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222A -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 Google Patents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222A
KR20040069222A KR10-2004-7011197A KR20047011197A KR20040069222A KR 20040069222 A KR20040069222 A KR 20040069222A KR 20047011197 A KR20047011197 A KR 20047011197A KR 20040069222 A KR20040069222 A KR 20040069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ongitudinal
loop
chassis
re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에뵤제라드
귈레즈장-마크
쿠에뵤파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Publication of KR2004006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2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의 리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트렁크(2) 안에 비치할 수 있는 루프를 구비하고, 리어 패널을 자동차의 섀시 요소(1)와 상기 트렁크용 리드(3)의 전단부 사이에 완전히 수평하게 펼쳐지는 첫 번째 위치로부터, 상기 섀시 요소와 상기 트렁크 리드 전단부 사이에 상기 루프의 통과를 위한 공간을 넓히기 위해 상기 리드가 완전히 수직하게 정렬되는 기립 위치로 변형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패널은 길이방향 프론트 부분(4)과 길이방향 리어 부분(5)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 부분(4)과 길이방향 리어 부분(5)이 서로 완전히 평행하게 되는 기립 위치와, 상기 프론트 부분이 상기 리어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패널이 섀시(1)와 상기 루프 후미부(14)의 후단부 사이에 완전히 수평하게 정렬되고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 부분(4)의 후단부는 상기 길이방향 리어 부분(5)의 전단부에 중첩되는 두 번째 폐쇄 위치로 상기 패널 부분(4,5)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REAR PANEL FOR A MOTOR VEHICLE FITTED WITH A CONVERTIBLE ROOF}
리어 트렁크안으로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된 루프를 구비하는 자동차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루프는 특히, 다수개의 단단한 루프 부분(조각)들에 의해 형성되어, 쿠페(coupe)나 살룬(saloon) 처럼 객실을 덮도록 결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카브리올레(cabriolet)를 만들기 위해 리어 트렁크 안에 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동차들은 또한, 리어 시트백 안착부의 탑부(top part)와 트렁크 리드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리어 패널을 구비한다.
루프 요소들의 통과를 위한 통로를 확실히 만들기 위해 상기 루프를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패널을 수직한 위치로 접기 위한 제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그런데, 패널이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때 뿐만 아니라, 수직한 위치에 있을 때 패널의 높이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실제로 상기 패널의 높이는 상기 패널이 루프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당히 중요하다. 더 나아가, 루프 요소들의 통과를 위한 통로를 만들기 위해 패널과 트렁크 리드의 전단부 사이에 최대한의 길이방향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패널은 가급적 전방으로 먼쪽에 위치되어야 한다.
또 다른 것으로서, 루프가 자동차의 객실을 덮는 결속 위치에 있을 때, 루프 후미부의 후단부를 패널의 후단부와 트렁크 리드의 전단부 사이에 끼워넣는 것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것은, 이 위치에서는 루프 후미부의 후단부 두께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루프가 결속 위치에 있을 때 리어 패널의 길이 방향 크기 부분을 접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패널(rear pane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트렁크 안에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된 루프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패널을 자동차의 섀시 요소와 상기 트렁크의 트렁크 리드(lid) 전단부 사이로 대략 수평하게 펼쳐지는 첫 번째 위치로부터, 상기 섀시 요소와 상기 트렁크 리드 전단부 사이에 상기 루프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 공간이 생기도록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접힘 위치로 변화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리어 트렁크 안에 접어서 넣을 수 있는 루프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리어부 및 폐쇄 위치에 있는 패널을 보여주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패널이 개방위치에 있는 모양을 보여주는 도 1에 준한 도면이다.
도 3은 루프가 객실을 덮는 결속 위치에 있고, 리어 패널이 폐쇄위치에 있는 모양을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에 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리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리어 트렁크 안에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된 루프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패널을 자동차의 섀시 요소와 상기 트렁크의 트렁크리드 전단부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펼쳐지는 첫 번째 위치로부터, 상기 섀시 요소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전단부 사이에 상기 루프의 통과 공간이 확보되도록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접힘 위치로 변화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패널은 길이방향 프론트부와 길이방향 리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부와 길이방향 리어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면서 상기 프론트부가 상기 리어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두 부분을, 상기 패널이 섀시와 상기 루프 후미부의 후단부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부의 후단부가 상기 길이방향 리어부의 전단부에 중첩되는, 두 번째 폐쇄 위치로 오게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패널의 두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거나, 그리고 수직하게 접혀지는 위치로 번갈아 배치되며, 후자의 경우와 같은 수직한 상태에서는 당연히 부피가 감소될 것이다. 또한, 루프 요소의 통과를 위한 길이방향의 최대 통로를 넓히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두 번째 폐쇄위치에서 패널 부분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패널의 길이방향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되고, 그에 따라 루프 리어부의 후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프론트부가 자동차 섀시의 구성요소인 횡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리어부는, 두 개의 컨넥팅 로드의 일단부와 함께 두 개의 횡축을 중심으로 관절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컨넥팅 로드의 타단부는 변화가능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횡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섀시상에 각각 관절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같은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한정적인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차량은 섀시(1)와, 트렁크 리드(3, lid)에 의해 닫혀지는 트렁크(2)와, 그리고 길이방향 프론트부(4, front part)와 길이방향 리어부(5, rear part)에 의해 형성되는 리어 패널(rear panel)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길이방향」이란, 차량의 전방(화살표 AV)로부터 후방(화살표 AR)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횡방향은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은 횡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부(4)의 후단부는 얇게 되어 있고, 상기 리어부(5)의 전단부는 아랫방향으로 약간 굴곡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패널의 2가지의 폐쇄위치에서 두 부분(4,5)의 연결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그 중첩량은 도 3(루프 결속)의 위치에서 보다 도 1의 위치(루프 개방)에서 더 적다.
상기 프론트부(4)는 레버(6)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레버(6)는 특히, 상기 섀시에 고정된 횡축(7)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어부(5)는, 두 개의 링크들(10)(11)의 각 단부상에, 횡축을 중심으로, 관절연결되는 프론트 커버(8)와 리어 커버(9)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들(10)(11)의 타단은 섀시에 고정된 횡축을 중심으로 각각 "12" 및 "13"에 관절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부(5)는 변형가능한 평행사변형으로 섀시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 전단부는 상기 섀시(1)의 후단부와 조금 중첩하면서 연속하고, 상기 패널의 리어부(5) 전단부는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 후단부와 연속하며, 그리고 상기 트렁크 리드(3)의 전단부는 상기 패널의 리어부(5) 후단부와 연속한다.
상기 레버(6)와 축(7)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를 상향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링크들(10)(11)에 의해 형성된 변형가능한 평행사변형은, 상기 패널의 리어부(5)를, 상기 프론트부(4)와 평행하면서 상기 프론트부(5)의 전단부가 상기 리어부(4)에 중첩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로 오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크렁크 리드(3)는 그의 후단부가 기울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트렁크 리드(3)의 전단부와 상기 프론트부(4) 및 리어부(5)의 상단부 사이에 통과 공간(passage space)이 만들어진다.
최종적으로, 도 3에서, 상기 루프 후미부(14)의 후단부가 상기 트렁크 리드(3)의 전단부 앞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는 도 1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패널의 리어부(5)는 상기 루프의 후미부(14) 후단부에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루프 후미부(14)의 후단부는 상기 패널의 리어부(5)의 후단부와 상기 트렁크 리드(3)의 전단부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링크들(10)(11)에 의해 형성되는 변형가능한 평행사변형은 도 1에 도시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정확하게 복귀되지는 않게 되어,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 후단부는 상기 루프의 후미부(14)의 후단부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방향의 거리 만큼 상기 패널의 리어부(5)의 전단부 위에 겹쳐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배열은, 상기 패널의 프론트부(4)와 리어부(5)가 겹쳐지는 것을 통해, 상기 루프 후단부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패널은 예를들어, 모터 또는 실린더와 같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의 3가지 위치가 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의 두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거나, 그리고 수직하게 접혀지는 위치로 번갈아 배치되며, 후자의 경우와 같은 수직한 상태에서는 당연히 부피가 감소될 것이다. 또한, 루프 요소의 통과를 위한 길이방향의 최대 통로를 넓히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두 번째 폐쇄위치에서 패널 부분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패널의 길이방향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되고, 그에따라 루프 리어부의 후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Claims (4)

  1. 자동차용 리어 패널에 있어서,
    리어 트렁크(2) 안에 접어서 넣을 수 있도록 된 루프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패널을, 자동차의 섀시 요소(1)와 상기 트렁크의 트렁크 리드(3) 전단부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펼쳐지는 첫 번째 위치로부터, 상기 섀시 요소(1)와 상기 트렁크 리드(3) 전단부 사이에 상기 루프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 공간이 확보되도록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접힘 위치로 변화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패널은 길이방향 프론트부(4)와 길이방향 리어부(5)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부(4)와 길이방향 리어부(5)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하면서 상기 두 부분(4)(5)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중첩되도록 하며, 상기 두 부분(4)(5)을, 상기 패널이 상기 섀시(1)와 상기 루프 후미부(14)의 후단부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길이방향 프론트부(4)의 후단부가 상기 길이방향 리어부(5)의 전단부에 중첩되는, 두 번째 폐쇄 위치에 오게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프론트부(4)는 자동차 섀시(1)의 구성요소인 횡축(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리어부(5)는, 두 개의 링크(10)(11)의 일단부와 함께 두 개의 횡축을 중심으로 관절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링크(10)(11)의 타단부는 변화가능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횡축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섀시(1)상에 각각 관절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04-7011197A 2002-01-21 2002-12-11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KR20040069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0699 2002-01-21
FR0200699A FR2834949B1 (fr) 2002-01-21 2002-01-21 Tablette arr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dote d'un toit repliable
PCT/FR2002/004289 WO2003062000A1 (fr) 2002-01-21 2002-12-11 Tablette arr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dote d'un toit repli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222A true KR20040069222A (ko) 2004-08-04

Family

ID=2758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197A KR20040069222A (ko) 2002-01-21 2002-12-11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116495A1 (ko)
EP (1) EP1467881B1 (ko)
JP (1) JP2005515111A (ko)
KR (1) KR20040069222A (ko)
AT (1) ATE468995T1 (ko)
DE (1) DE60236544D1 (ko)
FR (1) FR2834949B1 (ko)
WO (1) WO2003062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4953B1 (fr) * 2002-01-21 2004-06-04 France Design Dispositif de commande d'une tablett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63781B4 (de) 2004-12-30 2007-01-04 Magna Car Top Systems Gmbh Mehrteiliges Dach für Fahrzeuge mit offenem Aufbau
DE102005006509A1 (de) * 2005-02-14 2006-08-24 Wilhelm Karmann Gmbh Abdeckanordnung für einen Verdeckkasten zur Aufnahme eines verstellbaren Fahrzeugverdecks
DE102006042285B4 (de) * 2006-09-08 2018-12-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eines Verdeckkastendeckels an einem Kraftfahrzeug
DE102006047914B4 (de) * 2006-10-06 2008-09-04 Rausch & Pausch Gmbh Kraftfahrzeug mit einem faltbaren, in einer Verdeckwanne ablegbaren Verde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0725B (de) * 1956-08-18 1959-07-02 Daimler Benz Ag Klappdeckel fuer den Verdeckkasten von Kraftfahrzeugen
US3377099A (en) * 1966-09-19 1968-04-09 Gen Motors Corp Compartment closure for vehicle body
US4687247A (en) * 1985-05-13 1987-08-18 Muscat Peter P Powered tonneau cover for convertible automobiles
DE3743502A1 (de) * 1987-12-22 1989-07-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agerung eines klappbaren deckels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eines verdeckkastendeckels
DE19613917C2 (de) * 1996-04-06 1998-01-15 Daimler Benz Ag Abdeckanordnung für einen im Heckbereich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Verdeckkasten
FR2759729B1 (fr) * 1997-02-20 1999-03-26 France Design Dispositif pour commander l'ouverture et la fermeture de la malle arriere et de la plage arriere d'un vehicule decouvrable
FR2777240B1 (fr) * 1998-04-09 2000-06-09 France Design Coffr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comprenant une malle arriere et une plage arriere
DE19932502C2 (de) * 1999-07-12 2001-06-28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Abdeckungsvorrichtung für einen Verdeckkasten
JP4292354B2 (ja) * 1999-10-19 2009-07-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ッケージ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2000A1 (fr) 2003-07-31
JP2005515111A (ja) 2005-05-26
EP1467881B1 (fr) 2010-05-26
FR2834949A1 (fr) 2003-07-25
US20050116495A1 (en) 2005-06-02
ATE468995T1 (de) 2010-06-15
DE60236544D1 (de) 2010-07-08
EP1467881A1 (fr) 2004-10-20
FR2834949B1 (fr) 200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260B2 (en)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5810422A (en) Convertible top
US8118343B2 (en) Stowable roof configuration for a convertible
JP5119325B2 (ja) モジュール型スライド式剛性パネルルーフシステム
EP2006139A1 (en) Retractable roof and vehicle with the same
US20040090092A1 (en) Motor vehicle with an alterable rear structure
US7401839B2 (en) Retractable roof and vehicle therewith
US20050280293A1 (en)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20050280290A1 (en)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7950718B2 (en) Convertible soft top with fins
FR2816248A1 (fr) Toit escamotable pour vehicule a elements pivotants
US7686377B2 (en) Convertible with a roof which can be stored below a covering
US20110127758A1 (en) Motor vehicle with an at least partly mobile roof
KR20040069222A (ko) 절첩식 루프를 구비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리어 패널
US6663164B1 (en) Folding hard top system for convertible structur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US7125065B2 (en) Top for a convertible vehicle
US20040056507A1 (en) Motor vehicle retractable roof and in particular pick-up equipped with same
US20070090664A1 (en) Hardtop vehicle roof with external roof kinematic system
DE10017712B4 (de) Kraftfahrzeug mit einem bewegbaren Heckteil zum Verschließen einer Hecköffnung
KR20040073576A (ko) 자동차의 리어 패널 작동 장치
US7300094B2 (en) Hardtop convertible vehicle
US7798555B2 (en) Movable roof for a passenger vehicle
KR20070103026A (ko) 접혀질 수 있는 차량 루프용 개방형 루프 해치
US20170259653A1 (en) Top of a Convertible Vehicle Comprising Panel Bows
US6447056B1 (en) Vehicle having an open roof construction and such open roof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