해 상품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상품 정보 검색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로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되고, 식별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태그되는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하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2.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임의의 출력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링크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출력 요구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출력될 목적지인 출력 장치에게 문의하는 문의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하기 위해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단계;
    상기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가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3.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임의의 출력 장치 및 다른 종류의 상품에 유일하게 태그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링크하는 상기 출력 장치 및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출력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상품에 대해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품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변환 단계;
    상기 제 1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 1 정보 검색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상품에 관한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정보 관리 장치가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로, 출력 목적지에 대해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단말에게 문의하기 위한 문의 신호를 전송하는 문의 신호 전송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문의 신호 전송 단계에서 문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을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된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그것을 수신하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게 전송하기 위한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
    상기 제 2 이미지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2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식별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변환 단계;
    상기 제 2 변환 단계에서 변환된 글로벌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 2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정보 검색 단계에서 검색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4.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는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촬상된 식별을 위해 출력 장치에 태그되는 식별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촬상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그것을 수신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촬상 단계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출력 요구를 전송하기 위한 출력 요구 전송 단계;
    상기 출력 요구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 요구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5.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정보 관리 장치를 가진 정보 출력 시스템에서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정보에 대한 출력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출력 장치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의 획득을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식별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얻어진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식별 정보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출력 장치 식별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 및
    특정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출력 목적지 정보 검색 단계에 의해 검색된 특정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력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KR1020040013636A 2003-02-27 2004-02-27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출력 방법 KR100643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1865A JP2004259206A (ja) 2003-02-27 2003-02-27 情報管理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出力方法
JPJP-P-2003-00051865 2003-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65A true KR20040078065A (ko) 2004-09-08
KR100643557B1 KR100643557B1 (ko) 2006-11-10

Family

ID=3284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636A KR100643557B1 (ko) 2003-02-27 2004-02-27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출력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61295B2 (ko)
EP (1) EP1465071B1 (ko)
JP (1) JP2004259206A (ko)
KR (1) KR100643557B1 (ko)
CN (1) CN100426281C (ko)
DE (1) DE60200401690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73B1 (ko) * 2006-03-02 2008-01-0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지시 장치, 화상 형성 지시 프로그램, 화상 형성지시 방법, 화상 형성용 서버, 화상 형성용 서버프로그램, 화상 형성용 서버에서의 처리 방법, 화상 형성제어 장치, 화상 형성 제어 장치용 프로그램 및 화상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206A (ja) * 2003-02-27 2004-09-16 Ntt Docomo Inc 情報管理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出力方法
US7734729B2 (en) * 2003-12-31 2010-06-0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item of commerce using a portable imaging device
US8209201B1 (en) 2005-12-08 2012-06-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objects
US8571602B2 (en) * 2006-06-09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mobile print agent
DE102009004111A1 (de) 2009-01-08 2010-07-15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ruckaufträgen mit Hilfe eines tragbaren Datenträgers
JP2010262414A (ja) * 2009-04-30 2010-11-18 Teraoka Seiko Co Ltd 印刷システム
US8620911B2 (en) 2010-04-29 2013-12-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ument registry system
US8631089B1 (en) 2010-12-14 2014-01-14 Brilliance Publishing, Inc. Previewing audio data associated with an item
JP5842126B2 (ja) * 2011-05-24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955041B2 (ja) * 2012-03-09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159153B2 (en) 2012-06-05 2015-10-1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feedback of a map view change
US9997069B2 (en) 2012-06-05 2018-06-12 Apple Inc. Context-aware voice guidance
US20130321400A1 (en) 2012-06-05 2013-12-05 Apple Inc. 3D Map Views for 3D Maps
US9886794B2 (en) 2012-06-05 2018-02-06 Apple Inc. Problem reporting in maps
US10176633B2 (en) 2012-06-05 2019-01-08 Apple Inc. Integrated mapping and navigation application
US9052197B2 (en) 2012-06-05 2015-06-09 Apple Inc.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while device is in locked mode
US9418672B2 (en) 2012-06-05 2016-08-16 Apple Inc. Navigation application with adaptive instruction text
US9482296B2 (en) 2012-06-05 2016-11-01 Apple Inc. Rendering road signs during navigation
US9230556B2 (en) 2012-06-05 2016-01-05 Apple Inc. Voice instructions during navigation
US9535635B2 (en) 2012-12-20 2017-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rrier images
JP7152868B2 (ja) * 2018-03-27 2022-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226A1 (en) 1993-05-14 1994-11-24 The Gift Certificate Center, Inc. Gift registry apparatus and method
US5726431A (en) 1996-06-20 1998-03-10 Bass, Inc. Apparatus for printing a shelf tag
JP3206895B2 (ja) 1997-07-31 2001-09-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5926795A (en) 1997-10-17 1999-07-20 Catalina Marketing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oupons having selectively printed borders around preferred products
TW468331B (en) 1998-09-30 2001-12-11 Hitachi Ltd Non-contact image reading device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US6381603B1 (en) 1999-02-22 2002-04-30 Position Iq,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information by using referencing position system
AU1054001A (en) 1999-11-01 2001-05-14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output controller
CA2388714C (en) * 1999-11-16 2007-04-17 Swisscom Mobile Ag Product order method and system
CN1299184C (zh) 1999-12-13 2007-02-07 阿克塞斯股份公司 显示信息的方法和系统
JP2001331660A (ja) 2000-05-22 2001-11-30 Seiko Epson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204744B2 (ja) * 2000-07-05 2009-0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分類システム
JP3469539B2 (ja) 2000-08-07 2003-11-25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仮想空間構築システム
JP4552296B2 (ja) * 2000-09-08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135451A (ja) 2000-10-27 2002-05-10 Makoto Fukuda デジタルカメラが付いた携帯電話・phsをはじめとする携帯情報端末から画像等を送信し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を用いて当該画像データから商品コード、文字情報又は規格の特定等を行う光学的情報読取を行う方法、並びに、販売時点情報管理又はキーボード入力代替への応用の方法
KR100359720B1 (ko) 2000-11-01 2002-11-04 김상훈 사업장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2312270A (ja) 2001-04-18 2002-10-25 Nec Corp 印刷情報の利用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65801A1 (en) * 2001-05-02 2002-11-07 Stern Edith H. System to interpret item identifiers
JP2002344867A (ja) * 2001-05-18 2002-11-29 Fujitsu Ltd 画像データ格納システム
CN2508466Y (zh) 2001-11-29 2002-08-28 宪锋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网络声音及图像装置
JP4067322B2 (ja) * 2002-03-19 2008-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管理サーバおよび画像プリントサーバ並びに画像サービスシステム
JP3669967B2 (ja) * 2002-03-19 2005-07-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管理システム
US7014374B2 (en) * 2002-09-25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for performing pre-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JP2004259206A (ja) * 2003-02-27 2004-09-16 Ntt Docomo Inc 情報管理装置、情報出力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出力方法
US7602521B2 (en) * 2006-01-31 2009-10-13 Pitney Bowes Inc. Document format and print stream modification for fabricating mailpie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73B1 (ko) * 2006-03-02 2008-01-0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지시 장치, 화상 형성 지시 프로그램, 화상 형성지시 방법, 화상 형성용 서버, 화상 형성용 서버프로그램, 화상 형성용 서버에서의 처리 방법, 화상 형성제어 장치, 화상 형성 제어 장치용 프로그램 및 화상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5071B1 (en) 2008-10-08
DE602004016901D1 (de) 2008-11-20
EP1465071A2 (en) 2004-10-06
CN100426281C (zh) 2008-10-15
US20090251733A1 (en) 2009-10-08
JP2004259206A (ja) 2004-09-16
US20040212827A1 (en) 2004-10-28
EP1465071A3 (en) 2006-04-12
US7999965B2 (en) 2011-08-16
CN1525356A (zh) 2004-09-01
KR100643557B1 (ko) 2006-11-10
US7561295B2 (en)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557B1 (ko) 정보 관리 장치, 정보 출력 시스템, 휴대 단말, 및 정보출력 방법
US10509820B2 (en) Object information derived from object images
US8416309B2 (en) Camera-fitted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CA2528349C (en) Automatic access of internet content with a camera-enabled cell phone
US7069238B2 (en) Shopping assistance service
CN1771505B (zh) 图像拾取装置
JP2005038103A (ja) 案内装置、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方法
US20160203453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of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System
KR20020075288A (ko) 서버 시스템 및 그 화상 관리 방법
US7233990B1 (en) File processing using mapping between web presences
KR20090106069A (ko)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 입력,검색방법
JP2006031200A (ja) 商品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0285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media objects to a cellular telephone user
CN110377147B (zh) 扩增实境的方法及系统
JP2008210223A (ja) 仮想試着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231874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携帯端末装置、局所サーバ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20040079625A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KR101619880B1 (ko) 모바일 기기와 상품 진열위치를 이용한 pop 출력 시스템 및 방법
JP2019083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91249B1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개인 연락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4265924B2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30210904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image taking device
JP2004214860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5165643B2 (ja) ウェブページ表示システム及びウェブページ表示方法
JP2006023901A (ja) 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