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342A - 차동 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차동 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342A
KR20040062342A KR1020030000151A KR20030000151A KR20040062342A KR 20040062342 A KR20040062342 A KR 20040062342A KR 1020030000151 A KR1020030000151 A KR 1020030000151A KR 20030000151 A KR20030000151 A KR 20030000151A KR 20040062342 A KR20040062342 A KR 2004006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output signal
circuit
differenti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445B1 (ko
Inventor
유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4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 출력 회로를 공개한다. 이 회로는 기준전압과 외부 저항에 바이어스 전류를 곱한 전압을 비교하여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바이어스 전류를 미러하여 미러된 전류를 발생하는 전류 미러,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1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기준전압과 궤환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는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 및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2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차동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고, 차동 출력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여 궤환 전압을 발생하는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동 출력 신호의 크기 및 오프셋 전압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동 출력 회로{Differential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차동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차동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차동 출력 회로는 칩 내부의 높은 스윙 폭을 가진 출력 신호를 낮은 스윙 폭을 가진 차동 출력 신호로 만들어서 칩 외부로 출력한다. 따라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인 차동 출력 신호가 칩 외부의 장치로 고속, 저 전압, 저 노이즈 특성을 가지고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차동 출력 회로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전류원(10), NMOS트랜지스터들(N1 ~ N4), 인버터(INV1), 및 저항(R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서, P1, P2는 차동 출력 신호들을 발생하는 패드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RT는 칩 외부에 연결되는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지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면, 인버터(INV1)가 접지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를 반전하여 전원전압(VCC)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NMOS트랜지스터들(N1, N4)이 온되어 전류원(10)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I1)가 NMOS트랜지스터(N1), 패드(P1), 저항(RT), 패드(P2), NMOS트랜지스터(N4), 및 저항(R1)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VOUT)은 RT ×I1가 된다. 이때, 패드(P1)의 전압은 패드(P2)의 전압보다 높다.
다음으로, 입력 신호(VIN)가 전원전압(VCC) 레벨로 천이하면, 인버터(INV1)가 전원전압(VCC) 레벨의 신호를 반전하여 접지전압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NMOS트랜지스터들(N2, N3)이 온되어 전류원(10)에 의해서 흐르는 전류(I1)가 NMOS트랜지스터(N2), 패드(P2), 저항(RT), 패드(P1), NMOS트랜지스터(N3), 및 저항(R1)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은 RT ×I1가 된다. 이때, 패드(P2)의 전압이 패드(P1)의 전압보다 높다.
즉, 패드들(P1, P2)을 통하여 출력되는 차동 출력 신호(VOUT)의 크기는 RT ×I1가 된다.
도2는 일반적인 차동 출력 회로의 입력 신호(VIN) 및 차동 출력 신호(VOUT)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접지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는 경우에 패드(P1)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A)의 레벨이 패드(P2)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B)의 레벨보다 높게 되고, 전원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는 경우에 패드(P1)를 통하여 출력되는 (A)의 레벨이 패드(P2)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B)의 레벨보다 낮게 된다. 즉, 신호들(A, B)은 오프셋 전압(VOS)을 중심으로 상하로 진동하는 신호이다.
그런데, 도1에 나타낸 차동 출력 회로는 공정, 전압,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전류원(1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1) 및 저항(R1)의 값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RT)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즉, 차동 출력 회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차동 출력 신호(VOUT)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동 출력 신호의 오프셋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전압, 및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차동 출력 신호의 크기의 변화 및 오프셋 전압의 변화를 줄여 정확한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차동 출력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는 기준전압과 외부 저항에 바이어스 전류를 곱한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바이어스 수단,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미러하여 미러된 전류를 발생하는 전류 미러 수단, 상기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1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기준전압과 궤환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는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 및 상기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2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차동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고, 상기 차동 출력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차동 출력 회로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2는 일반적인 차동 출력 회로의 입력 신호(VIN) 및 차동 출력 신호(VOUT)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바이어스 회로(100), 전류 미러 회로(110),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20), 드라이버(130), 및 출력 인에이블 회로(140)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서, Rext, RT로 나타낸 것은 칩 외부에 연결되는 저항들을, P1, P2로 나타낸 것은 패드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바이어스 회로(100)는 기준전압 발생회로(20), 증폭기(22), 및 PMOS트랜지스터(P1)로 구성되고, 전류 미러 회로(120)는 PMOS트랜지스터들(P2, P3), 및 NMOS트랜지스터들(N5, N6)로 구성되고,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30)는 PMOS트랜지스터들(P4, P6, P7), 및 NMOS트랜지스터들(N7, N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130)는 PMOS트랜지스터들(P5, P8, P9), NMOS트랜지스터들(N9, N10, N11), 인버터(INV2), 및 저항들(R2, R3)로 구성되고, 출력 인에이블 회로(140)는 NMOS트랜지스터들(N2, N3), 및 인버터(INV3)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전압 발생회로(20)는 기준전압(Vref)을 발생한다. 증폭기(22)는 기준전압(Vref)과 노드(n)의 전압(i1 ×Rext)의 차를 증폭한다. 증폭기(22)는 노드(n)의전압이 기준전압(Vref)보다 크면 출력신호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노드(n)의 전압이 기준전압(Vref)보다 작으면 출력신호의 전압 레벨을 낮춘다. PMOS트랜지스터(P1)는 증폭기(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에 응답하여 전류(i1)를 흐르게 한다. 이때, 패드(P3)에 연결된 외부 저항(Rext)을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노드(n)의 전압이 공정, 온도, 및 전압 변화에 둔감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어스 회로(100)는 공정, 온도, 및 전압 변화에 둔감하게 일정한 전류(i1)를 발생한다.
전류 미러 회로(110)는 증폭기(2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전류(i1)와 동일한 전류(i2)를 발생하고, 전류(i2)를 미러하여 전류들(i3, i4)을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i1)의 수배 내지 수십배의 전류(i5)를 발생한다.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20)는 PMOS트랜지스터(P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i4)를 분배하여 PMOS트랜지스터(P6)와 NMOS트랜지스터(N7) 및 PMOS트랜지스터(P7)와 NMOS트랜지스터(N8)를 통하여 흐르게 한다. 만일 PMOS트랜지스터(P6)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지게 되면 PMOS트랜지스터(P6)와 NMOS트랜지스터(N7)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PMOS트랜지스터(P7)와 NMOS트랜지스터(N8)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보다 많아지게 된다. 반대로, PMOS트랜지스터(P6)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전압(Vref)보다 높아지게 되면 PMOS트랜지스터(P6)와 NMOS트랜지스터(N7)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PMOS트랜지스터(P7)와 NMOS트랜지스터(N8)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보다 작아지게 된다.
드라이버(130)는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20)의 PMOS트랜지스터(P7)와 NMOS트랜지스터(N8)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많아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많아지게 하고 패드들(P1, P2)사이에 걸리는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커지게 한다. 반대로, PMOS트랜지스터(P7)와 NMOS트랜지스터(N8)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게 하고 패드들(P1, P2)사이에 걸리는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작아지게 한다.
접지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면 인버터(INV2)가 전원전압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PMOS트랜지스터(P9)와 NMOS트랜지스터(N9)가 온된다. 따라서, 전류(i5)가 PMOS트랜지스터(P9), NMOS트랜지스터(N13), 패드(P2), 저항(RT), 패드(P3), NMOS트랜지스터(N9), 및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패드(P1)의 전압은 패드(P2)의 전압보다 높다. 그리고, 만일 NMOS트랜지스터(N1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커지게 되고, 만일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게 되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전원전압 레벨의 입력 신호(VIN)가 인가되면 인버터(INV2)가 접지전압 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PMOS트랜지스터(P8)와 NMOS트랜지스터(N10)가 온된다. 따라서, 전류(i5)가 PMOS트랜지스터(P8), NMOS트랜지스터(N12), 패드(P1), 저항(RT), 패드(P2), NMOS트랜지스터(N13), NMOS트랜지스터(N10), 및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패드(P2)의 전압이 패드(P1)의 전압보다 높다. 그리고, 만일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커지게 되고, 만일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게 되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저항들(R2, R3)은 패드들(P1, P2)의 전압을 분배하여 분배된 전압을 궤환 전압으로 하여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20)의 PMOS트랜지스터(P6)의 게이트로 인가한다. 이때, 저항들(R2, R3)은 저항(RT)에 비해서 100배이상의 저항 값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전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드라이버(130)는 패드들(P1, P2)의 전압을 분배한 전압을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120)로 궤환한다. 이때, 궤환 전압에 따라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을 조절한다. 만일 분배된 전압이 원하는 전압 레벨보다 낮아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되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커지게 되고, 분배된 전압이 원하는 전압 레벨보다 높아지게 되면 NMOS트랜지스터(N1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어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패드들(P1, P2)사이의 전압, 즉, 차동 출력신호(VOUT)의 전압의 크기가 원하는 전압 크기로 유지되고, 오프셋 전압의 변화 또한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수행시에 접지전압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어 NMOS트랜지스터들(N12, N13)이 온되어 드라이버(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패드들(P1, P2)로 출력된다.
반면에, 전원전압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면 NMOS트랜지스터들(N12, N13)이 오프되어 패드들(P1, P2)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드라이버(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패드들(P1, P2)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130)와 패드들(P1, P2)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전기 보호 다이오우드를 패드들(P1, P2)에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는 칩 외부에 있는 저항(Rext)을 이용하여 공정, 전압, 및 온도 변화에 둔감한 바이어스 전류(i1)를 발생하고, 이 전류를 미러하여 공통 모드 피드백 회로 및 드라이버의 전류를 발생한다. 그리고, 드라이버의 차동 출력 신호의 전압을 분배한 전압을 궤환하여 궤환된 전압의 변화에 따라 차동 출력 신호의 전압의 크기를 변화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오프셋 전압의 변화 또한 줄일 수 있다.
또한, NMOS트랜지스터들(N12, N13)을 사용하여 드라이버와 패드들(P1, P2)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전기 보호 다이오우드를 패드에 구현할 수 있어 신뢰성 향상과 칩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동 출력 회로는 차동 출력 신호의 크기 및 오프셋 전압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와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전기 보호 다이오우드를 패드들에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7)

  1. 기준전압과 외부 저항에 바이어스 전류를 곱한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하는 바이어스 수단;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미러하여 미러된 전류를 발생하는 전류 미러 수단;
    상기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1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기준전압과 궤환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는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 및
    상기 미러된 전류를 미러한 제2전류를 전류원으로 하고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의 출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차동 출력 신호의 레벨을 변화하고, 상기 차동 출력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
    상기 기준전압과 제1노드의 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증폭회로; 및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제1노드에 상기 외부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은
    상기 제1전류를 발생하는 제1전류원;
    상기 제1전류원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진 제1PMOS트랜지스터;
    상기 제1전류원에 연결된 소스와 상기 궤환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진 제2PMOS트랜지스터;
    상기 제1PMOS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및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소스를 가지고 상기 드레인을 통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NMOS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PMOS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및 게이트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소스를 가진 제2NMOS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2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류원;
    상기 제2전류원과 제2노드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진 제3PMOS트랜지스터와 제3NMOS트랜지스터;
    상기 제2전류원과 상기 제2노드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된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진 제4PMOS트랜지스터와 제4NMOS트랜지스터;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공통 모드 피드백 수단의 출력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를 가진 제5NMOS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PMOS트랜지스터와 제3NMOS트랜지스터의 제1공통 노드와 상기 제4PMOS트랜지스터와 상기 제4NMOS트랜지스터의 제2공통 노드사이의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공통 노드들을 통하여 상기 차동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공통 노드들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저항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2저항사이의 노드를 통하여 상기 궤환 전압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공통 노드들의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전송 게이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출력 회로.
KR10-2003-0000151A 2003-01-02 2003-01-02 차동 출력 회로 KR10050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51A KR100500445B1 (ko) 2003-01-02 2003-01-02 차동 출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151A KR100500445B1 (ko) 2003-01-02 2003-01-02 차동 출력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342A true KR20040062342A (ko) 2004-07-07
KR100500445B1 KR100500445B1 (ko) 2005-07-12

Family

ID=3735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151A KR100500445B1 (ko) 2003-01-02 2003-01-02 차동 출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8967B2 (en) 2005-01-19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fferential output driver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8967B2 (en) 2005-01-19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fferential output driver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445B1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4548B2 (ja) 定電流駆動回路
KR100301368B1 (ko) 파워온리셋회로
US7199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wer-on reset signal
JP5008367B2 (ja) 電圧発生装置
US4394587A (en) CMOS Differential comparator with hysteresis
JP4923442B2 (ja) 差動信号伝送回路および差動信号伝送装置
JP2008015925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KR20030003904A (ko) 온도변화에 따라 내부 기준전압 값을 조절할 수 있는 내부기준전압 생성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내부 공급전압생성회로
JPH09200007A (ja) 差動増幅器
KR100484257B1 (ko) 반도체 소자의 차동증폭형 입력 버퍼
US7061322B2 (en) Low voltag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nd bias control technique enabling accommodation of an increased range of input levels
JP4614234B2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3198392A (ja) スケルチ回路
US7250793B2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driving apparatus
US20060181337A1 (en) Digitally tunable high-current current reference with high PSRR
JP2004032689A (ja) 電流センス増幅器
KR100500445B1 (ko) 차동 출력 회로
US6005379A (en) Power compensating voltage reference
US7532071B2 (en)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JP7240900B2 (ja) パワーオンクリア回路及び半導体装置
US20080238517A1 (en) Oscillato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109018A (ja) 電圧発生装置
KR20170094683A (ko) 버퍼 회로
KR10039099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압 발생장치
KR20080003048A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