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954A -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 Google Patents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954A
KR20040072954A KR1020030008618A KR20030008618A KR20040072954A KR 20040072954 A KR20040072954 A KR 20040072954A KR 1020030008618 A KR1020030008618 A KR 1020030008618A KR 20030008618 A KR20030008618 A KR 20030008618A KR 20040072954 A KR20040072954 A KR 2004007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mistletoe
kml
antigen
or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유영춘
김진철
양웅석
김학응
Original Assignee
김종배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배, 주식회사 제노바이오텍 filed Critical 김종배
Priority to KR102003000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954A/ko
Publication of KR2004007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coloratum)로부터 점막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인 렉틴(KML-C)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KML-C는 항원과 함께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점막면역기능을 조절하여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의 증가를 유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본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과 렉틴 성분은 숙주의 면역기능 향상과 경구용 백신 보조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식품 첨가물 또는 의약품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 성분 {Korean mistletoe lectins having oral mucosal immunoadjuvant activity}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 물추출에 의해 얻은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물추출한 후 다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활성용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이다.
동물용 백신은 독력을 순화시킨 생백신과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킨 사독(균) 백신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생백신의 경우 살아있는 병원균을 약독화시켜 접종함으로 높은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백신균주가 변이하여 오히려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한편 사독백신은 병원균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감염력을 제거한 백신으로 안전성 면에 있어서는 생백신보다는 안전하나, 일반적으로 면역반응 유도활성이 낮아 고농도로 여러 번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동물용 백신에는 이들 생백신과 사독백신 이외에도 병원성과 면역반응 유도에 중요한 부위만을 유전공학적 기법에 의해 제조하는 재조합 백신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드는 서브유니트(subunit) 백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항원 단백질을 엔코팅(encoding)하는 유전자(DNA)를 직접 숙주에 투여하는 DNA백신의 적용도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백신 모두가 동물의 체내에서 미생물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만큼의 높은 면역반응을 유도하지는 못하며, 이러한 이유로 백신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높힐 수 있는 안전하며 효과적인 백신보조제(백신 adjuvant)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위장관을 비롯한 분비 점막 조직은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항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대한 방어를 위해 위장관은 시스템면역(systemic immunity)과는 해부학적으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점막 면역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방어 성분 중 분비성 S-IgA(secretory IgA) 항체는 점액 조직에서 방어를 담당하는 성분 중 가장 중요한 면역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감염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의 주된 전파경로는 사료, 사육 주변환경으로부터 식도, 호흡기, 소화기, 비뇨생식기 계통의 점막 부위이다. 점막을 통해 병원체가 침투하면 우선적으로 점막의 림프조직에서 IgA가 생산되며 이들은 항원과 결합하여 초기에 항원의 침입을 저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질병의 예방에 있어서 점막면역의 중요성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점막면역은 점막조직에서 유도된 면역기능이 점막조직에 국한되지 않고 전신을 순환하며 전신성 면역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의 백신개발은 안전성과 효능 면에서 탁월한 경구용 백신이 권장되고 있다.
그동안 국부적으로 특히 장내에 항원 특이적 IgA 항체 합성을 유도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폴리오 백신(polio vaccine) 외에는 성공의 예가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장내에 면역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항원의 분해, 제한된 흡수, 비특이적 면역계와의 상호작용, 부적절한 항원 전달계 (antigen delivery system)의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백신의 효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보조제(adjuvant)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막성 보조제(mucosal adjuvant)로는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가 생성하는 CT(cholera toxin)가 있으나, 이 CT는 경구 톨레런스(oral tolerance)를 유발하지 않으며 함께 투여된 다른 단백질의 경구톨레런스(oral tolerance)를 억제하는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예로서, CT를 항원(Streptococcus mutansprotein antigen I/II)와 함께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경우 점막조직과 혈청 내에서 각각 이 균의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IgA와 IgG 항체가 강력하게 유도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보조제(adjuvant)로서 CT의 역할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마이크로스페어(microsphere)를 경구용 항원의 전달계(vehicle)로서 이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수용성의 항원을 입자형으로 경구 투여하는 것이 점막 면역 반응 유도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그 외에도 현재 리오솜(liosome), ISCOM, 벡터(salmonella vector, recombinant viral vector) 등을 항원의 전달계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자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KML-C)의 경구용 백신 보조제(adjuvant)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점막성 보조제(mucosal adjuvant)인 CT와의 비교실험을 실시하여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이 보다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이 KML-C가 각종 경구용 백신의 면역보조제로서 응용코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경구투여 시 점막면역계의 자극 및 보조제로서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및 투여경로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일반 및 건강식품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고 경구투여를 통한 약학적 조성물로도 투여할수 있어 점막면역계의 자극 및 보조제로서 원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Balb/c 마우스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 성분(KML-C)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체가의 상승 효과를 조사한 그림이다.
도 2는 KML-C를 항원과 함께 경구투여한 마우스에서 유도되는 항원 특이항체의 isotype종류를 분석한 그림이다.
도 3은 KML-C를 항원과 함께 경구투여한 마우스에서 각종 점막조직에 분비된 항원 특이적인 IgA의 역가를 조사한 그림이다.
도 4는 KML-C를 항원과 함께 경구투여하는 경우 항원에 대한 체액성 면역과 더불어 세포성 면역도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 물추출에 의해 얻은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 물추출한 후 다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활성용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이다.
본 발명은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경구투여시 점막면역계의 자극과 보조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원 특이적인 항체가 상승의 효과
KML-C를 경구투여 시 점막면역계에 대한 자극 및 보조제(adjuvant)로서의 효과는 Balb/c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8주령의 암컷 Balb/c마우스에 생리식염수로 녹인 KML-C를 1회 투여시 100 ug/mouse, 10 ug/mouse, 1ug/mouse, 의 양으로 항원(OVA; ovoalbumin, 100 ug/mouse)과 함께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에 동량의 항원과 cholera toxin (10 ug/mouse)을 항원을 경구투여하였다. 항원 특이적인 항체의 역가는 시료 투여개시 후 2주, 5주 및 7주 째에 부분채혈에 의해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 KML-C를 항원과 함께 투여한 마우스에 있어서 투여개시 5주 째부터 대조군 보다 높은 항체 역가가 관찰되었으며, 7주 째에는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도 1 참조),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해 항체 역가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원 특이적인 항체의 아이소타입(isotype)의 분석
항원 단독 또는 면역 보조제(adjuvant)로서 CT 또는 KML-C를 항원과 함께 면역한 마우스의 혈청을 채취하여, 항원 특이항체의 아이소타입(isotype)을 조사한 결과, KML-C를 항원과 함께 투여한 마우스에서 IgG1과 IgG2a 항체가 현저하게 높게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참조).
실시예 3 :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한 각 조직별 항체가의 상승효과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해 각 점막조직에서의 항체유도가 상승하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각 점막조직에서 분비물을 채취하여 항원 특이적인 IgA 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혈청에서는 물론 분변(fecal extract) 및 생식기(vagina wash)의분비액에서 항체가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의외로 장 분비액(intestinal wash)에 있어서는 뚜렷한 효과를 인정하지 않았다 (도 3참조).
실시예 4 : KML-C의 경구투여에 의한 세포성 면역의 상승효과
KML-C를 경구로 투여하였을 경우에 항원에 대한 세포성 면역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가를 조사하였다. 항원 단독 또는 면역 보조제(adjuvant)로서 CT 혹은 KML-C를 함께 면역한 마우스에 항원을 50 ug/50 ul씩으로 피하주사한 뒤 주사부위의 팽윤(swelling)정도를 통해 세포성 면역의 상승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KML-C를 항원과 함께 면역한 마우스에서 항원 주사부위의 팽윤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KML-C를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체액성 면역은 물론 세포성 면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도 4 참조)
접종방법에 따른 백신 구분의 경우에는 접종에 사용되는 인력, 비용 그리고 고통 등을 감안할 때 경구투여를 통한 경구백신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백신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경구로 투여되는 항원의 경우 면역반응의 유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실용화된 경구백신은 소아마비 백신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좋은 면역반응을 위해서 보조제(adjuvant)를 사용하는데, 보조제(Adjuvant)란 강력한 T cell-mediated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항원에 함께 투여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현재 사용중인 보조제(adjuvant)로는 사람에게는알럼(alum)이 유일하고, 그 외의 보조제(adjuvant)로는 Freund Complete adjuvant (FCA), Freund incomplete adjuvant (FIA), Titermax 등이 실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비생물적 경구용 면역원으로서는 가장 강력한 CT(cholera toxin)가 있다.
현재까지 경구용 백신보조제(adjuvant)로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예는 극히 드물어, CT가 가장 주목되는 후보물질이 되어 있다. 이 CT도 항원과 동시에 동일한 투여경로를 통해 투여하였을 때만 면역증강이 유도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CT보다 강하지 않으나 순화된 B 서브유니트(subunit)는In vitro에서 림프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CT에 의한 보조제(adjuvant) 활성은 GALT (gut-associated lymph tissue)에서 Ts세포(suppressive T세포)를 저지하는 능력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인 KML-C가 CT에 비해서 경구투여 시 보다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가의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KML-C는 CT보다 점막면역의 증강활성이 강하며 또한 식물체에서 추출하였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점에서 경구용 백신보조제(adjuvant)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백신의 투입경로를 감안할 때, 장관계나 점막에 국한된 질병이나 호흡기 질환 등의 백신 보조제(adjuvant)로서 대단히 효과적인 것으로 기대한다.

Claims (4)

  1.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 물추출에 의해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를 세절하여 물추출한 후 다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 활성용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3. 제 1항의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강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의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활성용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KR1020030008618A 2003-02-11 2003-02-11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KR20040072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618A KR20040072954A (ko) 2003-02-11 2003-02-11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618A KR20040072954A (ko) 2003-02-11 2003-02-11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954A true KR20040072954A (ko) 2004-08-19

Family

ID=3736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618A KR20040072954A (ko) 2003-02-11 2003-02-11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9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38B1 (ko) * 2007-06-08 2009-01-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 독성 및 기억력 손상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893908B1 (ko) * 2007-06-25 2009-04-20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증강 조성물
KR20100054044A (ko) * 2008-11-13 2010-05-24 김종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체력증진 기능성 식품
KR101012507B1 (ko) * 2008-01-08 2011-02-08 (주)디딤바이오텍 점막면역 유도능이 있는 면역증강제를 포함하는 여성위생용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5758B1 (ko) * 2009-03-18 2012-03-27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여성 국부 청결용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38B1 (ko) * 2007-06-08 2009-01-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 독성 및 기억력 손상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893908B1 (ko) * 2007-06-25 2009-04-20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증강 조성물
KR101012507B1 (ko) * 2008-01-08 2011-02-08 (주)디딤바이오텍 점막면역 유도능이 있는 면역증강제를 포함하는 여성위생용품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4044A (ko) * 2008-11-13 2010-05-24 김종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체력증진 기능성 식품
KR101125758B1 (ko) * 2009-03-18 2012-03-27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여성 국부 청결용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o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luminum adjuvants and Freund's incomplete adjuvant on the immune response to an Edwardsiella tarda major antigen
Hammond et al. Transcutaneous immunization of domestic animal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acobs et al. Vaccination against the gastrointestinal nematode, Haemonchus contortus, using a purified larval surface antigen
KR100642877B1 (ko) 면역치료에 유용한 항원조성물
TW201014601A (en) Novel adjuvant compositions
Jang et al. Mucosal immunity against Eimeria acervulina infection in broiler chickens following oral immunization with profilin in Montanide™ adjuvants
US9017699B2 (en) Adjuvancy and immune potentiating properties of natural products of Onchocerca volvulus
WO2007113633A2 (en) Immunogenic compositions comprising cat allergen fel dl
CN107073098B (zh) 获得浓缩IgY免疫球蛋白调配物的乳化疫苗、其方法及用途
IE63271B1 (en) The use of zinc hydroxide or iron hydroxide as adjuvant in antigen solutions, and antigen solutions containing such adjuvants
KR20040072954A (ko) 경구용 면역증강제의 활성을 가지는 한국산 겨우살이 렉틴성분
Pavan et al. Antibody response in silver catfish (Rhamdia quelen) immunized with a model antigen associated with different adjuvants
Serrano et al. Resistance against migrating Ascaris suum larvae in pigs immunized with infective eggs or adult worm antigens
WO2013171548A2 (es) Peptidos que inducen en peces una respuesta inmune contra copepodos y/o un escudo mucoso, vacunas, usos y métodos para modular la respuesta inmune de un pez y/o inducir la generación de un escudo mucoso
Huang et al. Immunoadjuvant activity of crude lectin extracted from Momordica charantia seed
EP4066854A1 (en) Immunogenic fusion protein
RU2145876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иммунного ответа против паразитических гельминтов животных
US11000579B2 (en) Recombinant Eimeria maxima protein delivered as nanoparticles
JP2000507209A (ja) ボレリア・ブルグドフェリ(Borrelia burgdorferi)抗原を投与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7079778B2 (ja) ワクチンアジュバントとしての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因子ペプチドの使用。
Kendall Production of polyclonal antibodies
Rosa et al. Immunogenicity of Escherichia coli Expressing Streptococcus equi subsp. equi Recombinant SeM
US20180360944A1 (en) A NOVEL PROCESS FOR PRODUCTION OF PURIFIED RECOMBINANT CHOLERA TOXIN B (rCTB) AND FORMU LATION THEREON
Mrdjen The influence of maternal Nippostrongylus brasiliensis infection on immunity in offspring
JP2003277292A (ja) マラリア原虫伝搬阻止粘膜ワク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