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817B1 -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17B1
KR100614817B1 KR1020040081653A KR20040081653A KR100614817B1 KR 100614817 B1 KR100614817 B1 KR 100614817B1 KR 1020040081653 A KR1020040081653 A KR 1020040081653A KR 20040081653 A KR20040081653 A KR 20040081653A KR 100614817 B1 KR100614817 B1 KR 10061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aw
blocks
locking jaw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984A (ko
Inventor
안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견
Priority to KR102004008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8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제방, 산지를 끼고 있는 도로변 ·공원지역의 경사면의 침식, 지반침하, 토사유출 등의 하중으로 인한 블록 간 이탈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면서 아름다운 경관조성을 위하여 설치하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통상의 호안블록을 개량하여 식재(植栽)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경과 후 호안블록과 자연이 일체화되도록 하고, 호안블록에 걸림턱(20, 30)과 고임목(50), 중공부(10)를 구성하여 시공 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며, 설치 후에는 이중으로 구성되는 걸림턱에 의해 블록 간 강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안블록, 식생호안블록, 걸림턱, 고임목, 친환경

Description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The shore protection having double stumbling proj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이탈방지 기능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임목의 다양한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블록의 설치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1‘ : 호안블록 10 : 중공부
20 : 상부걸림턱 30 : 하부걸림턱
40 : 토사유출방지턱 50 : 고임목
60 : 앵커볼트 61 : 앵커볼트 삽입홈
본 발명은 주로 하천제방, 도로변의 경사면의 침식 및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하는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자연적 ·인공적 환경변화에 의하여 초기의 블록결합상태가 변하더라도 블록간의 결속력이 저하됨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도록 상 ·하 걸림턱(20, 30)을 구성함과 동시에, 블록과 블록사이 빈틈은 고임목(50)을 이용하여 호안블록과 균일성을 유지하도록 결착하고, 상기구성과 함께 식재(植栽)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하여 시간경과 후 호안블록 전체가 자연과 하나 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을 지니면서 아름다운 경관조성에도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 호안블록은 일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볼록부를 각각 형성시켜, 블록 간 상호 맞물림 설치되도록 하는 단순한 구성이어서, 블록 간 결합력이 낮을 수밖에 없으며 식재가 가능한 수준도 아니었다.
이에 블록 간 결합력이 보다 강하여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토사면 침하와 같은 환경변화에도 블록 훼손 및 토사의 하중으로 인한 상하 블록 간 이탈현상을 방지하면서, 생태, 식생, 경관조성에도 효율적인 자연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호안블록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 시 작은 토사유출은 상부면의 토사유출방지턱(40)이 막아주고, 토사유출방지턱과 외부로 드러나는 중공부(10)에 흙이 덮여 그 곳으로부터 식생이 시작되도록 하며, 시간경과 후 환경에 의해 상부걸림턱(20)이 변형되어 결착력이 약해지면 2차로 하부걸림턱(30)에 의해 두 번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하 블록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호안블록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측면끼리 수평 연결시킬 때에 사용자가 원하는 호안블록 사이의 각도를 보다 쉽게 구성하여 전체적인 블록의 형상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블록을 연결할 시 고임목(50)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수직 연결 시 아래쪽 블록 상부걸림턱(20)이 위쪽 블록 상부면 모서리를 받쳐줌으로서 1차 결착하도록 하는 것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이탈방지 기능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고임목의 다양한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블록의 설치상태 평면도로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호안블록의 구성을 알아보기 쉽도록 도식한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로서, 호안블록(1)의 전체외형은 평면이 마름모형인 육면체 두 개가 나란히 붙어 있는 형상으로 하나의 육면체를 두고 설명하면,
전면으로 호형으로 수십 개의 작은 반원들이 볼록형의 모양을 하여 설치 후 전체 미감(美感)을 더하고 있으며, 그 내부는 가운에 중공부(10)가 형성되어 있어 호안블록(10) 설치 시 용이하도록 하고, 식재(植栽), 블록 간 결합 시 걸림부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 형성된 토사유출방지턱(40)은 볼록한 곡면으로 상부에서 떨어지는 작은 토사(土砂)까지 막아주어서 설치한 호안블록(1) 외부로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상부걸림턱(20)과 하부걸림턱(30)은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림턱(20)은 토사유출방지턱(40)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하부걸림턱(30)은 후면부의 일측 모서리에 맞닿아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턱(20, 30)의 모양은 직육면체, (반)원기둥형, 유연한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며 그 기능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호안블록(10) 한 개 전체를 두고 볼 때에는, 각각 좌우양측 두 개의 중공부(20), 토사유출방지턱(40)이 구성되고, 토사유출방지턱(40)이 구성되는 정면부에는 상부걸림턱(20)이 후면부에는 하부걸림턱(30)이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호안블록(1)을 설치한 후, 사용 시에 지반침하와 같은 강한 환경의 변화가 일어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0, 30)에 의하여 블록 간 상호 이탈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초기 설치 시에는 1차적으로 상부걸림턱(20)에 의해 상하 블록(1, 1‘)이 서로 견고하게 결착되게 되며, 그 후에 다양한 자연적 ·인공적 현상으로 인한 토사의 중력이 상부걸림턱(20)이 지탱할 수 있는 힘을 초과하여 하측 블록(1)의 상부걸림턱(20)이 파손 또는 마모되어 상측 블록(1’)이 밀리면서 정면으로 진입하면 2차적으로 하부걸림턱(30)이 상측 블록(1‘) 중공부(10)에 걸려 블록 간 이탈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측 호안블록(1’)이 힘을 받아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면 중공부(10) 모서리가 하측 호안블록(1)의 하부걸림턱(30)에 걸려서 재결착되게 된다. 이로서 2중의 블록이탈방지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을 이용한 결합방법을 살펴보면, 도 2, 3, 5는 본 발명 분해 및 결합 사시도로서, 연결구(1)를 수평으로 연결할 때에는 평면이든 곡면이든 설치하는 경사면에 맞추어 앵커볼트(60)등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체결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방법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상호 체결시 호안블록(1) 사이의 빈틈에는 틈 각도에 따라 꼭 맞게 제작한 고임목(50)을 끼워서 각도의 균일성과 연결구를 이용한 체결 시 체결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수직 연결 시 일부분 겹침 방식으로 호안블록(1) 상부면의 상부걸림턱(20)이, 상기 호안블록(1) 위에 위치하는 또 다른 호안블록(1') 상부면 모서리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전체 공정 후의 모습은 도 7에 잘 나타나 있다. 이때 도 7의 아래 그림처럼 호안블록과 블록 사이에 빈틈 발생이 않을 시에는 고임목(50)을 별도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고임목(5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처럼 설치하는 하천이나 도로변, 공원 등의 사면 형태에 따라 호안블록(1)을 위치시킬 때 블록 간 빈틈의 크기정도가 각도에 따라 조정하여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는 도 5에 도식되어 있다. 기존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고임목(50)을 사용하지 않고 그 빈틈을 흙이나 시멘트 등으로 채움으로써 블록사이의 공간이 일정하지 않고,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할 시 연결구의 결합압력에 따라 유격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호안블록의 균일성이 떨어져 내구성, 강도 또한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호안블록(1)은 중공부(10)를 통하여 도6에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가 충분히 가능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연스럽게 토사가 덮여지고 식재들이 번식해가면서 호안블록 자체가 블록의 기능을 하면서, 자연과 하나 되는 친환경적인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을 통하여, 시공 시 기존보다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 후 하중으로 인한 상하 블록간의 이탈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호안블록 간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결속력 유지로 인하여 블록의 부분적 훼손 및 이탈, 또는 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훼손되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강한 내구성을 유지하고, 고임목(50)을 통하여 호안블록의 수평연결 또한 일정한 각도로의 구성이 가능하고, 연결구를 이용한 체결 시에도 고임목이 블록 간 지지력을 유지시켜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한 그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2)

  1. 평면이 마름모형인 육면체 두 개가 나란히 붙어 있는 형상으로 정면부분부터 볼록한 곡면의 토사유출방지턱(40)과 상부걸림턱(20)이 차례로 구성되고, 중앙부로는 양측으로 두 개의 중공부(10)가 구성되며, 뒷부분에 하부걸림턱(30)이 상부로 돌출 되어 구성되어,
    상부걸림턱(20)에 의해 하측 블록과 고정되어져 있는 상측블록에 있어서 상측 호안블록(1’)이 힘을 받아 아래쪽으로 밀리게 되면 중공부(10) 모서리가 하측 호안블록(1)의 하부걸림턱(30)에 걸려서 재결착하도록 2중의 이탈방지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2. 상기 호안블록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 시 블록간의 원하는 결착 각도에 따라 크기를 맞추어 제작한 고임목(50)을 블록 사이에 삽입한 후,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호 결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시공방법
KR1020040081653A 2004-10-13 2004-10-13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61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53A KR100614817B1 (ko) 2004-10-13 2004-10-13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653A KR100614817B1 (ko) 2004-10-13 2004-10-13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942U Division KR200372647Y1 (ko) 2004-10-13 2004-10-13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984A KR20040096984A (ko) 2004-11-17
KR100614817B1 true KR100614817B1 (ko) 2006-08-25

Family

ID=3737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53A KR100614817B1 (ko) 2004-10-13 2004-10-13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30B1 (ko) 2007-03-26 2008-07-03 문희성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4B1 (ko) * 2006-10-23 2007-05-23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환경블록
KR100742658B1 (ko) * 2007-01-15 2007-07-25 주식회사 강산산업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30B1 (ko) 2007-03-26 2008-07-03 문희성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984A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614817B1 (ko)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72647Y1 (ko) 이중 걸림턱을 가지는 호안블록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612485B1 (ko) 호안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324509Y1 (ko) 환경친화적 식생호안블럭
KR100676309B1 (ko) 식생블럭
KR100520425B1 (ko) 호안블록
KR20020069953A (ko) 생태블록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263856Y1 (ko) 호안블록
KR200398169Y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410828Y1 (ko) 하천 사면의 조경식생 결속블록
KR100948202B1 (ko) 식생 호안블럭
KR200339465Y1 (ko)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100622654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CN208594527U (zh) 景观生态驳岸结构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