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820A -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820A
KR20040073820A KR1020030009543A KR20030009543A KR20040073820A KR 20040073820 A KR20040073820 A KR 20040073820A KR 1020030009543 A KR1020030009543 A KR 1020030009543A KR 20030009543 A KR20030009543 A KR 20030009543A KR 20040073820 A KR20040073820 A KR 2004007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ealed
cutting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3000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820A/ko
Publication of KR2004007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나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와 커팅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한 뚜껑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뚫거나, 베어내어 용기 내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하거나, 2)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뚜껑에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과 용기를 분리하지 않고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뚫거나, 베어내어 용기 내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따를 수 있도록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나 뚜껑에 장착된 실링 부재의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뚜껑의 하측부가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상측부가 용기의 입구보다 상측으로 돌출 되며, 울타리 형태의 외벽으로 둘러 싸여 보호되는 반구(돔)형이며 주름막(자바라) 기능을 갖는 돔 상단의 지정된 부위(누름판)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본체에 장치된 내용물 유출구의 커팅대의 하단 부에 장착된 커팅 날이 누름판을 누르는 힘에 의해 주름 또는 엷은 막이 아래로 접혀지면서 하강하는데, 이때에 커팅 날이 뚜껑의 하단 부나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 부재를 손을 대지 않고 수월하게 커팅하여 한쪽으로 젖히거나, 뚫거나, 베어내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시거나 따를 수 있도록 고안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solution vessel or of sealed beverage and industrial closure}
본 발명은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 장치 또는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용기의 입구와 결합된 뚜껑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또는 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뚜껑과 용기의 입구가 결합된 상태로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 부재를 제거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마시거나 따를 수 있도록 한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또는 뚜껑에 대한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내용물의 상태 보존을 위하여 입구에 실링부재로 밀봉 처리된다.
도면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장치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종래의 음료용기의 개폐장치는 실링부재(2)로 밀봉 처리된 음료 용기(1)의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로 직선 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 부재(4)와, 상시 본체(3)의 상측부에 씌워진 뚜껑(5)으로 구성되어, 음료를 마실 때에는 상기 본체(3)를 음료 용기(1)로부터 상기 실링 부재(2)를 제거하고, 다시 상기 본체(3)를 음료 용기(1)의 입구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뚜껑(5)을 열고 상기 승강 부재(4)를 손으로 잡아서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의 헤드부(3')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4)의 상측면(4')이 이격되어 음료 용기(1)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 용기(1)를 기울여서 음료를 배출시켜 마시게 되고,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4)를 손으로 압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음료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장치는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를 음료용기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한 다음, 다시 상기 본체를 음료용기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사용에 있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케찹,마요네즈 등)을 따르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상측으로 잡아 당겨야 하고 내용물(케찹,마요네즈 등)을 따르고 난 다음에는 다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 부재를 원 위치로 밀어 넣어야 하므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링부재로 밀봉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뚜껑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하거나 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뚜껑에 용기의 입구가 결합되어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부재를 제거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한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또는 뚜껑의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부위를 청결치 못한 손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실링 처리된 밀봉부재가 장착된 내용물 용기의 입구 또는 뚜껑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또는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 본 발명에 따른 마개와 본체의 대표 투영도와 조립 투영도
- 본체 투영도는 용기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투영도임.
도 3;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와 평면도
[용어 설명]
뚜껑=마개+본체
마개=외벽+주름판+누름판+유출구마개
본체=유출구+주름 또는 엷은막+커팅대+커팅날
현 지 ; 마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고리
외 벽 ; 돔혀의 주름판을 보호하고 적재시에 하중을 견디는 역할
주 름 판; 엄지손가락으로 누름판을 누르시에 유출구 마개가 수월하게 하강토록 쉽게 접힘
누 름 판;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는 곳
유출구 마개; 유출구로 부터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
유 출 구; 내용물이 유출 되는 출구
주름(엷은)막; 반구형상으로 커팅 대가 수월하게 하강토록 쉽게 접히는 역할
커 팅 날; 하강하면서 실링 부재를 자르거나 뚫는 역할
커 팅 대; 커팅날의 지짓대
실링부재; 내용물의 오염을 막기 위한 밀봉 역할
안전띠 ; 개봉 여부를 확인키 위하여 마개의 외벽과 누름판을 연결한 띠.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는 ;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결합부위;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 외벽; 실링부재를 커팅하여 젖힐 수 있는 커팅대와 커팅날; 쉽게 내려갈 수 있도록 처리된 마개와 본체의 주름 또는 엷은 막; 주름을 누르는데 사용되는 누름판; 소비자를 보호하는 안전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처리된 용기에 결합된 뚜껑의 가장 주요 부위인 외벽, 반구(돔형), 자바라 주름, 구름판, 안전띠, 등과 마개를 본체에 열고 닫는 전체적인 외부구조에 대한 대표 투영도이다.
도면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뚜껑의 일부인 마개의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과 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면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뚜껑의 일부인 본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과 그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5는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자르는 커팅대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대표 도면(2)와 도면(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뚜껑의 각 부분을 마개 부분, 현지, 본체 부분, 등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1) 마개(B)부분의 구조와 역할을 설명하면
가) 외 벽(6) : 외벽(6)의 역할은 내벽부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적재 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나) 주름판(8): 누름판(9)을 누르면 수월하게 유출구 마개가 하강 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접혀지는 역할을 한다.
다) 안전띠(7): 누름판(9)과 외벽(6)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가 누름판이 하강 할 때에 뜯어짐으로서 사용 여부를 알 수 있게 하여 소비자를 보호 장치이다.
2) 본체(A)부분의 구조와 역할을 설명하면,
가) 누름판(9):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기 용이하게 설치된 누름판(9)과,
나) 주름 또는 엷은 막(13): 쉽게 접혀질 수 있도록 여러 겹의 주름 또는 열은 막(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 유출구(12): 용기(1) 내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입구.
라) 커팅날(15): 실링 부재(16)를 제거하거나 잘라내는 역할
마) 커팅대(14): 커팅날을 받쳐주는 역할.
3) 현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품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가) 사용자가 결합되어 있는 뚜껑(본체+마개)의 상측부의 누름판(9)을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밑으로 누른다.
나) 누르는 힘에 의해 주름판(8)이 쉽게 접히면서 반구(돔)형의 전체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본체(A)의 유출구(12)를 누름판(9)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출구마개(10)가 밑으로 밀면서 하강한다.
다) 하강하는 유출구마개(10)와 누름판(9)의 힘에 의해, 본체(A)의 주름(엷은막)이 접히면서 커팅대(14)의 하단부에 장착된 커팅날(15)이 내려가며 실링 부재(16)를 제거하거나 베어서 젖히고,.
라) 이미 접혀진 본체의 주름(엷은 막)은 복원력이 상실되어 실링 부재(16)가 설치된 위치에 그대로 머물러 있고,
마) 마개(B)의 주름판(8)도 복원력이 상실되어, 유출구마개(10)가 유출구(12)를 막는 역할을 하며,
바) 뚜껑을 사용 할 때에는 일반 뚜껑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고 닫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 커팅장치와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장치 및 주름판은 마요네즈, 케찹 용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내용물에 관계없이 실링 처리된 용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물은 사용하기 전에 실링부재를 제거하기 위해 뚜껑을 용기로 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
2)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기존 뚜껑은 최소한 두 개이상의 부품을 결합한 뚜껑에 의해 가능하나,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으로 상기 기능이 가능하다는 장점.

Claims (7)

  1. 본 발명은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나 실링 처리된 뚜껑의 커팅 장치와 커팅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한 뚜껑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뚫거나, 베어내어 용기 내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거나, 2)실링 부재로 밀봉 처리된 뚜껑에 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과 용기를 분리하지 않고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뚫거나, 베어내어 용기 내어 들어 있는 내용물을 마시거나 따를 수 있도록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나 뚜껑에 장착된 실링 부재의 커팅 장치에 관한 것.
  2. 제1항에 있어서,
    실링 부재를 수월하게 제거하거나 뚫거나 자를 수 있도록 커팅대를 설치하고, 커팅대의 하측부에 여러 형태의 커팅날을 장치하는 것,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측부에 내용물 유출구를 장착 한 것.
  3. 본체의 커팅대가 수월하게 하강하여 실링 부재를 제거하거나 자르거나 뚫을 수 있도록 커팅대와 본체 중측부 간에 주름이나 엷은 막을 장착하는 것.
  4. 마개의 외주에 외벽을 장착하여, 반구(돔)형의 마개 주름판을 보호하고, 적재 시에는 상단에 쌓이는 하중을 견뎌 내는 역할을 하는 것.
  5. 누름판이 수월하게 하강토록 설치되는 주름 또는 엷은 막.
  6. 반구(돔)형의 주름판을 효과적으로 누르기 위하여 반구의 상측부에 설치된 두껍고 단단한 누름판의 장착.
  7. 본체 부위에 힌지로 연결되는 마개 부위를 장착하는 것
KR1020030009543A 2003-02-14 2003-02-14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KR20040073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43A KR20040073820A (ko) 2003-02-14 2003-02-14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43A KR20040073820A (ko) 2003-02-14 2003-02-14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20A true KR20040073820A (ko) 2004-08-21

Family

ID=3736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543A KR20040073820A (ko) 2003-02-14 2003-02-14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820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121A (ja) * 1996-10-02 1998-04-21 Shikoku Kakoki Co Ltd 容器開封装置
JPH10119995A (ja) * 1996-10-22 1998-05-12 Taisei Kako Kk 開封兼繰返し密閉可能なキャップ付き樹脂製密封容器複合体
JPH10230960A (ja) * 1997-02-19 1998-09-02 Taisei Kako Kk 穿孔具付きキャップ
WO1999061338A1 (es) * 1998-05-27 1999-12-02 Juan Massana Bruch Tapon hermetico perfeccionado con uña segadora de precintos
JP2003026219A (ja) * 2001-05-29 2003-01-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流動食品の密封パッケージ用の閉栓可能な開口装置
JP2003034349A (ja) * 2001-07-25 2003-02-04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付開封刃内蔵口栓
EP1196331B1 (en) * 1999-07-16 2003-05-14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121A (ja) * 1996-10-02 1998-04-21 Shikoku Kakoki Co Ltd 容器開封装置
JPH10119995A (ja) * 1996-10-22 1998-05-12 Taisei Kako Kk 開封兼繰返し密閉可能なキャップ付き樹脂製密封容器複合体
JPH10230960A (ja) * 1997-02-19 1998-09-02 Taisei Kako Kk 穿孔具付きキャップ
WO1999061338A1 (es) * 1998-05-27 1999-12-02 Juan Massana Bruch Tapon hermetico perfeccionado con uña segadora de precintos
EP1196331B1 (en) * 1999-07-16 2003-05-14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s
JP2003026219A (ja) * 2001-05-29 2003-01-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流動食品の密封パッケージ用の閉栓可能な開口装置
JP2003034349A (ja) * 2001-07-25 2003-02-04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付開封刃内蔵口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7051B2 (en) Bottle cap
US4966300A (en) Insulated drinking container
JP2007528324A (ja) プッシュ型開封装置を有する容器の栓
US4122970A (en) Tamper-proof container with attached end closure
JPH07112749A (ja) チューブ容器
KR101006921B1 (ko) 자동으로 실링 부재가 제거되는 뚜껑
KR20040073820A (ko) 실링 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의 입구의 커팅 장치
KR20040049238A (ko) 씰링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 입구의 커팅장치
WO2001049583A1 (e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JP4699463B2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KR101569493B1 (ko) 병뚜껑
US3067910A (en) Self opening tin can lid
KR100967548B1 (ko)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뚜껑을 개방할 때에 그뚜껑에 의해 자동으로 실링 부재가 제거되는 장치
KR101042631B1 (ko)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뚜껑과 이 용기 입구 사이에 밀봉처리된 밀봉 부재를 뚫거나 자르거나 제거하는 뚜껑 내의장치
KR101165973B1 (ko) 실링 처리된 용기입구 또는 뚜껑입구의 커팅 장치
US4741451A (en) Easy open container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KR101275644B1 (ko)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실링 부재를 제거하여 뚜껑의내부에 끼게되는 기능을 갖는 뚜껑
KR20100102566A (ko) 씰링처리된 용기 입구 또는 뚜껑 입구의 커팅장치
KR100368537B1 (ko) 마개기능을 갖는 개봉탭
JPH10264931A (ja) リシールキャップ付飲料缶
US20050167297A1 (en) Easy-open closure fo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KR20060099796A (ko) 용기마개
EP1632437B1 (en) Dispensing caps for beverage containers
KR200323145Y1 (ko) 음료용 캔의 캔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01

Effective date: 201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