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095A - 겔 방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겔 방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5095A
KR20040065095A KR1020030002679A KR20030002679A KR20040065095A KR 20040065095 A KR20040065095 A KR 20040065095A KR 1020030002679 A KR1020030002679 A KR 1020030002679A KR 20030002679 A KR20030002679 A KR 20030002679A KR 20040065095 A KR20040065095 A KR 2004006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weight
fragrance
aromatic composition
dichl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진
이일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5095A/ko
Publication of KR2004006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 고분자 겔화제를 이용한 겔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겔 안정화제로서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및 메틸 셀룰로오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겔 방향제 조성물에 의하여 겔 중의 미생물, 특히 열성균의 번식을 막고 장시간의 보존함에 있어서도 강도, 냄새, 성상 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겔 방향제 조성물{Gel Aroma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겔 내의 내열성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고, 장시간 보존에 있어서도 강도, 냄새, 성상 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향제라 함은 사람이 머물 수 있는 일정한 공간, 예를들면 화장실, 거실 부엌, 방, 창고 등의 실내에서 천연 또는 인공적인 향기를 발산시켜 인간으로 하여금 감동 또는 자연적인 감정을 자아내게 하여 인간의 쾌적한 생활을 돕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실내의 악취를 소거하고 방향을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방향제품은 공기에 방향을 부여하는 순수하고 좁은 의미의 방향제 및 실내의 악취를 소거하는 광의의 소취제품 즉 악취를 물리적 작용으로 제거 또는 완화하는 탈취제, 악취를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등으로 제거 또는 완화하는 소취제, 그리고 악취를 다른 방향을 대체하는 방취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용되는 제품에 있어서는 서술한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방향제품은 또한 캐리어 형태에 따라 겔형, 액체형, 에어졸형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는데, 에어졸형은 사용시 마다 사용자가 직접 혹은 타이머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나, 타이머 장치등을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고가인데다 설치상의 제약이 있고, 액체형 방향제품도 이를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어 현재 겔형 방향제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겔형 방향제는 일반적으로 겔화제와 향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데, 이 중 겔화제로는 천연고분자 겔화제와 합성 고분자 겔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겔화제로서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gum), 가교 고 흡수성 폴리머, 한천등이 있다.
상기 카라기난 등의 천연 고분자계 겔화제는 홍조식물인 해조류를 물로 추출한 것으로서 단일 구조물은 아니다. 성분은 갈락토즈 및 안히드로 갈락토즈를 주성분으로 한 다당류의 황산 에스터의 칼슘, 칼륨, 나트륨, 암모늄, 마그네슘 염을 주성분으로 한 것으로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이다. 또한 카라기난은 카파, 람다, 요타 3종의 고분자의 단위체 또는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비율은 해초의 종류, 산지, 채취시기 등에 따라서 다르고 일반적으로 카라기난이라고 판매되고 있는 것은 이것의 혼합물이다.
카라기난은 아이스크림, 우유제품, 어묵제품, 젤리 등의 식품류와 방향제, 치약 등의 생활용품에서 겔의 기재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천연물으로부터의 추출물이기 때문에 그 겔 또는 분산 슬러리에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고, 특히 겔 방향제에 있어서는 미생물의 영향으로 겔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향기의 강도나 지속성이 변할 뿐 아니라 부패 악취가 발생하거나 나아가서는 생성된 겔의 성상도 현저하게 떨어져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평)1-300954호에서는 겔안정화제로서 5-클로로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및 염화벤잘코늄 등의 배합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겔 안정화제는 60℃ 이상의 고온이 된다면 항균효과가 저하되고 더구나 바실러스속 등 70℃ 전후의 고온이라도 활발하게 증식하는 열성균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염화벤잘코늄은 고온에서의 안정성은 양호하나 양이온성이기 때문에 음이온성의 카라기난과 배합시 백탁현상이 나타나고 투명한 조성물을 얻으려고 할 경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고분자계 겔화제를 이용한 겔 방향제 조성물에 겔 안정화제로서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와 메틸 셀룰로오즈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고분자 겔화제를 이용한 겔상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겔 안정화제로서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 한다.
상기 겔 방향제 조성물은 메틸 셀룰로오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틸 셀룰로오즈는 겔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는 겔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이용한 겔화제로는 카라기난이나 한천 등을 들 수 있고 카라기난으로는 카파, 람다, 요타 등 어느쪽의 타입도 좋지만 특히 겔의 강도 측면에서 카파 카라기난이 바람직하고, 그 배합량은 0.5 내지 4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 투명 겔의 경우에는 칼슘 함유량이 0.04 내지 0.7 중량%인 카라기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겔 안정화제로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사용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항균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5-클로로 2-메틸 4-이소치아졸린3-온,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은 60℃ 이상의 고온이 된다면 항균효과가 저하되고 더구나 바실러스속 등 70℃ 전후의 고온이라도 활발하게 증식하는 열성균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염화벤잘코늄은 고온에서의 항균효과는 양호하나 양이온성이기 때문에 음이온성의 카라기난과 배합시 백탁현상이 나타나고 투명한 조성물을 얻을려고 할 경우에는 부적합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메틸 셀룰로오즈를 사용해 겔의 건조시 발생하는 겔 상단 표면의 얼룩발생을 없애주고 겔 표면의 광택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이용한 겔 안정화제인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는 배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0.001 내지 1 중량%를 사용한다. 0.001 중량% 이하에서는 그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고 1 중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를 첨가한다.
또한 메틸 셀룰로오즈는 5,000 내지 6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그 배합량은 0.001 내지 3 중량%를 사용하되, 0.001 중량% 이하에서는 그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고 3 중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1 중량%를 첨가한다.
한편,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는 소취제로서의 효과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배합량으로는 현저한 소취효과가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겔 방향제 조성물에는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등의 유기산과 식물추출물 등의 소취제나 일반적인 방향제에 첨가되고 있는 다가 알코올, 산화방지제 등을 배합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겔 방향제 조성물은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고 장시간에 걸치는 보존에 있어서도 강도, 냄새, 성상 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향기의 강도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에 의한 악취를 막는것도 가능하다. 또한 겔 표면의 광택효과의 부여로 제품의 고급스러움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의 표 1과 같은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본 발명의 겔상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4-4'-디클로로 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0.01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99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4-4'-디클로로 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0.2 중량%, 메틸 셀루로오즈 0.3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4-4'-디클로로 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1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5-클로로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0.5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0.5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염화벤잘코늄 0.5 중량%,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4.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향료 7 중량%, 에탄올 7 중량%, 안정화제 8 중량%, 카라기난 3 중량% 및 정제수 75 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겔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중량%) 비교예(중량%)
1 2 3 1 2 3 4
4,4'디클로로 2-하이드록시디페닐 에테르 0.01 0.2 1 - - - -
메틸 셀룰로오즈 - 0.3 - - - - -
5-클로로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 - - 0.5 - - -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 - - - 0.5 - -
염화벤잘코늄 - - - - - 0.5 -
향료 7 7 7 7 7 7 7
에탄올 7 7 7 7 7 7 7
겔화제(카라기난) 3 3 3 3 3 3 3
안정화제 8 8 8 8 8 8 8
정제수 74.99 74.5 74 74.5 74.5 74.5 75
[시험예]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대해서 겔 안정성 평가, 겔의 성상 평가, 겔 투명성 평가, 표면 광택 효과 평가 및 향 지속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겔 안정성 평가
제조한 겔 슬러리를 60℃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 겔 슬러리의 점도와 냄새를 초기와 비교해 아래의 기준과 같이 평가했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 거의 저하되지 않음
△ : 약간 저하됨
×: 현저하게 저하됨
[향취]
○: 변화하지 않음
△ : 약간 변화함
×: 부패 악취가 발생함
[시험예 2] 겔의 성상 평가
보존 전의 겔 슬러리와 60℃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 겔 슬러리를 각각 투명 용기에 충전하고 실온에서 2시간 건조한 후 겔의 강도 및 탄성을 비교하였다.
○: 보존전과 후의 겔의 강도 및 탄성이 각각 변하지 않음
△ : 보존전과 후의 겔의 강도 및 탄성이 변함
×: 보존후의 것이 겔이 형성되지 않음
[시험예 3] 겔 투명성 평가
60℃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 겔 슬러리를 각각 투명 용기(높이 7cm, 지름 10cm)에 충전하고 실온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용기 아래부분의 표준도형판 도형모양을 판독하였다.
○: 양호(도형 판독 가능)
× : 불량(도형 판독 불능)
[시험예 4] 표면 광택효과 평가
60℃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 겔 슬러리를 각각 투명 용기에 충전하고 실온에서 2시간 건조한 후 겔 상단 표면의 광택 및 건조상태를 판독한다.
○: 겔 상단 표면에 얼룩이 없고 광택이 있음
×: 겔 상단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고 광택이 없음
[시험예 5] 향 지속성 평가
60℃에서 120시간 보존한 후 겔 슬러리를 각각 투명 용기에 충전하고 실온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실온에서 30일 후 향의 강도와 향취를 평가한다.
○: 향 강도 및 향취가 초기와 비교해 거의 변화지 않음
△ : 향 강도 및 향취가 초기와 비교해 향취가 다소 변하고 강도도 약함
×: 향 강도 및 향취가 초기와 비교해 향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향취도 변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겔 슬러리 점도 ×
겔 슬러리 향취 ×
겔 성상 ×
겔 투명성 × -
표면 광택 × × × × × ×
향취 ×
향 지속성 ×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안정화제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 후 겔 슬러리와 실온에서 겔이 형성된 후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안정화제인 5-클로로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2-메틸 4-이소치아졸린 3-온 및 염화벤잘코늄을 사용한 비교예 1내지 3의 경우에서는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 후 겔 슬러리의 안정성이 좋지 않아 겔 강도, 향취, 향 지속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틸 셀룰로오즈를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 겔 표면에서 건조시 발생되는 얼룩현상이 없으며 겔 표면에서 광택이 발생해 제품의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겔 방향제 조성물은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고 고온에서의 장시간에 걸치는 보존에 있어서도 강도, 냄새, 성상 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향기의 강도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패에 의한 악취를 막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겔 표면의 얼룩을 없애주고 광택효과의 부여로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천연 고분자 겔화제를 이용한 겔 방향제 조성물에 있어서,
    겔 안정화제로서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 방향제 조성물은 메틸 셀룰로오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 셀룰로오즈는 겔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4'디클로로 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가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방향제 조성물.
KR1020030002679A 2003-01-15 2003-01-15 겔 방향제 조성물 KR20040065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679A KR20040065095A (ko) 2003-01-15 2003-01-15 겔 방향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679A KR20040065095A (ko) 2003-01-15 2003-01-15 겔 방향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095A true KR20040065095A (ko) 2004-07-21

Family

ID=3735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679A KR20040065095A (ko) 2003-01-15 2003-01-15 겔 방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5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05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닥터이엘 천연색소 변색방지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05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닥터이엘 천연색소 변색방지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6180B2 (en) Disinfection of a contaminated environment
CN102408951A (zh) 一种冰箱消毒除臭清洁剂及制备工艺
KR20030070487A (ko) 세정항균탈취액의 제조방법
JP2014069064A (ja)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KR102394911B1 (ko) 겔 형태 탈취제
CN103845751B (zh) 凝胶型冰箱除菌祛味剂
CN106070314A (zh) 一种消毒除味空气清香剂
KR20040065095A (ko) 겔 방향제 조성물
KR102199015B1 (ko)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3612A (ko) 액상 항균 소취제 조성물
JPH0240339B2 (ko)
JPS63132809A (ja) 芳香防腐剤
CN1748508A (zh) 芳香除菌剂
JP2000086414A (ja) 制菌、抗菌性に優れた抗菌剤
CN111493082A (zh) 一种泡沫型家用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14668011B (zh) 一种鞋袜除臭喷雾剂及其应用
CN111011380A (zh) 一种气相抗菌防霉剂
KR20070005099A (ko) 항균, 소취 및 방향 효과를 주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CN110934157A (zh) 天然草本冰箱除味除菌物体表面消毒剂
KR101809786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456481B1 (ko) 섬개회나무꽃추출물을함유하는방향제조성물
KR100789621B1 (ko) 스팀청소기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H07112018A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アリル包含剤
JPH03284618A (ja) 東洋ラン様香料組成物
KR100769575B1 (ko) 주방용 액체 세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