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509A -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509A
KR20040063509A KR1020030000962A KR20030000962A KR20040063509A KR 20040063509 A KR20040063509 A KR 20040063509A KR 1020030000962 A KR1020030000962 A KR 1020030000962A KR 20030000962 A KR20030000962 A KR 20030000962A KR 20040063509 A KR20040063509 A KR 2004006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case
unit panel
coupling memb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섭
Original Assignee
김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섭 filed Critical 김규섭
Priority to KR102003000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509A/ko
Publication of KR2004006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기 케이스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집진기의 제작,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를 제공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의 집진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규격으로 단부에 절곡편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위판넬과 이러한 단위판넬 각각을 인접되게 결합하기 위해 단위판넬 둘레로 형성된 결합부재와 결합부재 각각이 상ㆍ하,좌ㆍ우로 연결되기 위해 형성된 연결부재 및 단위판넬이 결합되어 함체를 이룰 수 있도록 각 모서리로 결합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진기 케이스는 단위판넬만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집진기의 크기 및 용량에 관계없이 보다 손쉽게 설치와 운반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집진기 케이스의 작업 공정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집진기의 제작단가를 최소화 하여 최종적으로 집진기 사용자로 하여금 부담없이 집진기를 사용하게 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Assembled-type dust collector case}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기 케이스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집진기의 제작,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機)란 기체 속에 부유(浮遊)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진기(1)는 인입구(2)와 배출구(3)가 형성되고 내부에 여과지(미도시됨) 등이 내설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집진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집진기는 함체를 이루며, 이러한 함체의 형태는 대개 박스형태 또는 호퍼(HOPPER ;4)가 부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집진기(1)는 사용 목적에 따라 그 크기와 용량이 매우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요구 사항에 따라 대용량의 집진기(1) 등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 자재구매단계, 제작단계 및 도장단계 등에 이르기까지 작업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 공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제작된 대용량의 집진기(10)를 운반하는 것 역시 용이하지 않다. 또한,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재고를 보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복잡한 작업 공정 및 운반 등의 원인으로 생산성 저하와 가격 상승 등을 가져오게 되므로 결국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집진기를 형성하는 집진기 케이스 전체를 단위판넬 등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크기나 용량에 관계없이 규격화된 단위판넬로 집진기 케이스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집진기 케이스의 작업 공정이 매우 간편해지는 것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집진기의 제작단가를 최소화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부담없이 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집진기 케이스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6 은 도 4 의 집진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7 은 도 4 의 호퍼용 결합부재의 A-A 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부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9 는 도 8 의 도어 부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집진기 케이스, 20; 단위판넬
30; 결합부재, 40; 연결부재
50; 모서리 연결부재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집진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한 규격으로 단부에 절곡편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위판넬과 이러한 단위판넬 각각을 인접되게 결합하기 위해 단위판넬 둘레로 형성된 결합부재와 결합부재 각각이 상ㆍ하,좌ㆍ우로 연결되기 위해 형성된 연결부재 및 단위판넬이 결합되어 함체를 이룰 수 있도록 각 모서리로 결합되는 모서리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에 결합부재가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 내부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결합부재가 연결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위판넬과 일체로 결합되기 위하여 단위판넬과 결합부재 및 연결부재에 볼트결합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하부를 호퍼 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단위판넬과 별도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호퍼용 단위판넬이 결합부재 및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 후 호퍼용 결합부재 사용하여 케이스 상부의 단위판넬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단위판넬 사이로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로 밀폐가 용이하도록 도어의 밀착면에 실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집진기 케이스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케이스(10)는 통상의 집진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케이스(10)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한 규격으로 단부에 절곡편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위판넬(20)을 형성하고, 상호 인접된 각각의 단위판넬(20)을 각 둘레로 형성된 결합부재(30)로 결합한다. 이 때, 인접한 각 단위판넬(20)을 결합하기 위해 각 결합부재(30)의 상ㆍ하,좌ㆍ우로 연결부재(40)가 결합되어 각각의 단위판넬(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이처럼 연결된 단위판넬(20)이 사각의 함체를 이룰 수 있도록 각 모서리로 하여금 모서리 연결부재(50)를 결합한다.
한편, 전체 집진기 케이스(10)를 형성하는 각 단위판넬(20), 결합부재(30) 및 연결부재(40)를 도 3 을 참조로 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단위판넬(20)은 소정 크기의 판제로 이루어져 일정한 규격으로 제단한 후 판제의 단부(둘레)를 'ㄷ' 형태로 절곡한다. 이렇게 절곡된 단위판넬(20)의 단부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볼트 결합공(25)을 형성한다.
결합부재(30)는 소정 두께의 사각편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가 단위판넬(20)의한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단위판넬(20)과 상호 결합되도록 볼트 결합공 (35)을 형성한다. 이 때, 단위판넬(20)과 결합시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30) 외면으로 탄성력 및 강성을 구비한 밀착부재(31)를 삽입한다.
연결부재(40)는 결합부재(30)의 끝단이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로 삽입홈(4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 때, 각각의 결합위치에 따라 그 형상을 '╋' 형 연결부재(42), '┻' 형 연결부재(43) 및 "┗" 형 연결부재(44)로 구성한다. 또한, 소정 위치에 볼트결합공(45)을 관통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집진기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용 집진기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용 집진기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6 은 도 4 의 집진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 도 7 은 도 4 의 호퍼용 결합부재의 A-A 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하부를 호퍼 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판넬(20)과 별도로 하나 이상의 호퍼용 판넬(60)을 제작하여 단위판넬(20) 하부로 결합한다.
여기서, 도 4 에 도시된 케이스(11)와 같은 형태를 구성하는 호퍼용 판넬 (60)은 삼각판넬(61)과 평행사변형 판넬(62)로 구성한다.
그리고, 도 5 에 도시된 케이스(12)와 같은 형태를 구성하는 호퍼용 판넬 (60')은 도 4 의 형태와 동일한 삼각판넬(61)과 그 하단으로 소형의 삼각판넬(61')이 결합되고, 그 안쪽으로 직사각형 판넬(62')을 구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호퍼용 판넬(60,60')을 각 단위판넬(20) 하단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도 6 에서와 같이 호퍼용 결합부재(70)를 결합한다. 이러한 호퍼용 결합부재(70)를 도 7 에서 도시한 호퍼용 결합부재의 A-A 선을 나타낸 단면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삼각형 부재로 이루지고, 부재의 상측면(71)과 소정 각도를 갖는 내측면(72)에는 각각 케이스(10) 하단부의 결합부재(30)와 호퍼용 판넬(60,60')이 밀착 결합된다. 이 때, 상측면(71)과 내측면(72)에는 볼트결합나사(73,73')를 형성한다. 도 6 의 미설명 부호 51,52 는 앵글 형태의 모서리 지지부재이고, 26 은 볼트이고, 27 은 너트 이다.
한편,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집진기 케이스(10)에 도어(8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8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단위 판넬(20) 사이로 도어(80)가 설치되고, 도어(80)가 닫힌 상태로 밀폐가 용이하도록 도어(80)의 밀착면(81)에 실링(82)을 부착 형성한다. 이 때, 실링(82)은 비교적 탄성과 강성이 우수한 성형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사용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집진기 케이스(10)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호퍼 부착시), 원하는 형태를 정한 뒤, 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30)를 각 연결부재(40)의 삽입홈(41)에 삽입한다. 이 때, 상ㆍ하,좌ㆍ우로 교차되는 지점에 '╋' 형 연결부재(42)를 연결하고, 케이스(10)의 최하단부에는 '┻' 형 연결부재(43)를 연결하고, 좌ㆍ우측 끝단은 "┗" 형 연결부재(44)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케이스(10)의 일면이 완성되고, 각 결합부재(30) 사이로 형성된 공간에 단위판넬(20)을 밀착되게 위치시킨다. 한편, 결합부재(30)와 단위판넬(20)과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결합부재(30) 외면에 탄성력과 강성을 갖는 밀착부재(31)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형성된 케이스(10)의 일면을 완전히 고정 결합하기 위해 단위판넬 (20)과 결합부재(30), 그리고 연결부재(4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볼트결합공(25, 35,45)이 상호간에 연통된다, 이러한 볼트 결합공(25,35,45)을 통해 볼트(26)를 삽입하여 너트(27)로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10) 하단을 호퍼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결합부재(30)와 연결부재(40)를 결합하되 기본적인 결합관계는 단위판넬(20)의 결합과 동일하고, 좌ㆍ우측 끝단으로 호퍼용 삼각형 판넬(61)을 결합 설치한다. 그런 다음, 단위판넬 (20)로 구성된 케이스(10) 상측과 호퍼용 결합부재(70)를 사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위와같이 구성된 케이스(10) 일면을 더 구성한 후 각각의 케이스 (10) 일면을 모서리 결합부재(70)를 사용하여 결합하면 함체를 갖는 집진기케이스(10)가 완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진기 케이스는 단위판넬만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집진기의 크기 및 용량에 관계없이 보다 손쉽게 설치와 운반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집진기 케이스의 작업 공정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집진기의 제작단가를 최소화 하여 최종적으로 집진기 사용자로 하여금 부담없이 집진기를 사용하게 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통상의 집진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를 형성하기 위한 일정한 규격으로 단부에 절곡편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위판넬(20);과
    상기 단위판넬(20) 각각을 인접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단위판넬(20) 둘레로 형성된 결합부재(30);와
    상기 결합부재(30) 각각이 상ㆍ하,좌ㆍ우로 연결되기 위해 형성된 연결부재 (40); 및
    상기 단위판넬(20)이 결합되어 함체를 이룰 수 있도록 각 모서리로 결합되는 모서리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에 상기 결합부재(30)가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40) 내부로 삽입홈(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0)가 상기 연결부재(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판넬(20)과 일체로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단위판넬(20)과 상기 결합부재(30) 및 상기 연결부재(40)에 볼트결합공 (25,35,45,55)이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를 호퍼 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위판넬(20)과 별도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호퍼용 판넬(60)이 상기 결합부재(30) 및 상기 연결부재(40)에 의해 상호 결합된 후 호퍼용 결합부재 (65)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스(10) 상부와 일체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단위 판넬(20) 사이로 도어(7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70)가 닫힌 상태로 밀폐가 용이하도록 상기 도어(70)의 밀착면에 실링(7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KR1020030000962A 2003-01-08 2003-01-08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KR20040063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962A KR20040063509A (ko) 2003-01-08 2003-01-08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962A KR20040063509A (ko) 2003-01-08 2003-01-08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509A true KR20040063509A (ko) 2004-07-14

Family

ID=3735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962A KR20040063509A (ko) 2003-01-08 2003-01-08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47B1 (ko) 2019-05-16 2019-11-11 주식회사 미래중공업 안정성이 강화된 조립기능을 가지는 조립형 집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47B1 (ko) 2019-05-16 2019-11-11 주식회사 미래중공업 안정성이 강화된 조립기능을 가지는 조립형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8054B2 (ja)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類の支持ベースおよびその支持ベース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CN100380757C (zh) 改进的箱组件用的构架制品的金属型材
JP2022519394A (ja) コアブラケットセット及び前記コアブラケットセットを含むエネルギー貯蔵装置パッケージ材
KR200168537Y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20040063509A (ko) 조립식 집진기 케이스
EP3657071A2 (en) Modular panel lamp
CN207425251U (zh) 一种控制盒及包含其的薄型智能平板
JP6942539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3892554B2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構造
CN106820808A (zh) 一种屏风转角组件及采用其的屏风
CN212091303U (zh) 便于组装的除尘器壳体
KR200190958Y1 (ko) 회전간판용 틀체 프레임
JPS644472Y2 (ko)
CN217426946U (zh) 电池箱及电池系统
CN210429587U (zh) 一种开关壳体及具有其的智能开关
CN211406602U (zh) 钣金外壳
US5192831A (en) Structure of floor junction box
CN211069433U (zh) 一种机房用空气过滤器
CN101662094B (zh) 多插座板的壁装电源插座
JP4450551B2 (ja) ラック
JPH10286421A (ja) 空気清浄器用フィルタ構造
JP4664187B2 (ja) エア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3758Y2 (ko)
JP2898543B2 (ja) ごみ箱
JPH0739276Y2 (ja) ラック式電子機器筐体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