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068B1 -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068B1
KR100462068B1 KR10-2002-0076859A KR20020076859A KR100462068B1 KR 100462068 B1 KR100462068 B1 KR 100462068B1 KR 20020076859 A KR20020076859 A KR 20020076859A KR 100462068 B1 KR100462068 B1 KR 10046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network identification
fiel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898A (ko
Inventor
임의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0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86Signalling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7Numbering,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o.7 망과 NGN 망을 정합하는 SG에서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다수의(멀티플) No.7 망이 정합 될 경우에 상기 SG는 정적으로 할당된 No.7 망에 대한 망 식별 정보를 상기 NGN 망의 다수의 MGC로 전송하여 해당 MGC가 독립적으로 망 식별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기 시동을 통보하고 응답받는 과정과;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는 과정과;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에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자국 신호점 정보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Identifying Network}
본 발명은 망 식별(Network Appearance)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o.7 망(No.7 Signaling Network)과 NGN 망(Next Generation Network)을 정합하는 SG(Signaling Gateway)에서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다수의(멀티플(Multiple)) No.7 망이 정합 될 경우에 상기 SG는 정적으로 할당된 No.7 망에 대한 망 식별 정보를 상기 NGN 망의 다수의 MGC(Media Gateway Controller)로 전송하여 해당 MGC가 독립적으로 망 식별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O.7 신호 방식(No.7 Signaling System)이라 함은 통화로와 신호로가 같이 사용되는 기존의 통화 방식과는 달리 통화로와 신호로를 완전히 분리시켜 다수의 음성 신호가 각각 독립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신호 정보를 송수신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인데, 이런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하는 망을 No.7 망이라 한다.
그리고, NGN 망은 패킷 망인 차세대 통신망으로 기존의 일반 전화, 무선 전화 및 인터넷망을 하나의 패킷 구조로 통합한 차세대 통신인데, 개방 모듈형 표준 프로토콜과 개방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어 회사, 이동 사무실, 이동 통신 이용자, 재택 근무자들의 욕구 충족에 적합하며 유연성, 가변성, 저렴성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뉴스, 일기, 주식 시세, 계정 잔고와 같은 웹 기반 정보를 단순한 음성 메시지나 전화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상기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이 정합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단일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을 살펴보면, SG(20)는 단일 No.7 망과 NGN 망을 정합하는 것으로, No.7 망 정합부(21)와 NGN 망 정합부(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No.7 망 정합부(21)는 상기 단일 No.7 망에 속해있는 다수의 신호점(10)과 신호 링크(Signalling Link)를 통해 정합하고, 상기 NGN 망 정합부(22)는 상기 NGN 망에 속해 있는 다수의 MGC(30)와 정합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점(10)은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 메시지를 발신 또는 착신하는 신호점으로 신호 종단점인 SEP(Signalling End Point)와 한 신호 링크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다른 신호 링크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신호 전달점인 STP(Signalling Transfer Point))이고, 상기 MGC(30)는 인터넷 전화에서 전화 망과 IP 망을 접속하는 VoIP 게이트웨이 기능을 IP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일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에서 상기 SG(20)를 통해 상기 단일 No.7 망에 연동되는 MGC(30)는 해당 No.7 망 식별을 위해 망 식별 정보(Network Appearance) 없이 해당 SG(20)와 프로토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왜냐면, 상기 MGC(30)가 오직 하나의 No.7 망과 연동하기 때문에 특별히 식별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을 살펴보면, SG(20)는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을 정합하는 것으로, No.7 망 정합부(21)와 NGN 망 정합부(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No.7 망 정합부(21)는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것으로 각각의 No.7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다수의 No.7 망에 속해 있는 다수의 신호점(10)과 신호 링크를 통해 정합하고, 상기 NGN 망 정합부(22)는 상기 NGN 망에 속해 있는 다수의 MGC(30)와 정합한다. 예컨대, 상기 No.7 망 정합부(21)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규격 No.7 망 정합부(21a),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규격 No.7 망정합부(21b) 등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다수의 No.7 망 정합부를 구비하는데, 해당 ITU-T 규격 No.7 망 정합부(21a)는 해당 ITU-T 규격 No.7 망에 속해 있는 신호점(10)과 연동하고, 해당 ANSI 규격 No.7 망 정합부(21b)는 해당 ANSI 규격 No.7 망에 속해 있는 신호점(10)과 연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에서 상기 SG(20)에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다수의 No.7망이 정합 되기 때문에, MTP(Message Transfer Protocol) 사용자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각 망에 할당된 망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SG(20)에서 메시지 변환 절차를 수행한 후, NGN 망의 MGC(30)와 프로토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토콜은 M3UA(MTP3 User Adaptation; RFC 3332 SS7 MTP3-User Adaptation Layer)가 사용되며 해당 M3UA 프로토콜 메시지 내에 망 식별 정보 파라미터가 선택 항목으로 사용된다.
상기 망 식별 정보는 크게 망 표시자(Network Indicator), MTP3 프로토콜 타입(MTP3 Protocol Type) 및 버전(Version)정보에 따라 할당되는 No.7 망의 MTP 프로토콜에 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값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규격의 No.7 프로토콜간의 정합을 수행하는 SG(20)의 경우에, 운용자는 각각 상기 SG(20)와 해당 SG(20)와 연동될 MGC(30)에 정적으로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한다. 이렇게, 상기 SG(20)가 관리하는 MGC(30)간에 망 식별 정보가 운용자에 의해 정적으로 공유되어 동일 망 식별 정보를 가지는 서버들간, 즉 상기 SG(20)와 MGC(30)간에만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No.7 망과 NGN 망간 신호 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모든 M3UA 프로토콜 메시지 내에 상기 망 식별 정보를 위한 파라미터 코드값이 할당되어야 하며, 상기 SG(20)는 해당 코드값을 검사하여 No.7 망과 메시지 송수신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M3UA 프로토콜 메시지는 버전(Version) 필드, 예약 (Reserved)필드, 메시지 등급(Message Class) 필드, 메시지 타입(Message Type) 필드,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필드, 망 식별 정보(Network Appearance) 필드, 라우팅 콘텍스트(Routing Context) 필드, 프로토콜 데이터(Protocol Data) 필드 및 상관 관계 아이디(Correlation Id)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에서는 망 식별 정보가 운용자에 의해 SG와 MGC들 간에 정적으로 할당되어야 하며, 등록되지 않은 망 식별 정보를 싣고 MGC로부터 SG로 유입되는 M3UA 프로토콜 메시지들은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SCN(Switched Circuit Network) 망의 No.7 망이 ITU-T 기반의 MTP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그와 연동되는 MGC가 ITU-T 기반의 No.7 망과의 정합을 위해서 각각 SG와 MGC간에 해당 프로토콜 규격에 대한 망 식별 정보가 운용자에 의해 등록되어 SG는 망 식별 정보로서 ITU-T 규격에 할당된 값을 MGC와 공유하여야만 서비스가 가능하고, 해당 No.7 망이 ANSI 기반의 MTP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또한, 종래의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에는 SG 내의 망 식별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운용자가 MGC의 망 식별 정보에 대한 변경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용자에 의해 할당되어 정적으로 SG와 MGC에 입력되어야 하는 망 식별 정보를 SG에 할당할 경우 해당 망 식별 정보가 동적으로 MGC로 전송되어 SG와 MGC간 연동에 있어서 중복적인 데이터 관리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일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M3UA 프로토콜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a는 ASP 업 메시지를 나타내 도면.
도 7b는 ASP 업 응답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7c는 ASP 엑티브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7d는 ASP 엑티브 응답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도 7c에 있어 MTP 프로토콜 INFO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도 8a에 있어 망 표시자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8c는 도 8a에 있어 MTP3 프로토콜 타입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도 7d에 있어 망 식별 정보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도 7d에 있어 OPC 리스트 필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점 20 : SG
21 : No.7 망 정합부 21a : ITU-T 규격 No.7 망 정합부
21b : ANSI 규격 No.7 망 정합부 22 : NGN 망 정합부
30 : MGC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은 초기 시동을 통보하고 응답받는 과정과;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는 과정과;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에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자국 신호점 정보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망 식별 정보 불일치에 따른 서비스 단절이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은, MTP 프로토콜 INFO 필드에 MTP 프로토콜 INFO 정보를 할당하여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MTP 프로토콜 INFO 필드는, MGC가 SG로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MTP 프로토콜 INFO 정보가 할당되는 것으로, No.7 망이 이종 망 또는 동일 망인지의 정보를제공하는 망 식별자 필드와 No.7 프로토콜 규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 식별 정보/자국 신호점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망 식별 정보를 망 식별 정보 필드에 할당하고 상기 자국 신호점 정보를 OPC 리스트 필드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망 식별 정보 필드는, MGC에게 멀티플 No.7 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OPC 리스트 필드는, MGC에게 자국 신호점 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망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멀티플 No.7 망과 NGN 망이 정합된 망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NGN 망의 MGC(30)는 초기 시동을 SG(20)로 통보하고, 해당 SG(20)로부터 응답을 받는다(S401).
그리고, 상기 MGC(30)는 트래픽 송수신 가능을 상기 SG(20)에게 통보하고,또한 망 식별 정보를 상기 SG(20)에게 요구한다(S402).
이에, 상기 SG(20)는 상기 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는데(S403),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SG(20)와 MGC(30)간에 망 식별 정보 불일치에 따른 서비스 단절이 발생하고(S404),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SG(20)는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자국 신호점 정보를 할당하여 상기 MGC(30)로 전송한다(S405).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 식별 정보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NGN 망에 속해 있는 MGC(30)는 초기 시동시에 해당 초기 시동을 통보하기 위해 ASP(Application Sever Processor) 업 메시지(ASP_UP Message)를 멀티플 No.7 망과 해당 NGN 망을 정합하는 SG(20)로 전송한다(S501). 여기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SP 업 메시지는 버전(Version) 필드, 예약(Reserved) 필드, 메시지 등급(Message Class) 필드, 메시지 타입(Message Type) 필드,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필드, ASP 식별자(ASP Identifier) 필드 및 INFO 스트링(INFO String)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SG(20)는 상기 MGC(30)로부터 ASP 업 메시지를 수신하여(S502), 해당 ASP 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SP 업 응답 메시지(ASP_UP_ACK)를 해당MGC(30)로 전송한다(S503). 여기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SP 업 응답 메시지는 버전 필드, 예약 필드, 메시지 등급 필드, 메시지 타입 필드, 메시지 길이 필드 및 INFO 스트링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MGC(30)는 상기 SG(20)로부터 ASP 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504), 트래팩 송수신 가능을 통보하기 위해 트래픽 모드 타입 필드(Traffic Mode Type)에 트래픽 모드 타입을 할당하고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기 위해 MTP 프로토콜 INFO 필드에 MTP 프로토콜 INFO 정보를 할당하여 ASP 엑티브 메시지(ASP_ACTIVE Message)를 해당 SG(20)로 전송한다(S505). 여기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SP 엑티브 메시지는 버전 필드, 예약 필드, 메시지 등급 필드, 메시지 타입 필드, 메시지 길이 필드, 트래픽 모드 타입 필드, 라우팅 콘텍스트(Routing Context) 필드, INFO 스트링 필드 및 MTP 프로토콜 INFO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MTP 프로토콜 INFO 필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GC(30)가 상기 SG(20)로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MTP 프로토콜 INFO 정보가 할당되는 것으로, 망 식별자 필드(Network Indicator)와 MTP3 프로토콜 타입 필드(MTP3 Protocol Typ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 식별자 필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7 망이 이종 망 또는 동일 망인지의 정보를 코드값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No.7 망이 이종 망임을 나타내는 인터내셔널(International) 필드(코드값 0), 스페어(Spare) 필드(코드값 1), No.7 망이 동종 망임을 나타내는 내셔널(National) 필드(코드값 2) 및 예약(Reserved) 필드(코드값 3)를 구비하고,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 필드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7 프로토콜 규격에 대한 정보를 코드값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ITU-T 필드(코드값 1), ANSI 필드(코드값 2), CHINA 필드(코드값 3), TTA(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필드(코드값 4) 및 어더(Other) 필드(코드값 5)를 구비한다.
상기 단계(S505) 이후에, 상기 SG(20)은 상기 MGC(30)로부터 ASP 엑티브 메시지를 수신하여(S506),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망 식별 정보 테이블(Network Appearance Table)내에 해당 ASP 엑티브 메시지에 실린 MTP 프로토콜 INFO 정보인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한다(S507).
이때, 상기 판단 결과(S507),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SG(20)와 MGC(30)간에 망 식별 정보 불일치에 따른 서비스 단절이 발생한다(S508).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507),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SG(2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망 식별 정보를 망 식별 정보 필드에 할당하고 자국 신호점 정보를 OPC(Origination Point Code) 리스트 필드에 할당하여 ASP 엑티브 응답 메시지(ASP_ACTIVE ACK Message)를 상기 MGC(30)로 전송한다(S509). 여기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SP 엑티브 응답 메시지는 버전 필드, 예약 필드, 메시지 등급 필드, 메시지 타입 필드, 메시지 길이 필드, 트래픽 모드 타입 필드, 라우팅 콘텍스트 필드, INFO 스트링 필드, 망 식별 정보 필드 및 OPC 리스트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 식별 정보 필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GC(30)에게 멀티플 No.7 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OPC 리스트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GC(30)에게 자국 신호점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MGC에서 송수신되는 M3UA 프로토콜 메시지 내의 망 식별 정보로 상기 SG(20)로부터 할당된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해당 MGC(30) 내부적으로 자국 신호점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SG에서 관리되는 멀티플 No.7 망 구조에 상관없이 MGC는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며, SG에서 운용자에 의해 처리된 망 식별 정보에 대해 MGC는 독립적으로 해당 망 식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즉, MGC는 SG의 멀티플 No.7 망에 대한 신호점 정보와 MTP3 프로토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존 PSTN 신호망에 상관없이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MGC는 운용자에 의해 정적으로 할당되던 망 식별 정보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SG와의 망 식별 정보 불일치에 따른 서비스 단절 현상을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초기 시동을 통보하고 응답받는 과정과;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는 과정과;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에 망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자국 신호점 정보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TP3 프로토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망 식별 정보 불일치에 따른 서비스 단절이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은,
    MTP 프로토콜 INFO 필드에 MTP 프로토콜 INFO 정보를 할당하여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TP 프로토콜 INFO 필드는,
    MGC가 SG로 망 식별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MTP 프로토콜 INFO 정보가 할당되는 것으로, No.7 망이 이종 망 또는 동일 망인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망 식별자 필드와 No.7 프로토콜 규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TP3 프로토콜 타입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식별 정보/자국 신호점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망 식별 정보를 망 식별 정보 필드에 할당하고 상기 자국 신호점 정보를 OPC 리스트 필드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식별 정보 필드는,
    MGC에게 멀티플 No.7 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식별 정보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OPC 리스트 필드는,
    MGC에게 자국 신호점 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KR10-2002-0076859A 2002-12-05 2002-12-05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KR10046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859A KR100462068B1 (ko) 2002-12-05 2002-12-05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859A KR100462068B1 (ko) 2002-12-05 2002-12-05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898A KR20040049898A (ko) 2004-06-14
KR100462068B1 true KR100462068B1 (ko) 2004-12-17

Family

ID=3734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859A KR100462068B1 (ko) 2002-12-05 2002-12-05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5335B (zh) * 2006-09-29 2010-08-18 华为技术有限公司 Ngn终端实现短消息业务的方法、系统及ngn短消息中心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96A (ko) * 1993-12-30 1995-07-28 박성규 종합정보 통신망(isdn) 가입자의 패킷망 정합장치
KR970056205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초기지능망과 차세대지능망의 통합 운용 시스템에서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9990012478A (ko) * 1997-07-29 1999-02-2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처리용 통합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000020585A (ko) * 1998-09-22 2000-04-15 이계철 지능망 연동 시스템
KR20020043287A (ko) * 2000-12-01 2002-06-10 구자홍 범용 게이트웨이
KR20020052567A (ko) * 2000-12-26 2002-07-04 오길록 통신속도 향상을 위한 이기종망간 게이트웨이 및 그에따른 자원 할당방법
KR20030028266A (ko) * 2001-09-28 2003-04-08 주식회사 케이티 Pstn 환경에서 지능망 호를 이용한 데이터서비스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96A (ko) * 1993-12-30 1995-07-28 박성규 종합정보 통신망(isdn) 가입자의 패킷망 정합장치
KR970056205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초기지능망과 차세대지능망의 통합 운용 시스템에서 신용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9990012478A (ko) * 1997-07-29 1999-02-2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처리용 통합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000020585A (ko) * 1998-09-22 2000-04-15 이계철 지능망 연동 시스템
KR20020043287A (ko) * 2000-12-01 2002-06-10 구자홍 범용 게이트웨이
KR20020052567A (ko) * 2000-12-26 2002-07-04 오길록 통신속도 향상을 위한 이기종망간 게이트웨이 및 그에따른 자원 할당방법
KR20030028266A (ko) * 2001-09-28 2003-04-08 주식회사 케이티 Pstn 환경에서 지능망 호를 이용한 데이터서비스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898A (ko) 2004-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2978B1 (en) Call completion of video telephone/teleconference call as packet voice call
CA2443097C (en) Alternate routing of voice communication in a packet-based network
US7075922B2 (en) Screening inbound calls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s network
EP1192791B1 (en) Voip using ss7 signalling and cooperation of ip nodes with signalling points
US20030231623A1 (en) Routing system in the next generation open networ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outing system
JPH1168851A (ja) 回線交換網とインターネット網との網間経路制御通信システム
US200701274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ging circuit switched and packed switched communications
US20070115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emergency communication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764666B2 (en) VoIP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in/call-out in VoIP gateway apparatus
KR101606142B1 (ko) 음성패킷망에서 네트워크 주소 번역 통과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939522A1 (en)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subscriber devices through a global communication network
AU5069102A (en) Selection system, its selection method for voice channels, and switchboard for use therein
US68452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221683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462068B1 (ko) 망 식별 정보 처리 방법
US69504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via a packet-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
US67145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acket switched network
KR20050080972A (ko) 차세대 망에서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377325B1 (ko) 아이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KR100407810B1 (ko) 음성 데이터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과 공중전화 교환망간의 상호 지능망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020093916A1 (en) Method for routing and interchang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ssociated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70076858A1 (en) Method for supporting the name delivery feature for mixed tdm networks/ sip centrex communication architectures.
FI105747B (fi) Useamman kytkentäkeskuksen dataverkko
KR20040073629A (ko) 차세대 망에서 액세스게이트웨이시스템 및 액세스노드를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과 기록매체
US8144859B1 (en) Integrated ENUM and number portability trans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