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142B1 -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 Google Patents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42B1
KR930000142B1 KR1019900003765A KR900003765A KR930000142B1 KR 930000142 B1 KR930000142 B1 KR 930000142B1 KR 1019900003765 A KR1019900003765 A KR 1019900003765A KR 900003765 A KR900003765 A KR 900003765A KR 930000142 B1 KR930000142 B1 KR 93000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utton
telephone
di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812A (ko
Inventor
염종손
Original Assignee
염종손
염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종손, 염재희 filed Critical 염종손
Priority to KR101990000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142B1/ko
Publication of KR91001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제1도는 기억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구급비상용 무선 다이얼기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기억 무선전화기의 다이얼판과 본 발명의 무선다이얼기의 버튼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서 푸쉬버튼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제2도의 다이얼판과 무선다이얼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간략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쉬 버튼 2 : 오프 버튼
3 : 온 버튼 4 : 잠금핀
8 : 로울러 9 : 송화기
10 : 번호판 보호대 11 : 수화기
12 : 안테나 겸 푸쉬 버튼 보호대 13 : 충전 플러그
14 : 지지 스프링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기존의 기억 무선전화기 시스템(Memory Cordless Telephone System)을 이용하여 비상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억 무선전화기에서 무선으로 본체와 송수신 가능한 송수화기내에 원터치 버튼방식의 비상버튼을 설치한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세계적인 비상전화시스템 즉 E 911-자동번호확인/자동위치확인(Enhanced 911-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Automatic Location Identification : E 911-ANI/ALI)시스템의 가입자가 원 터치 버튼(one touch buttoon) 방식으로 그 시스템의 본부(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구급을 요청할 수 있는 구급비상용 다이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옥내에 또는 사무실내에 설치된 전화기에서 구급비상 전화번호를 돌리지 않고서도 소정의 거리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버튼방식의 무선 다이얼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 스위스 등에서 1960년대 이후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는 E 911-ANI/ALI시스템하에서는 그 전화가입자가 구급호출번호를 돌림으로써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위급한 상황에서 구급호출번호를 돌리지 않고서도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다이얼기에 관한 것으로서, E 911-ANI/ALI시스템하에서 이용가능한 것이다.
E 911-ANI/ALI 시스템을 간단히 설명하면, 그 시스템의 가입자가 위급 상황시에 구급호출번호(911)를 돌리면 항상 대기하고 있는 시스템 본부의 컴퓨터 모니터에 그 구급을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주소(위치)등이 나타나게 되어 다시 수초내에 구급처(경찰, 소방서, 병원응급실 등)에 연락되어 즉각적으로 그 사고현장에 구조대를 급파할수 있는 제도로써 미국 등을 비롯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이 시스템을 운용해오고 있다. 이러한 E 911-ANI/ALI시스템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자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TELEPHONE ENGINEER & MANAGEMENT(TE & M) (1987.12.15. vol.91.No.24)
[종래기술의 문제점]
E 911-ANI/ALI시스템을 이용하는 그 시스템의 가입자는 위급한 상황에 직면한 경우 전화기를 찾아 반드시 구급호출번호를 돌려야만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용은 위급한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큰 어려움 없이 행해질 수 있지만, 무장 강도가 이미 침입한 경우 등을 비롯하여 위급한 상황하에서는 이 같은 E 911-ANI/ALI시스템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갑자기 위급 상황하에서는, 기존의 유선 또는 무선전화기와 위급구호 시설인 E 911-ANI/ALI시스템까지 갖추고 있는 미국의 가정이나 사업체에서 전화가 보이는 데에도 구급호출을 하지 못한채 희생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왔다. 즉 예기치 못한 범죄를 당함으로써 당황한 나머지 위급호출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거나, 전화다이얼을 돌릴만한 시간적여유가 없게 되거나, 전화기와의 거리 때문에 또는 범인에 의하여 위급호출행위를 저지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급한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는 물론 위급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경우라도 원터치 방식으로 구급번호를 호출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메모리 소자(IC회로)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시켜두고 사용하는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가진 기억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것으로서, 반드시 전화기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구급호출번호를 돌려야하는 종래의 결점을 보완하여 무선으로 소정의 거리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위급한 상황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물론 위급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경우에 원터치방식으로 구급번호를 호출하는 무선다이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억 무선전화기를 이용함으로써 반드시 전화기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구급호출번호를 돌려야하는 결점을 제거하고 간편하게 몸에 휴대장착하거나 핸드백속에 휴대할 수 있는 무선다이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비상시의 상황으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구하고, 현행범의 체포를 가능케 함으로써 범죄사건을 사전에 예방, 감소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특히 일반가정인 은행, 상가, 사무실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살인, 강도, 강간, 화재, 신체마비, 음독 등으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치안용으로 널리 보급,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적군과 대치하고 있는 전방초소에 설치하여 군사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적군의 침입이나 침투가 발생할 경우 현재의 통신장비를 미처 이용할 시간적인 여유나 거리감으로 불가능할 때 아군의 몸에 휴대하고 있는 이 무선다이얼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그 주위에 설치된 홈 베이스(Home Base)를 통하여 구조대본부에 구급신호가 송출되어 컴퓨터 모니터에 시간, 장소등의 정보가 나타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신속성 및 사용의 간편함에 힘입어 현행범을 체포하기에 용이함과 동시에 범인으로 하여금 잠재범행동기를 포기토록하여 범죄율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 건전한 사회를 확립하는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본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는 우선은 이를 시급히 필요로 하는 E 911-ANI/ALI 시스템용을 갖추고 있는 선진국에의 수출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는 종래의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것으로 구급비상시에 직면한 상황하에서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구급호출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무선전화기상에서 구급호출번호를 호출할 수 있는 버튼을 차례로 배열하고 푸쉬버튼(push button)를 누름으로써 그 배열된 버튼위로 로울러부재가 미끄러지면서 그 배열된 버튼을 차례로 눌러줌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번호판을 눌러주는 것과 동일하게 구급번호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이 푸시버튼은 잠김핀에 의하여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on line)이 지속되도록 잠김상태가 되며 또한 호출이 더 이상 필요치않다고 판단될 때 그 잠긴판을 출어서 원위치로 회복시킨다. 이때 푸시버튼은 그 하부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을 받게 되며 그 힘에 의하여 원상태로 회복된다.
또한 이 푸시버튼을 보호하기 위하여 푸시버튼 바깥부분에 안테나를 휘어서 부착시킨다.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구조, 작동 원리 및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억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구급비상용 무신다이얼기이다. 특히 여기서 사용되는 기억 무선전화기는 카폰이나 휴대폰과 같이 장거리 이동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가정까지는 종래의 전화기처럼 유선으로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무선송수신기로 구성되는 전화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휴대용 무선송수신기에 부착된다. 통상적으로 무선송수신기의 전파 도달범위는 시내에서는 약 반경 50m의 거리가 되며 특히 거리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때, 외부로 돌출된 푸시버튼(1)을 눌러주면 연속적으로 오프버튼(2), 온버튼(3), 및 구급호출번호(911 또는 다른 임의의 번호가 될수 있음)가 기억된 버튼(4) (이것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메모리와 연결되어 있다.)을 누르게 되어 E 911-ANI/ALI 시스템 본부에 호출신호가 전송된다.
즉 위급한 상황이 예측되거나 직면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의 푸시버튼(1)을 눌러주면 그 푸시버튼(1)에 연결된 로울러 어셈블리판넬(7)이 회전하면서 로울러(8)가 차례로 오프(off)버튼(2), 온(on)버튼(3), 및 구급 호출번호가 기억된 번호버튼(4)을 누르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로울러(8)의 일단부는 접지되어 있어서 하나의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온(폰)버튼(3)과 이미 기억된 전화번호를 차례로 눌러주기 때문에 구급 호출번호가 기존의 전화기와 동일하게 안테나(12)와 홈베이스를 거쳐 E 911-ANI/ALI 시스템 본부에 전선을 통하여 행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는 기존의 무선을 사용한 전화기의 번호를 눌러주기 위하여 오프버튼(2), 온버튼(3), 및 기억된 전화번호를 직접 누르지 않고 푸시버튼(1)만을 누름으로서 전체의 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할수 있으므로 위급한 상황에 직면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화번호는 종래의 전화기상에 내장된 기능인 전화번호메모리기능을 사용하여 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메모리는 IC소자를 사용한다.
일단 푸시버튼(1)이 눌러지면 그 측부에 장착된 잠금핀(5)을 눌러 줄때까지 원위치로 다시 되돌아가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잠금핀(5)을 풀어 주지 않은한 다이얼기는 온(on)의 위치로 고정되어 E 911-ANI/ALI 시스템 본부의 컴퓨터 모니터에 구급통보자의 주소, 전화번호, 시간 등이 표시될 때까지 지속된다.
이때 무선다이얼기는 기존 전화기와 동일하게 송화기(9)를 통하여 사고 현장의 비명 소리 등 위급 상황하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리가 시스템 본부에 의하여 확인되므로 발생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급 통보자는 기존의 무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통하여 직접 시스템 본부와 통화도 가능하다.
긴급 상황이 완전히 E 911-ANI/ALI시스템 본부에 통보되었음을 확인한후에는 잠금핀(5)을 위로 밀어 올려 푸시버튼을 잠금 상태(제2도의 상태)에서 본래의 위치 (제3도의 상태)로 돌아가게 한다. 이때 로울러(8)는 구급호출번호가 기억된 번호버튼 (4), 온버튼(3), 및 오프버튼(2)을 차례로 누르면서 이 무선다이얼기의 전화기 기능을 본래의 전화기처럼 원상태로 위치시킨다.
푸시버튼(1)은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는 지지스프링(14) 및 지지회전축(16)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푸시버튼(1)이 함부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테나 (12)를 제1도와 같이 푸시버튼(1)의 주위에 휘어서 장착시키며 이는 푸시버튼보호대 (12)로서의 역할을 한다. 미 설명부호 ˝6˝은 본체를 나타낸다.
제4도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의 회로 연결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에 도시된 로울러 어셈블리판넬(7)상의 로울러(8)와 전화기 번호판넬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일점쇄선으로 둘러쌓인 부분은 기존의 무선송수화기의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종래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와 다른 회로를 가진 전화기를 사용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로울러는 차례로 회전하면서 단부가 전화기의 번호판과 병렬연결된 세개의 핀을 친다. 상기 로울러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으므로 전기적 회로가 형성되므로 회전하는 순간에는 번호판에 전기가 흐르게 되어 전화번호버튼을 눌러준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오프버튼(2)이 눌려지며 전화가 오프상태가 되고, 이어서 온 상태 그리고 차례로 전화번호가 기억된 메모리를 작동시키는 버튼(4)이 눌려진다. 여기에서 전화번호를 기억시키는 방법은 전화기에 부착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며 이것은 통상적으로 IC소자이다. 도면에 IC로 표시된 것으로 이것은 종래의 전화기에 설치된 것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는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부에 충전플러그(13)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이얼기와 기존의 전화기의 사용효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전화기는 피해를 당한후에 구급을 요청하여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비상 다이얼기는 피해를 직감함과 동시에 구급 요청을 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당국에 보고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기존의 전화 사용시에는 수시간 또는 수 일이 걸리게 되나 본 발명의 다이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초안에 보고를 할 수 있어 소요 시간이 훨씬 짧다.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피해자가 타인에 의하여 발견되어 신고함으로서 피해가 보고되지만 본 발명은 본인의 직접적인 구급 요청에 의하여 사건 발생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신고를 하여도 구조대가 도착하였을때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생명/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한 후이지만 본 발명의 의미한 피해자가 피해를 당하는 동안에 구급 요청을 하므로 피해중에 구조대가 도착할 수 있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행범의 체포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피해중에 구급요청이 이루어지므로 90% 이상의 현행범 체포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전화기의 경우 현행범 체포가 불가능하므로 범법자가 날로 증가할 뿐아니라 생명이나 재산피해가 급증하여 수사력을 증대 하여야 하므로 국고 손실이 크고 사회불안이 가속화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상기와 같이 개선하여 현행범을 체포하므로 범법행위가 감소되어 생명이나 재산을 구조하고, 수사력을 감축하여 국고를 절감하므로 복지사회를 건설하는데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억 무선전화기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구급비상용 무선다이얼기를 단순히 변형 또는 변형한 것은 다음에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6)

  1.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의 OFF버튼(2), PHONE(ON)버튼(3) 및 구급호출번호가 기억된 고정번호버튼(4)과 각각 연결되어 차례로 고정된 버튼 배열 ; 상기 버튼 배열을 누를 수 있도록 무선전화기의 측부에 설치된 푸쉬버튼(1) ; 상기 푸쉬버튼 (1)을 누름으로써 상기 버튼배열을 차례로 누를 수 있는 로울러(8) ; 및 상기 푸쉬버튼 (1)이 눌러졌을 때 홈(15)에 의하여 상기 푸쉬버튼(1)이 고정되도록 하는 잠김핀(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8)가 상기 잠김판(5)을 해제할 때 구급호출번호가 기억된 고정번호 버튼(4), PHONE(ON)버튼(3) 및 OFF버튼(2)의 순으로 눌러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8)가 회전하는 로울러 어셈블 판넬(7)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급호출번호가 전화기번호판의 어느 하나에 기억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1)은 지지스프링(14) 및 지지회전축(1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6. 제1항에 있어서, 푸쉬버튼(1)의 보호대로서의 역활을 하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안테나(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급용 무선다이얼기.
KR1019900003765A 1990-03-20 1990-03-20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KR93000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765A KR930000142B1 (ko) 1990-03-20 1990-03-20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765A KR930000142B1 (ko) 1990-03-20 1990-03-20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12A KR910017812A (ko) 1991-11-05
KR930000142B1 true KR930000142B1 (ko) 1993-01-09

Family

ID=1929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765A KR930000142B1 (ko) 1990-03-20 1990-03-20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1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12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7092C (zh) 便携式电子设备的安全范围
US5745559A (en) Restricted access telephones for logical telephone networks
US5461664A (en) Emergency wireless telephone
US20080092610A1 (en) Protective lock structure
RU83643U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и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уда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по беспроводным сетям
JP2001086228A (ja) 携帯電話機
CN102568157A (zh) 自动求救报警方法及其系统
WO200108887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larm systems
EP0717574A2 (en) Emergency calling from a wireless telephone
AU2007229260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large number of mobile stations and a fixed network underground
EP1220556A1 (en) Remote disabling of a mobile phone device
CN101505346B (zh) 基于gsm无线固话的报警系统的报警方法
WO2011139818A1 (en) A wireless emergency breaker beacon for use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CN101727716A (zh) 对讲防盗系统及采用所述对讲防盗系统的对讲防盗方法
US6810380B1 (en) Personal safety enhancem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CN101510925B (zh) 基于cdma无线固话的报警系统的报警方法
KR930000142B1 (ko) 구급 비상용 무선다이얼기
CN104469040A (zh) 基于lte无线座机的报警系统及其报警方法
KR200205705Y1 (ko) 보안 시스템 장치
KR1006159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CN210039040U (zh) 一种基于语音识别技术的暗码报警器
CN201365292Y (zh) 基于gsm无线固话的报警系统
CN1288888C (zh) 具有自动报警呼救功能的无线移动通信终端
JP2004054570A (ja) 携帯型緊急通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
RU22772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зова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оперативной связи и подачи скрытого радиосигн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