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930A -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930A
KR20040069930A KR1020030007297A KR20030007297A KR20040069930A KR 20040069930 A KR20040069930 A KR 20040069930A KR 1020030007297 A KR1020030007297 A KR 1020030007297A KR 20030007297 A KR20030007297 A KR 20030007297A KR 20040069930 A KR20040069930 A KR 2004006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xed
electromagnet
rot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Original Assignee
김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만 filed Critical 김재만
Priority to KR1020030007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930A/ko
Priority to KR20030005609U priority patent/KR200317414Y1/ko
Publication of KR2004006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93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산업이나 일상 주변생활에서 저전압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계나 소규모 전력이 사용되는 곳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일정한 회전 운동을 지속적으로 함으로 소량의 전력을 발생시켜 전력의 공급이 어려운 산간 벽지나 섬 지방에서 전력을 비축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주축(A)에 무게 추(7)가 각각의 작동축(22)과 지지대(25) 전후작동간 (26)에 의해 연동되게 고정한 회전 원반장치 (B)와 무게 추(7)를 움직여주도록 몸체 외주면에 안내홈(30)을 만든 고정 캠 장치 (C)를 몸체골조(50)에 결합하고 초기 전류 공급을 위한 전자석 제어장치(D)와 감속기(42) 발전모우터(43) 축전밧데리 (44)로 발전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장치(E) 회전 원반체(1)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브레이크 장치(F)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omitted}
본 발명은 일반산업이나 일상 주변생활에서 저전압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계나 소규모 전력이 사용되는 곳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일정한 회전 운동을 지속적으로 함으로 소량의 전력을 발생시켜 전력의 공급이 어려운 산간 벽지나 섬 지방에서 전력을 비축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류로 회전시킨후 지속적인 회전력으로 전류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다수 개의 무게 추가 회전 원반체에서 다단계로 수평과 수직운동을 연속적으로 반복운동을 함으로서 축전장치에 전류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유효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 무게추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 무게추를 회전 원반체에서 분리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의 일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의 작동부분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의 요부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에 결합된 무게 추에 전자석이 발생하는 일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원반체에 결합된 무게 추의 다른각도 일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A: 회전주축 B: 회전원반장 C: 고정 캠장치
D: 전자석장치 E: 축전장치 F: 브레이크장치
1: 회전 원반체 2: 절개홈 3, 4: 요홈
5,5a,6,6a: 반원홈 7a, 7b, 7c, 7d, 7e, 7f, 7g, 7h: 무게 추
8: 나사홈 8a: 보울트 공 9: 편심 크랭크축
10: 편심공 11: 고정축 12, 20, 33, 34: 베어링
13, 14: 고정편 15: 보울트 16, 46: 전자석
17: 곡면부 21: 연동 회전체 22: 작동축
23: 나선축 24: 고정대 25: 지지대
26: 전후 작동간 27: 고정체 28: 스러스트 베어링
29: 회전용 베어링 30: 안내홈 31: 상사점
32: 하사점 30: 풀리 41: 벨트
42: 감속기 43: 발전모우터 44: 축전밧데리
45: 전자석 제어기 50: 몸체골조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회전주축(A)에 무게 추(7a)(7b)(7c)(7d)(7f) (7g)(7h)가 각각의 작동축 (22)과 지지대(25) 전후작동간(26)에 의해 연동되게 고정한 회전 원반장치 (B)와 무게 추(7a)(7b)(7c)(7d)(7f) (7g)(7h)를 움직여주도록 몸체 외주면에 안내홈(30)을 만든 고정 캠 장치 (C)를 몸체골조(50)에 결합하고 초기 전류 공급을 위한 전자석 제어장치(D)와 감속기(42) 발전모우터(43) 축전밧데리 (44)로 발전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장치(E) 회전 원반체(1)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브레이크 장치(F)로 된 것이다.
회전주축(A)의 전방에 결합되는 회전 원반장치(B)의 회전 원반체(1)는 다수의 곳을 절개홈(2)을 만들며 절개홈(2)의 상단 양측으로는 도 2처럼 요홈(3)(4)을 형성시켜 각각 반원홈(5)(6)을 만들고 반원홈(5)(6)의 상 하부분에 각각 나사홈(8)을 형성시킨다
상기의 반원홈(5)(6)에는 도 3, 4처럼 전면에 전자석(16)을 결합한 무게 추 (7a)(7b)(7c)(7d)(7f)(7g)(7h) 하단에 편심 크랭커 축(9)을 일체로 하며 편심공 (10)을 관통시켜 고정축(11)을 삽입후 각각 베어링(12)을 끼운 다음 반원홈(5)(6)에 안치하여 상 하단에 보울트공(8a)을 뚫고 반원홈(5a)(6a)을 만든 고정편(13) (14)을 일체로 맞춘후 각각 보울트(15)로 보울트공(8a)을 통해 나사홈(8)에 나사고정한다.
이의 무게 추 (7a)(7b)(7c)(7d)(7f) (7g)(7h) 전면의 전자석(16) 부분은 곡면부(17)을 형성한 것으로 이 곡면부(17)의 정점에서 순간적으로 쉽게 밀려나게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전자석 장치(D)의 설명시 다시 한다.
이렇게 회전 원반체(1)에 결합한 무게 추(7a)(7b)(7c)(7d)(7f)(7g)(7h)는 다시 무게 추(7a)(7b)(7c)(7d)(7f)(7g)(7h) 하단의 편심 크랭크 축(9)에 베어링(20)을 끼우고 연동회전체(21)를 일체로 하여 작동축(22)을 연동되게 결합한다.
상기 작동축(22)은 중간부분에 나선축(23)을 만들어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작동축(22)의 일측에는 하단부분에서 연동되게 고정대(24)를 설치하여 회전 원반체(1)에 일체로한 지지대(25)를 결합하고 다시 지지대(25)의 하 선단에 전후 작동간(26)을 결합한다.
전후 작동간(26)은 회전 원반체(1)에 고정대(24a)로 고정하는 고정체(27)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스러스트베어링(28)에 삽입후 결합하며 전후 작동간(26)의 타측 하단은 회전용 베어링(29)을 일체로 고정한다.
전후 작동간(26)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 회전용 베어링(29)은 고정 캠장치(C)의 몸체 외주면에 안내홈(30)을 따라 회전되게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 회전용 베어링(29)은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며 이로 인해 무게 추(7a)(7b)(7c) (7d)(7f)(7g)(7h)가 전 후진을 하게 된다.
이렇게 무게 추(7a)(7b)(7c)(7d)(7f)(7g)(7h)가 회전할 때 고정 캠장치(C)의안내홈(30)에 의해 연동회전체(21)가 45°에서 90°각도로 운동을 하므로 적은힘으로도 원활하게 움직여준다.
고정 캠장치(C)는 몸체골조(5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으며 도 8, 9처럼 전후에 베어링(33)(34)을 결합시켜 회전주축(A)의 회전에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며 안내홈(30)은 경사각을 두어 상사점(31)의 위치와 하사점(32)의 위치가 서로 틀리게 된다.
전자석 제어장치(D)는 회전 원반체(1)를 회전하기 위한 초기 전력공급을 위함과 동시에 무게 추(7) 전면의 전자석(16)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순간 무게 추 (8)를 아래로 밀어주어 회전 운동에 가속도를 붙여줌과 아룰러 힘을 도와주게 한다.
축전장치(E)는 회전 주축(A)이 회전함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이 풀리(40)와 벨트(41)를 통해 감속기(42)에 전달되고 감속기(42)는 다시 발전모우터(43)를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전류를 축전밧데리(44)에 저장하여 전류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 장치(F)는 유압 브레이크로서 회전 원반체(1)의 회전됨을 정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 설명부호 45는 전자석 제어기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을 작동 하고자 하면 도 8처럼 일측 무게 추(7) 전면의 전자석(16)과 전자석장치(D)의 전자석(46)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브레이크장치 (F)를 이용하여 정지 상태로 둔다.
상기의 상태가 도 8에 표시 한 것처럼 무게 추(7a)의 전자석(16)이 전자석장치(D)의 전자석(46)과 마주보는 상태에 위치할 때 무게 추(7a)의 편심 크랭크축(9)과 결합한 연동 회전체(21)와 작동축(22) 지지대(25)에 연결된 전후작동간(26) 하단에 위치한 회전용 베어링(29)은 고정 캠장치(C) 몸체의 안내홈(30) 하사점(32)에 위치하며 타측에 위치한 무게 추(7e)는 회전 원반체(1)와 직각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무게 추(7e)의 전후 작동간(26) 하단에 위치한 회전용 베어링(29)은 고정 캠장치(C) 몸체의 안내홈(30) 상사점(31)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전자석 제어기(45)에 전원을 ON시켜 주면 전자석(46)에서 자력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자력은 무게 추(7)의 전자석(16)과 같은 극성으로 상호간에 밀려는 힘이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브레이크장치(F)에 의해 움직임을 일시에 정지한 상태가 되나 브레이크장치(F)에 전원이 넣어지면 브레이크가 해지되어 회전주축(A)을 놓아준다.
브레이크 장치(F)가 회전주축(A)을 놓아줌과 동시에 회전 원반체(1)에 결합된 무게 추(7)가 원심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 갈려고 할 때 전자석 장치(D)의 전자석(46)이 무게 추(7)의 전자석(16)을 밀어주어 아래쪽으로 밀어주어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무게 추(7a)가 아래로 밀려 나면 다음 무게 추(7h)가 아래로 내려 오며 이의 무게 추(7h)도 전자석 장치(D)의 전자석(46) 부분에 도달하면 다시 전자력으로 인해 아래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다음 무게 추(7g)(7f)(7e)(7d)(7c)(7b)가 차례차례로 회전하여 진 다음 처음 위치한 무게 추(7a)가 전자석 장치(D)의 전자석(46) 부분에 도달하면 한 싸이클의 회전 운동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원반장치(B)의 회전 원반체(1)와 일체로 된 회전주축(A)이 회전하면 일측의 풀리(40)를 회전하면 회전력이 벨트(41)를 통해 아래의 감속기(42)에 전달되면 감속기(42)에 전달된 동력이 발전모우터(43)를 회전시키고 발전모우터(43)에서 발생한 동력은 축전밧데리(44)를 통해 저장 된다.
상기 축전 밧데리(44)에 저장된 전류를 필요한 곳에 적절히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처음 회전 이후 일정한 회전 속도가 유지되면 전자석 장치(D)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전자석의 전원을 높여주면 가속력이 붙어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회전 원반체의 움직임에 의해 무게 추가 각기 다른 각도에서 수직과 수평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 운동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것으로 본 장치의 크기가 적은 것은 일반적인 비상 충전용 전류로 사용 할 수 있고 크기를 대형으로 제작하였을 경우에는 발전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해상 운송수단인 선박에서 사용할 경우 엔진의 출력을 증강시키는 용도로도 응용하여 사용가능하고 발전기의 터빈보조장치, 중 대형선박의 보조장치, 기타 회전일을 요하는 모든 기계적인 장치에 적용하면 연료절감 효과가 뛰어난 에너지 절약형으로 국가 산업의 전반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다.

Claims (3)

  1. 회전주축(A)에 무게 추(7)가 각각의 작동축(22)과 지지대(25) 전후작동간 (26)에 의해 연동되게 고정한 회전 원반장치 (B)와 무게 추(7)를 움직여주도록 몸체 외주면에 안내홈(30)을 만든 고정 캠 장치 (C)를 몸체골조(50)에 결합하고 초기 전류 공급을 위한 전자석 제어장치(D)와 감속기(42) 발전모우터(43) 축전밧데리 (44)로 발전되는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장치(E) 회전 원반체(1)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브레이크 장치(F)로 됨을 특징으로 한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주축(A)의 전방에 결합되는 회전 원반장치(B)의 회전 원반체(1)는 다수 의 곳을 절개홈(2)을 만들며 절개홈(2)의 상단 양측으로는 요홈(3)(4)을 형성시켜 각각 반원홈(5)(6)을 만들고 반원홈(5)(6)의 상 하부분에 각각 나사홈(8)을 만들며, 전면에 전자석(16)을 결합한 무게 추(7) 하단에 편심 크랭커 축(9)을 일체로 하여 편심공(10)을 관통시켜 고정축(11)을 삽입후 각각 베어링(12)을 끼운 다음 반원홈(5)(6)에 안치하여 반원홈(5a)(6a)을 만든 고정편(13) (14)을 일체로 맞춘후 각각 보울트(15)로 보울트공(8a)을 통해 나사홈(8)에 나사 고정 하여서된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무게 추(7) 전면에 전자석(16) 부분을 일체로 하고 곡면부 (17)을 형성하며 다시 무게 추(7) 하단에 일체로한 편심 크랭크 축(9)의 연동회전체(21)일측에 나선축(23)으로 결합된 작동축(22)을 연동되게하고, 작동축(22)의 일측에는 회전원반체(1)에 고정한 고정대(24)로 지지한 지지대(25)를 결합하고 다시 지지대(25)의 하 선단에 전후 작동간(26)을 결합하며 전후 작동간(26)은 회전 원반체(1)에 고정하는 고정체(27)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스러스트베어링(28)에 삽입후 결합하며 전후 작동간(26)의 타측 하단은 회전용 베어링(29)을 일체로 하여 고정 캠장치(C)의 몸체 외주면에 안내홈(30)을 따라 회전되게 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도록 한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1020030007297A 2003-01-30 2003-01-30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20040069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297A KR20040069930A (ko) 2003-01-30 2003-01-30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20030005609U KR200317414Y1 (ko) 2003-01-30 2003-02-21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297A KR20040069930A (ko) 2003-01-30 2003-01-30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5609U Division KR200317414Y1 (ko) 2003-01-30 2003-02-21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930A true KR20040069930A (ko) 2004-08-06

Family

ID=373585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297A KR20040069930A (ko) 2003-01-30 2003-01-30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20030005609U KR200317414Y1 (ko) 2003-01-30 2003-02-21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5609U KR200317414Y1 (ko) 2003-01-30 2003-02-21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69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070A (ko) * 2019-01-29 2020-08-06 최찬목 자력을 이용한 동력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42U (ko) * 1997-10-30 1999-05-25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20000009709A (ko) * 1998-07-28 2000-02-15 윤덕용 이동운반체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변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18993U (ko) * 2000-05-25 2000-10-25 서숙종 작동추와 자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42U (ko) * 1997-10-30 1999-05-25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팬션 하우징 보강 구조
KR20000009709A (ko) * 1998-07-28 2000-02-15 윤덕용 이동운반체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변환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18993U (ko) * 2000-05-25 2000-10-25 서숙종 작동추와 자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070A (ko) * 2019-01-29 2020-08-06 최찬목 자력을 이용한 동력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414Y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22224U (zh) 一种具有安装位置可调节功能的电力柜
CN201685126U (zh) 切削加工机的自动换刀系统
KR200317414Y1 (ko) 무게 추의 회전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102635952B1 (ko) 비접촉 자기기어를 이용한 회전동력 작용방법 및 비접촉 자기기어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
CN201205611Y (zh) 摆式上传动电控剪板机
CN204921889U (zh) 传动螺杆离合机构
JPS6474081A (en) Magnetic levitation rotary machine
CN109015863A (zh) 一种新型自动打孔装置
CN108775377A (zh) 一种涡轮蜗杆转动结构
CN209196434U (zh) 一种定位机构及电子设备
JP3725014B2 (ja) ブローチ盤
CN208437831U (zh) 一种微型激光雕刻机
CN209553556U (zh) 一种用于卫星的太阳翼角度调节机构
CN211619081U (zh) 双切换的盛丝装置
CN216504056U (zh) 一种无齿轮传动的卧式钢球研磨机
CN101204349B (zh) 一种简易的自动按摩装置
JP2005098213A (ja) 発電装置
CN204921270U (zh) 利用游梁式抽油机游梁的摆动发电的装置
CN113107760B (zh) 一种提高风能利用率的风力发电叶片
CN219901081U (zh) 一种机床回转工作台
CN210678744U (zh) 一种加工平台上料机械手
CN113352108B (zh) 一种自动化加工机床用十字滑台
CN216851723U (zh) 一种可调节气隙的永磁调速器
CN211758303U (zh) 一种新型料带铆接线
CN216476423U (zh) 一种装配式预制构件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