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794A - 종이컵의 수납구조 - Google Patents

종이컵의 수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794A
KR20040075794A KR1020040030787A KR20040030787A KR20040075794A KR 20040075794 A KR20040075794 A KR 20040075794A KR 1020040030787 A KR1020040030787 A KR 1020040030787A KR 20040030787 A KR20040030787 A KR 20040030787A KR 20040075794 A KR20040075794 A KR 2004007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space
fixing part
cover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현
Original Assignee
정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현 filed Critical 정길현
Priority to KR102004003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5794A/ko
Publication of KR2004007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0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fluid containers, e.g. bottles, cups, gas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종이컵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가물이 삽입되고, 이러한 부가물이 멸실되지 않도록 수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수납부재는 종이컵의 저면 둘레보다 크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통해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컵의 수납구조{COVERING SPACE STRUCTURE OF A PAPER CUP}
본 발명은 종이컵의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종이컵의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가물이 삽입되고, 이러한 부가물이 멸실되지 않도록 수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수납부재는 종이컵의 저면 둘레보다 크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통해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사용 및 휴대와 폐기가 간편하고 값이 저렴한 이유로 일회용 종이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은 예시도면 도 1과 같이 용기본체(11)와 음료물의 하중을 지지하여 용기 본체(11)를 보유 및 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수단은 용기 본체(11)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단 외주부를 둘러싸는 테두리(12)와 하단에서 음료물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면(13)과 결합하는 고정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테두리(12)는 용기 본체(11)와 일체로 가공되어지고, 용기 본체(11) 외측으로 파이프 단면형상처럼 굴곡 되어져 본체(11)의 입구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강구조물이며, 상기 바닥면(13)을 지지하는 고정부(14)는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ㄷ'형으로 절곡되어 바닥면(13)의 끝단이 절곡 부분에 삽입된 다음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4)의 절곡부분에 의해 비어있는 공간(15)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공간(15)의 활용을 극대화 하고자 본 출원인은 상기 공간에 부가물을 첨가하도록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출원번호 20-2003-1489)에 대해 출원한바 있다.
도 2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종이컵의 수납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례 중에서 종이컵의 하부 공간을 밀봉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23)에 부가물(24)이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부(21)의 저면에 접착되어 공간(23)을 밀폐시키는 뚜껑(25)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5)은 일측에 돌출된 손잡이(27)가 형성되어 공간(23)의 개방을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밀봉구조는 손잡이가 종이컵의 전체 외형에 비해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종이컵이 다단으로 적층될 때, 적층되는 부피가 다소 팽창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자동판매기에 종이컵이 적층되는 경우 손잡이가 다른 종이컵과 밀착되어 하나 이상의 종이컵이 일시에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종이컵의 고정부 저면과 접착되는 커버가 고정부의 둘레보다 크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종이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종이컵의 하부 공간을 밀봉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재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재의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재의 제3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수납부재 31 : 고정부
33 : 개방홀 41 : 절개홈
51 : 제1덮개 52 : 제2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부가물을 수납하기 위한 종이컵의 수납구조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의 하부를 지지하고, 절곡된 형상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저면과 동일한 크기로 접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개방홀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수납부재의 개방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종이컵의 공간 반 이상을 덮는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가 덮지 않은 공간을 덮으면서 일부가 상기 제1덮개의 상측면을 덮는 제2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3과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수납구조는 종이컵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차를 곁들여서 먹을 수 있는 부가물을 삽입시키고, 이러한 부가물이 분실되지 않도록 종이컵의 고정부와 접착하는 수납부재가 구비되어 소비자가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취향에 따라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종이컵의 기본적인 구성에서 나타나듯이 하부 지지를 위해 절곡된 고정부(31)가 바닥면(13)에 접착하고, 이러한 절곡형상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상에 부가물(24)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의 저면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서, 상기 고정부(31)의 저면에 접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수납부재(30)가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부재(30)에서 고정부(31)의 저면과 접착되는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개방홀(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방홀(33)에 손가락처럼 길다랗고 갈고리 같은 수단을 집어넣어 수납부재(30)에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수납부재(30)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부재(30)는 다양한 형상의 절개홈(4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개홈(41)은 통상적으로 어떠한 면을 절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절개홈(41)이 형성된 부분의 양쪽으로 힘을 가하면 절개홈(41)이 떨어져 나가고,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파단부분에 손을 집어넣어 수납부재(30)를 용이하게 개방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부재(30)는 종이컵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의 반 이상을 덮는 반원 형상의 제1덮개(51)가 고정부(31)에 접착하고, 상기 제1덮개(51)가 덮지 않은 공간을 덮으면서 일부가 상기 제1덮개(51)의 상측면을 덮는 반원형상의 제2덮개(5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덮개(52)의 양 끝단이 제1덮개(51)와 접하게 되면, 상기 제1덮개(51)와 제2덮개(5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수납부재(30)를 용이하게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수납부재의 실시예 중에서 하나 이상이 혼용되어 사용되면, 수납부재의 개방이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수납구조는 종이컵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가물이 수납되고, 이러한 부가물이 멸실되지 않도록 수납부재가 종이컵의 하단 고정부에 접착됨으로서, 부가물이 안정적으로 보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납부재를 개방시킬수 있으며, 특히, 수납부재의 크기가 고정부의 저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짐으로서 종이컵이 적층되더라도 다른 종이컵과의 밀착이 되지 않아 자동판매기에서 다수의 종이컵이 일시에 배출되는 것을 해소하게 해준다.

Claims (4)

  1. 각종 부가물을 수납하기 위한 종이컵의 수납구조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의 하부를 지지하고, 절곡된 형상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저면과 동일한 크기로 접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에서 고정부의 저면과 접착되는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다양한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공간의 반 이상을 덮는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가 덮지 않은 공간을 덮으면서 일부가 상기 제1덮개의 상측면을 덮는 제2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의 수납구조.
KR1020040030787A 2004-04-30 2004-04-30 종이컵의 수납구조 KR20040075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87A KR20040075794A (ko) 2004-04-30 2004-04-30 종이컵의 수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87A KR20040075794A (ko) 2004-04-30 2004-04-30 종이컵의 수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217U Division KR200317870Y1 (ko) 2003-02-21 2003-02-21 종이컵의 수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794A true KR20040075794A (ko) 2004-08-30

Family

ID=3736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787A KR20040075794A (ko) 2004-04-30 2004-04-30 종이컵의 수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5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3220A (zh) * 2011-11-25 2012-04-25 上海应用技术学院 可储存两种茶品的双层茶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3220A (zh) * 2011-11-25 2012-04-25 上海应用技术学院 可储存两种茶品的双层茶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2034B1 (en) Removable foodstuff container holder
JP2007523808A (ja) 容器用のカバー兼メディアディスク表示器具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US20010033882A1 (en)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JP2003024124A (ja) 保温用弁当箱
KR200317870Y1 (ko) 종이컵의 수납구조
KR20040075794A (ko) 종이컵의 수납구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09067411A (ja) 小物収納部付き容器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KR20080001059U (ko) 포장용 종이 상자
JPH092447A (ja) 弁当用容器
KR200378661Y1 (ko) 휴대용 음식 용기
KR200277880Y1 (ko) 다 분할 용기
KR200335253Y1 (ko)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KR200489294Y1 (ko) 커피 일체형 일회용 종이컵
CN209750649U (zh) 一种杯结构
JP3102599U (ja) 景品ホルダー
KR200319571Y1 (ko) 케익 포장상자
KR200451445Y1 (ko) 칼 보관함
KR200223009Y1 (ko) 도시락 용기
KR200398299Y1 (ko) 햄버거 포장용 박스
KR200243950Y1 (ko) 개폐가 용이한 기밀용기
JP3098766U (ja) 飲料用容器
KR200262053Y1 (ko) 담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