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554A -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554A
KR20040072554A KR1020040058325A KR20040058325A KR20040072554A KR 20040072554 A KR20040072554 A KR 20040072554A KR 1020040058325 A KR1020040058325 A KR 1020040058325A KR 20040058325 A KR20040058325 A KR 20040058325A KR 20040072554 A KR20040072554 A KR 2004007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vegetation
masonry
wa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654B1 (ko
Inventor
이강협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남부산업 filed Critical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to KR102004005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6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의 식생공간과 양측면 상에 상호 관계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좌우로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의 대향면이 일치되어 축조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축조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공간 상에 초목류를 심어 조적된 옹벽에 조경을 가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용이한 옹벽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상부에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흙을 채워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 식생공간의 중심에 고정발과 동일한 선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식생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결합위치 결정돌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 동일선 상에 횡방향으로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고정공; 및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에 의해 일치된 두 결합고정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본 발명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보호를 위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직 및 수평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상부에 식물류를 심어 조경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에 콘크리트 옹벽과는 달리 조적식 옹벽 축조용으로 널리 범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적식 옹벽의 시공으로는 블럭의 상부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하부면에는 이와 일치하는 돌출부 안착홈을 형성하여 하층 블럭 상부면의 돌출부가 상층 블럭 하부면의 돌출부 안착홈에 안착되게 하며, 상·하의 블럭층 사이에 지오그리드(Geogrid)를 삽입하여 조적하는 축조방법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대체적으로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만 알맞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그 모양이나 크기는 다양하지만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어진 후 조적식 옹벽의 기능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시공된 조적식 옹벽은 주위의 환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조적식 옹벽이 주위의 환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전면을 자연석과 같은 자연스러운 질감을 형성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시공된 조적식 옹벽과 주위의 환경이 보다 어울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전면을 자연석과 같은 자연스러운 질감을 갖도록 하는 모양을 형성하더라도 인공적인 색채가 있기 때문에 주위의 환경과 동화되는 듯한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축조된 옹벽에는 초목류를 심을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조경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정 크기의 식생공간과 양측면 상에 상호 관계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좌우로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의 대향면이 일치되어 축조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축조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공간 상에 초목류를 심어 조적된 옹벽에 조경을 가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용이한 옹벽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상부측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식생공간 중심에 고정발과 같은 선상으로 식생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을 형성함으로써 옹벽 축조용 블럭을 상부로 축조하여 쌓아 올리는 경우 하부측에 축조된 하나의 옹벽 축조용 블럭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이 보강 지지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상부측에 일정 크기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블럭에 형성된 식생공간 상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조적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100b.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110, 110a, 110b. 블럭몸체
120, 120a, 120b. 고정발
122b. 수평변위 방지편
130, 130a, 130b. 식생공간
132, 배수공
140, 140a, 140b 보강 지지벽
150, 150a, 150b. 결합위치 결정돌기
160, 160a, 160b. 결합고정공
170. 결합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은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축조시 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몸체와 블럭몸체의 후면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뒤채움 보강토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발로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에 있어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상부에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흙을 채워 초목류를심을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 식생공간의 중심에 고정발과 동일한 선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식생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결합위치 결정돌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 동일선 상에 횡방향으로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고정공; 및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에 의해 일치된 두 결합고정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양측 식생공간 각각의 하부면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식생공간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전면에는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고정발 후반부 상면에는 수직 방향의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평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 상의 수평변위 방지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조적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그 주된 기술적 요지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조적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한편, 조적된 각각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에 초목류를 심어 조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옹벽의 조적시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옹벽과 주위의 환경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은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조적을 통해 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몸체(110)와 블럭몸체(110)의 후면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뒤채움 보강토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발(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은 블럭몸체(110)의 상부측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식생공간(130), 식생공간(130)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140), 블럭몸체(110)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위치 결정돌기(150), 블럭몸체(110) 양측면 동일선 상에 횡방향으로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고정공(160) 및 옹벽의 축조시 일치된 두 결합고정공(160)을 통해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결합하는 결합부재(170)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과 다른점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의 블럭몸체(110)에는 초본식물(한해살이 풀, 두해살이 풀, 여러해살이 풀 등)이나 목본식물(줄기나 목부를 만들고 해마다 생장을 계속하는 식물)과 같은 초목류를 심을 수 있는 식생공간(130), 하부측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 상부로 다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을 축조하여 쌓아 올리는 경우 하부측에 축조된 하나의 옹벽 축조용 블럭(100)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지지하는 보강 지지벽(140) 조적된 상태의 좌우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고정공(160)과 결합부재(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은 축조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한편, 각각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의 식생공간(130) 상에 흙을 채워 초목류를 식재함으로써 조경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을 통한 인공적인 구조물에 조경을 통한 자연미를 가미시켜 보다 친환경적인 주위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식생공간(130)의 중심에 고정발(120)과 동일한 선상에 보강 지지벽(140)을 형성함으로써 식생공간(130)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한편,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하나의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보강 지지벽(140)은 블럭몸체(110)의 후방 하부측중심에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발(120)과 같은 동일 선상으로 식생공간(1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식생공간(130)을 양측으로 분리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된 보강 지지벽(140)은 하부측에 축조된 하나의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럭몸체(110)의 후방 하부측 중심에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발(120)과 같은 동일 선상으로 식생공간(1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식생공간(130)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140)은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결합 부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옹벽의 축조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블럭몸체(110)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위치 고정돌기(150)는 옹벽의 축조시 좌우로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한편, 축조되는 좌우의 두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위치 고정돌기(150) 중 블럭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것은 블럭몸체(110) 일측면 전체의 2/3 정도의 면을 차지하는 크기로 돌출되어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블럭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것은 블럭몸체(110) 타측면 전체의 1/3 정도의 면을 차지하는 크기로 돌출되어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블럭몸체(110)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위치 고정돌기(150)는 옹벽의 축조시 좌우로 이웃하는 두옹벽 축조용 블럭(100) 각각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형성된 결합위치 고정돌기(150)의 그 단부가 면접촉되면서 결합된다.
한편,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블럭몸체(110) 양측면에 횡방향의 내외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고정공(160)과 이 결합고정공(160)으로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70)는 그 구성을 통해 축조되어 좌우로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축조되는 옹벽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70)는 통상 볼트와 너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블럭몸체(110)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고정공(160)은 횡방향의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외부와 식생공간(130)을 내통되게 하고, 결합부재(170)는 축조되어 좌우로 이웃하여 결합된 상태의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의 결합고정공(160)이 일치된 상태에서 결합고정공(160)으로 삽입을 통해 너트를 조임으로써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100)을 결합 고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블럭몸체(110)의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위치 고정돌기(150), 결합고정공(160) 및 결합부재(170)의 구성을 통해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을 통한 옹벽(150)의 축조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의 결합 고정하여 축조된 옹벽을 보다 견고하게 함으로써 뒤채움 보강토의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직 및 수평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식생공간(130), 보강 지지벽(140), 결합위치 고정돌기(150), 결합고정공(160) 및 결합부재(170)의 구성에 더하여 식생공간(130)의 배수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식생공간(130)의 하부면 각각에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132)이 더 형성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은 주위의 환경에 알맞은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블럭몸체(110)의 전면 상에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 및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을 보다 자연석에 가깝게 하는 경우에는 그 전면을 자연석의 질감이 나타나도록 하는 모양으로 하거나 숲을 연상시킬 수 있는 색상 및 전통적인 질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하는 전통 문양 등을 블럭몸체(110)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a)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과 그 구조적인 면에서 동일하나, 다만 블럭몸체(130a)의 전면에 형성되는 모양, 무늬 및 색체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과 다르다.
즉, 도 7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a)은 블럭몸체(110a), 고정발(120a), 식생공간(130a), 보강 지지벽(140a), 결합위치 고정돌기(150a), 결합고정공(160a) 및 결합부재(170a)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블럭몸체(110a)의 전면에 형성되는 모양이나 무늬 및 색상이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b)은 도 1 내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 100a)과 그 구조적인 면에서 동일하나, 다만 고정발(120b)의 후반부 상부면에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평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 상의 수평변위 방지편(122b)이 수직 방향의 일정 높이로 고정발(120b)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 도 1 내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 100a)과 다르다.
즉, 도 8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b)은 블럭몸체(110b), 고정발(120b), 식생공간(130b), 보강 지지벽(140b), 결합위치 고정돌기(150b), 결합고정공(160b) 및 결합부재(170b)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 100a)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고정발(120b)의 후반부 상부면 상에 수직 방향의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평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 상의 수평변위 방지편(122b)이 더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 에 도시된 예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b)은 고정발(120b)의 후반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변위 방지편(122b)에 의해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직 및 수평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그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럭몸체(110, 110a, 100b)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는 식생공간(130, 130a, 130b)을 형성하여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100, 100a, 100b)을 통한 옹벽의 축조는 물론, 조경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100, 100a, 100b)은 보강 지지벽(140, 140a, 140b), 결합위치 고정돌기(150, 150a, 150b), 결합고정공(160, 160a, 160b) 및 결합부재(170, 170a, 170b)의 구성을 통해 옹벽의 축조시 보다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크기의 식생공간과 양측면 상에 상호 관계하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좌우로 이웃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의 대향면이 일치되어 축조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축조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공간 상에 초목류를 심어 조적된 옹벽에 조경을 가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용이한 옹벽의 축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상부측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식생공간 중심에 고정발과 같은 선상으로 식생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을 형성함으로써 옹벽 축조용 블럭을 상부로 축조하여 쌓아 올리는 경우 하부측에 축조된 하나의 옹벽 축조용 블럭 상부로 축조되는 두 옹벽 축조용 블럭이 보강 지지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상부측에 일정 크기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블럭에 형성된 식생공간 상에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공간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축조시 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후면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뒤채움 보강토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발로 이루어져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상부에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흙을 채워 초목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식생공간;
    상기 식생공간의 중심에 상기 고정발과 동일한 선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식생공간을 양측으로 분리하는 보강 지지벽;
    상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에 상호 관계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결합위치 결정돌기;
    상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양측면 동일선 상에 횡방향으로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고정공; 및
    상기 옹벽의 축조시 양측으로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결합에 의해 일치된 두 결합고정공을 통해 삽입되어 이웃하는 두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식생공간 각각의 하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식생공간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블럭몸체 전면에는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의 고정발 후반부 상면에는 수직 방향의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축조된 옹벽이 토압이나 크립에 의한 블럭의 수평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 상의 수평변위 방지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20040058325A 2004-07-26 2004-07-26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062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25A KR100622654B1 (ko) 2004-07-26 2004-07-26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25A KR100622654B1 (ko) 2004-07-26 2004-07-26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554A true KR20040072554A (ko) 2004-08-18
KR100622654B1 KR100622654B1 (ko) 2006-09-14

Family

ID=3736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325A KR100622654B1 (ko) 2004-07-26 2004-07-26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0B1 (ko) * 2004-08-31 2007-05-2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어소겸용 식생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0B1 (ko) * 2004-08-31 2007-05-2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어소겸용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654B1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61307A1 (en) Hybrid retaining wall system
KR100866073B1 (ko) 식생 호안 블록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100622654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0404262Y1 (ko)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100874956B1 (ko) 호안용 돌망태
KR200397490Y1 (ko) 소하천 식생블럭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335073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102116487B1 (ko) 옹벽
JP2010112156A (ja) 緑化用擁壁ブロック
KR20040052702A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20040046148A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24520Y1 (ko) 옹벽블럭
KR20040083410A (ko) 조적식 식생블럭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446445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럭
KR20050077980A (ko) 호안블록 및 블록의 시공방법
KR100614817B1 (ko)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96568Y1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KR20070000621A (ko) 식생블럭
KR200372003Y1 (ko) 조적식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