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629A - 스피닝 릴의 로터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629A
KR20040071629A KR1020040007355A KR20040007355A KR20040071629A KR 20040071629 A KR20040071629 A KR 20040071629A KR 1020040007355 A KR1020040007355 A KR 1020040007355A KR 20040007355 A KR20040007355 A KR 20040007355A KR 20040071629 A KR20040071629 A KR 20040071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ishing line
rotor arm
spool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844B1 (ko
Inventor
후로모토요시유키
니시카와토모히로
오치아이코지
키타자키토모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84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82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28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3656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7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과제] 한쪽의 로터암에만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된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회전 밸런스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로터(3)는, 로터 본체(30)와, 낚싯줄 안내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 본체(30)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32)와, 지지부의 후단부(後端部) 외주면(外周面)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암(33, 34)을 가지고 있다. 낚싯줄 안내부는, 제1 로터암의 선단(先端)에만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부터 이루어지고,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한다. 이 제1 로터암의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을 지나는 제1 직선(L1)과 제2 로터암의 폭 방향 중심을 지나고 또한 제1 직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L2)이 로터 본체의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제1 및 제2 로터암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ROTOR FOR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로터,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로터로서 한쪽의 로터암에만 낚싯줄 안내부를 가지는, 이른바 무베일형의 로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무베일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와, 로터 본체에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후단부(後端部) 외주(外周)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암을 가지고 있다. 양 로터암은, 특허 문헌 1의 좌측면도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로터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는, 제1 로터암의 낚싯줄 개방 자세 (특허 문헌 1의 상태)와 낚싯줄 감기 자세 (비특허 문헌 1의 상태)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부재와, 고정축과, 라인 롤러와, 고정축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는, 특허 문헌 1의 좌측면도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요동 축심이 로터의 회전 축심을 지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의 선단(先端)은 요동 축심보다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를 포함한 낚싯줄 안내부는, 제1 로터암에 대해서 크게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축은, 지지 부재의 선단에 기단(基端)이 장착된 것이다. 라인 롤러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축 커버는, 선단으로 나누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축의 축심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베일형 로터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시에는, 낚싯줄 안내부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키고, 캐스팅 후에 낚싯줄 안내부를 낚싯대를 잡는 손과 반대 손가락으로 잡고 낚싯줄 감기 자세측으로 되돌린 후, 낚싯줄을 잡아 라인 롤러에 건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의장 등록 제 568528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다이와정공 주식회사 발행, 1982년도 다이와 종합 카탈로그 (P. 20-21)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1 및 제2 로터암이 로터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만큼이면 회전 밸런스가 유지된다. 그러나, 낚싯줄 안내부가 제1 로터암의 선단으로부터 크게 바깥쪽으로편의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로터의 회전 밸런스가 나빠지고, 로터가 순조롭게 회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쪽의 로터암에만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된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회전 밸런스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스피닝 릴의 배후 단면도.
도 3은 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감속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로터의 정면도.
도 7은 로터의 우측면도.
도 8은 로터의 좌측면도.
도 9는 고정축 커버의 단면도.
도 10은 로터의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도.
도 11은 스풀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30: 로터 본체
31: 낚싯줄 안내부 32: 지지부
33: 제1 로터암 34: 제2 로터암
38, 39: 추 부재 41: 지지 부재
42: 고정축 43: 라인 롤러
44: 고정축 커버 44b: 정점
발명 1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로터 본체와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 본체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후단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암을 가지고 있다. 낚싯줄 안내부는, 제1 로터암에만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한다. 이 제1 로터암의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로터암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 제1 직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이 로터 본체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제1 및 제2 로터암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피닝 릴의 로터에서는, 제1 로터암의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로터암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직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이 로터 본체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로터암에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이 로터의 회전 축심에 대해서 편심하여 배치되므로, 낚싯줄 안내부를 회전 축심에 대해서편심하여 배치할 수 있어, 회전 축심과 동심에 배치된 스풀의 낚싯줄 감기 부분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쉬운 위치에 낚싯줄 안내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로터암이 제1 로터암과 반대측에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나 제1 로터암을 편심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회전 밸런스를 잡기 쉬워진다.
발명 2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양 직선은, 회전 축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가 편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밸런스의 흐트러짐을 한층 더 정밀도 좋게 보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외관이 향상된다.
발명 3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2 로터암은, 제1 로터암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길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한 제1 로터암측의 무게 중심 위치에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근할 수 있어, 회전 밸런스를 한층 더 보정할 수 있다.
발명 4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3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제1 로터암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축 방향 거리(R1)는,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제2 로터암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축 방향 거리(R2)보다 짧다. 이 경우에는,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제1 로터암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축 방향 거리(R1)는,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제2 로터암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의 축 방향 거리(R2)보다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을 제1 로터암의 무게 중심보다 전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안내부를 장착한 제1 로터암의 무게 중심과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을 같은 위치에 맞출 수 있기때문에, 로터의 회전 밸런스를 향상할 수 있다.
발명 5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2 로터암에 수납되고, 제1 로터암 및 낚싯줄 안내부와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추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한 제1 로터암측의 중량보다 가벼워지기 쉬운 제2 로터암에 제1 추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를 한층 더 보정할 수 있다.
발명 6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5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1 추 부재는, 제2 로터암의 선단에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추 부재가 제2 로터암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가 제1 로터암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선단측에 있는 제1 로터암측의 무게 중심에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근할 수 있어, 회전 밸런스를 한층 더 보정할 수 있다.
발명 7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지지부의 선단에 장착된 통상(筒狀)의 실 엉킴 방지 부재와, 지지부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실 엉킴 방지 부재의 반대측 내주면에 배치된 제2 추 부재를 한층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실 엉킴 방지 부재에 의해 스풀축으로의 낚싯줄을 엉킴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실 엉킴 방지 부재의 선단 내주면에 장착된 제2 추 부재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의 장착에 의하여 흐트러지기 쉬운 회전 밸런스를 한층 더 보정할 수 있다.
발명 8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7 중 어느 하나에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부를 구성하는 부재는, 제1 로터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의 선단에 기단이 장착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라인 롤러와, 라인 롤러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면을 가지고, 고정축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 커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스풀을 향하여 연장되는 낚싯줄 계지부(係止部)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에 설치된 라인 롤러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로 순조롭게 안내할 수 있다.
발명 9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8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고정축 커버는, 정점(頂点)이 고정축의 선단보다 후방을 향하여 편심한 대략 원추 형상이다. 이 경우에는, 고정축 커버가 원추 형상이고 또한 정점이 후방으로 편심하여 있기 때문에, 고정축 커버로 안내된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다.
발명 10과 관련되는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2 로터암의 전단부(前端部)측의 직경 방향 두께(D1)는, 제2 로터암의 후단부측의 직경 방향 두께(D2) 보다 두껍다. 이 경우, 제2 로터암의 전단부측을 후단부측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을 제1 로터암의 무게 중심보다 용이하게 전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발명 11과 관련되는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2 로터암의 후단부는 일부가 노치(notch)된 노치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2 로터암의 후단부를 경량화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로터암의 무게 중심을 제1 로터암의 무게 중심보다 확실히 전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발명 12와 관련되는 로터는, 발명 1 내지 발명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제2 로터암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로터암의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선단부에 있어 실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도 1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전후 이동하는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피닝 릴은,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 구동하는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開口) 하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의 양측을 각각 막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와, 케이스부(10)에 일체 형성된 장대 장착부(13)와, 케이스부(10), 제1 및 제2 덮개부(11, 12)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의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이고,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 지지하기 위한 수납 공간(10a)을 형성할 수 있는 양면이 개구한 프레임상(狀)의 부재이다. 케이스부(10)는, 깊이 (도 3 지면(紙面) 직교 방향)가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된 것이다. 케이스부(10)의 전면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원웨이 클러치 (후술)나 피니언 기어 (후술) 등이 장착되는 원판상의 기구 지지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후부(後部)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전환 조작부 (후술)가 지지되는 조작 지지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구 지지부(10b)의 후방에는, 피니언 기어 및 전환 조작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간 지지부(10d)가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 및 내식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케이스부(10)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1 및 도 4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의 일면측의 개구 중,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7)를 덮는 제1 커버부(11a)와, 제1 커버부(11a)로부터 후방 (도 1에 파선으로 도시한 부분보다 후방)의 개구가 노출하는 제2 노치부(11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2 노치부(11b)를 만든 것은, 제1 덮개부(11)와 커버 부재(14)의 중복 부분을 가급적으로 줄여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1 덮개부(11)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가 설치된 마스터 기어축(8)의 일단을 마스터 기어(7)의 배면측에서 지지하는 제1 보스부(11c)가 벽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에는, 로터(3)의 내부로 들어가는 원판부를 구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d)의 앞부분에는, 기구 지지부(10b)의 후면에 배치되고 기구 지지부(10b)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로 구성되는 대략 반원호상의 제1 기구 수납 커버(11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에는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축(8)에 큰 부하가 작용했을 때, 제1 보스부(11c)에는 큰 힘이 작용하기 쉽다. 그래서,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금속제로 하고 있다. 제1 덮개부(11)의 전하부(前下部)에는, 커버 부재(14)를 장착함과 함께, 세정시의 물 빠짐이나 윤활유의 충전 등의 정비를 행하기 위한 제1 나사 구멍(11f)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제1 덮개부(11)와 대략 대칭인 경상(鏡像) 관계의 형상이고, 제2 커버부(12a), 제2 노치부(12b), 제2 보스부(12c), 제1 플랜지부(11d)와 대략 경상 관계 형상의 제2 플랜지부(12d), 및 기구 수납 커버(1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나사 구멍(12f) (도 2)도 제1 나사 구멍(11f)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11d, 12d)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후면의 외주면에서 원형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부분이 로터(3)의 후면에 약간의 간극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마스터 기어(7)로부터 비교적 멀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보스부(12c)에는 큰 힘은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나일론 66 등의 합성 수지제로 하고 있다. 제2 보스부(12c)는, 마스터 기어축(8)의 타단(他端)을 지지하기 위해 제2 덮개부(12)의 벽면의 제1 보스부(11c)와 대향하는 대략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덮개부(11, 12)는 예를 들어 둥근머리 나사와 같은 고정 나사(19)에 의하여, 케이스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덮개부(11, 12)의 고정 방법은,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부(10)를 관통시켜 한쪽의 덮개부로부터 다른쪽의 덮개부로 나사가 끼워지도록 고정해도 무방하다.
장대 장착부(13)는, 케이스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T자 형상의 부재이고, 선단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되는 릴 다리(13a)를 낚싯대에 릴 시트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장대 장착부(13)는 경량화 및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윗면 및 전면에 함몰부(13b, 1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를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부(10)를 후방으로부터 측부 및 바닥부를 덮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부(11b, 12b)를 막음과 함께, 릴 본체(2)의 후단 모서리부를 포함한 측면 및 후면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커버 부재(14)는, ABS 수지 등의 비교적 경질(硬質)의 합성 수지제이고, 표면에 금속 도금이 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전단 측부의 제1 및 제2 나사 구멍(11f, 12f)에 대향하는 위치에 계단식의 나사 장착 구멍(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장착 구멍(14a, 14b)에 제1 및 제2 나사 구멍(11f, 12f)에 끼워지는 나사 부재(14c)가 장착되어 커버 부재(14)를 양 덮개부(11, 12)에 고정함과 함께 정비시에 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커버 부재(14)는 후단 하면에서 케이스부(10)의 하면에 나사가 끼워진다.나사 부재(14d)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릴 본체(2)에서는, 제1 덮개부(11)가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제이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제1 덮개부(11)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어(7)로부터 멀어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제2 덮개부(12)는 합성 수지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10)가 마그네슘 합금제이기 때문에, 릴 본체(2) 전체로서 비강도를 유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 조립체(1)의 핸들축(1a)이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마스터 기어축(8)과, 마스터 기어축(8)에 일체 형성된 마스터 기어(7)와, 마스터 기어(7)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8)은, 릴 본체(2)의 양 덮개부(11, 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스부(11c, 12c)에 장착된 베어링(15a, 15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8)의 양단 내주부에는, 암나사부(8a, 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a, 8b)는, 핸들 조립체(1)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의 나사이다. 따라서, 도 2 좌측의 암나사부(8a)는 왼나사이고, 우측의 암나사부(8b)는 오른나사이다. 덧붙여, 핸들 조립체(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왼쪽 위치와 도 2에 도시하는 오른쪽 위치와의 마스터 기어축(8)의 양단 어느 쪽에도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암나사부(8a, 8b)의 나사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핸들축(1a)을 좌우에 장착하는 경우, 각각 전용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에는 왼쪽 핸들용의 핸들축(1a)이 도시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중공(中空) 통상(筒狀)의 부재이고, 앞부분이 로터(3)를 관통하여 로터(3)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9)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장착되어 있고, 너트(17)에 의해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8a, 18b)에 의해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8a)은,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되고, 베어링(18b)은, 중간 지지부(10d)에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후단측에 형성된 기어부(9b)에는, 환상(環狀)의 노치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의 노치부(9c)는, 감속 기구(20) (후술)를 컴팩트하게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감속 기구(20)와, 감속 기구(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나축(螺軸)(21)과, 나축(21)에 계합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 방향으로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축(23a, 23b)을 가지고 있다.
감속 기구(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대경(大徑) 기어(25a) 및 소경(小經) 기어(25b)를 가지는 계단식 기어부(25)와, 소경 기어(25b)에 맞물리는 제1 중간 기어(26a) 및 제1 중간 기어(26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중간 기어(26b)를 가지는 중간축(26)과, 나축(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중간 기어(26b)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27)를 구비하고 있다.
계단식 기어부(25)는,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한다. 대경 기어(25a)는,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나사 기어이다. 소경 기어(25b), 제1 중간 기어(26a), 제2 중간 기어(26b) 및 종동 기어(27)는, 모두 나사 기어이고, 중간축(26)은, 계단식 기어부(25)와 어긋나는 축 둘레를 회전하고, 종동 기어(27)가 장착된 나축(21)은, 중간축(26)과 어긋나고 또한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한다. 중간축(26)의 제2 중간 기어(26b)는, 피니언 기어(9)의 노치부(9c)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나축(21)을 피니언 기어(9)에 근접하여 배치시킬 수 있어, 릴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감속 기구(20)에서는, 피니언 기어(9)의 회전이 크게 감속되어 나축(21)으로 전달된다.
나축(21)은, 표면에 교차하는 나선상의 홈(21a)이 형성된 부재이고, 스풀축(16)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축(21)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축(21)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케이스부(10)의 후면에 나사로 고정된 고정판(54)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내부에 나축(21)의 홈(21a)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22a)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스풀축(16)의 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계합 부재(22a)의 선단이 홈(21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나축(21)의 회전에 따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스풀축(16)을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시킨다.
가이드축(23a, 23b)은 슬라이더(22)를 관통하고 있고,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을 따라 안내한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단과 중간 지지부(10d)와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고, 나축(21)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판(54)에 의해 후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의 앞부분에는,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나사(19)를 접촉할 수 있고, 이 고정 나사(19)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로터(3)는, 낚싯줄 안내부가 한쪽 로터암에만 장착된, 이른바 무베일 타입의 것이다.
로터(3)는, 도 3, 도 6으로부터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30)와, 로터 본체(3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31)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통상의 지지부(32)와, 지지부(32)의 후단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지지부(32)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암(33, 34)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32)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taper)상으로 직경이 축소한 후 원통상으로 형성된 대체로 통상의 부재이다.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전벽(前壁)(32a)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2a)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이 관통하는 보스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2b)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벽(32a)의 앞부분에서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끼워져 있고, 이 너트(17)에 의해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스풀축(16)으로의 낚싯줄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실 엉킴 방지 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선단에는,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내부에는,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암(33)의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1 커버 부재(36)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제2 로터암(34)은, 제1 로터암(33)과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2 커버 부재(37)에 의해 덮여 있다. 제2 로터암(34)은, 로터(3)의 회전 밸런스를 잡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2 로터암(34)은 낚싯줄 안내부(31)가 장착된 제1 로터암(33)의 무게 중심 위치에 접근하기 위해서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시키고 있다.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제2 로터암(34)에는 기단측에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선단측에 추 부재(38)를 장착하기 위한 추 수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8)는,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또한, 제2 로터암(34)은,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편의시키기 위해서, 도 7 및 도 8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1 로터암(33)보다 길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암(33)의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 축심을 지나는 제1 직선(L1)과 제2 로터암(34)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1 직선(L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L2)이 로터 본체(30)의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대략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도록, 양 로터암(33, 34)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로터암(33, 34)을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으로 크게 편의 (도 6에서는 제1 직선(L1)에 대해서 외측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 밸런스를 한층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 엉킴 방지 부재(35)는, 지지부(32)의 원통 부분과 면일로 형성된 원통상의 엉킴 방지부(35a)와, 엉킴 방지부(35a)의 후단부에 중심을 향하여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설상(舌狀)의 장착부(35b)를 가지고 있다. 엉킴 방지부(35a)의 선단은 타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4) 내부로 침입한 낚싯줄이 로터(3)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엉킴 방지부(35a)의 선단 내주면에는, 회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9)를 수납하기 위한 추 수납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9)도,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덧붙여, 추 수납부(35c)는, 도 3에서는, 개시의 편의(便宜)를 위해 제2 로터암(34)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부(31) (후술)가 요동하는 방향으로 양 로터암(33, 34)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추 수납부(35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안내부(31)가 제1 직선(L1)보다 회전 축심(X)으로부터 한층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낚싯줄 안내부(31)에 대해서 회전 축심(X)과 반대측에 배치된 추 부재(39)에 의해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실 엉킴 방지 부재(35)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35b)의 전면으로부터 장착된 2개의 나사 부재(29, 29)에 의하여 전벽(3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벽(32a)의 전면은 실 엉킴 방지 부재(35)를 장착한 상태로, 장착부(35b)를 포함하여 환상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장착부(35b)를 포함한 평탄면을 전벽(32a)의 전면에 형성하기 위해서, 전벽(32a)에는, 설상의 장착부(35b)가 들어가는 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4)측으로부터 이물이 들어가 부착하여도, 스풀(4)을 떼어내면 이물을 닦아 내기 등 해 제거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대로부터 스풀(4)에 낚싯줄을 순조롭게 안내하여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부(31)는, 스풀(4)의 권사(卷絲) 몸통부(4a) (후술)의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쉽도록 로터의 회전 축심(X)으로부터 바깥쪽 (도 6 좌방)으로 크게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암(33)의 선단에 장착된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고정축(42)과, 고정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라인 롤러(43)와, 고정축(42)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축 커버(44)와,고정축 커버(44)의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계지하는 낚싯줄 계지부(45)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41)는, 선단에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42)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장착 볼트(42a)에 의하여 지지 부재(41)에 고정된다. 고정축(42)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1)의 요동면에 대해서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약간 경사하고 있다. 고정축(42)의 외주에는, 라인 롤러(43)가 한 쌍의 베어링(4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3)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실 꼬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라인 롤러(43)의 외주면 양단은, 지지 부재(41) 및 고정축 커버(44)에 의해 덮여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과 일체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정점(44b)이 고정축(42)의 선단(42a)보다 후방 (도 9 하방)을 향하여 편심하고, 또한 릴 본체(2)측 (도 9 하측)에 낚싯줄 안내면(46c)이 설치된 대략 원추 형상의 부재이다. 고정축 커버(44) 후면측의 능선 근방의 도 7에 빗금으로 도시하는 영역이 라인 롤러(43)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로터(3)를 전방으로부터 보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2)과 동심에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 낚싯줄 안내면(46c)은 고정축(42)의 선단측으로부터 낚싯줄 계지부(45)측을 향하여 서서히 릴 본체(2)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의 전면에는, 타 부분보다 패인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 오목부(44a)를 만들면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로부터 낚싯줄 개방 자세로 되돌릴 때 편리하다. 낚싯줄 계지부(45)는, 정점(44b)의 바로 전측에서 능선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정점(44b)으로부터 돌출한 선단이 다른 부분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은 구상(球狀)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이 다른 부분보다 굵기 때문에 한 번 낚싯줄이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되면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낚싯줄 계지부(45) 및 고정축 커버(44)의 정점(44b)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면(46c)에 의하여 라인 롤러(43)의 안내홈(47)으로 확실히 안내된다.
로터(3)의 치수 관계를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부(32) 후단부의 스풀(4)이 가장 가까이 접하는 면 (예를 들어 지지부(32)의 후단부의 전면에 돌출하는 돌출부(32d)의 전면)과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H)는,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의 50% 이상 80% 이하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32) 후단부의 스풀(4)이 가장 가까이 접하는 면과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H)가 26mm,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가 40mm이고, 지지부(32) 후단부의 스풀(4)이 가장 가까이 접하는 면과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거리(H)는,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의 65%로 되어 있다.
라인 롤러(43)의 회전 중심과 지지 부재(41)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L)는,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의 50% 이상 85% 이하의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라인 롤러(43)의 회전 중심과 지지 부재(41)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L)가 32.7mm,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가 40 mm이고, 라인 롤러(43)의 회전 중심과 지지 부재(41)의 요동 중심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L)는, 스풀(4)의 전후 이동 거리(S)의 81.75%로 되어 있다.
지지부(32) 후단부의 후면과 제1 로터암(33)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R1)는, 지지부(32)의 후단부 후면과 제2 로터암(34)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R2)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암(34)의 전단부측의 직경 방향 두께(D1)는, 제2 로터암(34)의 후단부측의 직경 방향 두께(D2)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로터(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 기구(50)에 의해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해제할 수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된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와에 전환 가능하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원웨이 클러치(51)를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에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52)를 더 가지고 있다. 전환 조작부(52)는, 케이스부(10)의 조작 지지부(10c) 및 중간 지지부(10d)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선단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16a)와 서로 평행하게 노치된 모따기부(16b)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4)은, 수나사부(16a)에 나사로 감합하는 탈착 너트(55)에 의하여,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6)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장착 가능하고,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얕은 홈형의 것이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卷絲)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선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앞플랜지부(4c)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스풀축(16)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로터(3)의 지지부(32) 및 실 엉킴 방지 부재(35)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선단측 내주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4d)와, 전벽부(4d)의 내주측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보스부(4e)를 가지고 있다. 전벽부(4d)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다수의 투공(透孔)(4g)이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4e)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정육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보스부(4e)는, 스풀축(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장착 부재 (56)에 의해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 부재(56)는, 보스부(4e)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보스 계지 부재(57)와, 보스 계지 부재(57)를 스풀축(16)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계지 부재(58)를 가지고 있다. 보스계지 부재(57)는, 보스부(4e)와 대향하는 전면(57a)에 12각의 성형(星形) 단면의 계지 오목부(57b)를 가지고 있는 것과 함께, 후면(57c)에 계지 부재(58)에 계합하는 4개의 원형의 계지 돌기(57d)를 가지고 있다. 계지 부재(58)는, 원판상의 부재이고, 스풀축(16)의 모따기부(16b)에 계합하는 슬릿(58a)을 중심에 가지고 있다. 또한, 외주면에 계지 돌기(57d)에 계합하는 4개의 계지홈(58b)을 가지고 있다. 모따기부(16b)에 슬릿(58a)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계지 부재(58)는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계지홈(58b)에 계지 돌기(57d)를 계지시키는 것으로, 보스 계지 부재(57)가 스풀축(16)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스 계지 부재(57)의 계지 오목부(57b)에는, 탄성체제(彈性體製)의 와셔(washer) 부재(59)가 장착되어 있다. 와셔 부재(59)는, 스풀축(16)의 외형보다 약간 작은 내경(內徑)의 구멍부(59a)를 가지고 있고, 구멍부(59a)를 스풀축(16)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보스 계지 부재(57) 및 계지 부재(58)의 스풀축(16)에 대한 전후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성형(星形) 단면의 계지 오목부(57b)에서 육각형 단면의 보스부(4e)를 계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30도 간격의 회전 위상으로 스풀(4)을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탈착 너트(55)를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스풀(4)을 회전할 수 있어, 로터(3)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스커트부(4b)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내경이 다른 다수의 투공(4f)이 형성되어 있다. 앞플랜지부(4c)에는, 권사몸통부(4a)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직경이 확대하는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캐스팅시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방출 저항이 크게 감소한다.
다음으로 스피닝 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동작의 설명에서는 오른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캐스팅시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로 하고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31)에 건 상태로 하여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조정한다.
우선, 핸들 조립체(1)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돌려 스풀(4)을 스트로크의 최선단 근처에 배치한 상태로 낚싯줄 안내부(31)가 소정의 회전 위상으로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낚싯줄 안내부(31)의 조작하기 쉬움이나 낚싯줄의 잡기 쉬움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대측에서 보아 스풀(4)의 좌측으로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를 왼손으로 조작하기 쉽다.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변경할 때에는, 탈착 너트(55)를 느슨하게 하여 스풀(4)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보스부(4e)와 보스 계지 부재(57)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로 스풀(4)을 돌려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적당한 위치로 조정한다. 늘어뜨리는 길이를 조정하면 스풀(4)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보스부(4e)를 보스 계지 부재(57)에 계지시킨다. 이 때, 보스부(4e)는 30도마다 보스 계지 부재(57)으로 계합하므로, 채비의 늘어뜨리는 길이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 너트(55)를 잡아 늘어뜨리는 길이 조정을 끝낸다.
이 상태로 왼손 (낚싯대를 잡는 손의 반대손)의 손가락 끝으로 낚싯줄 안내부(31)의 고정축 커버(44)를 잡고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때, 고정축 커버(44)에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축 커버(44)를 잡기 쉽게 되어, 낚싯줄 안내부(31)를 잡고 간단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풀(4)에 감겨진 낚싯줄을, 왼손으로 잡고 낚싯대를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걸어 캐스팅한다.
캐스팅이 끝나면, 왼손으로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부터 낚싯줄 감기 자세로 되돌려, 왼손으로 낚싯줄을 잡고 낚싯줄 안내부(31)의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한다.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은, 고정축 커버(44)의 낚싯줄 안내면(44c)을 지나 라인 롤러(43)의 안내홈(47)으로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 조립체(1)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낚싯줄에 약간의 텐션을 걸어 두고 낚시한다.
이 낚싯줄을 걸 때,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을 타 부분보다 굵게 하였기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굵은 선단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져, 타 부재에 의해 낚싯줄이 벗어남 방지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을 낚싯줄 계지부(45)에 걸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간소한 구성으로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 커버(44)를 정점(44b)이 후방을 향하여 편심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면(44c)의 선단측을 능선에 연속하는 기단측보다 릴 본체(2)측으로 접근하기 쉬워지고,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안내된 낚싯줄은 라인 롤러(43)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로 낚싯줄을 거는 것만으로 낚싯줄 안내면(44c)을 지나 낚싯줄을 라인 롤러(43)에 안내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안내된 낚싯줄이 안내면(44b)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낚싯줄을 걸기 쉽고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라인 롤러로부터의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채비에 포획물이 걸려 핸들 조립체(1)를 돌리면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동시에, 핸들 조립체(1)의 회전은 마스터 기어축(8)을 통하여 마스터 기어(7)로 전달되고,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로터(3)가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9)로부터 감속 기구(20)를 통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가 동작하여 스풀(4)이 전후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로터암(33, 34)이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에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 밸런스를 한층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로터암(34)이나 실 엉킴 방지 부재(35)에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8, 39)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가 한층 더 정확하게 보정되어 있다.
이 스피닝 릴은, 제1 로터암(33)에만 낚싯줄 안내부(31)가 설치된 무베일 타입의 릴이다. 여기에서는, 지지부(32)의 후단부 후면과 제1 로터암(33)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R1)는, 지지부(32)의 후단부 후면과 제2 로터암(34)의 선단부 전면 간의 스풀(4)의 축 방향 거리(R2)보다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로터암(34)의 무게 중심을 제1 로터암(33)의 무게 중심보다 전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안내부(31)를 장착한 제1 로터암(33)의 무게 중심과 제2 로터암(34)의 무게 중심을 같은 위치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로터(3)의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로터암과 제2 로터암을 회전 축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두고 배치하고 있지만, 각각의 무게 중심 위치나 질량에 따라 회전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안내부의 고정축과 고정축 커버를 일체 형성했지만, 별체로 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계지부를 고정축 커버와 일체 형성했지만, 양자를 별체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로터암에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이 로터의 회전 축심에 대해서 편심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를 회전 축심에 대해서 편심하여 배치할 수 있어, 회전 축심과 동심에 배치된 스풀의 낚싯줄 감기 부분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쉬운 위치에 낚싯줄 안내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로터암이 제1 로터암과 반대측에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나 제1 로터암을 편심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회전 밸런스를 잡기 쉬워진다.

Claims (12)

  1.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後端部) 외주면(外周面)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암을 가지는 로터 본체와,
    상기 제1 로터암에만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또는 복수의 부재로부터 이루어지고, 낚싯줄을 상기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터암의 상기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 축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2 로터암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상기 제1 직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이 상기 로터 본체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로터암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직선은, 상기 회전 축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터암은, 상기 제1 로터암보다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긴, 스피닝 릴의 로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상기 제1 로터암의 선단부(先端部) 전면 간의 상기 스풀축 방향 거리(R1)는, 상기 지지부의 후단부 후면과 상기 제2 로터암의 선단부 전면 간의 상기 스풀축 방향 거리(R2)보다 짧은, 스피닝 릴의 로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터암에 수납되고, 상기 제1 로터암 및 상기 낚싯줄 안내부와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제1 추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 부재는, 상기 제2 로터암의 선단에 수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장착된 통상(筒狀)의 실 엉킴 방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회전 축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실 엉킴 방지 부재의 반대측 내주면에 배치된 제2 추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구성하는 부재는,
    상기 제1 로터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기단(基端)이 장착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라인 롤러와,
    상기 라인 롤러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 커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스풀을 향하여 연장되는 낚싯줄 계지부(係止部)
    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커버는, 정점(頂点)이 상기 고정축의 선단보다 후방을 향하여 편심한 대략 원추 형상인, 스피닝 릴의 로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터암의 전단부(前端部)측의 직경 방향 두께(D1)는, 상기 제2 로터암의 후단부측의 직경 방향 두께(D2)보다 두꺼운 스피닝 릴의 로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터암의 후단부는 일부가 노치(notch)된 노치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12. 상기 제2 로터암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KR1020040007355A 2003-02-05 2004-02-04 스피닝 릴의 로터 KR10108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8465A JP4078221B2 (ja) 2003-02-05 2003-02-0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JP-P-2003-00028465 2003-02-05
JPJP-P-2003-00028472 2003-02-05
JP2003028472A JP2004236569A (ja) 2003-02-05 2003-02-0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29A true KR20040071629A (ko) 2004-08-12
KR101081844B1 KR101081844B1 (ko) 2011-11-09

Family

ID=3265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355A KR101081844B1 (ko) 2003-02-05 2004-02-04 스피닝 릴의 로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55314B2 (ko)
EP (1) EP1444891B1 (ko)
KR (1) KR101081844B1 (ko)
CN (1) CN100407913C (ko)
AT (1) ATE303058T1 (ko)
DE (1) DE602004000066T2 (ko)
MY (1) MY136624A (ko)
SG (1) SG119211A1 (ko)
TW (1) TWI3003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5705B1 (en) 2006-09-07 2007-10-02 Shakespeare Company, Llc Spinning reel having two-piece frame and leg assembly with concealable attachment points
JP6140956B2 (ja) * 2012-09-18 2017-06-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684093B2 (ja) * 2016-01-19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5063B2 (ja) * 2017-09-05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7013204B2 (ja) * 2017-10-27 2022-01-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190835B2 (ja) * 2018-07-20 2022-12-16 株式会社シマノ フックキーパーおよび魚釣り用リール
KR20210065036A (ko) * 2019-11-26 2021-06-0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줄 안내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869A (en) * 1978-04-17 1980-04-08 Shakespeare Company Open face spinning reel
JPS568528A (en) 1979-07-03 1981-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 deterioration accelerating device for plastic material
DE3012821A1 (de) * 1980-04-02 1981-10-08 Bayer Ag, 5090 Leverkusen Waessrige kunststoffdispersionen mit einem mittleren durchmesser der dispersionsteilchen im bereich von etwa 50 bis 500 nm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509705A (en) * 1984-02-10 1985-04-09 Brunswick Corporation Surfcasting spinning reel
FR2638939B1 (fr) * 1988-11-17 1991-02-01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commande d'arceau perfectionnee
US5379957A (en) * 1991-05-14 1995-01-10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balancer
JP3380622B2 (ja) * 1994-06-27 2003-02-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R2723512B1 (fr) * 1994-08-12 1996-09-2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galet de guidage de fil adaptable.
JP3020823B2 (ja) * 1994-12-29 2000-03-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5890668A (en) * 1995-02-02 1999-04-06 Shimano Inc. Spinning reel having a roller-type one-way clutch
JP3156908B2 (ja) * 1995-05-02 2001-04-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276629A (ja) * 1997-04-04 1998-10-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アーム
US5799889A (en) * 1997-06-24 1998-09-01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Inc. Composite bail for a spinning reel and reel incorporating such a bail
US6336604B1 (en) * 1998-11-12 2002-01-08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6644578B2 (en) * 2002-02-13 2003-11-11 Eugene Hong Fishing reel with a bail arm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8870A (zh) 2004-08-11
MY136624A (en) 2008-10-31
DE602004000066T2 (de) 2006-03-30
SG119211A1 (en) 2006-02-28
EP1444891A1 (en) 2004-08-11
US6955314B2 (en) 2005-10-18
KR101081844B1 (ko) 2011-11-09
ATE303058T1 (de) 2005-09-15
TWI300332B (en) 2008-09-01
DE602004000066D1 (de) 2005-10-06
CN100407913C (zh) 2008-08-06
EP1444891B1 (en) 2005-08-31
US20040169100A1 (en) 2004-09-02
TW200421975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068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48042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60266861A1 (en) Spinning reel
KR101408082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9065936A5 (ko)
KR10108184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01595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101058363B1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KR20040071073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6966515B2 (en) Handle attachment structure for fishing reel
KR10100437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JP412187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307928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20042365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423656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07822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42365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23656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423656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414104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H1119672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機構
JP200205167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906593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906593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