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76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765A
KR20040063765A KR1020030076929A KR20030076929A KR20040063765A KR 20040063765 A KR20040063765 A KR 20040063765A KR 1020030076929 A KR1020030076929 A KR 1020030076929A KR 20030076929 A KR20030076929 A KR 20030076929A KR 20040063765 A KR20040063765 A KR 2004006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dp
pl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시가즈오
토미이가오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6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줄이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방전 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10a) 및 배면기판(20a)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플레이트(30)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취부할 때, 배면기판(20a)을 방진재가 되는 금속 스프링(31)을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30)에 부착한다. 또한 플레이트(30)를 금속으로부터의 벌집 구조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Method for Reducing Nois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Uni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저감하도록 한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에 따라 기존에 비해 세밀하고 크기가 크며, 자연색에 가까운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는 현재의 CRT(Cathod Ray Tub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한다)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PDP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기판(10)과 배면기판(20)을 소정 높이의 공간으로 유지하도록 합착한 구조이다. 전면기판(10) 상에는 서로 평행한 스캔전극(11)과 서스테인전극(12)이 형성되고, 이들을 덮도록 유전체층(13)과 보호막(14)이 적층된다. 이 PDP의 배면기판(20)상에는 스캔전극(11) 및 서스테인전극(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전극(21)이 형성되고, 그 어드레스전극(21)을 포함하는 배면기판 전면에 유전체층(22)이 형성되며, 그 유전체층(22) 위에 각 방전셀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23)이 형성된다. 유전체층(22)과 격벽(23)의 표면에는 형광체(24)가 도포된다.
PDP의 동작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임의의 방전셀 내의 스캔전극(11)과 어드레스전극(21) 사이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면 스캔전극(11)과 어드레스전극(21)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셀 내부에 기입방전이 일어난다. 그 후에 스캔전극(11)과 서스테인전극(12)에 방전전압을 공급하면 기입방전이 일어난 방전셀, 즉 선택된 방전셀 내의 스캔전극(11)과 서스테인전극(12) 사이에 유지방전이 일어나서 셀의 발광이 일정 시간 유지된다.
이 유지방전이 일어난 셀 내에서는 전극간의 방전에 의해 전계가 발생하여 방전 가스 중의 미량전자가 가속되고, 가속된 전자와 가스 중의 중성입자가 충돌하여 전자와 이온으로 전리되며, 전리된 전자와 중성분자의 다른 충돌 등으로 인하여 중성 분자가 보다 빠르게 전자와 이온으로 전리됨으로써 방전 가스가 플라즈마 상태로 됨과 아울러 진공자외선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체(24)를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생시키고 그 가시광이 전면기판(10)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면 외부에서 임의의 셀의 발광, 즉 화상표시를 인식할 수가 있다.
이러한 PDP에서는 전면기판(10)의 구조와 배면기판(20)을 각각 제작한 후에, 저융점 유리의 봉착부재를 이용하여 전면기판(10)과 배면기판(20)을 접합시켜 봉착하고 봉착한 PDP의 내부를 배기한 다음, 방전 가스를 그 PDP의 내부에 봉입하고 있다. 방전 가스의 압력은 400Torr정도(대기에 대한 부압(負壓))로 설정되고 있다.
그런데 봉착한 패널 내에서는 전면기판(10)에 형성된 보호막(14)과 배면기판(20)에 형성된 격벽(23)이 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들(이하, "밀착부전개소(密着不全箇所)"라 한다)이 국소적으로 존재하여, 이 밀착부전개소에서 보호막(14)과 격벽(23)의 사이가 비워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P의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에 의한 맥스웰(Maxwell)의 응력에 의해 서스테인전극(12)(또는, 스캔전극(11))과 어드레스전극(21)의 사이에 흡인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흡인력이 상기 밀착부전개소에서 발생하면 보호막(14)과 격벽(23)이 밀착하고 전압인가가 오프되어 흡인력이 없어지면 보호막(14)과 격벽(23)이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은 전면기판(10)과 배면기판(20)에 정재파(定在波)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여 PDP가 진동하는 소음으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PDP에서는 보호막(14)과 격벽(23)의 밀착부전에 의해 패널에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PDP에서는 방전 가스의 압력을 400Torr정도로 설정함으로써 대기압으로 패널 전체를 억제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었다. 또한, PDP에서 소음이 발생하면 PDP를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공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저감하도록 한 소음 저감방법 및 PDP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의 금속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전면기판 11 : 스캔전극
12 : 서스테인전극 13 : 유전체층
14 : 보호막 20a : 배면기판
21 : 어드레스전극 22 : 유전체층
23 : 격벽 24 : 형광체
25 : 봉착부재 30 : 금속 플레이트
31 : 금속 스프링 31a : 방진 고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DP의 소음 저감방법은 복수의 방전 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을 구비하는 PDP에 있어서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에 PDP를 취부할 때 상기 배면기판을 방진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다. PDP의 배면기판을 방진재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에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은 전면기판에 형성한 보호막과 배면기판에 형성한 격벽과의 밀착부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재로 흡수할 수 있다. 방진재의 예로는 금속 스프링, 공기 스프링, 방진 고무 또는 펠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PDP의 소음 저감방법은 상기 플레이트를 벌집(honeycomb) 구조로 한 것이다. 플레이트를 벌집 구조로 함으로써,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강도를 증가시켜 공진하기가 쉽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복수의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을 구비하는 PDP와, 이 PDP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로부 된 PDP 유닛에 있어서, 상기 PDP의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벌집 구조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 유닛은 유리로 된 전면기판(Front Plate)(10a)상에 서로 평행한 스캔전극(11)과 서스테인전극(12)이 형성되고, 이들을 덮도록 유전체층(13)과 보호막(14)이 적층된다. 스캔전극(11)과 서스테인전극(12)은 각각 투명전극과, 그 투명전극보다 폭이 좁은 금속버스전극으로 구성된다. 보호막(14)의 재료로는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이 PDP는 유리로 된 배면기판(Back Plate)(20a)상에 전면기판(10a)의 스캔전극(11) 및 서스테인전극(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전극(21)이 형성되고, 그 어드레스전극(21)을 포함하는 배면기판 전면에 유전체층(22)이 형성되며, 그 유전체층(22) 상에 각 방전셀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리브(rib))(23)이 형성된다. 유전체층(22)과 격벽(23)의 표면에는 형광체(24)가 도포된다. 유전체층(13, 22)과 격벽(23)의 재료로는 유리가 이용된다.
이상과 같은 전면기판(10a)과 배면기판(20a)을 각각 제작한 후에 전면기판(10a)의 보호막(14)을 아래로 하여 전면기판(10a)과 배면기판(20a)을 마주보게 한 다음, 저융점 유리로 된 봉착부재(25)를 이용하여 전면기판(10a)과 배면기판(20a)을 서로 접합하여 두 기판들(10a, 10b)을 봉착한다. 그리고 봉착한 PDP의 내부를 배기한 후에 방전 가스를 그 내부에 봉입하여 PDP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완성된 PDP를 모듈 등의 제품으로 조립하는 어셈블리 공정에서는배선용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PDP의 전극을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접속한 후에 그 PDP를 지지하는 토대의 금속 플레이트(30)에 PDP를 취부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PDP의 배면기판(20a)과 금속 플레이트(30) 사이에 방진재(진동흡수체)가 되는 다수의 금속 스프링(31)을 설치한다. 금속 스프링(31)의 일단은 양면 점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배면기판(20a)에 접착되고, 금속 스프링(31)의 타단도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플레이트(30)에 접착된다.
PDP를 복수의 금속 스프링(31)을 사이에 두고 금속 플레이트(30)에 취부함으로써, 전면기판(10a)에 형성한 보호막(14)과 배면기판(20a)에 형성한 격벽(23)과의 밀착부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금속 스프링(31)으로 흡수하여 PDP에서 발생하는 소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스프링(31)으로 PDP의 진동이 금속 플레이트(30)에 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스프링(31)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금속 플레이트(30)에 가해진 경우에 금속 플레이트(30)로부터의 충격이 PDP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PDP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금속 스프링(31) 대신에 다른 방진재로서 방진 고무(31a)를 사용한다. 방진 고무(31a)의 상면은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배면기판(20a)에 접착되고, 방진 고무(31a)의 하면도 동일하게 금속 플레이트(30)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방진 고무(31a) 이외의 다른 방진재로서 펠트(felt)나 공기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의 금속 플레이트(30)를 육각 기둥이 모여서 형태의 벌집 구조로 한다. 이렇게 금속 플레이트(30)를 벌집 구조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금속 플레이트(30)의 강도를 증가시켜 그 금속 플레이트(30)의 공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DP 유닛은 전면기판(10a)에 형성한 보호막(14)과 배면기판(20a)에 형성한 격벽(23)의 밀착부전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금속 플레이트(30)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방법 및 PDP 유닛은 토대가 되는 플레이트에 PDP를 부착할 경우에 PDP의 배면기판을 방진재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에 부착함으로써 PDP의 전면기판에 형성된 보호막과 PDP의 배면기판에 형성된 격벽과의 밀착부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재로 흡수시켜 PDP에서 발생하는 소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방법 및 PDP 유닛은 패널에 발생한 진동이 플레이트에 전해져 플레이트가 공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방법 및 PDP 유닛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플레이트로부터 PDP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PDP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방법 및 PDP 유닛은 플레이트를 벌집 구조로 함으로써 플레이트의 강도를 증가시켜 그 플레이트의 공진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PDP의 전면기판에 형성된 보호막과 PDP의 배면기판에 형성된 격벽과의 밀착부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플레이트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복수의 방전 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할 때 상기 배면기판을 방진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벌집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3. 복수의 방전 셀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배면기판과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벌집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KR1020030076929A 2003-01-07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KR20040063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1459A JP2004214097A (ja) 2003-01-07 2003-01-07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音響ノイズ低減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
JPJP-P-2003-00001459 2003-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765A true KR20040063765A (ko) 2004-07-14

Family

ID=3281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929A KR20040063765A (ko) 2003-01-07 2003-10-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214097A (ko)
KR (1) KR200400637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227A1 (ja) * 2015-10-14 2017-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ポータブル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4097A (ja)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327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6696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91773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751324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US20060098126A1 (en)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7004620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45657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hermally conductive layer and a noise reduction layer
KR2004006376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KR200400637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404890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5273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806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접지구조
KR200400637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433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H1049060A (ja) ガス放電表示装置
KR100297434B1 (ko) 기판고정장치
KR200800011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54792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05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3470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601097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76758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JP201222091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9656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50036248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