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629A -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629A
KR20040073629A KR1020030009281A KR20030009281A KR20040073629A KR 20040073629 A KR20040073629 A KR 20040073629A KR 1020030009281 A KR1020030009281 A KR 1020030009281A KR 20030009281 A KR20030009281 A KR 20030009281A KR 20040073629 A KR20040073629 A KR 2004007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ccess node
access
protoc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미정
민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0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629A/ko
Publication of KR2004007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에서, 음성 및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어 회선망과 데이터망으로 트래픽을 분리하는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망에서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노드와 V5.2프로토콜로 연동된 E1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 정보로 분리하는 V5.2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V5.2호연결신호를 메가코(Megaco) 프로토콜 처리하고, 상기 소프트스위치측으로부터 입력된 메가코 프로토콜 신호에 대해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게 V5.2프로토콜 및 E1 링크 처리를 요청하는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에서 메가코 프로토콜 처리된 호연결신호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전달하고,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음성 베어러 정보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대방측 가입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IP패킷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Access gateway system, and communication service offering method through an access-node in NGN }
본 발명은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및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어 회선망과 데이터망으로 트래픽을 분리하는 액세스노드를 수용하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이 액세스노드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현재까지는 가입자들에게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선선로를 포설하여 운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이들 동선선로를 이용하여 가입자들에게 데이터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동선선로는 선로감쇠가 심하기 때문에 국사와 가입자간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내로 제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거리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 국사와 원거리의 가입자간에 광설비를 구축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이때, 음성 및 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입자단말을 수용하여 데이터망 또는 공중회선교환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를 액세스노드라고 한다. 이 액세스노드는 한 계위 다중화된 E1 전송방식으로 로컬교환기와 연결되며, E1 타임슬롯 내에 가입자 신호채널과 정보채널을 분리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액세스노드는 최근 구축되어 로컬교환기와 연동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광가입자 시설이 증가되면서 로컬교환기와의 연동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가입자를 수용한 액세스노드를 포함한 공중교환통신망을 도시한다. 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DSL 모뎀(111, 131)과,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기(112, 132), 이 DSL 모뎀(111, 131)과 전화기(112, 132)를 수용한 액세스노드(113, 133)와, 이 액세스노드(113, 133)와 연동하는 로컬교환기(114, 134)를 구비한다. 로컬교환기(114, 134)는 공중교환통신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20)에 수용된다. 각 가입자단말은 액세스노드에 수용되어 공중교환통신망의 망 요소인 로컬교환기(114, 134)와 연동되며, 로컬교환기의 제어를 받아 가입자단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액세스노드와 로컬교환기간 신호절차에 대한 프로토콜로는 V5.2 프로토콜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중교환통신망에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액세스노드 및 로컬교환기간 신호 흐름도이다. 가입자단말이 호를 시도하면 즉, 후크오프(Hook off)하면, 액세스노드(113)는 이를 감지하고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를 생성하여 로컬교환기(114)에게 송신한다(S201). 그러면, 로컬교환기(114)는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상적인 발신 가입자로부터의호 시도인 경우에, 접속요청확인(ESTABLISH ACK)메시지를 액세스노드에게 송신한다(S202). 또한, 로컬교환기(114)는 액세스노드(113)와 연결되어 있는 E1 자원을 조사하여 사용되지 않은 타임슬롯을 음성정보전달용 타임슬롯으로 할당하고,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액세스노드에게 송신한다(S203). 그러면 액세스노드는 그 타임슬롯 할당요청메시지에 대한 할당확인(ALLOCATION ACK)메시지를 로컬교환기에게 송신한다(S204).
로컬교환기는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실제 가입자단말이 수용된 가입자라인으로 다이얼톤을 송출한다(205). 이 다이얼톤을 수신한 발신 가입자는 착신 가입자의 디지트를 입력하고(S206), 그러면 로컬교환기는 수신된 디지트를 분석하여 착신 가입자와의 연결을 위한 호처리 과정을 통해, 착신 가입자 단말과 발신 가입자 단말을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07).
통화 완료 후 가입자가 후크온(hook-on)하면, 액세스노드는 후크온 시그널(SIGNAL)메시지를 생성하여 로컬교환기에게 송신한다(S208). 이 후크온 시그널(SIGNAL)메시지를 수신한 로컬교환기는 가입자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 자원을 해제하기 위해 할당해제(DEALLOCATION)메시지를 액세스노드(113)에게 송출하고(S209), 이후 호를 완전히 해제하기 위해 호해제(DISCONNECT)메시지를 액세스노드(113)에게 송신한다(S210). 그러면 액세스노드는 호를 아이들(idle) 상태로 바꾼 후 호해제확인(DISCONNECT ACK)메시지를 회신한다(S211).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노드(113)는 가입자신호를 감지하고 E1 인터페이스의 서비스 가능/불가능을 감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로컬교환기(114)는 각종 호처리 진행 및 자원관리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현재까지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망들을 통합하고, 음성, 비디오, 팩스, 데이터 등의 트래픽을 같은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이 제안되고 있다.
차세대 망의 망 요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스위치(Softswitch)(31), 각종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여 소프트스위치(31)와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및 미디어 변환 등을 담당하는 각종 게이트웨이(32, 33, 34, 38),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버(35), 이들 망 요소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패킷 전달망(36), 그리고 다양한 가입자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을 저장 및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37)를 포함한다.
소프트스위치(31)는 모든 호 처리에 관련된 라우팅, 번호변환,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응용서버는 각 가입자에게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차세대 망에서 각 망요소간 연결은 IP 패킷전달망을 경유하여 IP기반으로 연결되는데, 기존 공중회선교환망에서 E1 PCM(Pulse Code Modulation)으로 연동되던 액세스노드는 IP 종단점이 아니기 때문에 패킷망으로 연결될 수 없다.
액세스노드를 패킷망에 수용하려면, 액세스노드를 패킷망과 연동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하거나, 액세스노드를 수용하여 패킷망에 연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전자의 방법은 전국적으로 구축된 각각의 액세스노드를 개별적으로 기능 업그레이드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기능 업그레이드하는 동안에는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후자의 방법에 따라 액세스노드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과, 액세스노드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스노드를 차세대 망의 패킷 전달망에 연동시키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이 액세스노드를 통해 가입자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는 액세스노드를 포함한 공중교환통신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공중교환통신망에서 전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액세스노드 및 로컬교환기간 신호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차세대 망(NGN)의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망의 시스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액세스노드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요소간 메시지 처리과정을 도시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액세스노드를 통한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 51 : V5.2프로토콜처리부
52 :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 53 : IP패킷처리부
31 : 소프트스위치 36 : 패킷전달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은, 차세대 망에서 다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액세스노드를 패킷전달망에 연동시키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노드와 V5.2프로토콜로 연동된 E1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 정보로 분리하는 V5.2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V5.2호연결신호를 메가코(Megaco) 프로토콜 처리하고, 상기 소프트스위치측으로부터 입력된 메가코 프로토콜 신호에 대해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게 V5.2프로토콜 및 E1 링크 처리를 요청하는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에서 메가코 프로토콜 처리된 호연결신호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전달하고,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음성 베어러 정보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대방측 가입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IP패킷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노드를 패킷전달망에 연동시키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의 상기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발신 단말의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요청메시지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로 분리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정보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상기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발신측 후크오프 통지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E1 링크 자원을 조사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타임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에게 타임슬롯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으로 상기 발신 단말에게 다이얼톤을 송신하는 다이얼톤 송신단계;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착신측 디지트 시그널(SIGNAL)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트 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상기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디지트 송신단계;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하는 링백톤 송출단계;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백톤 송출 정지요청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링백톤 송출을 정지한 후, 상기 발신 단말의 발신 스트림과 착신 스트림을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게 상호 전달하는 발신측 음성스트림 전송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세대 망의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에, 상술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망의 시스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망은 소프트스위치(31)와, 응용서버(35)와, 패킷전달망(36)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V5.2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에는 다수의 액세스노드(42)가 수용되는데, 다수의 액세스노드(42)는 하나의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에 V5.2프로토콜이 적용된 E1 방식으로 연결된다. V5.2프로토콜은 2개 이상의 E1 물리라인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정의하여 각 타임슬롯을 신호용 타임슬롯 및 음성 베어러 정보용 타임슬롯으로 구분하여 두 시스템간 신호 및 음성 베어러 정보를 송신하도록 규정한다.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는 물리적인 E1 펄스코드변조(PCM)신호를 수신하여 V5.2프로토콜신호 및 음성정보 타임슬롯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V5.2프로토콜신호를 소프트스위치와의 연동규격인 메가코(Megaco) 프로토콜로 변환 매핑하고 IP 패킷화하여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한다. 한편, 분리된 음성정보는 IP패킷화하여 착신측 단말의 IP 주소에게 전송한다. 즉,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는 음성 가입자 신호처리를 위한 메시지를 메가코 프로토콜에 정의된 적절한 메시지로 매핑하고, IP패킷으로 음성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E1 PCM 음성신호를 IP패킷에 실어서 송신한다.
또한, 이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41)는 기존의 로컬교환기 기능을 가지며, 자신에게 수용된 다수의 액세스노드를 구분하기 위해 각 액세스노드마다 상이한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규정한다. 각 인터페이스 아이디는 가입자수에 따라 가변적인 물리적 E1 회선이 연결되며, 각각의 가입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단말 포트번호를 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50)는 액세스노드와 접속된 V5.2프로토콜처리부(51)와,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와, 패킷 전달망(36)을 통해 소프트스위치(31)와접속된 IP패킷처리부(53)를 구비한다.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일반 회선교환망에서의 로컬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한 후 V5.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E1 방식으로 연결되는 액세스노드를 집중 수용하여 액세스노드로부터 수신되는 E1 링크를 처리하고 V5.2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과, 가입자 단말에 각종 톤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소프트스위치와의 신호 교환을 위한 메가코 프로토콜 처리기능을 수행하는데, 가입자 상태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가입자 상태 FSM(Finite State Machine) 메시지를 관리하며, 호 처리 및 베어러 터미네이션 ID(Identification)를 관리한다. 그리고, IP패킷처리부(53)는 액세스노드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정보를 IP패킷화하여 패킷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호 처리용 IP패킷과 가입자 베어러 IP패킷을 IP 프로토콜 처리하며 소프트스위치와 연결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요소간 메시지 처리과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가입자 단말과 발신 가입자 단말을 하나로 표현하고, 착신 가입자 단말과 발신 가입자 단말이 같은 액세스노드에 연결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실제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은 다르고 각각 다른 액세스노드에 연결된다. 또한, 소프트스위치는 착신측과 발신측에 각각 필요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신측 가입자 단말이 후크오프(hook-off)하면, 액세스노드는 V5.2 프로토콜인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되는 E1 물리라인의 타임슬롯에 매핑하여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전송한다(S602). 이때,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 내에는 발신측의 액세스노드 정보인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가입자 단말 정보인 포트번호가 포함되어 발신 가입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V5.2프로토콜신호 메시지 및 음성 베어러 타임슬롯을 분리하고, V5.2프로토콜 신호의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를 분석하여 발신측의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가입자 포트번호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접속요청인 지를 확인한다(S603). 정상적인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접속요청이면,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소프트스위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토콜 처리를 위해 가입자단말의 후크오프 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 전송한다(S604).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소프트스위치와의 식별번호인 터미네이션 아이디와, 액세스노드의 식별번호인 인터페이스 아이디 및 단말 식별번호인 포트번호를 상호 매핑하고, 소프트스위치에게 발신 가입자 단말의 상태 변환(후크오프)에 대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생성하며(S605), 생성된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IP패킷처리부(53)에게 송신한다(S606). IP패킷처리부(53)는 단계 S606의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패킷전달망으로 전달하기 위해 목적지 IP주소를 소프트스위치로 설정하여 IP패킷처리하고(S607), IP패킷처리된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소프트스위치에게 전송한다(S608).
단계 S608에서 발신 단말의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수신한 소프트스위치(31)는 발신측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 후크오프 통지확인(NOTIFY ACK)메시지를 송신한다(S609).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후크오프 상태 확인(hook-off ACK)메시지를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전송하고(S610),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액세스노드에게 접속요청확인(ESTABLISH ACK)메시지를 전송한다(S611).
한편, 단계 S608에서 발신 단말의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수신한 소프트스위치는, 수신된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분석하여 터미네이션 아이디를 인지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매핑하며 착신 가입자 상태를 조회한다(S612). 착신 가입자가 정상적인 상태이면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를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 송신한다(S613). 그러면,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V5.2프로토콜 처리를 요구하고(S614), 소프트스위치(31)에게는 다이얼톤 상태변경확인(MODIFY ACK)메시지를 송신한다(S615).
한편, 단계 S614에서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V5.2프로토콜 처리를 요구받은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다이얼톤 및 베어러 정보를 실어 나르기 위한 타임슬롯 할당을 위해 E1 링크의 자원을 조사하며, 해당 인터페이스 아이디 및 포트번호에 대해 E1 링크의 타임슬롯을 할당하고(S616),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액세스노드(42)에게 전송한다(S617). 그리고,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해당 타임슬롯으로 다이얼톤을 송신한다(S618).
다이얼톤을 수신한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의 디지트를 액세스노드에게 송신하고(S619), 액세스노드는 이 수신 디지트를 시그널(SIGNAL)메시지에 입력하여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송신한다(S620). 이 수신 디지트 시그널(SIGNAL)메시지는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 전달되고(S621),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수신 디지트를 통지(NOTIFY)메시지에 매핑하여 소프트스위치(31)에게 송신한다(S622).
그러면, 소프트스위치(31)는 착신 번호와 라우팅을 분석한 후 착신측으로 라우팅하고, 발신측 및 착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S623), 발신측 터미네이션 아이디(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를 식별함) 및 착신측 터미네이션 아이디(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를 식별함)로 추가(ADD)메시지를 송신한다(S624). 각각의 추가(ADD)메시지를 송신한 발신측 및 착신측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수신한 추가(ADD)메시지를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전달한다. V5.2프로토콜처리부(51)가 발신측 V5.2프로토콜처리부이면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한다. 한편, 착신측 V5.2프로토콜처리부이면 착신 단말에게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와 링잉톤을 송출하고,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를 감지한다(S626). 도면에서는 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와 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 착신측 액세스노드와 발신측 액세스노드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별도의 장치이다.
착신 단말이 후크오프(hook-off)하면(S627), 착신측 액세스노드는 후크오프 메시지를 포함한 시그널(SIGNAL)메시지를 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전송하고(S628), 이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이 시그널(SIGNAL)메시지를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 전달한다(S629). 그러면,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 정보를 소프트스위치(31)에게 송신하기 위한 착신 단말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생성하여 소프트스위치(31)에게 송신한다(S630). 착신 단말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송신한 소프트스위치(31)는 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는 랭백톤 송출정지명령을 포함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를 송신하고, 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에게는 링잉톤 송출정지명령을 포함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를 송신한다(S631). 각각의 상태변경(MODIFY)메시지를 송신한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52)는 수신된 상태변경(MODIFY)메시지를 V5.2프로토콜처리부(51)에게 전달하고(S632), 그러면 발신측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발신 단말에게 제공하였던 링백톤 송출을 정지하고 착신측 V5.2프로토콜처리부(51)는 착신 단말에게 제공하였던 링잉톤 송출을 정지한다(S633).
상기의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연결이 성립되며, 발신스트림과 착신스트림은 IP패킷처리부(53)에서 IP패킷 처리되어 상대측에게 상호 전달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발신측 액세스노드로부터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가 수신되면(S701),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를 V5.2신호와 음성 베어러 타임슬롯으로 분리하고 V5.2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아이디(액세스노드를 식별함)와 가입자 포트번호(가입자 단말을 식별함)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접속요청인 지를 확인한다(S702). 정상적인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접속요청이면 터미네이션 아이디(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를 식별함), 인터페이스 아이디, 및 단말 식별번호인 포트번호를 매핑하여 소프트스위치에게 발신 가입자 단말의 상태 변환(후크오프)에 대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후크오프 통지(NOTIFY)메시지를 IP패킷화하여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한다(S703).
소프트스위치로부터 후크오프 통지확인(NOTIFY ACK)메시지가 수신되면(S704), 수신된 후크오프 통지확인(NOTIFY ACK)메시지를 액세스노드에게 송신한다(S705). 또한,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S706), 다이얼톤 및 베어러 정보를 실어 나르기 위한 타임슬롯 할당을 위해 E1 링크의 자원을 조사하며, 해당 인터페이스 아이디 및 포트번호에 대해 E1 링크의 타임슬롯을 할당하고(S707), 액세스노드에게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신하며, 해당 타임슬롯으로 발신 단말에게 다이얼톤을 송신한다(S708).
그 후, 액세스노드로부터 디지트가 수신되면(S709), 수신 디지트를 소프트스위치에게 전달한다(S710). 그리고,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추가(ADD)메시지가 수신되면(S711),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한다(S712). 발신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하는 도중에,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백톤송출정지명령이 수신되면(S713), 링백톤 송출을 정지하고(S714), 착신측과 스트림 정보를 상호 전달한다(S715).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의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소프트스위치로부터 착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추가(ADD)메시지가 수신되면(S801), 착신 단말에게 링잉톤을 송출하고, 착신 단말이 수용된 착신 액세스노드에게 접속요청 타임슬롯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출하며,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를 감지한다(S802). 착신 단말이 후크오프하면(S803),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정보를 소프트스위치에게 전달한다(S804).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잉톤 송출정지명령이 수신되면(S805), 링잉톤 송출을 정지하고(S806), 발신측과 스트림 정보를 상호 전달한다(S807).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E1 링크로 로컬교환기와 V5.2프로토콜로 연동되는 다수의 액세스노드의 E1 트렁크를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에 집중 수용하여 차세대 망의 망요소에 맞는 프로토콜 변환 및 패킷망으로의 전달을 위한 패킷화를 통해 액세스노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던 가입자에게 연속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설의 대, 개체없이 기존의 시설의 차세대 망으로 흡수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차세대 망에서 다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액세스노드를 패킷전달망에 연동시키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노드와 V5.2프로토콜로 연동된 E1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 정보로 분리하는 V5.2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V5.2호연결신호를 메가코(Megaco) 프로토콜 처리하고, 상기 소프트스위치측으로부터 입력된 메가코 프로토콜 신호에 대해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게 V5.2프로토콜 및 E1 링크 처리를 요청하는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와;
    상기 게이트웨이프로토콜처리부에서 메가코 프로토콜 처리된 호연결신호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전달하고, 상기 V5.2프로토콜처리부에서 분리된 음성 베어러 정보를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대방측 가입자 단말에게 전달하는 IP패킷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액세스노드에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규정하여 상기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에 수용된 액세스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각각의가입자 단말에 포트번호를 지정하여 상기 액세스노드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3. 차세대 망에서, 다수의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노드를 패킷전달망에 연동시키는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의 상기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발신 단말의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요청메시지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로 분리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정보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상기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발신측 후크오프 통지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E1 링크 자원을 조사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타임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에게 타임슬롯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으로 상기 발신 단말에게 다이얼톤을 송신하는 다이얼톤 송신단계;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착신측 디지트 시그널(SIGNAL)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트 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상기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디지트 송신단계;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하는 링백톤 송출단계;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백톤 송출 정지요청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링백톤 송출을 정지한 후, 상기 발신 단말의 발신 스트림과 착신 스트림을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게 상호 전달하는 발신측 음성스트림 전송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착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단말에게 링잉톤을 송출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수용된 착신 액세스노드에게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와 타임슬롯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출하는 링잉톤 송출단계와;
    상기 착신 액세스노드로부터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시그널(SIGNAL)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정보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착신측 후크오프 통지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잉톤 송출 정지요청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링잉톤 송출을 정지한 후, 상기 착신 단말의 발신 스트림과 착신 스트림을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에게 상호 전달하는 착신측 음성스트림 전송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액세스노드에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규정하여 상기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에 수용된 액세스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각각의 가입자 단말에 포트번호를 지정하여 상기 액세스노드에 수용된 가입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6. 집중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에,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발신 단말의 접속요청(ESTABLISH)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요청메시지를 V5.2호연결신호와 음성 베어러로 분리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후크오프 상태 정보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패킷전달망을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발신측 후크오프 통지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다이얼톤 송신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E1 링크 자원을 조사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타임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에게 타임슬롯 할당요청(ALLOCATION)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할당된 타임슬롯으로 상기 발신 단말에게 다이얼톤을 송신하는 다이얼톤 송신단계;
    상기 발신 액세스노드로부터 착신측 디지트 시그널(SIGNAL)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트 전달을 위한 통지(NOTIFY)메시지를 상기 소프트스위치에게 송신하는 디지트 송신단계;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발신측 베어러 전달을 위한 스트림을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게 링백톤을 송출하는 링백톤 송출단계; 및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링백톤 송출 정지요청을 위한 상태변경(MODIFY)메시지가 수신되면 링백톤 송출을 정지한 후, 상기 발신 단말의 발신 스트림과 착신 스트림을 IP 프로토콜 처리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에게 상호 전달하는 발신측 음성스트림 전송단계를 포함한 액세스노드를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09281A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KR20040073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1A KR20040073629A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1A KR20040073629A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29A true KR20040073629A (ko) 2004-08-21

Family

ID=3736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81A KR20040073629A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6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4447A1 (en) * 2005-03-08 2006-09-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access configuration mode resource reservation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KR100662188B1 (ko) * 2005-12-26 2006-12-27 (주) 엘지텔레콤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3108359A (zh) * 2011-11-15 2013-05-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线通信系统及方法、网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4447A1 (en) * 2005-03-08 2006-09-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access configuration mode resource reservation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US7693054B2 (en) 2005-03-08 2010-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implementing resources reservation in access configuration mode in next generation network
KR100662188B1 (ko) * 2005-12-26 2006-12-27 (주) 엘지텔레콤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3108359A (zh) * 2011-11-15 2013-05-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线通信系统及方法、网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651B1 (ko) Isdn 비디오 전화기를 이용한 isdn 오디오 및 비디오 호출 방법 및 장치
CA231207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wapp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EP08471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US7006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circuit switch-to-switch communication
US68393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signaling information and voice traffic
US6128293A (en) Multiservi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7369544B2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with hunting diversion
KR19990007463A (ko) 호출 재방향지시 시스템
KR20020090280A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에서의 라우팅 서비스방법
JP3678149B2 (ja) ローカル電話サービスをpstnから次世代ネットワークへ段階的に移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13471B2 (ja) 通信接続確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394818B1 (en) Extended multi-line hunt group communication
MXPA02001535A (es) Implementacion de procedimientos de establecimiento de llamada con separacion de control de llamada y control de portadora.
US76759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signaling protocols
KR20040073629A (ko)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US7020129B2 (en) Dynamic assignment of telecommunications switches and packet switch gateways
US20060245568A1 (en) Gateway device,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and private branch exchange method
US20050135376A1 (en) Media gateway and method of managing local channel thereof
KR100407810B1 (ko) 음성 데이터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과 공중전화 교환망간의 상호 지능망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01204A (ko) 차세대 망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0004472A (ja) 通信装置
JP2002208966A (ja) Uni収容mgにおけるisdn加入者収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62068B1 (ko)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KR100279158B1 (ko) 각각 상이한 음설코딩방식을 지원하는 망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는 디지털 사설교환시스템의 호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