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949A -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949A
KR20040063949A KR10-2004-7009032A KR20047009032A KR20040063949A KR 20040063949 A KR20040063949 A KR 20040063949A KR 20047009032 A KR20047009032 A KR 20047009032A KR 20040063949 A KR20040063949 A KR 2004006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methylene
bishompregnacalciferol
administere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457B1 (ko
Inventor
헥터 에프. 델루카
로리 에이. 플럼
마가렛 클라겟-데임
제임스 비. 토든
헤이즐 엠. 홀든
수미드라 골루가리
페이웰 그르지워즈
Original Assignee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078,204 external-priority patent/US6627622B2/en
Application filed by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filed Critical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6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1/00Irradiation products of cholesterol or its derivatives; Vitamin D derivatives, 9,10-seco cyclopenta[a]phenanthrene or analogues obtained by chemical preparation without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그의 약학적 용도 및 이 화합물을 정제하여 결정 형태로 얻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화합물은 미분화 세포의 증식 억제와 그의 단핵 세포로의 분화 유발에 있어서 현저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암제로서 및 건선 등의 피부 질환뿐만 아니라 주름, 탄력없는 피부, 건조한 피부 및 불충분한 피지 분비 등의 피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를 입증한다. 이 화합물은 또한 칼슘혈증 활성을 나타낸다해도 거의 나타내지 않으므로 인간의 면역 질환뿐만 아니라 신장 골형성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20S)-1ALPHA-HYDROXY-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본 발명은 비타민 D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천연 호르몬인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및 그의 에르고스테롤계 유사체, 즉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2는 동물 및 인간에서 매우 강력한 칼슘 항상성 조절자로 알려져 있고, 세포 분화에서의 이들의 활성도 확립되어 있다 [Ostre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4, 2610 (1987)]. 1α-히드록시비타민 D3, 1α-히드록시비타민 D2, 다양한 측쇄 유사체화 비타민 및 불소화 유사체를 비롯한, 상기 대사물질의 많은 구조적 유사체가 제조되고 시험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들 화합물들 중 일부는 세포 분화에서의 활성과 칼슘 조절에서의 활성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활성 차이는 신장 골형성장애, 비타민 D-내성 구루병, 골다공증, 건선 및 일부 악성종양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최근, 비타민 D 유사체의 새로운 부류 즉, 비타민 D 계열의 공통적인 특징인, 두 개의 수소 원자에 의한 A-고리 엑소시클릭 메틸렌기 (탄소 19)의 치환을 특징으로 하는 소위 19-노르-비타민 D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19-노르-유사체 (예를 들어, 1α,25-디히드록시-19-노르-비타민 D3)의 생물학적 시험은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효능 및 매우 낮은 칼슘 동원 활성을 갖는 선택적 활성 프로필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들은 악성종양의 치료 또는 다양한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 잠재적으로 유용하다. 이러한 19-노르-비타민 D 유사체의 두 가지 다른 합성법이 문헌 [Perlman et al., Tetrahedron Lett. 31, 1823 (1990); Perlman et al., Tetrahedron Lett. 32, 7663 (1991), and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086,191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666,634호에서,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2β-히드록시 및 알콕시 (예컨대, ED-71) 유사체가 골다공증을 위한 잠재적 약물 및 항종양제로서 추가이 (Chugai) 그룹에 의해 기재되고 조사된 바 있다. 문헌 [Okano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3, 1444 (1989)]을 참조한다.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다른 2-치환 (히드록시알킬로 치환 (예컨대, ED-120) 및 플루오로알킬기로 치환) A-고리 유사체도 제조되고 시험된 바 있다 [Miyamoto et al., Chem. Pharm. Bull. 41, 1111 (1993); Nishii et al., Osteoporosis Int. Suppl. 1, 190 (1993); Posner et al., J. Org. Chem. 59, 7855 (1994), and J. Org. Chem. 60, 4617 (1995)].
최근, 흥미로운 선택적 활성 프로필을 나타내는 1α,25-디히드록시-19-노르-비타민 D3의 2-치환 유사체, 즉 2-위치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화합물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536,713호), 2-위치에서 2-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945,410호), 2-위치에서 2-알킬리덴기로 치환된 화합물 (DeLuca et al., 미국 특허 제5,843,928호)도 합성된 바 있다. 이들 모든 연구들은 비타민 D 수용체의 결합 부위가 합성된 비타민 D 유사체의 C-2에서 상이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약리학적으로 중요한 비타민 D 화합물의 19-노르 부류를 연구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에서, 탄소 2 (C-2)에 메틸렌 치환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체가 합성되고 시험된 바 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탄소 1에 히드록실기가 있고 탄소 20에 부착된 단축 측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체, 즉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다 (본원에서 2-MbisP로 지칭함). 이 비타민 D 유사체는 C-2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메틸렌기가 비타민 D 수용체로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흥미로운 표적으로 생각된다. 또한, 모델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타민에 대해 수행된 분자 메카닉 연구는 이러한 분자 변형이 시클로헥산디올 고리 A의 구조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2-메틸렌기가 19-노르-비타민 D 탄소 골격 내로 도입되면 1α- 및 3β-A-고리 히드록실의 특성이 변한다. 이들은 모두 천연 호르몬인 1α,25-(OH)2D3분자 내의 1α-히드록실기 (생물 활성에 중요함)와 유사하게 알릴 위치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2-메틸렌-19-노르-20(S)-1α-히드록시-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2-MbisP)을 결정 형태로 제조함으로서 정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유기 화합물의 정제, 특히 약학적 용도를 위한 정제는 그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화학자들에게는 상당히 중요하다. 화합물의 제조는 통상 많은 합성 단계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최종 생성물은 절차의 마지막 합성 단계로부터 유래된 부산물뿐만 아니라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화합물로도 오염될 수 있다. 매우 효율적이지만 비교적 시간 소비적인 공정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로도 통상 약제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한 화합물을 제공하지 못한다.
1α-히드록시비타민 D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소량의 상이한 목적하지 않은 화합물이 최종 생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타민 D의 5,6-트랜스 기하 이성질체를 직접 C-1 히드록실화시킨 후 SeO2/NMO 산화 및 광화학 조사를 수행한다면 (문헌 [Andrews et al., J. Org. Chem. 51, 1635 (1986); Calverley et al., Tetrahedron 43, 4609 (1987); Choudry et al., J. Org. Chem. 58, 1496 (1993)] 참조), 최종 1α-히드록시비타민 D 생성물은 1β-히드록시- 뿐만 아니라 5,6-트랜스 이성질체로 오염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이 프리비타민 D 화합물의 4-페닐-1,2,4-트리아졸린-3,5-디온 첨가 생성물의 C-1 알릴성 산화 반응에 이어서 염기성 조건 하에 개질된 첨가 생성물의 시클로전환 (cycloreversion)으로 이루어진다면 (문헌 [Nevinckx et al., Tetrahedron 47, 9419 (1991); Vanmaele et al., Tetrahedron 41, 141 (1985) and 40, 1179 (1991);Vanmaele et al., Tetrahedron Lett. 23, 995 (1982)] 참조), 목적하는 1α-히드록시비타민은 프리비타민 5(10),6,8-트리엔 및 1β-히드록시 이성질체로 오염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매우 넓은 범위 및 수많은 용도의 가장 유용한 C-1 히드록실화 방법 중 하나는 파렌 (Paaren) 등에 의한 실험적인 간단한 절차이다 (문헌 [J. Org. Chem. 45, 3253 (1980) and Proc. Natl. Acad. Sci. U.S.A. 75, 2080 (1978)] 참고). 이 방법은 비타민 D 토실레이트의 완충된 가용매 분해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는 3,5-시클로비타민 D 유도체를 SeO2/t-BuOOH로 알릴성 산화시키고 이어서 목적하는 1α-히드록시 화합물로의 산촉매된 시클로전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합성 경로를 고려하면, 최종 생성물이 1α-히드록시 에피머, 5,6-트랜스 이성질체 및 프리비타민 D 형태로 오염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1α-히드록시비타민 D4는 비타민 D2또는 에르고스테롤로부터 합성된 1α-히드록시비타민 D 화합물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물이다. 1α-히드록시비타민 D4는 비타민 D4의 C-1 산화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며, 이것은 다시 시판되는 에르고스테롤 물질의 오염으로부터 유도된다. 대체로, 최종 생성물은 약 1.5 중량% 이하의 1α-히드록시비타민 D4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 중 1α-히드록시비타민 D4를 제거하거나 그의 양을 약 0.1 내지 0.2 % 미만으로 상당히 감소시키는 정제 기술은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비타민 D 공액 트리엔 시스템은 열 및 빛에 대해 민감할 뿐만 아니라 산화되기 쉬워 매우 극성인 화합물의 착체 혼합물을 야기한다. 산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비타민 D 화합물이 장기간 저장되었을 때 일어난다. 비타민 D 화합물의 부분 분해를 야기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공정은 일부의 탈수 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원동력은 히드록실기의 알릴 (1α-) 및 호모알릴 (3β-) 위치이다. 그러한 상기 산화 및 제거 생성물의 존재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예비 코팅된 알루미늄 실리카 시이트 (UV 인디케이터 사용, EM 사이언스사 (EM Science; 미국 뉴저지주 체리 힐 소재)) 및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4:6)의 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1α-OH-D2(Rf 0.27) 및 그의 제거 생성물 (Rf 대략 0.7 내지 0.9)의 점이 자외선 중에서 나타난다. 또한, 황산을 분무하고 가열한 후, 산화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추가의 점들이 나타난다 (Rf 0).
통상적으로, 모든 1α-히드록실화 절차는 1회 이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된 1α-히드록시비타민 D 화합물조차도 균질성을 시사하는 일정한 분광학적 데이터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경구적, 비경구적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가능한 치료제에 요구되는 수준의 순도는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2MBP의 적합한 정제 방법이 요구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2-MbisP), 그의 생물학적 활성, 상기 화합물의 다양한 약학적 용도, 및 결정 형태로 얻기 위한 화합물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적으로 상기 19-노르 유사체는 하기 화학식 1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합물은 매우 유리한 원하는 패턴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이 화합물은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비교할 때 비타민 D 수용체와의 상대적으로 높은 결합 및 매우 낮은 장 칼슘 수송 활성을 특징으로 하고,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에 비해 뼈로부터 칼슘을 동원시키는 능력이 매우 약하다. 그러므로, 상기 화합물은 칼슘혈증 활성을 나타낸다 해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 골형성장애의 2차 부갑상샘 항진증의 억제용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면역 시스템에서의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질환, 예를 들어, 다발성 경화증, 루프스, 당뇨병, 숙주 대 이식편 반응, 기관 이식 거부 반응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및 예방;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및 염증성 장 질환 (예컨대, 만성 소화장애증 및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뼈 골절 치유의 개선; 및 골 이식의 개선에도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드름, 탈모증 및 고혈압은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증상이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분화 활성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건선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 또는 항암제, 특히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제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분화 활성을 갖기 때문에 주름, 적당한 피부 보습의 결핍 (즉, 건조한 피부), 적당한 피부 탄력의 결핍 (즉, 늘어진 피부), 및 불충분한 피지 분비를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증상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의 사용은 피부에 수분을 제공할 뿐 아니라 피부의 장벽 기능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조성물 1 g 당 약 0.01 ㎍ 내지 약 100 ㎍의 양으로 상기 질환 및 장애의 치료용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고, 1일 당 약 0.01 ㎍ 내지 약 100 ㎍의 투여량으로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결정화에 의한 2-MbisP의 정제도 연구되었다. 결정화 공정에서 용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 개별 액상 물질 또는 상이한 액체의 적합한 혼합물이다. 2-MbisP의 결정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용매 및(또는) 용매 시스템은 다음의 인자를 특징으로 한다.
(1) 저독성;
(2) 저비점;
(3) 온도에 대한 용해도 특성의 상당한 의존성 (만족스러운 결정화 수율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및
(4) 비교적 저비용.
높은 무극성의 용매 (예를 들어 탄화수소)는 이들에 대한 2-MbisP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매우 극성의 용매 매질 (예를 들어 알코올)에서는 2-MbisP가 너무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는 상당히 반대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2-MbisP의 성공적인 결정화를 위해서는 중간 극성의 용매가 요구된다고 결론지어졌다. 흥미롭게도, 결정화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헥산은 2-MbisP의 결정화에 덜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개별 용매, 즉 아세톤이 2-MbisP의 결정화에 가장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판올, 또는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용매 시스템도 양호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용매는 모두 증류 및 다른 공지된 방법으로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모든 경우 결정화 공정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일어나며, 침전된 결정은 여과하여 회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원에 기술되고 시험된 화합물, 즉 1α,25-디히드록시-19-노르-비타민 D3(이하 1,25(OH)219-노르-D3으로 지칭함) (도 1A); 천연 호르몬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이하 1,25(OH)2D3로 지칭함) (도 1B);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프레그나칼시페롤 (이하 2-Mpregna로 지칭함) (도 1C);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이하 2-MbisP로 지칭함) (도 1D); 및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이하 2-MP로 지칭함) (도 1E)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완전한 길이의 재조합 래트 비타민 D 수용체에 대해 [3H]-1,25-(OH)2-D3의 결합과 경쟁하는 1,25(OH)219-노르-D3, 2-Mpregna, 2-MbisP, 2-MP 및 1,25(OH)2D3의 상대적인 활성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1,25(OH)219-노르-D3, 2-Mpregna, 2-MbisP, 2-MP 및 1,25(OH)2D3의 농도의 함수로서의 HL-60 세포 분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2-MbisP (도 4A), 2-Mpregna (도 4B) 및 2-MP (도 4C)와 비교한 1,25(OH)2D3및 1,25(OH)219-노르-D3의 골 칼슘 동원 활성을 예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2-MbisP (도 4A), 2-Mpregna (도 4B) 및 2-MP (도 4C)와 비교한 1,25(OH)2D3및 1,25(OH)219-노르-D3의 장 칼슘 수송 활성을 예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6은 2-MbisP (도 6A), 2-Mpregna (도 6B) 및 2-MP (도 6C)와 비교한 1,25(OH)2D3및 1,25(OH)219-노르-D3의 장기 투여로 치료한 암컷 래트의 혈중 혈청 칼슘 농도를 예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7은 원자 위치 인자로 정의되는 본 발명에서 발견되고 본원에 개시된 2-MbisP의 3차원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본원에서2-MbisP라 함)을 합성하고 시험하였다. 구조적으로, 이 19-노르 유사체는 본원에 이미 예시한 화학식 1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제조는 일반적인 방법, 즉 하기 화학식 2의 비시클릭 빈다우스-그룬트만 (Windaus-Grundmann)형 케톤과 하기 화학식 3의 알릴계 포스핀 옥사이드를 하기 화학식 4의 상응하는 2-메틸렌-19-노르-비타민 D 유사체로 축합시킨 후에 이 화학식 4의 화합물의 C-1 및 C-3에서 탈보호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 즉 2-MbisP를 얻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화학식 2, 3 및 4의 구조에서, Y1및 Y2기는 히드록시-보호기이며, 축합 반응에 민감할 수 있거나 또는 축합 반응을 방해하는 임의의 관능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하게 보호되는 것이 이해된다. 위에 나타낸 방법은 수렴 합성 개념의 적용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비타민 D 화합물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문헌 [Lythgoe et al., J. Chem. Soc. Perkin Trans. I, 590 (1978); Lythgoe, Chem. Soc. Rev. 9, 449 (1983); Toh et al., J. Org. Chem. 48, 1414 (1983); Baggiolini et al., J. Org. Chem. 51, 3098 (1986); Sardina et al., J. Org. Chem. 51, 1264 (1986); J. Org. Chem. 51, 1269 (1986)], 델루카 (DeLuca) 등의 미국 특허 제5,086,191호 및 제5,536,713호를 참조할 것).
화학식 2의 히드린다논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한 화학식 3의 포스핀 옥사이드를 제조하기 위해, 문헌 [Perlman et al., Tetrahedron Lett. 32, 7663 (1991)] 및 델루카 등의 미국 특허 제5,086,19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판되는 (1R,3R,4S,5R)-(-)-퀸산으로부터 쉽게 얻어지는메틸 퀴니케이트 유도체를 출발 물질로 하는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다.
화합물 1의 전체 합성 공정은 미국 특허 제5,843,928호 (제목: 2-알킬리덴-19-노르-비타민 D 화합물) 및 미국 특허 제6,440,953호 (제목: 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에 보다 상세하게 예시 및 기재되었다.
실시예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히드록시-보호기"라는 용어는 히드록시 관능기의 일시적 보호에 흔히 사용되는 임의의 기, 예컨대 알콕시카르보닐기, 아실기, 알킬실릴기 또는 알킬아릴실릴기 (이하, "실릴"기로 약칭) 및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알콕시카르보닐 보호기는 알킬-O-CO- 군,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알릴옥시카르보닐이다. "아실"이라는 용어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카노일기, 그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카르복시알카노일기, 예컨대 옥살릴기, 말로닐기, 숙시닐기, 글루타릴기, 또는 방향족 아실기, 예컨대 벤조일기, 또는 할로, 니트로 또는 알킬 치환된 벤조일기를 나타낸다.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사용된 "알킬"이라는 단어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라디칼, 그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를 나타낸다. 알콕시알킬 보호기는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메톡시에톡시메틸,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 및 테트라히드로피라닐과 같은 군이다. 바람직한 실릴-보호기는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디부틸메틸실릴, 디페닐메틸실릴, 페닐디메틸실릴, 디페닐-t-부틸실릴 및 유사한 알킬화 실릴 라디칼이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기, 또는 알킬-, 니트로- 또는 할로-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보호된 히드록시"기는 히드록시 관능기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보호에 흔히 사용되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기, 예컨대 실릴기, 알콕시알킬기, 아실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유도체화되거나 또는 보호된 히드록시기이다. "히드록시알킬", "중수소알킬 (deuteroalkyl)", "아미노알킬", "할로겐알킬", "알콕시알킬", "아릴옥시알킬" 및 "플루오로알킬"이라는 용어는 각각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 중수소기, 아미노기, 할로겐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플루오로기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가리킨다. "할로겐"기에는 주기율표의 VIIA족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섯 원소인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아스타틴 중 임의의 것이 포함된다.
이제, 반응식 1 내지 3을 참조하여, 비타민 D2를 출발 물질로 하는 2-MbisP의 세 가지 상이한 합성 방법을 예시하겠다. 처음 다섯 단계는 각 합성에서 동일하며 (반응식 1에 나타냄), 보호된 20(S)-알데히드를 생성한다. 그 후에, 반응식 1 및 2에서, 상기 알데히드가 보호된 20(S)-알코올로 전환되고, 이것의 측쇄가 두 가지 상이한 방법 (반응식 1 대 반응식 2)에 의해 비스-호모로 전환된다. 대조적으로, 반응식 3은 보호된 20(S)-알데히드에서 비스-호모 측쇄로의 직접 전환을 예시한다.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생물학적 활성
1α-히드록시-19-노르-프레그나칼시페롤의 2-위치에 메틸렌기를 도입하는 것은,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에 비하여, 돼지 장 비타민 D 수용체에 대한 결합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화합물은 표준 1,25-(OH)2D3과 비교하여돼지 수용체에 동일하게 잘 결합되었다 (도 2). 이러한 결과로부터 이 화합물이 동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고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2-MbisP의 2-메틸렌 치환은 독특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선택성이 높은 유사체를 생성하였다.
도 4B는 2-MbisP가 장 칼슘 수송을 자극함에 있어서 천연 호르몬인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1,25(OH)2D3)에 비해 매우 작은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5B는 2-MbisP가 1,25(OH)2D3에 비해 매우 작은 골 칼슘 동원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4B 및 도 5B는 2-MbisP가 칼슘혈증 활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매우 작은 칼슘혈증 활성을 가진다고 규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3은 2-MbisP가 HL-60 분화에 대해 1,25(OH)2D3와 거의 동일한 효능을 가지며, 따라서 건선 및 암, 특히,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치료를 위한 뛰어난 후보약이 됨을 예시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 분화 활성으로 인해, 이 화합물은 주름, 적당한 피부 보습의 결핍, 즉 건조한 피부, 적당한 피부 탄력의 결핍, 즉 늘어진 피부 및 불충분한 피지 분비를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증상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화합물의 사용은 피부의 보습 뿐만 아니라,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한다.
도 6은 2-MbisP의 장기 투여량의 투여 후 래트의 혈청 칼슘의 분석을 보여준다. 이 데이터는 2-MbisP가 매우 작은 칼슘혈증 활성을 가지므로 권고 투여량에서고칼슘혈증을 초래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도 4B 및 도 5B의 데이터를 더욱 뒷받침한다.
문헌 [Sicinski et al., J. Med. Chem. 41, 4662-4674, 1998]에 기재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분석의 조합을 이용하여 화합물 2-Mpregna, 2-MbisP 및 2-MP의 생물학적 활성을 1,25(OH)219-노르-D3및 천연 비타민 D 호르몬인 1,25(OH)2D3과 비교하였다.
HL-60 전골수세포에서 단핵 세포로의 분화를 문헌 [Ostrem et al., J. Biol. Chem. 262, 14164-14171, 198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해석
VDR 결합 및 HL60 세포 분화.2-MbisP, 2-Mpregna 및 2-MP는 완전한 길이의 재조합 래트 비타민 D 수용체에 대한 결합에서 [3H]-1,25(OH)2D3과 경쟁하는 능력이 거의 동등하였다 (2-Mpregna, 2-MbisP 및 2-MP의 Ki는 각각 0.3, 0.6 및 0.3 nM임) (도 2). 또한, 이들 세 화합물의 경쟁 결합 활성은 1,25(OH)219-노르-D3의 결합 활성 (Ki= 0.2 nM) 뿐 아니라 천연 호르몬인 1,25(OH)2D3의 결합 활성 (Ki= 0.1 nM)과도 유사하였다. 이들 다섯 화합물은 HL60 분화를 촉진하는 능력 (역가 또는 효능)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2-MbisP (EC50= 7 nM), 2-MP (EC50= 6 nM), 1,25(OH)219-노르-D3(EC50= 4 nM) 및 1,25(OH)2D3(EC5O= 5 nM)보다 효능이 약간낮은 2-Mpregna (EC50= 17 nM)은 예외로 볼 수도 있었다 (도 3 참조). 이 결과는 2-MbisP가 세포 분화 유발 및 세포 성장 억제에 있어서 직접적인 세포 활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선에 매우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이 결과는 또한 2-MbisP가 항암제로서, 특히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 뿐 아니라 피부 증상, 예컨대 건조한 피부 (피부 보습의 결핍), 피부의 과도한 늘어짐 (피부 견실성 부족), 불충분한 피지 분비 및 주름에 대해 상당한 활성을 가질 것임을 나타낸다.
비타민 D-결핍 동물에서의 골 칼슘 동원 및 장 칼슘 흡수.저 칼슘 식이요법 (0.02%) 중인 비타민 D-결핍 래트를 사용하여, 장 및 골에서 이들 화합물의 활성을 시험하였다. 예상한 바와 같이, 천연 호르몬 (1,25(OH)2D3)은 모든 투여량에서 혈청 칼슘 농도를 증가시켰다 (도 4). 도 4는 또한 2-MbisP, 2-Mpregna 및 2-MP가 골 칼슘 동원에 있어서 활성을 가지더라도 작은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2-MbisP, 2-Mpregna, 2-MP 또는 1,25(OH)219-노르-D3를 260 pmol/일로 7 일 동안 투여한 결과, 골 칼슘의 동원이 유발되지 않았고, 2-MbisP, 2-Mpregna 및 2-MP의 양을 1300 pmol/일 (5 배)로 증가시켜도 효과가 없었다. 1,25(OH)219-노르-D3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장 칼슘 수송은 뒤집힌 장관낭법을 사용하여 동일군의 동물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도 5). 이 결과는 2-MbisP 및 2-Mpregna가 260 또는 1300 pmol/일로 투여될 경우에는 장 칼슘 수송을 촉진하지 않았으나, 1,25(OH)2D3는 260 pmol/일 투여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촉진하였음을 보여준다. 2-MbisP 및 2-Mpregna와 대조적으로, 2-MP는 상기 농도 및 5 배 더 높은 농도에서 1,25(OH)2D3와 동등한 칼슘 수송 활성을 나타냈으나, 그보다 더 높은 투여량에서는 실질적으로 이 활성이 감소되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5(OH)219-노르-D3은 2-MbisP 및 2-Mpregna 유도체와 유사하게 장 칼슘 수송 활성이 없었다.
정상 칼슘 식이요법 중인 비타민 D-충분 동물에서의 혈청 칼슘 반응.2-MbisP, 2-Mpregna 및 2-MP의 바람직함은 이들이 1,25(OH)219-노르-D3및 1,25(OH)2D3에 비해 정상 동물에서 고칼슘혈증을 발생시킬 수 없다는 점에 의해 예시된다. 도 6에 나타낸 실험에서, 정상적인 암컷 래트에 7 일 동안 2500 pmol/일의 1,25(OH)2D3, 또는 5000 pmol/일의 2-MbisP, 2-Mpregna, 2-MP 또는 1,25(OH)219-노르-D3를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량을 2개의 독립된 군의 동물들에게 경구 또는 복막내 경로로 투여하였고, 혈청 칼슘 농도는 마지막 투여 후 4 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두 경로 중 어느 하나로 1,25(OH)2D3를 투여받은 동물은 고칼슘혈증을 나타내었으며, 일부는 안락사가 필요할 정도로 심하였다. 마찬가지로, 1,25(OH)219-노르-D3도 명백한 고칼슘혈증을 발생시켰다. 대조적으로, 화합물 2-MP, 2-MbisP 또는 2-Mpregna를 투여받은 동물들은 그 어느 것도 혈청 칼슘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는 2-MbisP가 여러가지 인간 요법을 위한 뛰어난 후보약이라는 것과, 여러가지 상황, 예컨대 자가면역 질환, 암 및 건선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2-MbisP는 (1) 상당한 VDR 결합 및 세포 분화 활성을 가지며, (2) 1,25(OH)219-노르-D3및 1,25(OH)2D3와 달리 고칼슘혈증 경향이 없고; (3) 쉽게 합성되기 때문에, 건선 치료를 위한 뛰어난 후보약이다. 2-MbisP는 비타민 D 수용체에 대해 상당한 결합 활성을 가지나, 혈청 칼슘을 상승시키는 능력이 거의 없어, 신장 골형성장애의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치료 목적을 위해, 화학식 1로 정의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약적 적용을 위해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무독성 용매 중의 용액 또는 적합한 용매 또는 담체 중의 유화액, 현탁액 또는 분산액, 또는 고체 담체와 함께 환제, 정제 또는 캡슐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제형은 또한 다른 제약상 허용가능한 무독성 부형제, 예컨대 안정화제, 항산화제, 결합제, 착색제 또는 유화제 또는 풍미개선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은 경구, 국소, 비경구 또는 경피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주사 또는 정맥내주입 또는 적합한 멸균 용액, 또는 소화관을 통한 액체 또는 고체 투여 형태, 또는 크림, 연고, 부착포 또는 경피 적용에 적합한 유사한 비히클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1일 당 화합물 0.01 ㎍ 내지 100 ㎍의 투여량이 치료 목적에 적절하나, 그러한 투여량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치료할 질병, 그의 중증도 및 환자의 반응에 따라 조정된다. 화합물은 작용의 특이성을 나타내므로, 상이한 정도의 골 미네랄 동원 및 칼슘 수송 자극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진 상황에서는, 각각을 적합하게 단독으로, 또는 선별된 투여량의 다른 활성 비타민 D 화합물, 예컨대 1α-히드록시비타민 D2또는 D3, 또는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로 정의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적합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 1 g 당 약 0.01 ㎍ 내지 약 100 ㎍이고,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은 크림, 로션, 연고, 국소 부착제, 환제, 캡슐 또는 정제, 또는 제약상 무독성이고 허용가능한 용매 또는 오일 중의 용액, 유화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고, 그러한 제제는 부가적인 다른 제약상 무독성이거나 또는 이로운 성분, 예컨대 안정화제, 항산화제, 유화제, 착색제, 결합제 또는 풍미개선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전골수세포에서 정상 대식세포로의 분화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여량이 적합하나, 상기 주어진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질병의 중증도 및 환자의 상태 및 반응에 따라 조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제형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및 임의로는 다른 치료 성분과 합쳐진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담체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및 그의 수용자에 대한 무해성 면에서 "허용가능"하여야 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각각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리된 단위 형태, 예컨대 캡슐, 사셰, 정제 또는 로젠지; 산제 또는 과립 형태;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 또는 수중유 유화액 또는 유중수 유화액 형태일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제형은 활성 성분 및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를 포함하는 좌약 형태, 또는 관장제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활성 성분의 멸균 유성 또는 수성 제제를 포함하며, 이것은 편리하게는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으로는 액체 또는 반액체 제형, 예를 들면, 바르는 약, 로션, 도포제 (applicant),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화액, 예를 들면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 또는 용액 또는 현탁액, 예컨대 점적약; 또는 분무제가 포함된다.
천식 치료에는, 분무 캔, 분사기 (nebulizer) 또는 분무기 (atomizer)에 조제된, 산제, 자가분사제 또는 분무 제형의 흡입을 이용할 수 있다. 조제시 제형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μ 범위이다.
제형은 편리하게는 투여 단위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제약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여 단위"라는 용어는 하나의 투여량, 즉 활성 성분 그 자체 또는 활성 성분과 고체 또는 액체 제약용 희석제 또는 담체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단위 투여량으로서 환자에게 투여될수 있는 단일 투여량을 의미한다.
2-MbisP의 결정화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형태의 2-메틸렌-19-노르-20(S)-1α-히드록시-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2-Mbis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2-MbisP의 유용한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정제 기술은 정제할 2-MbisP 물질을,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에틸 에테르로 구성된 단일 용매 시스템을 용매로서 사용하여 용해시키는 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2-MbisP 생성물을 결정질 형태로 얻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아세톤이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존재 또는 부재하의 증발 또는 공지된 다른 수단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임의의 공지된 합성 방법에서 얻어진 2-MbisP를 함유하는 광범위한 최종 생성물을 다양한 농도로, 즉 마이크로그램 양 내지 킬로그램 양으로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정제할 2-MbisP의 양에 따라 최소화 및(또는) 조정되어야 한다.
본 결정화 방법의 유용성 및 이점은 하기 특정 실시예 1 및 2에서 나타난다. 결정화 후, 침전된 물질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의 결정질 형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정화의 수율이 높았고, 얻어진 결정은 162 내지 164 ℃의 비교적 좁은 범위의 융점을 나타내었다.
상기 합성 2-MbisP 생성물의 결정화 방법은 유용한 정제 방법을 대표하며, 이 방법은 합성 경로에서 유도된 몇몇 부산물 뿐 아니라 부수적인 1α-히드록시비타민 D4도 또한 제거할 수 있다. 그러한 불순물은 천연 에르고스테롤이 그의 22,23-디히드로 유사체로 오염된 결과이다.
실시예 1
아세톤으로부터의 결정화
(a) 정제할 2-MbisP 생성물을 아르곤 대기하에 끓는 아세톤 (1.2 mL, 알드리치사 (Aldrich) 제조)에 용해시키고, 실온 (20 ℃ (68 ℉))에 수 시간 (1 내지 3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냉장고 (1.7 ℃ 내지 7.2 ℃ (35 내지 45 ℉))에서 하룻밤 (8 내지 1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분리하고 작은 부피의 차가운 (0 ℃)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b) 이어서, 상기 2-MbisP 결정을 실시예 1(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세톤 (0.5 mL)으로 재결정화시켰다. 침전된 결정은 162 내지 164 ℃의 비교적 좁은 범위의 융점을 가졌으며,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의 결정 형태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실험
0.40 × 0.25 × 0.03 mm 치수의 무색 판형 결정을 구조 분석에 이용하였다. 플랫폼 측각기 상에 장착된 지멘스 (Siemens) HISTAR 면적 검출기에서 괴벨 (Goebel) 광학으로 초점을 맞춘 Cu Kα 방사선 (λ = 1.54178 Å)을 사용하여 세기 (intensity)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정을 얇은 나일론 섬유에 진공 그리스로 붙이고, 데이터를 상온 19.85 ℃ (293 °K)에서 수집하였다. 세기 데이터를 각각 0.25°인 일련의 ω 진동 프레임으로서 측정하였으며, 이들은 -85°의 검출기 2θ에서 5 번의 스캔 (각각 500개의 상, 40 초/상) 및 -40°의 검출기 2θ에서 2 번의 스캔 (각각 500개의 상, 20 초/상)으로 구성되었다. 검출기는 512 × 512 모드에서 작동시켰고, 샘플로부터 6.0 cm에 위치시켰다. 특이 데이터의 구간 변량 (coverage)은 58.88도의 θ에 대해 95.4%이었다. 최초 50개의 프레임을 데이터 수집의 끝부분에서 반복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동안 결정 회절의 감쇄를 본질적으로 나타내지 않았다. 총 6917개의 데이터를 4.38 < θ < 58.88°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SAINT (브루커-AXS, 인크. (Bruker-AXS, Inc.) 제조)를 이용하여 통합 및 비교하여 R(int) = 0.0562인 2697개의 독립 데이터의 군을 형성하였다.
사방정계 공간군 P2(1)2(1)2(1)를 계통 부재 (systematic absence) 및 통계적 시험으로 측정하고, 이후의 리파이닝 (refining)으로 검증하였다. 구조를 직접적인 방법으로 해석하고, SHELXL-97 (G.M. 셸드릭 (Sheldrick), 1994; SHELXTL 버젼 5 레퍼런스 매뉴얼, 브루커-AXS, 인크.)를 사용하여 F2에 대해 만차행렬 최소자승법으로 리파이닝하였다. 수소 원자 위치를 처음에는 푸리에 차지도 (Fourier difference map)에 위치시켰으나, 이상화된 기하학을 이용한 라이딩 모델 (riding model)로 리파이닝하였다. 비수소 원자는 이방성 전위 (displace) 파라미터로 리파이닝하였다. 총 229개의 파라미터를 0 구속 (restraint) 및 2697개의 데이터에 대해 리파이닝하여, 가중치 w =1/[s2(F2) + (0.0824 P)2] (여기서, P = [F0 2+2Fc 2]/3임)에 대해 wR(F2) = 0.1369 및 S = 1.088을 얻었다. 최종 R(F)는 관찰된 2697개의 [F > 2s(F)] 데이터에 대해 0.0544이었다. 최종 차지도의 최대값 및 최소값은 각각 0.126 및 -0.153 e/Å3이었다.
하기 물리적 데이터 및 상기 기재되고 계산된 원자 위치 파라미터에 의해 정의된 2-MbisP의 3차원 구조를 도 7에 나타내었다.
2-MbisP의 결정 데이터 및 구조 리파이닝
실험식 C23 H36 O2
화학식량 344.52
온도 293(2) °K
파장 1.54178 Å
결정 시스템, 공간군 사방정계, P2(1)2(1)2(1)
단위 격자 치수 a = 6.6320(13) Å α=90°b = 15.514(3) Å β=90°c = 20.194(4) Å γ=90°
부피 2077.7(7) Å3
Z, 계산된 밀도 4, 1.101 Mg/m3
흡광 계수 0.520 mm-1
F(000) 760
결정 크기 0.40×0.25×0.03 mm
데이터 수집용 θ 범위 4.38 내지 58.88°
한계 지수 -7≤h≤5, -12≤k≤17, -22≤l≤21
수집된 반사/특이 6917/2697 [Rint= 0.0562]
θ에 대한 완비성 = 25.00 95.4 %
리파이닝법 F2에 대한 만차행렬 최소자승법
데이터/제약/인자 2697/0/229
F2에 대한 적합도 1.088
최종 R 지수 [I>2Σ(I)] R1 = 0.0544, wR2 = 0.1369
R 지수 (모든 데이터) R1 = 0.0622, wR2 = 0.1453
최대 차동 피크 및 홀 0.126 및 -0.153 e/A-3

Claims (4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화학식 1>
  2.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결정형.
  3. 제2항에 있어서, 사방정계 공간군 P2(1)2(1)2(1) 및 단위 격자 치수 a = 6.6 Å, b = 15.5 Å, c = 20.1 Å, α = 90°, β = 90 ° 및 γ = 90 °로 정의되는 분자 충전 배열을 갖는 결정형.
  4. 제3항에 기재된 인자로 정의되는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3차원 구조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건선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선 치료 방법.
    <화학식 1>
  6. 제5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1. 하기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백혈병, 결장암, 유방암 및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질환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12. 제1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6. 하기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다발성 경화증, 루프스, 당뇨병, 숙주 대 이식편 반응 및 기관 이식 거부 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17. 제1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1. 하기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및 염증성 장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22. 제2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26. 하기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주름, 적당한 피부 탄력의 결핍, 적당한 피부 보습의 결핍 및 불충분한 피지 분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증상을 갖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피부 증상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27. 제2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32. 하기 화학식 1의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유효량을 신장 골형성장애를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장 골형성장애의 치료 방법.
    <화학식 1>
  33. 제32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경피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이 약 0.01 ㎍/일 내지 약 100 ㎍/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37. (a)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디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불활성 대기하에 비등시키는 단계;
    (b) 정제시킬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상기 용매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용매 및 용해된 생성물을 상온 미만에서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결정의 침전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냉각시켜 상기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결정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의 정제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및 용해된 생성물을 상온 미만으로 냉각시키기 전에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대기가 아르곤 대기인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및 용해된 생성물을 약 1.7 ℃ 내지 약 7.2 ℃ (약 35 ℉ 내지 약 45 ℉)로 냉각시키는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회수 단계가 여과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단계 (d)로부터 회수된 결정을 단계 (b)의 생성물로서 사용하여 단계 (a) 내지 단계 (d)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e)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47009032A 2001-12-13 2002-12-12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KR100631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113801P 2001-12-13 2001-12-13
US60/341,138 2001-12-13
US10/078,204 2002-02-18
US10/078,204 US6627622B2 (en) 2002-02-18 2002-02-18 (20S)-1α-hydroxy-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PCT/US2002/039715 WO2003051828A2 (en) 2001-12-13 2002-12-12 (20s)-1alpha-hydroxy-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949A true KR20040063949A (ko) 2004-07-14
KR100631457B1 KR100631457B1 (ko) 2006-10-11

Family

ID=2676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032A KR100631457B1 (ko) 2001-12-13 2002-12-12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453798B1 (ko)
JP (1) JP4149928B2 (ko)
KR (1) KR100631457B1 (ko)
CN (1) CN1308303C (ko)
AT (1) ATE411283T1 (ko)
AU (1) AU2002359680B2 (ko)
CA (1) CA2468833C (ko)
CY (1) CY1108686T1 (ko)
DE (1) DE60229430D1 (ko)
DK (1) DK1453798T3 (ko)
ES (1) ES2315426T3 (ko)
HK (1) HK1077804A1 (ko)
MX (1) MXPA04005652A (ko)
NZ (1) NZ533424A (ko)
PT (1) PT1453798E (ko)
SI (1) SI1453798T1 (ko)
WO (1) WO20030518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4980B2 (en) * 2003-10-08 2010-04-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2-methylene-19-nor-vitamin D compounds
US8404667B2 (en) * 2006-12-29 2013-03-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ounds,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of use to orally and topically treat acne and other skin conditions by 19-Nor vitamin D analog
AU2005309818A1 (en) 2004-11-22 2006-06-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9-nor-(20R)-1-alpha-hydroxy-bishomopregnacalciferol
MX2007006094A (es) * 2004-11-22 2007-07-11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ilen-19,21-dinor-1a-hidroxi-bishomopregnacalciferol.
ATE467614T1 (de) * 2004-11-22 2010-05-15 Wisconsin Alumni Res Found 2-methylen-19,26,27-trinor-(20s)-1-alpha- hydroxyvitamin d3 and dessen verwendungen
NZ563758A (en) 2005-05-03 2010-04-30 Wisconsin Alumni Res Found 19,26,27-Trinor-1alpha,25-dihydroxyvitamin D3 compounds
CA2648324A1 (en) * 2006-04-06 2007-10-1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alpha.,25-dihydroxy-19,21-dinorvitamin d3 analogs and uses thereof
EP2001842B1 (en) * 2006-04-06 2012-06-0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alpha-hydroxy-19,21-dinorvitamin d3 analogs and uses thereof
AU2007298651A1 (en) * 2006-04-06 2008-03-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1 alpha-hydroxy-18,19,21-trinorvitamin D3 analogs and uses thereof
WO2008089093A2 (en) * 2007-01-12 2008-07-24 Quatrx Pharmaceuticals Company Efficient processes for preparing steroids and vitamin d derivatives with the unnatural configuration at c20 (20 alpha-methyl) from pregnenolone
MX2010009578A (es) * 2008-03-06 2010-09-24 Wisconsin Alumni Res Found Metodos para incrementar el espesor epidermico de la piel mediante la administracion topica de un compuesto de vitamina d que contiene 19-nor.
EP2721004B1 (en) * 2011-06-14 2017-07-2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3-desoxy-2-methylene-19-nor-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US20130178449A1 (en) * 2011-07-18 2013-07-1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20(21)-Dehydro-19,24,25,26,27-Pentanor-Vitamin D Analogs
US8455467B2 (en) * 2011-10-21 2013-06-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EP2768804B1 (en) * 2011-10-21 2018-02-2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methylene-vitamin d analogs and their us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8714B1 (en) * 1985-04-23 1991-08-0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eco-sterol compounds effective in inducing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cells
JPH05238937A (ja) * 1992-03-09 1993-09-17 Wisconsin Alumni Res Found 細胞分化誘発薬剤
US6392071B1 (en) * 1997-03-17 2002-05-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6,27-homologated-20-EPI-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US5843928A (en) * 1997-03-17 1998-12-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2-alkylidene-19-nor-vitamin D compounds
ATE273709T1 (de) * 2000-09-08 2004-09-15 Wisconsin Alumni Res Found 1alpha-hydroxy-2-methylene-19-nor- homopregnacalciferol und seine therapeutische verwe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3798B1 (en) 2008-10-15
AU2002359680A1 (en) 2003-06-30
NZ533424A (en) 2006-08-31
SI1453798T1 (sl) 2009-04-30
ATE411283T1 (de) 2008-10-15
CN1620431A (zh) 2005-05-25
CN1308303C (zh) 2007-04-04
HK1077804A1 (en) 2006-02-24
JP4149928B2 (ja) 2008-09-17
KR100631457B1 (ko) 2006-10-11
PT1453798E (pt) 2009-01-23
CA2468833A1 (en) 2003-06-26
DE60229430D1 (de) 2008-11-27
JP2005513066A (ja) 2005-05-12
WO2003051828A3 (en) 2003-09-12
CA2468833C (en) 2009-09-08
ES2315426T3 (es) 2009-04-01
AU2002359680B2 (en) 2007-10-18
DK1453798T3 (da) 2009-02-16
EP1453798A2 (en) 2004-09-08
MXPA04005652A (es) 2005-03-23
CY1108686T1 (el) 2014-04-09
WO2003051828A2 (en)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474E1 (en) (20S)-1α-Hydroxy-2-Methylene-19-Nor-Bishomo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JP4022144B2 (ja) 1アルファ−ヒドロキシ−2−メチレン−19−ノル−ホモプレグナカルシフェロール及びその療法的適用
EP1482951B1 (en) Alpha-hydroxy-2-methylene-10-nor-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KR100631457B1 (ko) (20S)-1α-히드록시-2-메틸렌-19-노르-비스호모프레그나칼시페롤 및 그의 용도
JP5009617B2 (ja) 2−メチレン−19−ノル−ビタミンd2化合物
JP5005340B2 (ja) 2−プロピリデン−19−ノル−ビタミンd化合物
US20130053356A1 (en) 2-methylene-19,23,24-trinor-1alpha-hydroxyvitamin d3
JP4619360B2 (ja) 2−メチレン−19−ノル−20(S)−25−メチル−1α−ヒドロキシカルシフェロール及びその使用
WO2005034959A1 (en) USE OF 2-METHYLENE-19-NOR-20(S)-1a,25-DIHYDROXYVITAMIN D3 TO INCREASE 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AU2002360534B2 (en) 1-alpha-hydroxy-2-methylene-19-nor-pregnacalciferol and its uses
US8754067B2 (en) 22-haloacetoxy-homopregnacalciferol analogs and their uses
US20130005686A1 (en) 2-Methylene-(22E)-25-Hexanoyl-24-OXO-26,27-Cyclo-22-Dehydro-19-Nor-Vitamin D Analogs
MXPA06001248A (en) 2-methylene-19-nor-vitamin d2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