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009Y1 - 도시락 용기 - Google Patents

도시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009Y1
KR200223009Y1 KR2020000032083U KR20000032083U KR200223009Y1 KR 200223009 Y1 KR200223009 Y1 KR 200223009Y1 KR 2020000032083 U KR2020000032083 U KR 2020000032083U KR 20000032083 U KR20000032083 U KR 20000032083U KR 200223009 Y1 KR200223009 Y1 KR 200223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unch box
main body
r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광
Original Assignee
홍선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선광 filed Critical 홍선광
Priority to KR2020000032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009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무실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도시락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밥용기부, 국용기부, 다수의 반찬용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되는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밥용기, 국용기 및 다수의 반찬용기가 소정 깊이로 요입되고, 각 용기 사이에 소정 높이의 분리벽이 형성된 본체와, 밥용기부 및 국용기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분리벽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보조용기부와, 본체의 상부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야외 또는 실내에서 도시락 용기를 이용할 때, 별도의 물컵 및 수저를 보관하지 않고 도시락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도시락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시락 용기{lunch box}
본 고안은 사무실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도시락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밥용기부, 국용기부, 다수의 반찬용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용기가 구비되는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발전됨에 따라 각 개인의 행동반경이 넓어져서 간편한 의식주의 생활용품을 다각적으로 개발하여 유통되고 있는바, 그중 식생활에서 바삐 움직이는 생활인의 생활용품들도 다양하게 변화되어 이를 구입하여 손쉽게 사용해 왔으며, 또한 집밖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손쉽게 구입 또는 만들어서 먹는 도시락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어,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매끼마다 먹을 수 있게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간단하게 도시락을 준비할 수 있는 바, 이는 밥이나 김밥, 반찬 등을 담을 도시락 용기들을 사용하여 야외로 외출을 할 때에 필요한 만큼 김밥이나 간단한 음식물을 분리하여 담기도 하고, 또 사무실에서 도시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 간편한 은박용기나 스티로폴 및 합성수지 용기를 주로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사람들은 상기와 같은 용기들을 사용하기 간편하여 많이 이용하여 왔다.
즉, 종래의 은박용기나 스티로폴용기는 한 번 사용하기도 전에 용기자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고, 경우에 따라 한가지 음식물만 담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도시락용기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개선한 합성수지용기는 밥과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칸을 나누어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음식물을 담는 요입부의 수량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음식을 담지 못하며, 식사를 하기위한 숟가락 및 젓가락을 따로 준비해야하고, 식사후의 음료수를 마시기 위한 컵 등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야외 또는 실내에서 도시락용기를 이용할 때, 별도의 물컵 및 수저를 보관하지 않고 도시락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도시락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보조용기
30 : 뚜껑 40 : 포크겸용숟가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밥용기, 국용기 및 다수의 반찬용기가 소정 깊이로 요입되고, 각 용기 사이에 소정 높이의 분리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밥용기부 및 국용기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분리벽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보조용기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찬용기 사이에 마련된 상기 분리벽의 소정부가 요입되어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겸용숟가락이 보관되는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다수의 용기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10)와, 몸체(10)에 형성된 용기부에 삽입되는 제 1, 2보조용기(20, 20a)와, 외부와 밀폐되도록 몸체에 결합되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밥용기부(12), 국용기부(14)와, 다수의 연속된 반찬용기부(16)로 구분되어 지며, 각 용기부(12, 14, 16)는 각각의 용기부(12, 14, 16)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분리를 위하여 각 용기부(12, 14, 16)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의 돌출벽(18)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외주에는 뚜껑과 소정의 압력으로 결합되도록 본체(10)의 외측으로 결합돌기(19)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연속된 반찬용기부(16)들을 구분하는 돌출벽(18)은 소정깊이로 요입되어 사용자가 도시락 용기를 사용할 때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겸용 숟가락(40) 등을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착부(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보조용기(20, 20a)는 본체(10)에 형성된 밥용기부(12) 및 국용기부(14)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밥용기부(12) 및 국용기부(14)의 오목형상에 대응하여 외형이 형성되며, 제 1, 2보조용기(20, 20a)의 일측에는 밥용기부(12) 또는 국용기부(14)와 인접하여 형성된 반찬용기부(16) 사이의 돌출벽(18)을 압착 지지하여 본체(10)의 밥용기부(12) 및 국용기부(14)에 장착되었을 때 각 제 1, 2보조용기(20, 20a)의 이탈을 방지되도록 고정돌기(24)가 형성된 손잡이부(22)가 마련된다.
그리고, 뚜껑(30)은 본체(10)의 외형에 결합되도록 본체(10)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뚜껑(30)의 외주면에는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9)와 결합되어 결합돌기(19)에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돌기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30)의 상면에는 이름표(34)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사각형체의 삼면이 접착된 투명재질의 이름표 삽입구(36)가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의 도시락용기는 기술적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도시락용기 뿐만 아니라 모양이나 크기 및 반찬용기의 수를 필요한 경우에 따라 알맞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사용자가 야외 또는 실내에서 도시락용기를 이용할 때, 별도의 물컵 및 수저를 보관하지 않고 도시락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도시락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밥용기, 국용기 및 다수의 반찬용기가 소정 깊이로 요입되고, 각 용기 사이에 소정 높이의 분리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밥용기부 및 국용기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상기 분리벽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보조용기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찬용기 사이에 마련된 상기 분리벽의 소정부가 요입되어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겸용숟가락이 보관되는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시락 용기.
KR2020000032083U 2000-11-16 2000-11-16 도시락 용기 KR200223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83U KR200223009Y1 (ko) 2000-11-16 2000-11-16 도시락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83U KR200223009Y1 (ko) 2000-11-16 2000-11-16 도시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009Y1 true KR200223009Y1 (ko) 2001-05-15

Family

ID=7308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83U KR200223009Y1 (ko) 2000-11-16 2000-11-16 도시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7778S1 (en) Insulated food container
CA2310620C (en) A food container
US5042712A (en) Combination food container and eating utensil
US20010033882A1 (en)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JP5618658B2 (ja) 食材用容器
USD440117S1 (en) Insulated food tray lid
KR200223009Y1 (ko) 도시락 용기
KR200417031Y1 (ko) 도시락
CN205548226U (zh) 一种多功能双层组合餐杯
USD439113S1 (en) Insulated food tray bulk condiment holders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150121282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USD488961S1 (en) Cylindrical vacuum container
JP2005253549A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0226849Y1 (ko)
WO2005012106A2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KR200234283Y1 (ko)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CN215591261U (zh) 小食盒
KR200378661Y1 (ko) 휴대용 음식 용기
JP3118276U (ja) 納豆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