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801A -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801A
KR20040071801A KR1020030007675A KR20030007675A KR20040071801A KR 20040071801 A KR20040071801 A KR 20040071801A KR 1020030007675 A KR1020030007675 A KR 1020030007675A KR 20030007675 A KR20030007675 A KR 20030007675A KR 20040071801 A KR20040071801 A KR 2004007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obile terminal
telephone number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Original Assignee
김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헌 filed Critical 김종헌
Priority to KR102003000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1801A/ko
Publication of KR2004007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80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구조요청 신호 자동 발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라 전화망을 이용한 긴급 구난 구조요청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 사태 발생 시에 휴대폰 단말의 걸이나 안테나를 힘으로 당겨 충격을 줌으로써, 자동으로 다이얼링 장치가 작동하여 최근 통화자에게 또는 미리 저장하여 둔 비상 시 연락처에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 구급 요청 신호를 음성 및/또는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게 된다.

Description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REPORTING EMERGENCY}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구조요청 신호 자동 발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라 전화망을 이용한 긴급 구난 구조요청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도 사건이 발생한 경우 또는 납치 유괴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피납자가 경찰에 전화를 걸어서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거나 또는 피랍 사실을 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강도범들에 의하여 피납자가 차량 트렁크에 갇혀 실려가고 있는 경우 또는 강도범들이 은행 창구를 들이닥친 경우 피해자들이 비상벨을 울리거나 비상 전화를 거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최근 들어, 셀룰러 전화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이는 단순히 단말의 위치 이동만을 감지할 뿐 범죄 발생 시에 긴급 상황을 경찰 또는 친지에 보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동 전화망을 이용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이를 알리고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긴급 상황 보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납치 유괴와 같은 강력 사건 발생 시 또는 기타 긴급 구난 사고 발생 시에 신속하게 자신의 위급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요청 장치가 설비된 이동 단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탑재된 이동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에 있어서, 일반 전화통화를 위한 키패드 및 키버튼 이외에, 비상시에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비상 스위치와;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선정된 전화번호 리스트로 비상 상황(SOS)임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및/또는 문자 메시지가 자동 다이얼링 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장착된 프로세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도, 첨부도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난 요청 장치가 설비된 이동 단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의 걸이나 안테나(10) 등을 강한 힘으로 당겨 충격을 주는 경우 일상적 충격과는 달리 자동으로 발신 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
즉, 작동 스위치(10)가 작동하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 통화자 5면 정도, 또는 메모리 시켜 둔 전화번호 5개 정도 또는 가입 이동통신사, 경찰서 등에 긴급 구난(SOS) 문자와 벨소리와 발신자 전화번호도 함께 발신되도록 프로그램 할 수 있다. 이 때에, 수신자는 114 또는 경찰서, 긴급 구조대에 신고하고 발신자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납자가 차량 트렁크에 실려가고 있다면 휴대폰을 작동시킨 후 트렁크 내에 숨겨버리면 계속하여 위치 추적을 받게 된다. 한편, 은행에 강도가 들어 사람들에게 엎드리라 한 경우에도 직원 중 어느 한 사람이라도 전술한 이동 단말의 기능을 작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위기 상황이 신고되어 범행 현장이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일단 한 번 작동을 시작한 휴대 단말은 계속 발신 상태가 계속되고, 수신은 되지 않는다. 걸려오는 벨이 울려서는 아니 되기 때문이며 지속적 위치 추적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조 요청 기능이 탑재된 이동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비상 상황 시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켜(단계 S100) 이동 단말에 내장된 긴급 구난 프로그램을 가동시킨다.
이어서, 긴급 구난 프로그램은 긴급 구난 요청(SOS) 메시지를 보낼 전화번호 리스트를 메모리로부터 액세스한다(단계 S110). 이 때에, 자동 다이얼링을 할 전화번호는 최근 통화 전화번호 중 선정된 개수, 또는 미리 지정된 긴급 상황보고 전화번호 등으로 걸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을 오토 다이얼링 기능을 이용하여 선정된 전화번호 리스트로 전화를 걸어 비상 상황(SOS)을 알리는 음성 또는/및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120). 이 때에, 긴급 구난자의 위치 추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난자가 비상 작동 버튼을 취소(단계 S130)시키기까지는 계속해서 다이얼링 기능이 지속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상 사태 발생 시에 휴대폰 단말의 걸이나 안테나를 힘으로 당겨 충격을 줌으로써, 자동으로 다이얼링 장치가 작동하여 최근 통화자에게 또는 미리 저장하여 둔 비상 시 연락처에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 구급 요청 신호를 음성 및/또는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게 된다.

Claims (3)

  1. 이동 전화 단말에 있어서, 일반 전화통화를 위한 키패드 및 키버튼 이외에,
    비상시에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비상 스위치와;
    상기 비상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전화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선정된 전화번호 리스트로 비상 상황(SOS)임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 및/또는 문자 메시지가 자동 다이얼링 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장착된 프로세서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스위치는 상기 이동 단말 걸이 또는 안테나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당겨 충격을 주는 경우 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전화번호 리스트는 비상 구급 접수처 전화번호 또는 최근 통화 내역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KR1020030007675A 2003-02-07 2003-02-07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KR2004007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75A KR20040071801A (ko) 2003-02-07 2003-02-07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675A KR20040071801A (ko) 2003-02-07 2003-02-07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801A true KR20040071801A (ko) 2004-08-16

Family

ID=3735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675A KR20040071801A (ko) 2003-02-07 2003-02-07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1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451A2 (ko) * 2008-03-31 2009-12-03 Lim Byung Yun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451A2 (ko) * 2008-03-31 2009-12-03 Lim Byung Yun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WO2009145451A3 (ko) * 2008-03-31 2010-01-21 Lim Byung Yun 이동전화 비상발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555A (en) System for providing the telephone number of a telephone making an emergency call
US6035217A (en) One button cellular phone, system, and method for use
JP2001503923A (ja) 救助サービスの信頼性を高める装置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10517191A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緊急電話の誤用・乱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5097421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KR20040071801A (ko) 긴급 상황보고 방법 및 장치
JP2006054623A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JP42448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JP6290990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US200201070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ng a user of public place behavio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1247587A (zh) 用于远程监听的方法及手机
JP3023162U (ja) 携帯用通信機
JP6050472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JP2001045182A (ja) 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JP5295191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5223670A (ja) 情報端末
JP4359932B2 (ja) 携帯電話装置
JP5860080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JP5127798B2 (ja) 携帯電話装置
JP5631437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制御方法
JPH11259786A (ja) 緊急通報装置
KR20050019229A (ko) 휴대용 단말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930000142B1 (ko)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