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809A -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809A
KR20040068809A KR1020030005357A KR20030005357A KR20040068809A KR 20040068809 A KR20040068809 A KR 20040068809A KR 1020030005357 A KR1020030005357 A KR 1020030005357A KR 20030005357 A KR20030005357 A KR 20030005357A KR 20040068809 A KR20040068809 A KR 2004006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display
displayed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839B1 (ko
Inventor
신윤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839B1/ko
Priority to US10/755,330 priority patent/US20040146278A1/en
Publication of KR2004006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을 이용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명령을 수신 및/또는 감지하여 타 제어부에 상기 동작명령을 전달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 복수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메뉴화면의 저장 및 판독이 가능한 저장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 및 저장장치에 저장된 메뉴화면을 표시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입력장치로부터 메뉴화면 표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 녹화/재생장치의 복수 메뉴표시 방법은 메뉴표시화면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뉴화면을 좌우측화면으로 이분하고 좌측화면에는 상위 메뉴를 그 우측화면에는 지정된 상기 좌측화면의 상위메뉴에 해당하는 그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복수메뉴표시단계와 상기 복수메뉴표시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하위메뉴에 표시할 정보로 전체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복수 메뉴 표시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단일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GUI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of displaying Multiple Menu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메뉴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기록된 방송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는 방송신호의 디지털화 및 압축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기록/재생장치는 각각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가 하나로 조합된 콤비네이션 형태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통상 A/V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장치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된 것을 '콤비네이션시스템(combination system)' 또는 '콤보시스템(combo-system)'이라 하며, 이를 약칭하여 '콤보(combo)'라 한다. 콤보시스템의 한 예로서 DVDP의 기능과 VCR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DVDP/VCR 콤보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DVDP/VCR 콤보시스템은 복합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그 사용이 복잡하고 관련 키조작도 숙련된 자가 아니면 어려울 정도로 그 명칭이나 조작순서도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콤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도 4A나 도 4B에서와 같이 메뉴화면(통상 GUI화면으로 통칭된다)을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동작 시키도록 지원하고 있다. 메뉴화면의 소정위치에 각 단계별 조작이 가능한 키들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동작시킬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뉴화면을 통하여 관련 데이터들을 수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4B에서와 같이 상위 메뉴와 하위 메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더욱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B내지 도 4C에 도시된 GUI 화면은 복수 메뉴 표시화면(400)으로서, 크게 상단영역(410), 중단영역(420) 및 하단영역(430)으로 나뉜다. 상단영역(410)의 소정 위치에는 현재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 문구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용된다. 즉, 본 화면이 콤보에 관련된 초기 설정 메뉴라는 의미의 'COMBO Initial Setup'가 표시된다. 중단영역(420)에는 상위 개념의 폴더를 표시하는 메뉴폴더(이하 "제1도메인" 영역이라 한다)가 표시되는 제1도메인 표시영역(421)과 해당 폴더의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하위 메뉴 폴더(이하 "제2 도메인"영역이라 한다)가 표시되는 제 2도메인 영역(422)으로 구분된다. 하단영역(430)에는 메뉴화면(400)의 이용에 대응되는 원격제어기(200)의 키조작 이용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나 도 4B에서와 같이 복수 메뉴 표시화면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기(200)의 키를 조작하여 메뉴선택바(450)를 "SET UP"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제 2 도메인영역(422)에 표시되는 정보가 "SET UP"의 상위메뉴 속에 속한 하위메뉴를 모두 디스플레이하고 있어 문제가 되지 않으나, 도 4C와 같이 메뉴선택바(450)를 "PROG"로 선택한 경우에는 제2 도메인 영역(422)에 표시할 정보는 많으나 표시영역이 좁아서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제1 도메인 영역(421)이 기본적으로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도메인영역(422)이 상대적으로 좁아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은 폰트가 큰 OSD(On Screen Display) 칩을 사용할 경우 많은 정보를 한정된 영역에 표시할 수가 없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위 메뉴와 하위메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되 특정 메뉴에 표시할 정보가 많은 경우에도 화면에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콤보시스템에서 폰트가 큰 OSD칩을 사용하더라도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 도면,
도 2는 도 1의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a 내지 도 5b는 복수의 메뉴 표시화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메뉴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4 : VCR제어부 119 : 플레쉬메모리
120 : DVDP부 123 : DVD제어부
130 : 선택부 140 :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OSD블럭
180 : VCR부 200 : 원격제어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을 이용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명령을 수신 및/또는 감지하여 타 제어부에 상기 동작명령을 전달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 복수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메뉴화면의 저장 및 판독이 가능한 저장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 및 저장장치에 저장된 메뉴화면을 표시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입력장치로부터 메뉴화면 표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은 화면을 좌우의 2개 화면으로 구성하고 분류된 좌측화면에는 상위 메뉴를 표시하는 제1 도메인 표시영역으로 하고, 우측화면에는 상기 상위 메뉴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제 2 도메인 표시영역으로 분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메뉴 표시화면에서 제 2도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할 정보가 그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2 도메인 표시영역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복수메뉴에서 단일 메뉴 표시화면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2 도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제1 도메인 영역까지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1 도메인 표시영역에는 타이머 예약녹화와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제 2 도메인 영역에는 프로그램 예약녹화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 녹화/재생장치의 복수 메뉴표시 방법은 메뉴표시화면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뉴화면을 좌우측화면으로 이분하고 좌측화면에는 상위 메뉴를 그 우측화면에는지정된 상기 좌측화면의 상위메뉴에 해당하는 그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복수메뉴표시단계와 상기 복수메뉴표시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하위메뉴에 표시할 정보로 전체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상위메뉴에는 타이머 예약녹화와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하위메뉴에는 프로그램 예약녹화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의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인 텔레비전(300)과 전송케이블(3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외부 입력장치인 원격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표시정보를 텔레비전(3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입력장치는 적외선과 같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200) 뿐만아니라 유선방식의 키보드와 같은 타 입력장치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여러 개의 영상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영상소스의 예로서는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인입선, 컴퓨터선 또는 모뎀선과 같이 신호를 전송할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위성 접시형 안테나(satellite dish), 로컬케이블(local cable), 디지털 방송소스(Digital Broadcast Source : DBS), 일반적인 안테나, 인터넷, 다른 컴퓨터 소스, 캠코더,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소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에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이 적용된다.
도 2는 도 1의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콤보시스템, 특히, DVDP와 VC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DVDP/VCR 콤보시스템(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DVDP/VCR 콤보시스템(10)은, 일반적인 VCR의 기능을 수행하는 VCR부(180), 일반적인 DVDP의 기능을 수행하는 DVDP부(120), VCR부(80)와 DVDP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에 대한 선택동작을 수행하는 선택부(130),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부(130)에 제공하는 외부신호 입력부(140), VCR부(80)와 DVDP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TV 또는 앰프 등과 같은 주변장치에 제공하는 출력부(150), 및 VCR부(180)와 DVDP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OSD(On-screen Display)기능을 부가하는 OSD블록(160) 등을 구비하고 있다.
VCR부(180)는,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VCR데크(111), VCR데크(111)에 대해 기록될 또는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블록(112) 및 오디오블록(113), VCR데크(111)와 비디오 블록(112) 및 오디오블록(11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VCR제어부(1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VCR부(180)는, 그의 동작상태와 동작모드 등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6),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패널(117), 및 리모콘(2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리모콘센서(11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VCR부(180)는 각종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어저장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명령어저장부(115)에는 VCR부(180) 및 DVDP부(1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동작명령에 관한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각 동작명령이 VCR부(180)에서만 사용되는 명령어인지 DVDP부(120)에서만 사용되는 명령어인지, 또는 VCR부(80) 및 DVDP부(120) 모두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VCR제어부(114)는 명령어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와 리모콘센서(118) 또는 조작패널(117)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를 비교함으로써, 입력되는 명령어가 어떠한 장치(120 또는 180)에서만 전용으로 사용되는 명령어인지 또는 양 장치(180, 120) 모두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VDP부(120)는 DVD데크(121), DVD서보(122), DVD제어부(123), 및 DVD엔코더(124) 등을 가지고 있다. DVD데크(121)는 DVD에 대한 재생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DVD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하며, DVD서보(122)는 DVD데크(121)의 위치제어 및 속도제어 등을 수행한다. DVD엔코더(124)는 DVD제어부(123)를 통해 DVD데크(121)가 읽어들인 데이터를 수령하여 DVD영상 데이터와 DVD음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DVD제어부(123)는 DVD데크(121), DVD서보(122), 및 DVD엔코더(124)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VCR제어부(114)와 DVD제어부(123)는 상호간에 명령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선택부(130)에는 DVD엔코더(124)의 출력, 비디오 블록(112)과 오디오블록(113)의 출력, 및 입력부(140)로부터의 신호 등이 입력된다. 선택부(130)는 VCR제어부(114) 및 DVD제어부(123)에 의해 제어되어 입력된 신호에 대한 선택 동작을 하며, 선택부(130)의 출력은 OSD블록(160) 및 출력부(150)로 입력된다.
OSD블록(160)은 선택부(13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OSD기능을 부가하는 기능을 한다.
출력부(150)는 DVD엔코더(124), 선택부(130), 및 OSD블록(16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DVD영상, DVD음향, VCR영상, 및 VCR음향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50)에는 TV 또는 음향기기 등과 같은 주변장치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주변장치에서는 영상과 음향이 출력된다.
외부신호입력부(140)는 선택부(1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부(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캠코더 등과 같은 외부기기의 신호 출력단자가 이 외부신호입력부(1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는 외부신호입력부(140)를 통해 콤보시스템(100)에 전송될 수 있고, 또한 이를 VCR부(180)를 이용하여 자기테이프에 기록하거나 TV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190)에는 DVD제어부(123)와 VCR제어부(114)의기능 수행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또한, 본발명과 관련된 메뉴화면을 저장하고 외부 표시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GUI 화면)이 저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저장부(190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기동시 VCR제어부(114)가 플래쉬 메모리(190)에 탑재된 운영 프로그램을 로딩하면서 동시에 DVD제어부(123)에도 관련 기동데이터를 전송하여 시스템을 가동시킨 후, 통상 조작패널(117)과 리모콘(200)의 조작버튼에 의하여 상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영상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제어기(200)의 키 선택에 따른 VCR제어부(114)에 의한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VCR제어부(114)가 시스템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로 설명하고 있으나 DVD제어부(123)가 시스템을 제어하게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메인제어부(도면 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VCR제어부(114)와 DVD제어부(123)를 각각 제어하게 할 수도 있다.
먼저,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의 외부 입력장치인 원격제어기(200)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여 GUI 화면 조작과 관련된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GUI 화면의 예로는 후술하는 복수 메뉴 표시 화면(400)을 들 수 있으며(도 5A, 5B 참조),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한 그래픽 화면이다.
또한, 상기의 GUI 화면들은 OSD블록(160)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11은 GUI 화면의 로딩 및 클로징(closing)을 지시할 때 이용되는 메뉴키이고, 213, 215, 217, 219로 표기된 부분은 GUI 화면에 분류되어리스트된 메뉴에 대한 커서의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좌, 우 상, 하 방향키이다. 또한 참조부호 221은 메뉴를 선택할 때 이용되는 엔터키이고, 223은 현재 화면에서 이전화면으로 되돌리고자 할 때 이용되는 리턴키이다.
그 밖의 나머지 키들은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 및 텔레비젼(300) 등을 조작하기 위한 알려진 키들로서 각 키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는 도4b서 표시된 제 1도메인 영역의 상위 메뉴 중에서 "PROG"이라는 상위 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표시화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제2 도메인영역에서 제 1 프로그램을 선택하였을 때의 상세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한 화면이며, 도 6은 본발명의 복수메뉴 표시화면에서 하위 메뉴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를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이용하여 시청하고 있는 경우 원격제어기(200)의 조작을 통하여 수광부(171)로 메뉴키(211)가 입력되면 VCR제어부(114)는 플레쉬메모리(119)에 저장되어 있는 GUI화면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에 도 4b와 같은 복수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00).
본 발명에서도 복수 메뉴 표시화면(400)은 상단영역(410), 중단영역(420) 및 하단영역(430)으로 나누며 상단영역(410)은 메뉴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 문구를 표시하고 중단영역(420)에는 상위 개념의 폴더를 표시하는 메뉴폴더(이하 "제1도메인" 영역이라 한다)가 표시되는 제1도메인 표시영역(421)과 해당 폴더의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하위 메뉴 폴더(이하 "제2 도메인"영역이라 한다)가 표시되는 제 2도메인 표시영역(422)으로 구별하며 하단영역(430)에는 메뉴화면(400)의 이용에 대응되는 원격제어기(200)의 키조작 이용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제1 도메인표시영역(421)에 표시되는 메뉴선택바(450)는 가장 상위 메뉴인 "SET UP"을 설정하게 하고 제2 도메인 표시영역(422)에는 상기 SET UP화면과 관련된 하위 메뉴도면과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물론 원격제어기(200)의 "상하좌우이동키(213,215,217,219)"를 이용하여 메뉴표시바(450)를 이동하면 연관된 하위 메뉴의 내용들이 제 2도메인 표시영역(422)에 표시된다. 도 4c에서와 같이 제1 도메인 표시영역(421)의 메뉴선택바(450)를 "PROG"로 이동하면 제 2도메인 표시영역(422)에는 그림과 같이 예약녹화와 관련된 각 프로그램 번호와 방송 Channel, 그리고 시작시간 등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의 상세 내용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없기때문에 그림과 같이 "▶"표시로서 아직 표시할 정보가 남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c와 같이 "PROG" 메뉴표시단계에서 사용자가 개별 프로그램을 설정/변경하기 위하여 메뉴선택바(450)를 "PROG"에 위치시킨 후 원격제어기(200)의 "ENTER" 키(221)를 선택하면(단계 510) 도 5a에서와 같이 제2 도메인 표시영역(422)에는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들이 디스플레이장치(30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5a에서와 같이 선택된 메뉴바(470)는 선택되기 전의 메뉴바(450)와 구별되게 하기 위하여 "PROG"전체 메뉴바를 도색하여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여러개의 프로그램 중 최상위 프로그램 즉 "1"번 프로그램에 도면에서와 같이 제2 도메인 선택바(460)가 자동 설정되도록하여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520).
한편, 도 5a화면에서와 같이 제2 도메인 선택바(460)가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기(200)의 "상하좌우이동키(213,215,217,219)"를 이동하면 제1 도메인의 메뉴선택바(450)는 고정되고 제2 도메인 선택바(46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2 도메인 선택바(460)를 프로그램 번호 "1"에 위치하고 "ENTER"키(221)를 누르면(단계 530) 프로그램 번호 1이 선택되어지고 VCR제어부(114)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 도 5B와 같은 화면을 플레쉬메모리(119)의 GUI저장부에서 읽어들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단계 540).
따라서, 제1 도메인 영역(421)에도 제2 도메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복잡한 정보도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80은 설정변경바를 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설정변경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단계 500에서 사용자가 "PROG"가 아닌 다른 메뉴를 선택하였다면 관련 하위 메뉴를 표시하고 종료한다(단계 560).
또한, 단계 530에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선택하지 않으면 입력된 키가 원격제어기(300)의 "MENU" 키(211)인가를 판단하고 "MENU" 키(211)이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MENU" 키(211)가 아니면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기능을 영상 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메뉴 표시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단일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GUI화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된 콤비네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명령을 수신 및/또는 감지하여 타 제어부에 상기 동작명령을 전달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 복수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메뉴화면의 저장 및 판독이 가능한 저장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 및 저장장치에 저장된 메뉴화면을 표시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입력장치로부터 메뉴화면 표시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은 화면을 좌우의 2개 화면으로 구성하고 분류된 좌측화면에는 상위 메뉴를 표시하는 제1 도메인 표시영역으로 하고, 우측화면에는 상기 상위 메뉴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제 2 도메인 표시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뉴 표시화면에서 제 2도메인 표시영역에 표시할 정보가 그 표시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2 도메인 표시영역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복수메뉴에서 단일 메뉴 표시화면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2 도메인 표시영역에 표시될 데이터를 제1 도메인 영역까지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메인 표시영역에는 타이머 예약녹화와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제 2 도메인 영역에는 프로그램 예약녹화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5. 메뉴표시화면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구비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뉴화면을 좌우측화면으로 이분하고 좌측화면에는 상위 메뉴를 그 우측화면에는 상기 좌측화면에서 지정된 상위메뉴에 해당하는 그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복수메뉴표시단계;
    상기 복수메뉴표시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하위메뉴에 표시될 정보가 모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하위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하위메뉴에 표시할 정보로 상위 메뉴 영역까지 확대하여 전체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메뉴에는 타이머 예약녹화와 관련된 메뉴가 선택되고 상기 하위메뉴에는 프로그램 예약녹화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3-0005357A 2003-01-27 2003-01-27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053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7A KR100536839B1 (ko) 2003-01-27 2003-01-27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US10/755,330 US20040146278A1 (en) 2003-01-27 2004-01-13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multiple men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57A KR100536839B1 (ko) 2003-01-27 2003-01-27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809A true KR20040068809A (ko) 2004-08-02
KR100536839B1 KR100536839B1 (ko) 2005-12-16

Family

ID=327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357A KR100536839B1 (ko) 2003-01-27 2003-01-27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46278A1 (ko)
KR (1) KR100536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76B1 (ko) * 2005-07-29 2007-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mi 동적 연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156685B1 (ko) * 2005-08-24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593B1 (ko) * 2004-05-27 2006-06-19 (주)비즈키즈 컨텐츠 인덱스 구조와, 이를 이용한 컨텐츠 요청 방법 및장치
JP4899384B2 (ja) * 2005-08-31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730B2 (en) * 2001-05-03 2005-08-16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KR20020088229A (ko) * 2001-05-18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콤보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복사 오동작 방지 방법
US20030112467A1 (en) * 2001-12-17 2003-06-19 Mccollum Tim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navig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76B1 (ko) * 2005-07-29 2007-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mi 동적 연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156685B1 (ko) * 2005-08-24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839B1 (ko) 2005-12-16
US20040146278A1 (en)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1553A (en) Monitor apparatus for selecting audio-visual units and operating modes from a control window
US7949230B2 (en) Electronic equipment, system for video content, and display method
US20100262912A1 (en) Method of displaying recorded materia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381390B1 (ko) 외부 연결기기에 대한 영상기기의 메뉴 원격제어방법
JP2773386B2 (ja) モニタ・テレビジョン装置
US2009005181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20080104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audio/visual data
JP2007158806A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情報表示装置、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US20020168172A1 (en) Combination system using set-up value commonly, and method for setting up value of the same
EP1313315A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10105373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KR100536839B1 (ko)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US200601712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contents and reproducing/recording selected contents
US20030223318A1 (en) Digital contents playback apparatus
US20070180405A1 (e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353328B1 (en) Recording medium player apparatus
JP2005260924A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メニュー案内表示方法
CN101552894B (zh) 用于记录和再生图像的方法和装置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20050058429A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H05260555A (ja) コントロール用メニュー表示装置
US91917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scheduled viewing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JPH102904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および、媒体
JP463831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装置
KR100406992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