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53Y1 -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 Google Patents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53Y1
KR200335253Y1 KR20-2003-0028961U KR20030028961U KR200335253Y1 KR 200335253 Y1 KR200335253 Y1 KR 200335253Y1 KR 20030028961 U KR20030028961 U KR 20030028961U KR 200335253 Y1 KR200335253 Y1 KR 200335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container
cutting knife
li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원
Original Assignee
문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원 filed Critical 문기원
Priority to KR20-2003-0028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김치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뚜껑의 상부에 탈,부착 되어지게 위치된 절단칼을 사용하여 용기에 저장된 김치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손쉽게 썰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 김치통은 저장된 김치를 먹기 위해서는 김치통을 냉장고에서 끄집어내기 위하여 그 상부에 놓여진 다수의 반찬통을 모두 꺼내야 함으로 상당히 불편했다. 그래서 최근에는 김치냉장고에 김치만을 보관토록 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도 결국 김치를 먹고자 할 경우에는 김치통을 꺼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절단칼에 의해 용기에 저장된 김치를 절단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런 것의 구조가 뚜껑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간에 절단칼을 수납하고 도마를 상기 뚜껑 내부의 일측부에 설치하여 용기와 결합하였으며 상기 용기의 내벽으로는 일정 간격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칼을 홈에 끼워서 김치를 절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절단하는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고 절단 중 배추의 밑둥이 뿌리 부분이 걸리면 잘 안 잘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김치통은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과 조립이 어렵고 고가의 제품으로 시판되어짐으로 일반인들의 범용적인 사용이 불가능 한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의 용기와 결합되는 뚜껑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절단칼을 수납토록 하여 사용이 편리토록 하였으며 간편한 조립은 물론이고 성형이 쉽고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김치통

Description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Kimchi vessel in which cutter is formed}
본 고안은 김치통에 적용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량의 김치를 보관하는 용기와 결합되는 뚜껑의 상부에 절단칼을 탈,부착되어지게 위치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김치를 썰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김치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0)와 결합되는 뚜껑(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간(201)에 가이드(101)를 형성한 절단칼(100)과 위생장갑(103) 또는 집게(102) 등을 수납하고 상기 뚜껑(200) 내측의 일측부에 절첩이 가능한 도마(400)를 설치하여 바닥면의 공간(201)에 수납된 내용물을 가리게 하였으며 상기 뚜껑(200)과 결합되는 용기(300) 내벽(302)에는 일정한 간격의 홈(301)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칼(100)을 홈(301)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누르면 용기(300)에 담겨진 김치가 절단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구조의 뚜껑(200)은 바닥면에 형성된 공간(201)에 가이드(101)를 형성한 절단칼(100)과 집게(102) 와 위생장갑(103) 같은 구성물을 수납하고 상기 뚜껑(200)의 내측의 일측부에 절첩이 가능한 도마(400)를 설치한 다음 용기(300)를 결합하는 것으로 조립이 쉽지 않고 도마(400)를 절첩한 다음에 절단칼(100)을 꺼내서 사용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300)는 내벽(302)에 일정간격으로 홈(301)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성형하기가 쉽지 않고 성형의 어려움에 따른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며 이러한 용기(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300)는 김치를 썰 때 형성된 홈(301)에 가이드(101)가 형성된 절단칼(100)을 끼워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고 자르는 간격이 항상 일정하여 김치의 밑둥이 뿌리 부분이 걸리면 자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용기에 결합된 뚜껑 상부에 탈,부착 되는 절단칼을 위치시킴으로서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의 임의대로 김치를 자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칼이 뚜껑에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뚜껑의 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의 손잡이의 단면도를 나타낸 절단칼의 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사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단칼 11 : 손잡이
12 : 고정홈 13 : 칼날
14 : 칼집 15 : 만곡부
16 : 파지면 17 : 통공부
20 : 뚜껑 21 : 상부면
22 : 수납부 23a,b : 고정돌기
24 : 시간지시부 30 : 용기
31 : 바닥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통상의 용기(30)와 결합되는 뚜껑(20)의 상부면(21)에는 어느 일측부로 내입되어지게 수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22)에는 김치를 썰기 위한 손잡이(11)와 칼날(13)을 구비한 절단칼(10)이 수납부(22)에 수평으로 내입되게 삽입되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칼(10)은 손잡이(11)와 칼날(13)의 중간에 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의 수납부(22)에는 고정돌기(23)가 형성되어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대응되게 끼워지게 하여 절단칼(10)이 수납부(22)에서 이탈을 방지토록 한것이다.
또한 고정돌기(23a)는 중앙을 일부 절개하여 탄성되어지도록 하여 상기 절단칼(10)의 고정홈(12)이 절개 된 고정돌기(23b)에 끼워지면 절개된 면이 벌어지려는 힘 때문에 이탈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칼(1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11)에는 통공부(17)를 형성하여 파지면(16)이 볼록하거나 중앙이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뚜껑(20)에 수납되어 탈착할 때 손가락을 볼록면이나 절곡면에 끼워서 탈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날(13)은 사용전이나 사용 후에 생길 수 있는 세균 등의 위생상의 문제나 날카로운 칼날(13)에 다칠 수 있을지 모르는 위험 등의 안전을 위해 칼집(14)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날(13)은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되어지도록 함으로서 부하를 줄임으로서 절단이 용이토록 한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용기(30)의 바닥면(31)도 상측으로 돌출되게 만곡되어지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절단이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통상적으로 용기(30)의 바닥면(31)이 평면이거나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제작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만곡되어진 용기(30)의 바닥면(31)은 만곡부(15)를 가진 칼날(13)이 삽입될 때 양끝에서부터 김치가 절단되어지면서 삽입되어 바닥면(31)과 밀착면이 평면적으로 형성된 칼날(13)과 바닥면(31)보다 최초에 닿는 밀착면이 적어지게 함으로서 김치등이 더 잘 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20)에 형성된 수납부(22)의 동일선상의 다른 일측부에 김치의 저장시간을 알 수 있는 통상의 시간지시부(24)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김치통은 통상의 용기(30)와 결합되는 뚜껑(20)의 상부면(21)에 김치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칼(10)을 위치시킴으로서 절단칼(10)의 탈,부착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김치를 잘라먹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김치통은 조립이 간단하고 제작이 쉬우며 저렴한 가격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조립과 사용이 쉽고 다양한 재질과 제작이 가능하며 저렴한 가격의 제공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통상의 용기(30)와 결합되는 뚜껑(20)의 상부면(21)에는 어느 일측부로 내입되어지게 수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20)의 수납부(22)에는 김치를 썰기 위한 손잡이(11)와 칼날(13)이 구비된 절단칼(10)이 수납부(22)에 수평으로 위치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10)의 일측부에 고정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20)의 수납부(22)에 고정돌기(23)를 형성하여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20)의 수납부(22)에 형성된 고정돌기(23a)는 중앙이 일부 절개되어 탄성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13)에 칼집(14)을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13)은 통상의 만곡되어진 용기(30)의 바닥면(31)에 대응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10)의 손잡이(11)에 통공부(17)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10)의 손잡이(11)의 파지면(16)이 볼록하거나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10)이 수납된 김치통.
KR20-2003-0028961U 2003-09-09 2003-09-09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KR200335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61U KR200335253Y1 (ko) 2003-09-09 2003-09-09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961U KR200335253Y1 (ko) 2003-09-09 2003-09-09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53Y1 true KR200335253Y1 (ko) 2003-12-03

Family

ID=4942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961U KR200335253Y1 (ko) 2003-09-09 2003-09-09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4B1 (ko) * 2007-02-09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용기뚜껑
KR20200056625A (ko) * 2018-11-15 2020-05-25 강원식 음식 절단 용기
KR20220002992U (ko) 2021-06-15 2022-12-22 박미애 김치 절단 및 보관 기능을 갖는 김치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4B1 (ko) * 2007-02-09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용기뚜껑
KR20200056625A (ko) * 2018-11-15 2020-05-25 강원식 음식 절단 용기
KR102146283B1 (ko) * 2018-11-15 2020-08-20 강원식 음식 절단 용기
KR20220002992U (ko) 2021-06-15 2022-12-22 박미애 김치 절단 및 보관 기능을 갖는 김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590B2 (en) Utensil carrying case
WO2000069728A3 (en) Food container
US5941411A (en) Drinking cup and releasably attached eating utensil
KR200335253Y1 (ko) 절단칼이 수납된 김치통
KR20190129711A (ko) 식기구 휴대용 케이스
JP5303637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一時保存用パック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439424Y1 (ko) 아이스크림 용기
JP2011083506A (ja) 爪楊枝を内部に収容した箸
CN210842764U (zh) 一种沥水篮装置
KR200223804Y1 (ko)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KR200451445Y1 (ko) 칼 보관함
KR200240833Y1 (ko) 식품용기 뚜껑
KR200334059Y1 (ko) 김치통
KR200489294Y1 (ko) 커피 일체형 일회용 종이컵
CN213664918U (zh) 一种搅拌器配件收纳结构和搅拌器的配件
KR860001194Y1 (ko) 도마가 있는 휴대용 수저통
KR200251619Y1 (ko) 도마
KR200349733Y1 (ko) 야외용 도마
KR200342150Y1 (ko) 식품용기 뚜껑
US10617106B1 (en) Bait cutter and storage device
KR200292247Y1 (ko) 김치통
KR200311207Y1 (ko)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구조
KR200273182Y1 (ko) 휴대용 도마
KR960005286Y1 (ko) 낚시용 도마 휴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