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941A -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 Google Patents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941A
KR20040066941A KR1020030003592A KR20030003592A KR20040066941A KR 20040066941 A KR20040066941 A KR 20040066941A KR 1020030003592 A KR1020030003592 A KR 1020030003592A KR 20030003592 A KR20030003592 A KR 20030003592A KR 20040066941 A KR20040066941 A KR 20040066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mmary gland
extract
sweet potato
stem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만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941A/ko
Publication of KR2004006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을 발달시켜 가슴을 크고 탄력있게 해줄 수 있는 유선발달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는 유선을 발달시켜 가슴을 크고 탄력있게 해줄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서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고구마순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용매로 추출되며, 이러한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의 성상은 크림상, 젤상, 액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는 고구마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유선발달을 촉진시켜 가슴을 크게 하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Compositions for Activation Mammary Gland Containing the Extract of Stems of Ipomoea Batatas}
본 발명은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을 발달시켜 가슴을 크고 탄력있게 해줄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서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풍만하고 탄력있는 가슴은 대부분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빈약한 가슴을 가진 대다수의 여성들은 자신의 왜소한 가슴을 신체의 중요한 콤플렉스로 생각하고 있으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우울증 등의 심각한 정신적인 고통을 겪기도 한다.
유선(mammary gland)은 15 ~ 20개의 불규칙한 형태의 옆(lod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옆(lobe)은 포상선(胞狀, alveolar gland), 포상관(alveolar duct) 및 유관(lactiferous duc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옆(lobe)은 지방조직과 밀도 높은 결체조직에 의해서 지지되고, 이 조직들은 흉근(Pectoral muscle)의 근막(fascia)에 단단히 결합되어 가슴의 형태를 유지하고 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선조직을 활성화시키고 발달시키는 핵심적인 유효성분은 에스트로젠(Estrogen)으로 알려졌다. 유선발달과 관련된 에스트로젠의 2대 작용은 포상선과 포상관의 크기를 확대시키고, 지방의 가슴조직에의 저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의학적 수단으로서 의학용 에스트로젠 제제를 유선발달을 위해서 투여하는 것은 상당한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는 유방암, 고칼슘혈증, 황달, 무월경, 오심, 구토, 설사, 두통, 부종, 심근경색 및 뇌졸증 등이 대표적인 부작용 사례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절대 금지해야 하는데, 이는 태아의 기형 또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약용 에스트로젠 제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푸에라리아' 라는 천연 식물을 적용하는 것이다. 푸에라리아는 학명이 푸에라리아 미리피카(Pueraria mirific)인 콩과의 식물로서 전세계에서 태국의 북서, 북동부 지역의 해발 300 ~ 800m의 산악지방에서만 자생하며, 보라색의 꽃을 피우고 고구마나 칡과 같은 뿌리식물로서, 이 뿌리가 약용부위로 사용되고 있다.
푸에라리아는 태국에서 남녀의 회춘식으로 노화방지 약초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여, 현재는 태국 노인들의 노화방지와 여성들의 모발보호증진, 피부미용, 시력보호 및 몸에 활력을 불어넣는 약초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에라리아에는 ISO 플라본 유도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성분이 에스트로젠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유선을 발달시켜 가슴을 크게 하고 탄력있게 만든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푸에라리아와 같이 에스트로젠의 분비를 촉진하는 천연물은 부작용 면에서 의약품인 에스트로젠 제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속에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에라리아와 같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에스트로젠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천연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유선발달을 촉진시켜 가슴을 크게 하고 탄력있게 해줄 수 있는 유선발달 촉진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유선을 발달시키는 효능을 갖는 천연 추출물로서 고무마순 추출물을 함유시킨 유선발달 촉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무수히 많은 실험을 통하여 고구마순 추출물이 인체에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 뛰어난 유선발달 효과가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고구마는 학명이 리포메아바타타스(Ipomoea batatas)로서 메꽃과 고구마속의 다년생 초본 식물이며, 고구마순은 고구마의 줄기로서 통상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 아메리카로서 콜럼버스의 아메리카대륙의 도달로 인하여 유럽으로 건너가 전세계에 퍼졌다.
현재까지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고구마에는 탄수화물, 조섬유, 칼슘, 칼륨,인,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 등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 중의 하나이며, 소량의 지방, 비타민 B2 및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폴리페놀 화합물인 클로로겐산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구마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및 혈중 콜레스테롤 인하작용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고구마에 비하여 고구마순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지는 못하다.
고구마순에 함유된 것으로 밝혀진 성분으로는 단백질, 지질, 당, 식용섬유와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아연, 구리 등의 각종 미네랄 성분들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성분들이 들어있는데 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나이아신, 판토테닉에시드, 바이오틴 등이 고구마순에 함유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고구마순의 약리작용으로는 항진균작용 및 알도스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작용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는 이러한 고구마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용 및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고구마순 추출물은 통상의 천연 식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구마순을 깨끗이 씻어 정제하고 약 10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5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회수한 다음, 이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구마순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사용되는 바람직한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용매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구마순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라 미용 및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된다. 여기서, 조성물(유선발달 촉진제)은 크림상, 젤(gel)상,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그 어떠한 성상(제형)을 포함한다. 각각의 조성물은 제품의 성상(제형)을 이룰 수 있도록 통상적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고구마순 추출물이 함유된다. 예를 들어, 로션, 폼 클렌싱, 에센스 등의 기초 화장품의 제조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라 가슴크기를 증진시키며 가슴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유효성분으로서 고구마순 추출물이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는 조성물의 성상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체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크림상, 젤상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를 탈지면이나 깨끗한 손에 묻혀서 인체 피부(가슴)에 가볍게 마사지하듯 비비면서 발라주는 방법으로 인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선발달 촉진제를 인체에 적용해본 결과 부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 가슴크기의 증진 및 가슴탄력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조성물의 성상으로서 크림상과 젤상을 예시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은 크림상으로 제조한 조성물을 예시하였으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과 비교예 2는 젤상으로 제조한 조성물을 예시하였다.
[크림 실시예 1 내지 3]
유성 성분, 수성 성분, 계면활성제,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 베이스를 얻은 다음, 여기에 고구마순 추출물을 첨가하여 잘 유화시켰다. 그리고, 첨가제로서 방부제, 킬레이트제, 항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크림 조성물을 얻었다. 본 실시예들의 조성성분 각각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크림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의 조성성분 각각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크림 조성물의 조성 >
원료명 실시예 1(중량부) 실시예 2(중량부) 실시예 3(중량부) 비교예 1(중량부)
스테아린산 8.00 8.00 8.00 8.00
스테아릴알코올 4.00 4.00 4.00 4.00
스테아린산부틸 6.00 6.00 6.00 6.00
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5.00 5.00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고구마순 추출물 1.00 5.00 30.00 -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크림 조성물의 가슴크기/탄력 증진효과에 관한 임상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그리고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에 대한 가슴크기 증진 및 탄력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즉, 각각의 크림 조성물에 대해 2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하루에 2회씩(매일) 한달동안 가슴에 적용하여 적용 전후의 가슴크기 및 가슴탄력 변동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2]는 적용 후의 가슴 크기 변동에 대한 본인의 자각정도이고, [표 3]은 적용 후 가슴크기 변화의 실제 측정 결과이며, [표 4]은 적용 후의 가슴탄력에 대한 본인의 자각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 가슴크기 임상평가결과(피시험자 본인평가) >
자각정도 실시예 1[명(분포율,%)] 실시예 2[명(분포율,%)] 실시예 3[명(분포율,%)] 비교예 1[명(분포율,%)]
많이 커짐 5(25%) 7(35%) 10(50%) 0(0%)
약간 커짐 8(40%) 8(40%) 6(30%) 2(10%)
변화 없음 6(30%) 5(25%) 4(20%) 15(75%)
작 아 짐 1(5%) 0(0%) 0(0%) 0(0%)
부작용 발생 0(0%) 0(0%) 0(0%) 0(0%)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 가슴크기 임상평가결과(실제 측정 결과) >
측정결과 실시예 1[명(분포율,%)] 실시예 2[명(분포율,%)] 실시예 3[명(분포율,%)] 비교예 1[명(분포율,%)]
3cm 이상 커짐 2(10%) 3(15%) 5(25%) 0(0%)
2 ~ 3cm 커짐 4(20%) 5(25%) 6(30%) 0(0%)
1 ~ 2cm 커짐 4(20%) 5(25%) 4(20%) 0(0%)
0 ~ 1cm 커짐 3(15%) 2(10%) 1(5%) 3(15%)
변화 없음 6(30%) 5(25%) 4(20%) 14(70%)
작 아 짐 1(5%) 0(0%) 0(0%) 3(15%)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 가슴탄력 임상평가결과(피시험자 본인평가) >
자각정도 실시예 1[명(분포율,%)] 실시예 2[명(분포율,%)] 실시예 3[명(분포율,%)] 비교예 1[명(분포율,%)]
탄력이 많이 증진됨 6(30%) 8(40%) 12(60%) 0(0%)
탄력이 약간 증진됨 9(45%) 8(40%) 6(30%) 5(25%)
탄력 변화 없음 5(25%) 4(20%) 2(10%) 15(75%)
탄력 감소됨 0(0%) 0(0%) 0(0%) 0(0%)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상기 [표 2] 내지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조성물(실시예 1 ~ 3)이 함유하지 않은 크림 조성물(비교예 1)보다 가슴의 크기와 탄력을 상당히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구마순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슴 크기 및 탄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젤 실시예 4 내지 6]
수용성 고분자를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젤 베이스에 필요한 원료 성분을 첨가한 다음 고구마순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첨가제로서 방부제와 항료를 첨가하고 충분하게 균일 혼합 교반하여 젤 조성물을 얻었다. 본 실시예들의 조성성분 각각의 함량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4에서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의 조성성분 각각의 함량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젤 조성물의 조성 >
원 료 명 실시예 4(중량부) 실시예 5(중량부) 실시예 6(중량부) 비교예 2(중량부)
디프로필렌글리콜 8.00 8.00 8.00 8.00
피이지 1500 8.00 8.00 8.00 8.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40 0.40 0.40 0.40
메틸셀룰로오스 0.20 0.20 0.20 0.20
POE(15)올레일알콜에텔 1.00 1.00 1.00 1.00
고구마순 추출물 1.00 5.00 30.00 -
수산화칼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젤 조성물의 가슴크기/탄력 증진효과에 관한 임상시험]
상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그리고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젤 조성물에 대한 가슴크기 증진 및 탄력 증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평가하여 하기 [표 6] 내지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은 상기 크림 조성물에서 적용한 방법과 동일하며, [표 6]은 적용 후의 가슴 크기 변동에 대한 본인의 자각정도이고, [표 7]은 적용 후 가슴크기 변화의 실제 측정 결과이며, [표 8]은 적용 후의 가슴탄력에 대한 본인의 자각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 가슴크기 임상평가결과(피시험자 본인평가) >
자각정도 실시예 4[명(분포율,%)] 실시예 5[명(분포율,%)] 실시예 6[명(분포율,%)] 비교예 2[명(분포율,%)]
많이 커짐 4(20%) 7(35%) 11(50%) 0(0%)
약간 커짐 9(45%) 7(35%) 5(25%) 3(15%)
변화 없음 5(25%) 6(30%) 4(20%) 14(70%)
작 아 짐 2(10%) 0(0%) 0(0%) 3(15%)
부작용 발생 0(0%) 0(0%) 0(0%) 0(0%)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 가슴크기 임상평가결과(실제 측정 결과) >
측정결과 실시예 4[명(분포율,%)] 실시예 5[명(분포율,%)] 실시예 6[명(분포율,%)] 비교예 2[명(분포율,%)]
3cm 이상 커짐 2(10%) 4(20%) 6(30%) 0(0%)
2 ~ 3cm 커짐 3(15%) 4(20%) 6(30%) 0(0%)
1 ~ 2cm 커짐 4(20%) 5(25%) 3(15%) 0(0%)
0 ~ 1cm 커짐 4(20%) 3(15%) 2(10%) 2(10%)
변화 없음 6(30%) 4(20%) 3(15%) 16(80%)
작 아 짐 1(5%) 0(0%) 0(0%) 2(10%)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 가슴탄력 임상평가결과(피시험자 본인평가) >
자각정도 실시예 4[명(분포율,%)] 실시예 5[명(분포율,%)] 실시예 6[명(분포율,%)] 비교예 2[명(분포율,%)]
탄력이 많이 증진됨 7(35%) 9(45%) 13(65%) 0(0%)
탄력이 약간 증진됨 8(40%) 7(35%) 6(30%) 6(30%)
탄력 변화 없음 5(25%) 4(20%) 1(5%) 14(70%)
탄력 감소된 0(0%) 0(0%) 0(0%) 0(0%)
총 계 20(100%) 20(100%) 20(100%) 20(100%)
상기 [표 6] 내지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젤 조성물(실시예 4 ~ 6)이 함유하지 않은 젤 조성물(비교예 2)보다 가슴의 크기와 탄력을 상당히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구마순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슴 크기 및 탄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순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 가슴의 크기와 탄력을 증진시키는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선발달 촉진제는 고구마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유선발달을 촉진시켜 가슴을 크게 하고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선발달 촉진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구마순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발달 촉진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발달 촉진제는 크림상, 젤상,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발달 촉진제.
KR1020030003592A 2003-01-20 2003-01-20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KR20040066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592A KR20040066941A (ko) 2003-01-20 2003-01-20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592A KR20040066941A (ko) 2003-01-20 2003-01-20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41A true KR20040066941A (ko) 2004-07-30

Family

ID=3735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592A KR20040066941A (ko) 2003-01-20 2003-01-20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9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24A (ko) 2017-06-16 2018-12-27 정인태 고구마 순과 매실효소를 활용한 저염 장아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24A (ko) 2017-06-16 2018-12-27 정인태 고구마 순과 매실효소를 활용한 저염 장아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797A (zh)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CN102113987A (zh) 含天然植物提取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PL220112B1 (pl) Zastosowanie kompozycji zawierającej ekstrakt z Butea frondosa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601632B (zh) 包括20(s)-原人参二醇的组合物在制备用于护理皮肤的化妆品方面的应用
CN101721347A (zh) 含人工养殖大鲵组织物或提取液的美容护肤品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2743310A (zh) 含有莲花提取物和乌梅提取物作为有效成分而具有抗氧化活性的皮肤外用剂组合物
CN104248548A (zh) 植物提取物抗氧化精华液
KR20150083168A (ko)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040066941A (ko)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한 유선발달 촉진제
CN104586697A (zh) 一种鹰嘴豆芽提取物及其应用
KR20090065813A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EP3509706A1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JP2001131053A (ja) ザクロの成分を利用した化粧品
CN109715137A (zh) 用于抑制皮脂分泌的包含桃芽提取物的组合物
KR101457068B1 (ko)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CN105496885A (zh) 一种含植物元素的化妆品及其生产方法
KR20220015013A (ko)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CN105362134A (zh) 一种含有柠檬提取物、洋甘菊提取物和甘草提取物的美白化妆品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80097314A (ko)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